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선진(先秦) 문헌(文獻)과 현대(現代) 한어(漢語)의 "기호(幾乎)"용법(用法)에 대한 소고(小考)

        이경숙 ( Keoung Suk Lee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8 No.-

        現代漢語에서 비교적 자주 보이는副詞 ‘幾乎’가 先秦文獻에서 이미 副詞로 사용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이에 대하여 부정적인 견해도 있다. 이런 상반된 관점이 공존하는 ‘幾乎’를 명확히 설명하고자 본고는 現代漢語 의 ‘幾乎’용법과 先秦文獻 의 ‘幾乎’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해 본 결과, 먼저 現代漢語 에는 없는先秦文獻 ‘幾乎’의 용법이 몇 가지 발견되었다. 하나, ‘幾’와 ‘乎’가 각각의 의미를 갖는 성분으로 사용이 된다. 예를 들면, 본고의 “其知幾乎”에서 ‘幾’는 實辭인 명사로 ‘기미’라는 의미를 나타내고 ‘乎’는 語氣詞로 사용되어, ‘幾’+‘乎’의 구조를 형성한다.1) 이는現代 漢語에서 ‘幾乎’가 이미 고정된 하나의 어휘, 副詞로 사용되는 현상과 다르다. 둘, 先秦文獻에서 때로는, ‘幾乎’가 문장의 마지막에 사용되어 뒷말을 생략한 후, ‘거의 ~에 도달하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이러한 문구의 ‘幾乎’를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 ‘일어나기를 희망하는 일’이 생략되거나 혹은 생략되지 않고 희망하는 일이 ‘幾乎’의 피수식어로 존재하여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반대로,現代 漢語에서는 ‘幾乎’가 일어나기를 희망하는 적극적인 일을 수식하는 일은 거의 없다. 오히려, ‘幾乎亡國’(나라가 거의 망하게 되었다)‘幾乎□跡’(자취가 거의 끊어졌다)‘幾乎中斷’(거의 중단이 되었다)‘幾乎碎了’(거의 다 부수어 졌다)‘幾乎雙目失明’(두 눈이 거의 실명하게 되었다)’등의 구문처럼 ‘幾乎’+‘소극적 의미’로 구성이 된다. ‘幾乎’+‘적극적 의미’로 구성된 구문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幾乎碎了’(거의 이겼다)‘幾乎得到了□學金’(장학금을 거의 획득하였다)‘幾乎考上了大學’(대학에 거의 합격하였다)’등과 같은 종류의 문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셋, 先秦文獻의 “不幾乎一言而興邦乎”에서 ‘幾乎’+一言는 ‘幾乎’+數量의 구조이다.2) 여기의 數量은 일정정도 수준에 이른 數量이 아니고, 적은 數量이다.現代 漢語에서는 일정 수준에 이른 數量이어야 ‘幾乎’의 수식을 받는다. 예를 들면, ‘幾乎有十萬人參加長□活動’(거의 10만 명이 장거리 달리기 활동을 참가하였다), ‘今天到會的幾乎有五千人’(오늘 회의에 온 사람은 거의 5천명에 이른다)과 같은 문장은 성립되지만, ‘兩千座位的禮堂坐了幾乎兩百人’(2천석 강당에 거의 200명이 앉았다)과 같은 문장은 성립되지 않는다. 다음, 先秦文獻의 ‘幾乎’를 現代漢語‘幾乎’와 마찬가지로 副詞로 볼 수 있는 몇 가지 용법이 있다. 하나,現代漢語 에서 ‘幾乎’를 ‘接近於’등으로 풀이하고 있다. 동작이나 현상이 실현과정에서 완성에 거의 근접한 것을 나타낸다先秦文獻의 ‘幾乎’도 ‘接近於’로 풀이하는 문구가 있다. 예를 들면, 『周易』의 “則乾坤或幾乎息矣”(건곤이 혹, 거의 종식되리라)를 唐明邦은 “······ 其作用也就接近於止息了”라고 풀이하였다. 여기서도 ‘幾乎’를 ‘接近於’로 해석하였다.3) 둘, “不은 동사, 형용사 앞에서만 수식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고 副詞앞에서 副詞를 수식하기도 한다.” 先秦文獻에 보이는 ‘不’+‘幾乎’구조도 副詞‘幾乎’가 副詞‘不’의 수식을 받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셋, 『莊子·天道』에 보이는 “幾乎後言”은 ‘幾乎’np구조로 ‘後言’은 명사이다. ‘幾乎’가 副詞라면, 용언을 수식하여야 하며 체언을 수식하지는 않는다는 말은 맞지 않다. 先秦文獻에서 ‘幾乎’는 을 謂語수식하기도 하고, 체언을 수식하기도 한다. 특히 現代漢語에서도 副詞‘幾乎’가 명사를 수식하는 용법이 있다. 이러한 용법의 예를 들면, ‘幾乎每一家都蓋了新房子’(거의 모든 가정이 새로운 집을 다 지었다), ‘幾乎全體□年都參加了獻愛心活動’(거의 전체 청년도 모두 자선활동에 참가하였다)등의 문구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 先秦文獻에 ‘幾乎’가 現代漢語의 ‘幾乎’용법처럼 완전히 副詞로 고정되어 사용된 것은 아니지만, 先秦文獻의 ‘幾乎’용법 중, 現代漢語의 ‘幾乎’용법과 같은 것이 있는 것으로 보아 ‘幾乎’가 서서히 副詞로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先秦文獻부터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現代漢語의 ‘幾乎’와 先秦文獻의 ‘幾乎’용법은 서로 차이점도 존재하지만 先秦文獻의 ‘幾乎’가 간혹 副詞로 사용된 점 또한 무시할 수 없다. 그러므로 ‘幾乎’가 副詞로 고정격식화된 것은 宋代文獻에서부터 라고 하여도 副詞, ‘幾乎’가 에 宋代생산된 것이라고 말하기에는 부족하다.4) 본고는 先秦文獻의 ‘幾乎’가現代漢語 ‘幾乎’처럼 고정 격식화되어 副詞로 사용한 것은 아니나,先秦文獻 에서도 ‘幾乎’가 副詞의 역할을 한 문구를 찾아 볼 수 있으므로 先秦文獻에서 이미 ‘幾乎’ 중 일부는 副詞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고 본다. This paper asserts some kind fact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The usage about the ‘Almost(幾乎)’ of ancient enormous literature is not like the usage about the ‘Almost(幾乎)’ of the modern chinese. The usage about the ‘Almost(幾乎)’ of the modern chinese is the fixed adverb. The usage about the ‘Almost(幾乎)’ of ancient enormous literature and the modern chinese have something in common. The word that called ‘Almost(幾乎)’ became the fixed adverb slowly. There i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at is the usage about the ‘Almost(幾乎)’ of ancient enormous literature and the modern chinese. But we can`t disregard the something in common that is like the usage about the ‘Almost(幾乎)’ as in the fixed adverb. Even the ‘Almost(幾乎)’ became the fixed adverb in the song dynasty, but we can’t say that the fixed adverb ‘Almost(幾乎)’ is not a sudden new fixed adverb from the song dynasty . This paper claims that the ‘Almost(幾乎)’ became the fixed adverb from ancient enormous literature.

