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 베이비부머의 노인복지관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이강미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여성 베이비부머의 노인복지관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노인복지관 이용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들을 기회가 없었음을 문제인식으로 삼고 시작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관 이용 경험이 있는 여성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여가의 의미와 직접 경험한 노인복지관과 이용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고, 인천시 소재 A노인복지관 6개월 이상 이용 경험이 있는 여성 베이비부머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기 전 베이비붐 세대는 갑자기 늘어난 여가시간을 활용할 방법을 찾지 못해 무의미하게 보냈다. 노인복지관 이용을 통해 못 다한 학업을 이어가며 새로운 친구들과 여가시간을 보내며 즐거워했지만 단순 여가프로그램 구성이 주를 이루어 다소 아쉬웠다. 노인복지관 이용 경험을 통해 재취업과 자원봉사라는 목표와 희망이 생겼고, 베이비붐 세대에게 노인복지관은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발판이며 의미 있는 여가 공간이었다. 여성 베이비부머의 노인복지관 이용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노인복지관의 전문적 · 효과적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노인복지관은 이용 대상자로써 베이비붐 세대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베이비붐 세대는 노인복지관을 자신들의 여가시간을 보낼 수 있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노인복지관 종사자는 베이비붐 세대의 자기개발과 지속적인 사회참여 욕구에 부합하는 양질의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한다. 셋째,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복지관 운영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이용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한 정부의 재정적 ·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펠드만(E. B. Feldman)의 비평모델에 의한 고등학교 미술 비평 지도 연구

        이강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Modern people are constantly faced with numerous visual informations. Therefore, it's very important to train their ability to evaluate the visual information and to estimate the value. Art education must play an active role to select the cultural phenomena properly and enjoy for themselves. The capacity of appropriate choice is from an aesthetic sense and the ability to decide aesthetic value can goes through effectively with art education of criticism. Art education of criticism i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the art and its importance by eliminate the biased view and the confusion which can interfere the appreciation. Furthermore it can promote the ability to present the appropriate reason why they choose and decide the product. This study is reorganize the criticism theory of E. B. Feldman for our actual art and education process and to apply to present education system and identify the results. The essential object of this study is to bring up the critic ability to present the reason of their decision and to educate to read the work of art without insignificant sense. In chapter Ⅱ, analyzed the critic model of E. B. Feldman through preceding works and in chapter Ⅲ represent the steps <description of immediate responce>-<critic research for formal and disconnected appreciate>-<interpreta- tion and esitimation of their language> from basic learning-cooperate learning-supplementary learning. The study shows that these education of art criticism can bring up how to decide the value of every visual information as well as modern arts. In chapter Ⅳ adopted experimental teaching methods to classworks. However, this study is made up of theorial research and did not effect an inspection to adopt our education system and it needs to continuous research as insufficient parts.

      • 초등학교 3~4학년군 창의적 체험활동에 활용할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강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에 활용할 지속가능한 식생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첫째, 관련 선행연구와 여러 문헌 고찰을 통해 지속가능 식생활교육의 의의와 교육적·사회적·발달상의 요구를 분석한 뒤, 지속가능한 식생활 교육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교육방법을 도출한다. 둘째, 지속가능의 가치와 의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이 일상적인 삶에서 습관화되고 일관적인 태도로 실행되어 학습자의 가치관으로 내면화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행동까지 연결된 교육목표를 설정한다. 셋째, 건강한 삶, 배려하는 삶, 환경을 생각하는 삶까지 관점을 확장하여 지속가능한 식생활이 추구하는 핵심가치에 부합하고 학생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학습내용을 선정한다. 넷째, 프로그램의 내용이 효율적인 학습활동으로 드러나도록 하기 위해 타 교과와의 통합을 바탕으로 한 자연 친화 경험활동 위주의 프로젝트학습으로 교수·학습전략을 선정한다.다섯째, 흐름이 있는 8가지 주제로 3단계의 학습과정을 거치는 총 24차시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직하고 차시별 교수·학습 과정안 및 수업 시 필요한 학습자료 등을 개발한다. 여섯째, 각 개발단계마다 지도교수와의 피드백과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한 수정·보완의 단계를 거쳐 최종 교육프로그램을 완성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는 현재와 미래의 건강한 삶에 기여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식생활 가치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것이 학습자에게 내면화되어 실생활에서 앎을 실천하는 바람직한 삶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둘째, 5~6학년에만 편제되어 있는 식생활교육을 3~4학년까지 확대 적용하게 되어 초등교육 전반에 걸친 연계성과 발달단계에 맞는 적시성이 고려된 체계적인 식생활 교육과정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셋째, 융합적인 인재를 요구하는 현 시대적 상황에서 타 교과와의 통합을 통한 프로젝트수업을 실시함으로써 학습자는 융합적인 사고를 통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고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키울 수 있게 된다.

