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문인들의 음서제에 대한 비판적 인식 양상 연구

        이국진 ( Lee Gook-jin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1

        조선의 관리 등용 제도는 과거제를 강화하고, 음서제는 그 혜택 범위를 축소하고 규정을 엄격히 적용하는 방식으로 정비되었다. 그런데 조선시대의 음서제는 일찍부터 부작용이 드러났으며, 16세기에 접어들면서 문벌의식이 강화되자 음서제의 폐단은 더욱 심해졌다. 그리하여 임진왜란 이후 任叔英ㆍ申欽ㆍ崔晛ㆍ洪汝河 등은 음서제의 혜택을 받는 사람들의 나태함, 안일함, 부도덕함을 지적했다. 아울러 공정한 인사 선발과 승진이 이뤄지지 않는 음서제 시행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비판했다. 이외에도 趙又新ㆍ黃暐ㆍ趙宗著ㆍ閔鎭厚 등은 蔭官들의 낮은 학식과 무능함, 관직을 탐하는 습성과 지방 수령으로서의 횡포를 비판했다. 하지만 이 시기 문인들이 모두 蔭官을 마냥 부정적으로만 본 것은 아니었으며, 조선시대 문인들이 모두 蔭官을 맹목적으로 추종한 것도 아니었다. 따라서 당시 음서제 폐단의 심각성을 지적한 내용 중 일부는 인조대 중용된 인물이 광해군대를 비판하는 글이라는 정치적 입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탁과 뇌물을 주고 받는 정황이나 蔭官들의 타락상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부분을 살펴볼 때, 조선 중기 이후 문벌의식이 강화되고 임진왜란 이후 붕당정치의 폐해와 급격한 정치 변동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음서제의 폐단이 심각해 진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영정조 시기 이후에도 음서제의 폐단은 계속되었다. 영조와 정조는 왕권 강화와 왕실 안정을 도모하고자 집권 세력의 자손들을 우대하는 정책을 적극 추진하면서 蔭官의 관직 진출을 확대했다. 당시 李福休 등은 이 과정에서 蔭官의 부조리와 폐단이 만연한 현실을 비판했다. 이후 19세기 세도정치기로 접어들면서 음서제의 폐단은 개선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그런데 조선 후기 음서제의 폐단은 과거제의 문란이 갈수록 극에 달하던 당시의 시대 상황과 연관되어 있었다. 따라서 조선 후기 문인들이 주장한 음서제개선 방안은 기본적으로 과거제의 폐단을 개혁하는 방안과 연계해서 논의되었다. 李瀷이 주장한 과거제의 수정과 천거제의 병용, 柳壽垣이 주장한 음서제의 혜택 제한과 공정한 선발 방식 엄수, 尹愭와 崔漢綺가 주장한 천거제의 적극적인 활용과 음서제의 공정한 시행 등은 조선시대 관리 선발 제도의 핵심인 과거제의 폐단을 개혁하고자 하는 고민 위에서 구상한 것이었다. 이들은 공정하고 객관적인 절차를 거친 천거의 방식으로 과거제를 개혁하려는 목적 속에서 음서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조선시대 문인들이 제기한 음서제 개선 방안의 핵심은 혜택 대상의 엄격한 제한 및 공정한 선발과 승진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양반 사대부들은 신분과 경제력을 쉽게 재생산할 수 있는 제도 앞에서 윤리의식을 잊어버리고 특권의식을 드러내었다. 조선시대 왕들은 음서제의 폐단에 깊은 고민을 드러내면서도 한편으로는 음서제를 활용하여 양반 집권 세력의 안정을 도모하기도 했다. 근본적으로 음서제는 사사로운 청탁과 결탁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관리 선발 제도였다. 더욱이 조선 중기부터 관료 선발인원이 적체되며 실제 관직이 부족해지자, 당파 간의 경쟁은 치열해지고 일부 양반 사대부들은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부정을 일삼기도 했다. 조선시대 음서제가 개선되지 못한 원인은 이러한 총체적인 국면 속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Joseon's government official appointment system was improved by strengthening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reducing the scope of benefits of the ancestors' virtue system, and strictly applying related regulations. However, the ancestors' virtue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revealed side effects earlier on. Those who benefited from the ancestors' virtue system more frequently neglected their studies. In the 16th century, as the consciousness of lineage was strengthened, the evil of the ancestors' virtue system intensified, and injustice and corruption became widespread in the process of recruitment and promotion of government officials. Therefore,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during 1592-1598, critical recognitions of the ancestors' virtue system were expressed in earnest even in the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of literary persons. Lim Sook-young, Shin heum, Choi Hyun, Hong Yeo-ha, Jo Woo-shin, Hwangwi, Jo Jong-jeo, and Min Jin-hu criticized the immorality, laziness, and incompetence of those who benefitted from the ancestors' virtue system. In addition, they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he ancestors' virtue system that was hindering fair personnel selection and promotion. Accordingly, discussions about the problems of the ancestors' virtue system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actively unflod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royal court, but they were not effective. However, not all literary persons at that time viewed the ancestors' virtue system only negatively. Song Si-yeol, Han Won-jin, and Shin Jeong-ha advocated those who entered government services through the ancestors' virtue system and evaluated them positively. Therefore, the arguments of literary persons who viewed the ancestors' virtue system critically and those of literary persons who viewed the ancestors' virtue system positively should to be understood considering their political positions at that ti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plans to improve the ancestors' virtue system were actively sought. However, the seeking was basically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plans to reform the evils of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which became extremely seve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Accordingly, the revision of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and the use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in combination with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asserted by Lee Ik, limiting the benefits of the ancestors' virtue system and fair selection asserted by Ryu Su-won, the active utilization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and the fair implementation of the ancestors’ virtue system asserted by Yun Gi and Choi Han-gi, etc. were conceived on the agony of reforming the evils of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which was the core of the government official selection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short, although they were aware of the evils of the ancestors' virtue system, since they regarded ways to fairly select competent human resources as important as a way to reform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they intended to properly utilize the ancestors' virtue system among the ways.