      • KCI등재

        이체자의(異體字義) 생성(生成), 조자(造字), 응용발전(應用發展), 및 정리(整理)

        이경숙 ( Keoung Suk Lee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38 No.2

        The variant letters are the form of the characters, appearing along with the chinese letters. This I the phenomenon that more than two letters describe one word, which is complicating to the people who use the letters applicatively. Since the creation of the chinese letters, this phenomenon has been, which means that the changing aspect of the transfer letters also exists accordingly. The definition for the transfer letters may vary. In this paper, the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the cause of the formation will be investigated organically based on the research. The creation, us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variant letters will be studied and arranged. Through this, the exact concept of the variant letters will be set up and the plan to the ue of the variant letters will be presented. In addition, Chinese characters reflect changes and futures according to custom of the ages. For examples, The first case, The sound and meaning of a Chinese character has a the same relations in antiquity. but, there are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sound and meaning of a Chinese character after that. The second case, The sound and meaning of a Chinese character has a same relations at the present times. but, there were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sound and meaning in antiquity. The third case, The sound and meaning of a Chinese character has a the same relations in antiquity. but, there are the same sound and the different meaning after that. The forth case, The sound and meaning of a Chinese character has a same relations at the present times. but, there were the same sound and the different meaning in antiquity. If we studied the variant chinese character from the view of the extended meaning as the causes, we could establish clear-cut lines of the variant chinese charact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나누다`를 어근(語根)으로 한 동원자(同源字) 고(考)