      •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이강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t out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bioethics education and provide data needed to develop and run a bioethics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help to resolve the trend of degrading life including school violence and suicide, which have recently emerged as social issues. A survey was taken with 362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87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and small- or medium-sized cities of Gyeonggi Province to analyze interest in and perceptions of bioethic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The survey responses of teachers were used to analyze the current practice of bio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developmental plans to promote efficient bioethics education.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revised and supplemented a questionnaire for teachers used by Kim Gui-sun(2001), Choi Chang-seop(2002) and Kim Min-yeong(2006) and one for students used by Lee Jong-gi(2002) and Kim Eun-ju(2008) according to the objectives. In addition, bioethics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which are "life-respecting ethics," "biomedical ethics," and "life engineering ethic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Park Ji-yeong et al.(2005) to examine the perception level of bioethics. Collected data were used to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y the areas, and t-test and one-way ANOVA(F-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O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Scheffe post-hoc test was carried out. The research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both teachers and students felt the importance of bioethics education and had much interest in bioethics. The teachers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bioethics among them according to gender, age, and working area, but whether to have religion or not resulted in no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bioethic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rea, and religion. It is desperately needed to distribute rich learning content and various programs to help children take active part in them with interest so that they can value themselves, consider and value others, and make the right judgment of bioethical issues. Finall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high perception level of lack of applicable materials and programs as difficulty with bioethics education, which calls for improvement measures to resolve it. Many of them mentioned audio and video lessons and discussion lessons as the proper type of lesson for bioethics education and raised a need to develop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to provide them with accurate information about bioethics. It is required to select concrete and rich learning content easily accessible in daily life and develop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nd efficient programs so that elementary school children can take active part in them with interest to cultivate their bioethical consciousness. It is also needed to develop audio and video materials, reading materials, and activity materials targeting lower and upper graders separately by tak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ge groups into account. 본 연구는 최근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 자살과 같은 생명경시 풍조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명윤리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생명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생명윤리에 대한 관심과 인식 수준을 분석하고자 서울시와 경기도 중소도시 지역의 초등교사 362명과 초등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생명윤리교육이 이루어지는 실태와 생명윤리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발전 방안에 대한 내용을 교사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사용 설문지는 김귀순(2001), 최창섭(2002), 김민영(2006)이 사용한 설문지를, 학생용 설문지는 이종기(2002), 김은주(2008)가 사용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박지영 외(2005)의 연구 결과에 따라 생명윤리를 ‘생명존중윤리’, ‘생명의료윤리’, ‘생명공학윤리’ 세 영역으로 