      • KCI등재

        복거(卜居)를 제재로 한 조선시대 한시의 양상과 의미

        이국진 ( Lee Gook-jin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7

        동아시아에서는 정착 농경사회가 보편화되면서 주거지를 정하는 일이 매우 중요해졌는데, 중국에서는 점복문화가 성행했던 殷나라를 거치면서 살곳을 점쳐서 정하는 일이 일반화되었다. 그러나 문명이 발달하면서 점치는 미신을 멀리하고, 孔子를 비롯해 살기 좋은 곳의 조건을 인문적으로 성찰하는 사유도 함께 나타났다. 이 가운데 중국 시가에서 ‘卜居’는 일찍부터 중요한 제재가 되었다. 그 중에서 屈原의 「卜居」는 卜居를 제목으로 삼은 최초의 시가 작품으로서 후대 문인들에게 점치는 행위의 불확실성과 실존적 결단의 중요성을 각인시켰다. 이후 陶淵明의 「移居」는 점을 쳐서 거처를 정하는 행위를 직설적으로 부정하고 탈속적이고 자족적인 가치를 구현함으로써 卜居를 제재로 한 한시를 지배하는 은일자족적 분위기의 선도적인 작품이 되었다. 이어서 杜甫와 朱熹의 「卜居」는 각각 서정적 표현과 심미적 묘사, 학자의 본분과 심신수양의 의지가 돋보였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이와 같은 중국 시가 작품들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많은 차운시를 지었다. 이렇게 해서 卜居를 제재로 한 중국 문인들의 시가작품들은 조선시대 문인들의 卜居意識이 실존적인 성찰로 나아가고 공간과의 심미적인 소통으로 이어지는 데에 큰 역할을 했다. 그리고 조선시대 문인들의 복거를 제재로 한 한시 창작에 전범으로 작용했다. 이에 조선시대 문인들은 복거를 제재로 하여 ‘고향에 돌아와 정착하거나 타향에 정착하는 내용’, ‘출사와 은퇴 사이에서 고민하는 내용’, ‘주변 경관을 묘사하거나 소요하는 내용’의 시작품을 많이 남겼다. 또한 주변 지인들과 복거를 제재로 한 한시창작을 통해 활발한 교유 활동을 펼쳤다. 그 중에서도 李萬敷의 「卜居西湖(己巳)」 五首는 26세의 나이에 일찌감치 벼슬을 단념하고 산수의 아름다움 속에서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겠다는 단호한 의지가 두드러졌다. 韓元震의 「卜居」는 산과 바다에서 철학적 이치나 인생의 이치를 발견하고, 그것을 내면화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깨닫고 의식을 고양하는 면모가 돋보였다. 李時明의 「卜居賦」는 병자호란 때 仁祖가 청나라에 굴복한 치욕을 못 이겨 가족과 함께 은거를 감행하고, 자연과의 교감과 학자적인 실천을 통해 아픔을 승화하는 모습이 부각되었다. 李胤永의 「雲仙洞卜居, 以靑山綠水有歸夢白石淸泉聞此言爲韻」 十四首는 산수유람의 과정 중에 단양에 정착해서 그 풍경에 감화를 받고 내면을 성찰하는 자세가 인상적이었다. 요컨대 이상 네 작품은 비교적 창작 동기와 창작 배경이 명확하고 연작시 또는 장편 賦의 형식을 취함으로써 卜居를 제재로 한 조선시대 한시들이 隱居意識을 공통적인 기반으로 하고 있는 가운데에도 작품의 개성과 작가의식이 좀 더 선명하게 드러났다. 이에 卜居를 제재로 한 조선시대 한시의 의미는 중국 시가 작품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변용하면서 개성을 발휘한 점, ‘어디에 살 것인가?’ 라는 표면적인 의미를 넘어서서 ‘어떻게 살 것인가·’ 라는 심층적 고민을 깊이 투영하는 계기로 작용한 점, 삶의 터전을 심미적·근원적으로 사유하고 공간적 가치를 인문적으로 성찰하는 계기로 작용한 점에서 찾을 수 있다. In the East Asia, settlement agriculture society became popular and it became very important to decide the settlement area. In the meantime, in China, it was generalized to decide the place to live by going through the Shang Dynasty.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there has also been a reason for keeping off superstition and rationally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good living places. In the Chinese poetry, ‘Bokgeo(卜居)’ became an important topic early on. Among them, the work of Qu Yuan marked the importance of existential decision as the first poetry work with the title of Bokgeo(卜居). The works of Tao Yuanming provided many inspirations by denying the act of telling one's future and implementing unworldly and self - worthy values. Each work of Du Fu and Zhu Xi acted as a classic, featuring lyrical expression, aesthetic description, scholars' duty, and willingness for physical and mental discipline. In the cas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traditional poem as a topic for Bokgeo(卜居), the main contents were ‘contents settled in the hometown and the land’, ‘contents of the question between the exit and the retirement’, and ‘description and rambling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addition, the Joseon Dynasty period writers actively engaged in collective activities through the creation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poems as a topic for Bokgeo(卜居). Among them, The work of Lee Man-bu showed a strong desire to give a government position at a young age and concentrate on Neo-Confucianism in beautiful nature. The work of Han Won-jin showed that he contemplated the mountains and the sea and discovered the philosophical reason and the meaning of life, realizing the meaning of life and the aspect of raising consciousness stood out. The work of Lee Si-myeong showed the appearance of sublimation of the pain was prominent through sympathy with nature and scholarly practice, after retiring to hermitage with his family due to the disgrace of being forced into the Qing Dynasty at Qing invasion of Joseon. The work of Lee Yun-young showed he was inspired by the scenery and had an attitude of reflecting on the inside after settling in Danyang during mountaineering. Through this, the significanc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Sino-Poetry as a topic for Bokgeo(卜居)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the Joseon Dynasty period Sino-Poetry as a topic of Bokgeo(卜居), positively accepted and changed China's old ideological and literary tradition of Bokgeo(卜居). Second, the Joseon Dynasty period Sino-Poetry as a topic for Bokgeo(卜居) became an opportunity to project the agony of ‘How to live’ beyond ‘Where to live?’ Third, the Joseon Dynasty period Sino-Poetry as a topic for Bokgeo (卜居) became a chance of aesthetic reason and literary expression about a place to live.