        이경숙 ( Lee Keoung-suk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4 No.1

        본고에서는 反訓義 글자도 적극적으로 同源字 범위에 넣고 `分`字와 `分`字聲符字를 제외한 `나누다`를 語根으로 하는 `分`字 同源字를 분석하였다. 그 의미를 보니, `나누다`가 語根이기 때문에 本義는 `分`字와 마찬가지로 `나누다`, `다르다` 이다. 引伸義는 `구별하다`, `빛나다` `내뿜다, 불태우다`이다. 反訓義는 `얼룩얼룩하다`, `크다`, `높다`이다. 反訓義를 비롯한 本義와 引伸義를 겸하여 가진 상황을 보면 `나누다`, `모이다`, `묶다` 등의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고, `나누다`와 `오락가락하다`, `꾸미다`와 `꾸미지 않다` 등의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同源字에 대하여 本義, 引伸義, 反訓義를 함께 분석하면 단지 同源字의 공통된 의미만을 系聯했을 때보다 좀 더 많은 글자 정보와 의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고, 글자들의 의미 연결을 좀 더 자연스럽게 이어갈 수 있다. 앞으로 한자의 字形, 字義, 字音을 연구를 할 때, 同源字 연구에 反訓義를 같이 종합하여 연구한 후 정리하면 同源字의 연구를 좀 더 풍부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자의 의미를 폭 넓게 알 수 있으며, 문헌 연구의 訓? 방면에도 훌륭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We can consider the shape in which a letter is interpreted in two meanings. The meanings of expression are contradictory, but the meanings of reality are mutually connected. I acknowledge the fact that they exist universally in ancient Chinese. The example is too many to count. The opposite meaning is connected to each other. It should be recognized and utilized as a method of major interpretation. The original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分`is `to share` and `to be different.` The extended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分` is `divided and clear and clear`, `distinguish another`, `divide`, `half`, `partial`, `equinox`, `Job`, `share`, `regular`, `metric type`, etc. The opposit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分` is the meaning of `everyone`, `satisfying`, `willing`, `principle`, `principle`, `expect`, etc. The extended meaning of the same root letters of the Chinese character `分` and the same sound part are roughly classified into four kinds. The opposite meaning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re are letters with opposite meanings and different meanings. There are two major categories. We also analyzed the same root letters that have a different sound from the Chinese character`分`. Analysis of these letters can help interpret the literature. We can learn vocabulary more deeply and broadly, And we can extend the breadth of though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賓語를 대동한 動詞被字句’를 형성하는 條件과 이에 부합하는 賓語類型

        李鏡淑(Lee, Keoung-suk) 중국어문학연구회 2017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103

        The conditions that forms the passive sentence of the verb that accompanies the object is outlined below. The first condition, the object is two in depth analysis. The second con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is a portion of the whole. The third, the rel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is equal. The fourth, the object is the result of action. The fifth, the object is the starting point or the ending point of the subject. The sixth, object is acceptance of subject. The seventh, the subject is the recipient of the objec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itions that form the passive sentence of the verb with the object and the type of object? The object can be divided into approximately fifteen types, the fifteen Object types include complex, conduct, receiving, esults, equivalence, object, change, purpose, tool, method, time, cause, place, same root, idiom, etc. The equivalence and place objects approach the conditions that form the passive sentence of the verb with the object. The equivalence object is the same person or thing as the subject. However, not all of the equivalence clauses can be called into the passive sentences of the verb with the object. Wh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are the same thing in the metaphorical meaning, it is possible to form the passive sentence of the verb accompanying the object. Not all of same root and the place object’s clauses can be called into the passive sentences of the verb with the object,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sentences below and above. We do not agree with the conditions that form the passive sentence of the verb that accompanies the object and the formality of the object type. Although the object type that forms the passive sentence pattern of the verb that accompanies the object is legally possible, the problem of the use of the sentence should also consider the habitual problem of the language.

      • KCI등재

        『玄應音義』 "假借" 硏究

        이경숙 ( Keoung Suk Lee )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4

        本文分析『玄應音義』所說的"假借"的現象,然後發現在『玄應音義』用"假借耳","假借音也", "假借也", "假借通用"等用語來所指的漢字?不是現在所說的"本無其字的假借字",而是 音同借用字, 音近借用字, 同源字, 義近字,完全 異體字, 部分 異體字。

      • KCI등재

        文字 訓詁의 視覺에서 본 ‘簡體字表’에서 명시한 주의할 사항에 대한 소고

        李鏡淑(Lee, Keoung-suk) 중국어문학연구회 2017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105

        There is a note in the “Simplified Manuscript” released in 1986. This paper is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after detailed analysis. One, Chinese character shape with handwriting. Two, the division of the Chinese character shape. Three, some simplification by meaning and the resurrection of traditional Chinese. Four, Use and integrate for types of characters in various shapes. Five, new words with more than two pronunciations. Six, Utilization and separation of less used characters. Seven, simplified Chinese character shape crossing phenomenon. Based on these types, we have summarized some characteristics of simple characters. One, the simpler characters became simpler, but also pay attention to not only the balance but also the minute difference of the characters. Two, the number of strokes has been reduced significantly. Three, letters with similar shapes of letters are increasing, so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distinction. Four, ignoring the meaning of the character structure and internal rules, and tried to reduce the number of figures. Five, the number of characters is reduced by using the same pronunciation, but the simplification of the characters is inconsistent. Six, the concept of the transcendent became very blurred. Seven, pronounced characters were newly created. Eight, he yielded his character shape to another character and transformed himself into another. Nine, the characters became simpler, but the internal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became more irregular. Ten, Columns and coded characters make the internal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irregular. Eleven , some letters respected and accepted the tongue. So far, we can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simple characters through our research results. Even if Chinese characters are already coded, link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Chinese characters will be constantly tr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