세분화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영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했으며, 집단별로 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F검증)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가 발견된 부분은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생 모두 생명윤리교육의 중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생명윤리에 대한 관심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의 경우 성별, 연령별, 근무지역별로 생명윤리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종교유무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경우 성별, 지역별, 종교유무별로 생명윤리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신을 소중히 여기고 나아가 타인을 배려하고 소중히 여기며 생명윤리 쟁점에 대해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동들이 관심을 갖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풍부한 학습 내용과 다양한 프로그램 보급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셋째, 초등교사의 생명윤리교육 시 어려운 점으로는 적용 가능한 자료와 프로그램의 부족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명윤리교육에 적합한 수업 방법으로는 시청각 수업이나 토론 수업이라는 응답이 많았으며, 생명윤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초등학생의 생명윤리의식 함양을 위하여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풍부한 학습내용 선정과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 효율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 연령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저학년용, 고학년용으로 세분화된 시청각 자료와 읽기 자료, 활동 자료가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제동신뢰도기반 열차간격제어 설계에 따른 운영효율 분석

        이강미 아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철도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대규모 승객과 화물 수송을 목적으로 궤도, 차량, 전기, 제어, 통신기술이 유기적 연결된 교통시스템이다. 특히, 철도차량의 주행진로와 주행속도를 결정하는 열차제어기술은 지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신호기 색을 기반으로 열차 이동을 제한하는 지상중심신호기술에서, 지상열차제어장치가 주행 중인 열차의 상태정보와 선로 제한속도를 기반으로 이동권한을 결정하고 이를 실시간 유무선 통신기술로 차상열차제어장치에 전송하고 차상열차제어장치는 이동권한까지 주행속도를 결정하여 열차 이동을 제한하는 차상중심제어기술로 괄목상대한 발전을 이루었다. 열차제어기술은 운행진로를 결정하는 진로제어와 이동권한과 주행속도를 결정하는 간격제어기술로 구분된다. 특히, 열차 간격제어기술은 철도교통의 서비스 지표인 운전시격을 결정한다. 즉, 열차간격제어기술로 결정된 연속된 두 열차의 간격거리는 단위시간당 동일선로에 투입이 가능한 열차편성의 수인 수송용량을 결정한다. 따라서 철도 운영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안전이 확보된 합리적인 간격거리 설계는 철도교통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된 두 열차의 간격거리를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첫째, 비상제동성능 신뢰도 기반 열차간격거리 설계 차량의 제동성능은 운영환경에 따라 불규칙적인 편차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유럽의 경우 UIC를 중심으로 국가 간 상호운영을 위하여 제동성능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선로, 차량특성 그리고 제동장치의 고장률을 포함한 제동성능인자의 신뢰도를 매개변수로 갖는 표준화된 제동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의 경우 열차간격거리 설계 시 제동성능 편차는 철도 운영경험이나 도입된 해외 열차제어장치 설계사양을 근거로 안전마진으로 보완하고 있어 적용되는 안전마진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제동성능의 편차를 제동성능인자의 신뢰로 함수로 모델링하여 시스템이 요구하는 제동장치 성능신뢰도 수준에 따라 제동 감속도를 결정하는 합리적인 간격거리 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근접주행을 위한 상대거리기반 동적 제동거리 설계 국내외 무선기반 열차제어시스템은 지상열차제어시스템에서 결정한 이동권한의 끝에서 열차가 정지하는 것을 전제로 간격제어를 수행한다. 이는 차상열차제어장치가 지상열차제어장치로 열차의 주행정보를 전송하면, 지상열차제어장치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선행열차의 후미부를 고정된 목표점으로 설정하고 주행경로 및 이동권한을 설정하여 지상열차제어장치를 통하여 후행열차의 차상열차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절대거리기반 제어방식이다. 그러나 주행에 필요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송수신되는 현재의 운영 환경에서 열차는 보다 많은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안전하고 효율적인 주행에 활용할 수 있다. 즉, 기존에 차상열차제어장치로 제공된 이동권한에 선행열차 위치와 주행속도 정보를 추가하여 선행열차의 제동거리를 예측하고 이를 간격거리에 적용하면 보다 근접주행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을 상대거리기반 동적 간격제어라 정의하고 연속된 두 열차의 제동신뢰도에 따른 운영시나리오 별 시격거리 및 수송용량 산출식을 제시하고 기존 절대거리기반 간격제어방식과 운영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열차의 고밀도 운영을 위하여 운영경험에 의존했던 안전마진을 제동성능 신뢰도를 기반으로 하는 정량화하는 설계 방법과 상대거리기반 동적 간격제어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1) 열차제어방법에 따른 운영효율을 분석하고, 차량특성(운행속도, 열차길이, 제동성능)이 운전시격과 선로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운영효율 측면에서 열차속도는 최적속도를 갖고, 이후의 증속과 열차 길이의 증가는 운영효율을 감소시킨다. 물리적 측면에서 차량의 속도와 감속성능은 한계를 갖는다. 철도시스템 구축 시 운영효율 영향인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시스템 목표를 만족하기 위한 운영요소 선정이 가능하다. (2) 운영환경 및 차량특성으로 발생하는 제동성능의 편차를 확률분포로 정의하고 시스템이 요구하는 신뢰도 수준에 따라 제동감속도를 결정하는 안전마진 설계방법을 제시하였다. 안전마진은 열차간 추돌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책이지만, 과도하게 적용 시 운영효율을 저감시키는 요인이다. 