      • KCI등재

        이학규 부(賦)의 형상화 방식과 문학적 특징 -<해부(海賦)>, <화부(火賦)>, <림우부(霖雨賦)>를 중심으로

        이국진 ( Gook Jin Lee ) 한국한시학회 2014 韓國漢詩硏究 Vol.22 No.-

        이학규(1770~1835)는 신유사옥(1801) 때 황사영 백서 사건에 연루되어 김해에서 24년간 유배생활을 보냈다. 그는 유배지에서 자신의 내면을 시창작을 통해 적극적으로 형상화했다. 동시에 시의 표현기법과 미적 특질을 적극적으로 탐색하였으며, 시의 양식과 형식을 실험하고 선택적으로 운용하였다. 이학규가 유배초기에 남긴 다섯 편의 賦 작품은 이처럼 치열한 시인의식 속에서 창작되었다. 본고는 그 중에서 제재적 성격과 형상화 방식이 유사한 <海賦>(1804), <火賦>(1806), <霖雨賦>(1807)를 살펴보았다. 이 작품들은 각각 ‘바다’, ‘불’, ‘장맛비’라는 구체적인 대상물을 제재로 하였으며, 묘사적 서술방식을 집중적으로 사용하였다. 이에 이학규는 이 세 작품을 창작하기에 앞서 동일한 제재를 사용한 중국과 조선의 賦 작품들을 섭렵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작가적 경험·세밀한 관찰력·풍부한 상상력과 서정성을 활용하여 개성적인 작품을 구성했다. 아울러 표현기법 면에서는 이 세 작품이 或字句와 전고 인용구의 나열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나열적 진술의 수사적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낯선 형식미·역동적인 리듬감·의미의 함축미를 발산하였다. 특히 혹자구와 전고 인용구의 나열은 이학규의 한시 작품에서도 비중 있게 사용되었다. 이는 이러한 표현기법이 일회적·단절적 현상이 아니라 중요한 작가적 개성의 발로였음을 말해준다. 요컨대 이학규는 賦라는 장르를 통해 분량과 형식의 상대적 자유로움을 확보하고, 수사적 기교를 유감없이 발휘하고 싶은 작가적 욕구를 표현하였다. 그리고 여기에는 압운을 고려한 100구 이상의 분량 속에서 험벽한 글자·박학다식함·문학적 상상력·언어 조직력을 능숙하게 구사하는 창작 역량의 과시 욕구도 반영되었다. Lee Hak-gyu(1770~1835) got involved in the white paper scandal of Hwang Sa-yeong during Shiyusaok(1801) and lived in exile in Gimhae for 24 years. Living in exile, he actively embodied his inner world through poetic creations. At the same time, he explored the expressive techniqu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oetry and selectively applied the poetic styles and forms. It was out of his fierce consciousness as a poet that he created five Bu works in the early days of his exile. This study focused on Haebu, Hwabu, and Imwoobu of the five works. They were about the "sea," "fire" and "monsoon," respectively, and intensively used a descriptive narration method. Before writing the three works, Lee searched far and wide Chinese and Joseon Bu works of the same materials. Based on them, he utilized his observation, depiction, imagination, and lyricism for individual work organization and narrative methods. In terms of expressive techniques, he adopted the enumeration technique of Hokjagu and Jeongo quotes in the works and maximized the rhetorical effects of enumerative statement, thus creating form-, rhythm- and implication-based aesthetics. The enumeration of Hokjagu and Jeongo quotes was especially used with importance in his Chinese poems, as well, which indicates that the expressive technique was part of his important individuality as a writer.