지금까지는 운영경험과 근거가 명확하기 않은 해외 도입된 수치를 적용하므로 설계변경 등이 자유롭지 않았다. 국내 열차제어기술 적용을 목전에 두고있는 시점에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국내 열차제어기술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3) 선행열차를 고정체()로 정의하고 간격거리 산정한 절대거리방식에서 선행열차를 이동체()로 정의하고 제동예측거리를 후행열차의 제동거리 결정에 적용하여 보다 근접하게 주행할 수 있는 상대거리기반 간격제어방법을 제시하였다. 연속된 열차의 비상제동신뢰도에 따른 운영시나리오를 설정하고 기존의 절대거리기반 간격제어방법과 비교하여 선로용량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기존 열차제어장치의 하드웨어 변경 없이 소프트웨어 보완으로 시스템 운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어방법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들은 향후 제동성능이 상이한 이종차량의 혼합 운영을 가능하게 하고 차량 간 직접통신에 의한 차상중심열차제어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철도시스템에 적용을 통하여 열차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고밀도 운영이 가능하게 한다. 열차제어시스템의 목표는 안전을 확보하면서 열차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있다. 본 논문을 통하여 보다 안전하고 합리적인 열차제어시스템이 운영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뇌은행의 생명윤리적 쟁점과 안전한 운영 방안 연구

        이강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bioethical issues on brain banks and to explore reasonable operation in order to respect human dignity and life value. In this paper, brain banks collect, store human brain material from the deceased and the living, DNA (Deoxyribonucleic Acid), RNA (Ribonucleic Acid), protein, etc. isolated from it and information about health and then use or distribute them for research. Compared with human material which is collected in biobanks, human brain material which is collected in brain banks, especially solids like human brain tissue or cell, mainly comes from the deceased. That i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This feature creates a special challenge for brain bank operations. And at the same time brain bank contains issues about bioethics and biosafety. Therefore, for brain banks to operate safely, distinctiveness on brain banks should be considered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should be created to ensure that the issues of bioethics and safety comply with Bioethics and Safety Act. Bioethics and Safety Act does not clearly define whether human material comes from either the living or the deceased, but according to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human material comes from the living. Therefore, human cadaver material from the deceased is under Act on Dissection and Preservation of Corpses. However, human material donated under Bioethics and Safety Act is used under the same Act even after the death of the donor.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ime to death of both donors, after death both studies use the material of the deceased. Thus, it is necessary that Bioethics and Safety Act clearly defines human material comes from the living. In addition, Act on Dissection and Preservation of Corpses ensures that the issues on bioethics and biosafety are properly addressed, and also Act on brain bank operation does. Brain bank plays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research infrastructure for neuroscience research that can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olve the social problem caused by neurological disorders. However, it can cause ethical and social problems if operated without proper institutional frameworks. So,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ment plan to prevent these problems. Therefore, in this paper, it studies a way to operate safely brain bank while promoting brain banking as a research resource for neuroscience research. To achieve this purpose, it analyzes the distinction between biobanks and brain banks. And issues on dissection, preservation, and research of corpses and brain banks are analyzed. Next, to find an operational plan to these issues, it compares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Japan,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Through this, it examines whether there are institutional principles and methods applicable to Korea. In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brain banking,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qualified people who may conduct dissection under the Act on Dissection and Preservation of Corpses. And consent of bereaved families to dissection of corpses and research using corpse parts is specifically determined by the Act. In addition, a person who intends to conduct research on human cadaver material shall prepare a research plan and submit it for examination by an institutional committee before commencing research. And each institution may determine which institutional committee reviews human cadaver material research in principle, but if there is human materials research institutional committee, it reviews the research. Also, the institutional committee in charge of the review takes training to develop capacity to review human cadaver materials research. And then it provides education for the researcher and examines the ethical and scientific validity of a research plan and whether consent has been duly obtained from donors. At la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framework to protect the information of the deceased used in research along with human cadaver materials research. 이 논문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존중하기 위하여 뇌은행에 관한 생명윤리적 쟁점을 분석하고 안전한 운영 방안을 탐구한다. 본 논문에서 뇌은행은 신경계 전반에 대한 연구와 관련되어 있는 사망한 사람의 시체유래 뇌연구자원, 살아있는 사람의 인체유래 뇌연구자원과 이들로부터 얻은 DNA와 같은 산물을 포함하여 임상정보, 역학정보 등을 함께 수집·보존하여 이를 직접 이용하거나 뇌연구를 위하여 타인에게 제공하는 기관이다. 인체유래물은행에서 수집하는 인체유래물과 비교하여 뇌은행에서 수집하는 뇌연구자원 중 특히 뇌조직이나 세포와 같은 고형물은 대부분 시체로부터 유래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뇌은행에서 사망한 사람으로부터 뇌연구자원을 기증받을 때는, 인체유래물은행에서 살아있는 사람으로부터 인체유래물을 기증받을 때 발생하지 않는 쟁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뇌은행은 동의, 연구 등의 과정에서 여전히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내용 또한 담고 있다. 따라서 뇌은행이 안전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그 특수성을 고려하되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내용은 생명윤리법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고 시행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생명윤리법의 규제대상으로 사망한 사람을 포함하는가에 대해서 조문으로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유권해석에 따라 생명윤리법에 따른 인체유래물은 살아있는 사람으로부터 얻은 것이다. 따라서 사망한 사람으로부터 얻은 시체유래물은 시체해부법의 규제대상이다. 그런데 생명윤리법에 따라 기증된 인체유래물은 해당 인체유래물 기증자가 사망한 후에도 생명윤리법에 따라 사용된다. 두 유래물은 사망 시점에 있어 차이가 있지만 사망 후에는 모두 사망한 사람의 유래물을 이용하여 연구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먼저 생명윤리법에서 명시적으로 그 규제대상을 살아있는 사람으로 하고 있음을 밝힐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시체해부법이 시체유래물연구의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사항을 적절히 다룰 있도록 하며 뇌은행 운영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법률 역시 그러해야 한다. 뇌은행은 국가 경쟁력 확보와 뇌질환 등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뇌연구를 위한 기초적 연구 인프라 구축 차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적절한 제도적 장치가 없이 운영된다면 윤리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제도의 개선과 보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뇌연구를 위한 뇌은행을 활성화하면서도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뇌은행과 인체유래물은행의 차별성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서 시체의 해부, 보존 및 연구에 관한 쟁점과 뇌은행의 생명윤리적 쟁점을 분석한다. 이어서 미국, 일본, 영국, 호주의 관련 제도를 비교하고 특이점을 분석하여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제도적 원리와 방법들이 있는지 연구해 본다. 결론적으로 뇌은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먼저 시체해부법에 따른 시체해부자격자의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으며 현재 시체해부법에서 미비한 유족의 동의를 법률로 구체적으로 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체유래물연구 역시 연구 전 기관위원회의 심의를 받도록 하며 어떤 기관위원회에 심의를 맡길 것인지는 각 기관이 정하도록 하되 인체유래물연구 기관위원회가 있다면 해당 기관위원회에 맡기도록 한다. 그리고 심의를 맡은 기관위위원회가 시체유래물연구 심의에 필요한 교육을 받도록 하여 시체유래물연구 심의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시체유래물 연구자 교육, 동의의 적절성, 연구의 과학적·윤리적 타당성 등을 심의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시체유래 뇌연구자원과 함께 연구에 이용하게 될 사망한 사람의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회화에 있어서 공간성에 관한 연구