      • KCI등재

        이학규 칠언율시의 대장법(對仗法)과 장법(章法) 연구

        이국진 ( Gook Jin Lee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1

        본고는 이학규 칠언율시의 표현기법과 형식미를 對仗法과 章法을 통해 분석하였다. 對仗은 칠언율시의 형식을 구성하는 기본 원칙으로서 대칭의 심미성을 느끼게 하는 수사법이다. 그리고 시상을 배치하고 전개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章法은 정형미를 중시하는 칠언율시에서 특히 중요한 표현기법이다. 따라서 칠언율시를 對仗法과 章法을 통해 분석하는 것은 작품의 표현기법과 형식미를 고찰하는 데에 유용하다. 아울러 칠언율시의 창작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던 이학규의 작가적 역량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이학규는 구 안에서 대를 이루고, 또 다시 위아래 두 구가 대를 이루는 當句對나 의미가 서로 相反되거나 相比되는 시어로써 대를 이루는 反對와 같은 對仗法을 정교하게 운용하였다. 이 외에도 이학규 특유의 섬세한 관찰력과 예민한 감각을 살려 다양한 對仗法을 구사하였다. 그러면서도 對仗에 사용된 시어의 자연스러움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전체적인 시상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중요시하였다. 이를 통해 대칭미는 물론, 내면의 서정적 미감과 작품의 실감 및 생동감 등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었다. 또한, 이학규는 起承轉合의 구도와 情景의 교직이라는 칠언율시의 기본적인 章法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때로는 寫意나 寫景으로 시상을 일관되게 이끌거나 의도적으로 章法을 비트는 것과 같은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였다. 나아가서 시적 주제와 작품의 예술 경계를 부각시키기 위해 자신만의 개성적인 章法을 운용하였다. 그리하여 네 연 여덟 구 속에서 시상을 배치하고 전개하는 데 있어서 수준 높은 역량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examines Lee Hak-gyu`s Chireonnyulshi (七言律詩, seven- syllable Chinese verse) based on his use of parallelism (對仗法) and composition techniques (章法). Parallelism is a basic element of Chireonnyulshi morphology that embodies the aesthetics of its symmetry. Composition techniques, which represent the way poetic ideas are organized and developed, are of particular significance because Chireonnyulshi emphasizes formal aesthetics. Furthermore, basing the analysis of Chireonnyulshi on parallelism and composition techniques is useful in exploring its representational methods and formal aesthetics. Lee Hak-gyu applied parallelism in a sophisticated manner by creating a parallel structure within a line or between two consecutive lines, and by juxtaposing words with opposite or contradicting meanings. All the while, he tried to preserve the naturalness of poetic words used in those parallel structures by placing them in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overall poetic idea. By doing this, he achieved symmetrical beauty of words and delivered a sense of lyricism, while effectively making the verse feel as real and lively as it does. In addition, Lee Hak-gyu successfully practiced the interweaving of the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structures, as well as description of natural surroundings and ambience, another one of the basic composition techniques of Chireonnyulshi. At times, however, he attempted variations, by consistently focusing the poetic idea either on the description of a landscape or on the emotions evoked by the landscape, and by deliberately twisting the syntactic technique. Furthermore, he applied his signature techniques to highlight the poetic theme and artistic boundaries of the verse. Lee Hak-gyu demonstrated his competence in effectively organizing and developing poetic ideas within the four-stanza and eight-line framework.

      • KCI등재

        『장자(莊子)』의 우언(寓言)을 제재로 한 조선시대 현실 풍유(諷諭) 운문문학과 현대적 시사 -조선 중기ㆍ후기 작품을 중심으로-

        이국진 ( Lee Gook-jin ) 동방한문학회 2016 東方漢文學 Vol.0 No.68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many then-Korean many writers satisfied their ideological and epistemic thirst, which was not quenched only by Confucianism, through Chuang-Tzu and learned and used the colorful literary imagination and the rhetorical expressions contained in his allegories. This phenomenon became more active and various as the Joseon Dynasty era stepped in. In the process, some writers created Korean poetic literature that exhort reality by insinuation using the allegories of Chuang-Tzu as theme. Of them, the literary works of Lee Hang, Jang Yoo, and Cho Chan-han take a form of full-length writing and express the allegories in various literary ways. In addition, they actively reflected their inner consciousness that stemmed from their troubles with reality in the works. This kind of Korean allegorical poetic literature on reality has a different literary impact from fable poetry that strongly criticizes reality. These works do not directly criticize or tell right from wrong on the irrationalities,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of the real world. Instead, they expose human desires and social structure full of them in order to remind us of the fundamental causes of such germination. This provides us room to contemplate what the true nature and value of life are. Chuang-Tzu``s allegories on reality can arouse public consensus and enlightening easily and interestingly even in the present. And the Korean allegorical poetic literature using his allegories on reality as theme are mutually complementary to Chuang-Tzu``s allegories. This enriches the literary value of allegory more, enables new imagination and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and shows the specific meaning of it in reality, reflecting individual``s life and consciousness in it. Therefore, Korean allegorical poetic literature on reality using 『Chuang-Tzu』``s allegories lets those who live in the modern times contemplate whether they follow institutionalized value system or others`` desires blindly or they are trapped in a fixed self-awareness and prejudice. In this sense, the ultimate goal of Korean allegorical poetic literature is to provide a life free of obsession and fixed notion, happy life stemming form self-motivation, not by external conditions, and co-existence and peace based on open mind and generosity.