        이강미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fter a secondary World War, under the abstract expressionism-led, Francis Bacon (1909~1992) built the new domain of concreteness pictures. He is a great master who re-created the original work to his own one by borrowing the existing image of work and break away from the rational and universal ideas. Having seen the Pablo Picasso show in Paris in 1927 served as a momentum of becoming a painter, and forming a close friendship with Roy de Maistre and Graham Sutherland, he learned the knowledge and technique to oil painting and became a painter. Through the manufacture of Crucifixion, he get to have steadfast position as a painter, and after from late 1950's, he broke from the surrealism and tried actualism of an image. The feature of painting is that it accuses the irrationality of human being through choosing the subject by the crucifixion, the Pope who exclaims, distorted form, a self-portrait, and a portrait. It utilizes the objective reality which a photograph offers and expecting the contingency which is produced by the concentration and the quantity of paints, an image is shown as more realistic and truthful through catching an internal actual condition. As the typical work manufacture system 3 sides form is adopted, this demonstrates the power of an image with the one theme while a panel has each weight. It can be estimated that he accomplished a connection of today and tradition, since his used peculiar and bold color which contains modern feeling and traditional graveness at the same time. By expressing the space like theater stage expressed by the background with the structure which is geometric and very simple, it shows clearly that the emptiness of the sealed room is the mental crisis situation of a man of today. According to times, change of space which appears in a work can be thought differently in terms of its meaning. In 1940s and 50s, despondency and a sense of loss caused by unjustice of the external world appeared as closed space. In 1960s, it showed conflictive space by an affirmation, not by strong denial to the external world. It can find the meaning through things that are visible by the newspaper, prints, watch, etc. After the 1970s, the individualism spreaded socially, and Bacon also drown inner emptiness with the reflection of oneself and meditation space. The fine arts historic relics meaning of Bacon's painting which embodied like this, accomplished the effective association of abstract pictures and concreteness pictures by making the background of the distorted form and a monochrome side contrast. The spatial meaning which was to show in the work is by the correspondence to a difficult time after war, it began to weigh internal reflection of oneself from the injustice over the external world and the impulse which is going to be released by the pressure is expressed through space. So, it can be said that closed space progress to the space for self-reflection of humanity, and accept the external world actively. 2차 세계대전 이후 추상표현주의가 주도하는 가운데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은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생각에서 이탈하여 기존 작품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품으로 재창조하여 구상회화의 새로운 영역을 구축한 대가이다. 베이컨은 1927년 파리에서 피카소 전시회를 본 것이 실내장식가에서 화가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로이 드 메이스터(Roy de Maistre), 서덜랜드(Graham Sutherland)와 친교를 가지며 유화에 대한 지식과 기법을 배우며 화가의 길로 들어선다. 『책형도(Crucifixion)』제작으로 화가의 위치를 확고히 다지고, 1950년대 후반부터 이전의 초현실주의적 경향을 탈피하고 이미지의 실제화를 위해 노력한다. 회화의 특징은'인간 형상의 본질'을 위해 책형, 절규하는 교황, 왜곡된 형상, 자화상, 초상화를 주제로 선택하여 인간의 부조리를 고발한다. 사진이 제공하는 객관적인 리얼리티(reality)를 자료로 활용하고 물감의 농도와 양에 의해 생기는 우연성을 기대하며 대상의 내면적 실제를 포착하여 이미지를 보다 현실적이고 진실 되게 보여준다. 대표적인 작품제작 방식으로 3면화 형식을 채택하는데, 이는 패널이 각각의 무게를 가지면서도 하나의 주제로 이미지의 힘을 발휘한다. 현대적인 느낌과 동시에 전통회화의 중후함을 담고 있는 그만의 독특하고 과감한 색채 사용은 현대와 전통의 접목을 이뤄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배경으로 표현된 연극무대와 같은 공간은 아주 단순하고 폐쇄적이며 기하학적 구조물과 함께 나타냄으로써 밀폐된 방의 공허함이 바로 현대인의 정신적 위기 상황임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작품에 나타나는 공간의 변화는 시대에 따라 의미를 다르게 볼 수 있는데, 1940년대, 50년대에는 외부세계에 대한 부정으로 인해 생기는 허탈감, 상실감이 닫쳐진 공간으로 나타난다. 1960년대에는 외부세계에 대한 강한 부정이 아닌 긍정으로 갈등적 공간을 보여주는데, 이는 바깥세계를 의미하는 신문, 인쇄물, 시계 등에서 보여 지는 사물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1970년대 이후에는 사회적으로 개인주의가 팽배해지자 베이컨 또한 외부세계가 아닌 자기 자신의 반성과 명상적 공간으로 내적 공허함을 달래간다. 이렇게 구현되는 베이컨 회화의 미술사적 의미는 왜곡된 형상과 단색면의 배경을 대조시킴으로써 추상회화와 구상회화의 효과적인 조합을 이루었다. 작품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공간적 의미는 전후 어려운 시대에 대한 대응으로 외부세계에 대한 부정을 내면적인 자기성찰로 무게를 더하게 되며, 그 압박에서 해방되고자 하는 충동이 공간을 통해 표출된다. 이에 닫쳐진 공간은 진정한 인간성의 성찰을 위한 공간으로 나아가며 능동적으로 외부세계를 수용하는데 있다 하겠다.

      • Pina Bausch의 신표현주의 예술성향에 관한 연구

        이강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무용과 연극의 결합으로 새로운 장을 열게된 표현주의의 예술을 통한 피나 바우쉬(Pina Bausch)의 독특하고 개성 있는 신표현주의적 예술성향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이 목적을 위해 표현주의의 성립에 대한 배경을 알아보고 표현주의 선구자들을 살펴보았다. 또한󰡐표현주의(Expressionism)󰡑를󰡐신표현주의(Neo Expressionism)󰡑로 성립시킨 피나 바우쉬와 그녀의 신표현주의의 예술성향에 나타난 특징을 알아보았다. 표현주의 예술사조가 등장하게된 시대적인 배경은 제1․2차 세계대전과 산업혁명의 소산이라 할 수 있다. 전쟁이 가져다준 불안, 공포, 위기의식, 현실도피, 그리고 권위와 전통에 대한 회의가 현실을 불신하고, 부정하는 태도로 변하게 되었다. 독일 무용 계에서는 1914년 이후에야 표현주의 무용이 활기를 띠기 시작했으며, 틀에 박힌 고전 발레에 대응하여 일어나게 되었다. 당시 나찌 정권에 의해 배척되었던 표현주의 무용은 고전발레에 대한 육체와 감정의 해방을 위한 노력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초기의 표현주의 특성을 승화시켜 보다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예술을 추구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현 세대의 개성 있는 안무자로 부각되어지는 피나 바우쉬의 예술세계인 것이며󰡐탄츠 테아터(Tanz Theater)󰡑라는 독특한 독일식의 예술을 탄생시키게 된 것이다. 쿠르트 요스(Kurt Jooss)나 마리 뷔그만(Mary Wigman)은 표현주의의 선구자들로서 그들이 이루고자 했던 표현주의를 바우쉬가 그녀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표현주의를 성립했다는 점에서󰡐신표현주의󰡑라고 명명하게 되었다. 특히 바우쉬는 표현주의의 대표적 인물로써 그녀의 신표현주의적 예술성향에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극적인 무대장치와 그 효과를 사용한다. 일상생활의 것을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새롭게 무대에 올리며, 불가능해 보이는 현실의 세계를 무대에 펼침으로 관객들에게 새로운 신선함을 제공해준다. 둘째, 특별한 분위기의 연출에 있어 해프닝을 자아내며, 음악의 선택 또한 그녀만의 개성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음악을 사용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할 경우에는 그 순간만은 그 리듬과 멜로디에 완전히 젖어든다. 하지만 즉흥적인 소리와 관객에게 끌어내는 자연스런 소리, 언어, 영상, 노래 등 매번 바뀔 수도 있는 즉흥성을 시도하기도 한다. 셋째, 자연스러움을 추구하고 표현하고자하는 것을 마음껏 표현해 관객과의 공감을 시도한다. 신표현주의에서 잘 나타나고 있듯이 이제는 단순히 춤 하나만으로 존재하는 것은 더 이상 관객들에게 신선함을 줄 수 없으며, 여러 장르의 예술을 혼합할 때 독창적이고 기발한 아이디어로 새로운 춤의 형태가 창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1세기에 무용세계에 있어서 신표현주의의 혼합예술을 받아들이고, 승화시켜 이제는 타 예술과의 결합으로 보다 독창적이고 새로운 방식으로 무용이 변화되어야하며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서로 교감할 수 있는 무용세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이 시대의 대표주자로써 무용예술을 위한 도전과 실험으로󰡐탄츠 테아터󰡑라는 새로운 춤의 형식을 만들어 내고 독특한 개성으로 최고의 안무자로 손꼽히는 피나 바우쉬는 오늘날 무용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Pina Bauschs unique neo-expressionistic art trend which opened a new chapter in expressionism by combining dance with plays. The background of expressionisms establishment and the pioneers of expressionism were studied. In addition, Pina Bausch who transformed expression into neo-expression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her neo-expressionistic art trend were also investigated. The expressionistic art trend made its first appearance as a result of WWI, WWII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wars brought us insecurity, fear, and escapism and they made us deny or distrust the reality. In the German dance field it was after 1914 that expressionistic dance showed signs of life as it was developing against the typical classic ballet. At that time expressionistic dance was ostracized by the Nazis but the efforts for the freedom of the body and emotions from classic ballet made it last till this day. A choreographer named Pina Bausch improved the expressionistic dance in its early stages by making it more experimental and creative and she finally created this unique German art called Tanztheater. Kurt Joose and Mary Wigman, pioneers in expressionism, named the expressionism created by Pina Bausch neo-expressionism because she achieved this in her own unique way. The characteristics of Bauschs neo-expressionistic art trend are as follows: First, dramatic props and sets and also their effects are used. Our daily life situations revive incredibly on the