      • KCI등재

        정희량 한시에 나타난 意象을 활용한 내면의식 형상화 방식 고찰

        이국진 ( Lee Gook-jin ) 한국시가학회 2018 韓國 詩歌硏究 Vol.44 No.-

        34세에 세상에서 자취를 감춘 정희량은 힘든 유배생활에서 비롯된 괴롭고 복잡한 내면의식들을 시로 형상화했다. 이를 통해 고통스러운 내면을 달래기도 하고, 흔들리는 마음을 다잡고 굳은 결의를 다지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意象을 적극 활용한 시를 창작함으로써 자신의 심층적인 내면의식과 정서를 부각시켰다. 정희량은 자신의 내면에서 요동치는 고립감·외로움·좌절감 등을 표출하기 위해 ‘閉門(戶)’, ‘斷雁’, ‘蟄龍’ 등의 意象을 시에서 반복적으로 형상화했다. 때로는 瀟湘八景詩처럼 정형성이 강한 작품에 해당 意象을 적극 투영하기도 하고, 한 작품에서 중첩적으로 사용하기도 함으로써 심리적 고통을 문학적으로 강하게 호소했다. 하지만 정희량은 비극적이고 애상적인 의식과 정서에 매몰되지 않았다. 그는 회한과 고뇌 속에서도 유가적 군자상을 지니고 꿋꿋한 자세로 임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이에 자신의 삶을 지탱할 최고의 가치를 ‘올곧음[直]’에서 찾았다. 그리고 오동나무·오래된 측백나무·대나무를 제재로 한 영물시를 창작하여, 동양에서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典型意象에 ‘올곧음[直]’을 지향하는 자신의 내면의식을 적극 투영했다. 이렇게 정희량이 시를 창작하면서 意象으로 내세운 객관적 물상들은 비유와 상징의 효과와 여운미를 발산하며 문학적 호소력을 발휘했다. 그리하여 정희량의 인간적인 고뇌와 의지에 대한 깊은 공감을 자아내었다. 다만 정희량이 활용한 주요 意象은 모두 동양 시가예술의 전통에서 오랫동안 공유되며 익숙하게 사용되던 것이었다. 따라서 여기에는 제재상의 개성이 돋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정희량이 활용한 일련의 意象들은 매우 간절한 문학적 동기에 따라 진정성을 가득 담아 사용된 것이었다. 특히 정희량이 사용한 意象들에는 중요한 공통점이 있었으니, 바로 강한 자의식과 높은 자존감의 투영이었다. 이는 정희량의 내면의식이 지닌 특징이자 그가 意象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형상화 방식의 특징이었다. 정희량이 선택한 意象들은 전형적이었지만, 그것을 시로 형상화하는 과정에서는 그의 강직한 성격, 강한 자의식과 높은 자존감, ‘올곧음[直]’을 향한 가치지향이 적극 투영되어 개성을 발휘했던 것이다. Disappearing without a trace at the age of 34, Mr. Jeong Hui-ryang’s poetry embodied a complex inner awareness forged during his exile. Through it, he comforted his inner suffering and made a firm resolution to pull himself together. In the course of doing so, he made the most of imagery to depict his inner awareness and emotional state. Mr. Jeong Hui-ryang embodied the isolation, loneliness, and frustration springing out of his heart in his poetry to depict images such as a 'closed door (戶)', a 'single wild goose', and a 'hidden dragon'. On the other hand, he adopted the attitude of a Confucian scholar and made strenuous efforts to stand firm in the face of sorrow and agony. He created a poemon spiritual beings, based on subjects like the paulownia tree, the old arborvitae, and the bamboo, to vividly reflect his inner awareness through imagery symbolizing the faithfulness, fidelity, and righteousness that he advocated. The images of these objective objects through which Mr. Jeong Hui-ryang embodied his inner awareness into poetry exerted literary appeal, evoking the effects of parable, symbolism, and lingering imagery. However, all the major imageryhe utilized had been shared and used frequently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tradition of oriental poetry art. Therefore, such images do not depict noticeable themes worth mentioning. Nonetheless, all the imagery used by Mr. Jeong Hui-ryang implied an earnest literary motive and serenity. The imageryhe used had in common the important theme of a strong sense of self-awareness and high self-esteem. Mr. Jeong Hui-ryang used typical images but in the process of embodying them inhis poetry, he vividly reflected his uncompromising character, strong self-awareness, high self-esteem, and valuable pursuit for righteousness, showing his unique personality.

      • KCI등재

        두보시 「北征」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한 일고찰

        이국진(Lee Gook-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1 동양한문학연구 Vol.33 No.-

        杜甫(712~770)는 우리나라 문인들이 시를 배우거나 창작하는데 있어서 典範이 되는 작가였다. 따라서 그의 많은 작품들이 모의되고 변용되어 한국한시 문단에 수용되었는데, 「北征」도 그 중의 하나이다. 두보의 「北征」이 한국에 본격적으로 수용될 수 있었던 요인은 우선 조선 전기에 시행된 『杜詩諺解』의 간행에서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에서 두보의 전 작품에 대한 이해력과 보급력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두보의 「北征」이 지닌 충군지정과 우국애민의 내용이 시의 世敎的 효용성을 중시하던 조선조 문단의 성격과 부합했다는 점도 중요한 요인이었다. 여기에 두보시 「北征」이 지닌 세밀한 묘사력과 온유돈후한 서술기법, 여러 시상을 아우르는 개방적인 구조와 체제 등의 문학적 특성은 조선조 문인들에게 오언고시의 새로운 창작형태와 미적 특질을 느끼게 하였던 것이다. 이에 『杜詩諺解』의 간행 이후로 두보의 「北征」에 대한 비평적 인식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아울러 「北征」을 모의하고 변용한 작품들이 다각도로 출연하였다. 이 작품들은 다양한 문학적 동기에서 창작되었는데, 이는 크게 ① 개인적인 기행시 ② 일반적인 서정시 ③ 聯句詩 ④ 奉行王命에 의한 기행시 등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두보의 「北征」은 조선 중기 이후의 문인들에게 장편 기행시의 한전범으로 작용하였으며, 아울러 기행시가 아닌 기타 장편고시의 창작에도 서사구조와 표현기법 면에서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 중에서 본고가 분석한 金光炫ㆍ蔡彭胤ㆍ洪良浩의 작품들은 두보의 「北征」과 마찬가지로 奉行王命의 창작 배경을 바탕으로 함으로써 다른 작품들에 비해 그 창작 동기의 필연성이 더욱 강하게 느껴진다. 그리하여 이 세 작품들은 두보의 「北征」이 지닌 내용과 형식은 물론, 그 심층에 자리한 작가의식으로부터도 강한 영향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당시 조선의 정치현실과 시대적 상황, 함경도 북방지역을 비롯한 각 지역의 풍경과 분위기, 각자 자신의 처지에서 비롯된 내면의식 등을 유기적으로 조직함으로써 두보의 「北征」을 모의하는 가운데서도 한국적 특색이 가미된 개성을 발휘하였다. Du Fu(712~770) was one of the example to pre-modern Korean writers. As imitating and accumulating Du Fu's poems, Korean writers had accepted them in pre-modern Korea Chinese poetry world, and one of the main poems was Beizheng. The main cause, Beizheng was accepted into Korean writers, is the publication of Dusi-eonhae in the early period of Chosun dynasty. The publication had deepen Korean writers' understanding of Du Fu's poems and promoted their dissemination. In addition, the contents of Beizheng, loyal and patriotic, corresponded with the thoughts of Korean writers who considered the poetry's moral lessons were very important. After the publication of Dusi-eonhae, there settled down to criticisms of Beizheng, and, simultaneously, the poems, which were accepted the style of Beizheng, appeared all the time. The poems had various literary motives, and the motives were divided to four types: 1) personal travel poetry, 2) general lyric poetry, 3) successive couplet(聯句詩), and 4) travel poetry by diplomatic missions. In this paper, I analyzed three poems of Kim Gwang-hyun, Chae Paeng-yoon, and Hong Yang-Ho, and the poems correspond to the fourth type. As imitating and accumulating Beizheng's poetic concepts, the writers showed their own individuality and talent in their poems. In sum, the Du Fu's Beizheng was one of the example to long travel poetry in aspect of description and narration. Furthermore, as some poems were also written in the serious political reality, the poem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not only the contents and form of Beizheng but also authorial consciousness.

      • KCI등재

        한국 바느질의 전통과 미학 -누비 바느질에 관하여-

        이국진 ( Lee Gook-jin ),유선희 ( Yu Seon-he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6 No.-

        우리나라 누비의 우수성은 고려시대부터 중국에 알려졌다. 승려들이 입던 정밀하게 짠 비단 누비 가사로 추정되는 고려의 磨衲은 송나라에 공물로 보내지며 귀한 대접을 받았다. 조선 후기에는 우리나라 잔누비 바느질 솜씨의 정교함과 우수성이 청나라에 널리 알려져, 청나라에서 매년 잔누비 물품을 공물로 요구할 정도였다. 오늘날에도 우리나라의 전통 손누비는 그 정교함과 작품성을 세계로부터 인정받고 있다. 이는 오랫동안 이어진 문화적 전통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앞으로 소중하게 보전해야 할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누비 바느질을 한류 콘텐츠로 부각하는 방안으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활용한 전시와 판매 구조 활성화, 견학과 체험 프로그램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누비 바느질을 중심 소재로 한 드라마 스토리텔링도 시도해볼 가치가 있다. 누비 바느질에 대한 교육 콘텐츠 활용 방안은 우리나라 누비와 누비 작품의 정체성ㆍ역사성ㆍ우수성을 교육하는 방안을 구상할 수 있다. 이 가운데 본고에서 소개한 한시와 한문 자료는 누비 바느질의 생활사적 사실감과 문화사적 의미를 다각도로 살펴보고 생각해 볼 수 있는 교육용 자료가 될 수 있다. The excellence of Korean quilting has been known to China since the Goryeo Dynasty period. The quilted robes(磨衲) of Goryeo, presumed to be finely woven silk quilted robes worn by monks, were sent as a tribute to the Song Dynasty and were preciously treated. This fact can be confirmed through 『Goryeo Picture Book(高麗圖經)』 by Seo Geung and 『Quilted Robe Praise(磨衲贊)』 by So Sik.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the exquisiteness and excellence of Korean quilting needlework were widely known in the Qing Dynasty. Even today, Korean traditional hand-quilting is recognized in the world for its exquisiteness and quality of work. This situation stems from the long-standing cultural tradition and is enough to be proud of. As measures to magnify quilting needlework as Hallyu content, it is thought that the exhibition and sales structure can be vitalized using online and offline routes, and tour and experience programs can be diversified. In addition, drama storytelling with quilting needlework as the central material is worth attempting. As measures to utilize educational content for quilting needlework, education on the identity, history, and excellence of Korean quilting and quilted works may be conceived. Among them, the Chinese poems and Chinese characters introduced in this paper can be educational materials for thinking of the reality of quilting needlework in terms of life history and the meaning of it in terms of cultural history.