stage and the world of reality that seems impossible comes to audiences as a shock. Second, unexpected happenings are made to create special atmospheres and she uses various songs. When she uses music, she is in harmony with the rhythm and melody but sometimes she improvises according to the audiences reactions. Third, she prefers naturalness and expresses fully whatever she intends to express in order to make the audience understand her works. As it is well shown in neo-expressionism, it is found out that when various genres of art are combined, a new and brilliant type of dance can be created and that existence of dance alone can bore the audience. For the dance world in the 21st century, we need to accept the blended art of neo-expressionism and need to combine various types of art in order to create new type dance and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Pina Bausch, the creator of Tanztheater, as a leader who worked for development of the dance field, is a tremendous influence for todays dance world.

      • 종교성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 행복감, 신념의 차이

        이강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happiness and belief among types of religious orientation.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ypothesis Ⅰ: They are some types of religious orientation according to combination of religious orientation dimensions. Hypothesis Ⅰ-1: Religious orientation will be consist of 3 sub factors : intrinsic, extrinsic and quest dimension. Hypothesis Ⅰ-2: They are several types of religious orientation according to combination of religious orientation dimensions. Hypothesis Ⅱ: It will be expected that these groups have differences in personal religious life (tithes, frequency of church attendance, prayer behavior), belief (belief in the afterlife, death anxiety), person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Hypothesis Ⅱ-1: Life Satisfaction would score higher on high intrinsic orientation. Hypothesis Ⅱ-2: Death anxiety would score higher on high extrinsic orientation. Hypothesis Ⅱ-3: Belief in the afterlife would score higher on high intrinsic orientation and high quest orientation. Hypothesis Ⅱ-4: Happiness would score higher on high quest orientation.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13 (192 males and 221 females) Protestant adults. The average of their age was 31.84(SD=11.88). Data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nation-wide survey.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500 Protestant adults and 432 of were returned. 19 inefficient questionnaires discarded , then 413 of them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es.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 of 5 scales: Religious Orientation(47 items), Oxford Happiness(29 items), Life Satisfaction (5 items), Belief in the Afterlife(10 items) and death anxiety(15 items). The construct validity of this questionnaire was tested by factor analysis. And for reliability coefficients of each subscale were calculated by Cronbach's coeffici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SPSS 13.0 for Win.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were Cluster Analysis and One way-ANOVA.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 types of religious orientation were obtained by combination of the religious dimensions. Thus HypothesisⅠ was supported. Second, patterns of relationship between types and personal religion life, belief , personal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were different. Hypothesis Ⅱ was supported als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