      • KCI등재

        조선시대 「남산시(南山詩)」차운시의 양상과 문학적 특징

        이국진 ( Gook Jin Lee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0

        한유의 시는 고려시대부터 이미 學詩의 모범 중 하나로 여겨졌다. 그리고 조선 초기에는 유교적 문학관을 중시했던 분위기 속에서 한유의 시문집이 본격적으로 간행되어 유통되었다. 그리하여 조선 중기부터는 한유의 시문학에 대한 인식 수준이 비평적 차원과 실제 창작 과정에서 모두 높아졌다. 이에 한유의 시작품에 대한 관심이 활발해지기 시작했는데, 204구의 五言古詩인 「南山詩」는 그 대표적인 작품이다. 「南山詩」는 중국 송나라 때부터 두보의 「北征」과 자주 비교되었는데, 그 작품의 난해함과 파격적인 형식으로 인해 역대로 예술성에 대한 평가가 엇갈렸다. 그리하여 한편에서는 一韻到底格으로 거침없이 204구의 장편고시를 완성할 수 있는 작가의 才力과 筆勢, 변화무쌍한 장법과 공교로운 묘사력을 높이 인정했다. 반면에 다른 한편에서는 작가의 과시욕, 과장되고 난삽한 표현, 시어의 낭비와 시적 여운의 부족, 주제의식의 결여 등을 지적했다. 우리나라에서도 「南山詩」에 대한 평가는 칭찬과 비판이 엇갈렸는데, 평가 기준은 중국의 양상과 비슷했다. 그리고 중국과 마찬가지로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南山詩」의 예술성과 작품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또한 실제 창작 과정에서는 조선 전기부터 많은 문인들이 「南山詩」를 적극적으로 모의하려고 노력했다. 그리하여 일부 문인들은 「南山詩」의 독특한 표현기법을 자신의 작품 속에 차용하였으며, 일부 문인들은 「南山詩」 모의여부를 통해 그 시적 재능을 가늠하였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조선 중기 이후 장편 고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산수 유람이 더욱 성행하게 되자, 본격적으로 「南山詩」를 차운한 작품들이 등장하였다. 이에 蔡彭胤, 任華世, 徐命膺, 黃胤錫, 李德懋 등은 각자의 작가적 성향과 창작 동기 속에서 「南山詩」를 차운하였다. 그 중에서 채팽윤과 서명응은 「南山詩」를 전범으로 삼아 한유처럼 자신의 산수기행 체험을 형상화하였다. 하지만 이 두 사람의 작품은 세부적인 창작 동기와 시적 형상화 방식이 서로 달랐다. 채팽윤의 「楓岳詩, 次昌黎南山韻」은 금강산 유람 중에 창작 되었는데, 지금까지의 여정과 풍경을 장편기행시를 통해 전관적으로 살펴보고 싶은 창작 동기에서 비롯되었다. 이 때문에 채팽윤의 작품은 「南山詩」의 체제와 표현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비교적 개성적인 형상화 방식을 구현하였다. 반면에 서명응의 「白頭山詩, 用韓文公南山詩韻」은 자신이 산수유람 직후에 지은 「遊白頭山記」를 바탕으로, 산수유람의 경험을 다시 한 번 시적으로 형상화하고 싶은 창작 동기에서 비롯되었다. 이 때문에 서명응의 작품은 「南山詩」의 구조와 체제, 표현기법 등을 적극적으로 모의하여 그 형상화 방식을 재현하고자 노력했다. 이처럼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펼쳐진 「南山詩」를 둘러싼 문학적 현상을 통해 조선 중기 이후 한유시 수용 양상의 높아진 수준을 알 수 있다. 나아가서 「南山詩」가 조선후기 장편 산수유람시의 중요한 문학적 전범으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Han Yu`s poems have been considered a model for studying poetry (學詩) since the Koryo Dynasty. Collections of his works were published and circulated in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here Confucian literature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erefore Han Yu`s poems became highly recognized from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lively interest in Han Yu`s poems. Particularly, Namsan-Poetry, composed of 204 stanzas of Oeonkosi, is representative of his work. Starting in China`s Song Dynasty, Namsan-Poetry has been frequently compared to Tu Fu`s Beizheng. Reception of Namsan-Poetry was mixed based on artistic quality due to the poems` ambiguousness and unprecedented formation. The author`s ability, calligraphy style, changeable composition techniques, and power of description were much appreciated in completing the ancient long poems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hand, his ostentatious, exaggerated way of expression, overused poetic diction, and lack of lingering images and subject consciousness were sources of criticism. The mixed reception of Namsan-Poetry took on similar aspects in Joseon. However, appreciation was relatively higher after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In addition, Han Yu`s unique formation and expressive ways received much positive attention from many writers in the real process of creation. Some of the writers strengthened their ability to create ancient long poems or disclose their poetry talent by mimicking and transforming Namsan-Poetry. Among them, Chae Paeng-yoon and Seo Myeong-ung managed to depict their travel uniquely by modeling Namsan-Poetry as to structure, system and formation, and description and narration techniques. This literary phenomenon demonstrates high degree of acceptance aspects of Han Yu`s works. It also reflected that Namsan-Poetry worked as an important literary model in travel poetry after the middle period of Joseon.

      • KCI등재

        課農小抄 異本 교감과 정본화 작업의 성과와 의미

        이국진(Lee Gook-Jin),안세현(Ahn Se-hyun) 대동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59 No.-

        課農小抄 는 朴趾源(1737~1805)이 沔川郡守로 재직하고 있던 1799 년(正祖 23)에 正祖의 綸音에 따라 지은 農書이다. 박지원은 기존에 있던 국내와 중국의 다양한 農書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정연한 체제로 정리하 고,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課農小抄 를 저술했다. 여기에 한전론적 토지 개혁안을 담은 <限民名田議>를 부록으로 붙여 정조에게 올렸다. 따라서 課農小抄 는 박지원의 실학사상과 조선 후기 農學을 연구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책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課農小抄 연구와 번역의 기본 텍스트였던 朴榮喆本 燕巖集 은 원문 판독이나 인쇄 과정에서 발생한 錯誤와 脫 落이 많았다. 이에 課農小抄 異本 校勘과 定本化 작업은 課農小抄 연구와 번역의 토대를 혁신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課農小抄 이본 교감 및 정본화 작업은 박영철본 燕巖集 의 권 16~17에 수록되어 있는 課農小抄 를 저본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박지원이 沔川郡守로 근무하던 시절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家藏本 沔陽雜錄 의 책3과 책4에 수록된 課農小抄 관련 내용들과 우선 교감 작업을 시행한 후, 기타 7종의 이본들과 교감 작업을 시행했다. 정본화하는 과정에서는 무엇보다도 박지원이 참고했던 국내와 중국 農書와의 비교에 집중했다. 이과정에서 저본의 글자 수정 臺本으로 명나라 말기의 학자인 徐光啓(1562~ 1633)의 農政全書 를 적극 참고했다. 서광계의 農政全書 는 조선 후기 문인들이 농업 연구를 할 때 필수적으로 참고했는데, 박지원의 課農小抄 또한 農政全書 의 체재와 내용을 적극 참고했기 때문이다. 課農小抄 이본 교감과 정본화 작업의 의의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박영철본 課農小抄 에는 없던 자료를 보완해서 완전한 체재를 갖추었다. 정본화 작업을 통해 沔陽雜錄 책3에 수록되어 있는 <群書目>과 沔陽 雜錄 책4에 수록되어 있는 두 편의 <限民名田議>가 새롭게 보충되었다. 둘째, 저본의 誤字를 수정하고 脫字를 보충했다. 정본화 작업을 통해 저본인 박영철본 課農小抄 중에서 문맥, 농법 설명, 농기구 용어, 농작물 용어, 숫자 표기, 박지원의 評 부분에 관한 각종 誤字를 수정하고 脫字를 보충 했다. 셋째, 박영철본 課農小抄 를 저본으로 삼았던 기존 번역서의 오류를 수정하고, 課農小抄 의 완역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課農小抄 이본 교감과 정본화 작업은 課農小抄 의 문헌학적 정리와 교감의 문제를 해결하고, 課農小抄 의 내용과 사상을 새롭게 조명하고 그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나아가서 박지원의 농학과 실학사상을 이해하고, 역사학계・경제학계 등과의 학제간 연구를 촉진하리라 기대한다. 課農小抄 is a agricultural book written by Park Ji Won (1737~1805) in 1799 on the instruction of King Jeongjo when serving as a governor of a country of 沔川. He wrote this book adding his opinions after comprehensively reviewing various internal and Chinese agricultural books and organizing them in systematic ways. And he laid this book at King Jeongjo’s feet attaching a supplement of 「限民名田議」. Therefore 課農小 抄 is a very important book for studying his practical thought and agricultural sciences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But 燕巖集 of Park Young-chul which has been a basic text of this study and translation until now left a lot of mistakes and missings during text reading and print process. So it is a critical step to correct differences of different versions of 課農小抄 and make trustworthy editions. The work to correct differences and make trustworthy editions is based on 課農小抄 of 燕巖集 of Park Young-chul. At first completing correcting jobs with 課農小抄 contained in book3 and book4 of 沔陽雜 錄 and then did correcting jobs with other 7 different versions. In the process of making trustworthy editions I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internal and Chinese agricultural books to which Park Ji Won referred. Especially on this process I actively consulted 農政全書 of Seo Kuang Gye(1562~1633), scholar at the end of Ming Dynasty of China as a basis of correcting letters. Because this book was requisitely consulted among writers when studying agriculture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and 課農 小抄 of Park Ji Won also aggressively referred to the syetem and content of this book. There are 3 important meanings of correcting differences and make trustworthy editions. First by supplementing the missing data on 課農小 抄 of Park Young-chul, we have had a complete system. Through making trustworthy editions, 「群書目」 contained in 沔陽雜錄 book3 & two 「限 民名田議」 contained in 沔陽雜錄 book4 were newly replenished. Second We fixed misspellings and compensated for missing parts of the basic text. By making trustworthy editions work, we corrected misspellings on Context, explanation of farming method, agricultural term, numerical representation, erratum on criticism parts of Park Ji Won and compensated for missing parts of 課農小抄 of basic text of Park Young-chul. Third we fixed errors in existing translations based on 課農小抄 of Park Youngchul and we have been able to expect to have a perfect trans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