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병원 팀 조직의 팀 사회구조적 특성, 직무특성, 팀 프로세스가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윤형진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병원 조직 팀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관련된 팀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팀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선행연구문헌의 고찰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구성한 후 현재 팀제를 실시하고 있는 부산 소재 대학병원 1 개소의 팀장과 팀원 111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연구 변수의 변이를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시민행동과 팀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유의한 변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본 연구모형의 선행 변수인 팀 사회구조적 특성과 직무 특성에 있어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이가 일부 발견되었을 뿐이다. 구체적으로는 연령별로 팀 사회구조적 특성의 인식에 있어 20대의 젊은 연령층이 비교적 유의하게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학력별로는 팀 사회구조적 특성과 직무 특성 인식에 있이 고졸 이하가 전문대졸 이상 상대적 고학력층에 비하며 유의하게 부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직종별로는 팀 사회구조적 특성에 있어서는 간호사, 의료기술직군이 비교적 긍정적인 인식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특성 인식에 있어서는 업무보조직이 여타 직종에 비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직급별로는 직무 특성 인식에 있어 5급 이상의 고위직급이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인식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둘째, 팀 사회구조적 특성 및 직무 특성이 팀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팀 프로세스를 종속변수로, 팀 사회구조적 특성 및 직무 특성 하위 변수를 독립변수로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팀 사회구조적 특성 중에서는 정보근접성을 제외한 사회정치적 지지, 작업 분위기, 역할모호성, 자원근접성이 팀 프로세스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특성 중에서는 자율성 변수만이 팀 프로세스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 사회구조적 특성 및 직무 특성, 그리고 팀 프로세스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직시민행동을 종속변수로, 각 하위 변수를 독립변수로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팀 사회구조적 특성 중에서는 자원근접성이, 직무 특성 중에서는 피드백이, 그리고 팀 프로세스 중에서는 의사소통이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프로세스 중 조직 및 인력 운용의 유연성 변수는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팀제 조직의 유효성을 제고하고 팀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팀 사회구조적 특성 및 직무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of socio-structu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team proces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tram members at a university hospital, and based on the investigation,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enhancing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of hospital team members. For this purpose, 111 employees from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at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Major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s f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team process among team members were found to hav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ir socio-demographic factors. However,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some antecedent factors such as socio-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were found. Second, socio-structu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such as political support, work climate, role ambiguity, accessibility for resources and job characteristics such as autonom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eam process. Third, accessibility for resources among socio-structu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feedback among job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communication among team process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ereas, operational flexibility as team process variables have negative influ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socio-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should be managed carefully in order to enhance effectiveness of team organization and to promot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team members in hospitals.

      • TMS 활용 제고를 위한 요인분석

        윤형진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들은 경쟁업체보다 앞선 시장선점 및 소비자의 소비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마케팅전략과 더불어 기업이 운영핵심 중 하나인 원가절감이라는 사안에 많은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제조업체인 경우 생산품의 종류, 방법, 상황에 따라 물류비는 다양하지만 글로벌화로 인하여 물류비는 기업의 매출원가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기업매출액의 9.7%를 차지하는 물류비 가운데 58.3%가 운송비 같은 운송관리 업무에서 지출 된다는 것은 다시 말해 매출액의 약 5% 이상이 운송관리 업무에서 지출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물류비용 지출 상황을 극복하고 물류 서비스 제고 및 물류 업무 효율화를 위해서는 적정 물류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런 적정 물류 시스템의 도입을 창고업무 프로세스의 정립 및 정보 기술을 바탕으로 한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TMS)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TMS)은 수․배송 시스템을 말하며 국내시장에서 물류관리 프로그램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앞서 제조 산업에서의 물류의 중요성을 논하고 TMS의 장점을 말하고 TMS으로 인한 물류시스템 효율성을 증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제조산업에서의 물류의 중요성을 논하고 TMS의 효율성을 논하여, 호환성 정보, 운송관리, 경로관리, 서비스관련 등을 이용한 요인 분석하여 TMS 효율성을 논하여 TMS 확장성을 증명하여 TMS의 활용을 강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ompanies are making their best efforts for cost reduction along with the efforts to preoccupy the market before the competitors and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y to satisfy the consumers' needs. In manufacturing companies, the logistics cost differs by the product types, methods and situation but logistics cost is accounting for a large portion in the total cost due to the globalization. Among the logistics cost that accounts for 9.7% of the total sales, the fact that 58.3% is from the transportation management cost such as transportation cost indicates more than 5% of the total sales is spent on for the transportation management. In order to overcome these situations, improve the quality of logistics servic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logistics business, adaptation of the proper logistics system is required.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TMS)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warehouse process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fers to the transportation system which is being widely used as the logistics management program in the domestic market.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logistic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discussed. Also, the strengths of TMS are presented in order to prove the efficiency of logistics system by T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logistic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efficiency of TMS and analyze the relevant factors by using compatibility information, transportation management, route management, service-related information and so on to emphasize the usage of TMS.

      •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율성과 사회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윤형진 대구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strength-based self-determination training by multiple intelligences properties on autonomous functioning and socially adap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achieve these go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attending elementary, middle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in Busan. They were considered with their background variables(chronological age, gender, mental age, and social maturity age). To find out differences by groups(experimental, control), grades (elementary, middle), and gender(male, female), after a post-test was carried out to estimate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three-way ANOVA was performed to see significance or interactive effects of the mean difference among their levels of experimental variabl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rength-based self-determination training by multiple intelligences properties had positive effects on autonomous functioning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the program showed higher moderating effects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had greater effects than those in the middle school; and females showed a higher level of achievement than males. Second, strength-based self-determination training by multiple intelligences properties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ly adaptive behavio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mediating effects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s had greater effects than those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females showed a higher level of achievement than males. As suggested in the conclusions, strength-based self-determination training by multiple intelligences properties is effective in improving autonomous training and socially adap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includ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ccessfully and substantially into communities, through the improvement of autonomous functioning and socially adaptive behavior,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teadily develop and apply more systematic and specific self-determination training programs usable at home, at school, and in communities on the basis of strength intelligence reflecting their requir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이 연구는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율성과 사회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초․중학교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 초․중학부 학생의 배경변인(생활연령, 성별, 정신연령, 사회성숙연령)을 고려하여 8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의 집단별(실험집단, 통제집단), 학교급별(초등부, 중학부), 성별(남, 여)에 따른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사후 검사의 기술 통계량(평균, 표준편차)을 구하고, 각 실험대상 변인들의 수준 간 평균 차이의 유의성이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3원 변량분석(Three Way-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은 지적장애학생의 자율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집단에서는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중재효과를 보이고, 학교급에서는 초등부가 중학부보다 효과적이며, 성별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성취수준을 보인다. 둘째,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은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 적응행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집단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중재효과를 보이고, 학교급에서는 중학부가 초등부보다 효과적이며, 성별간에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성취수준을 보인다. 이상의 결론과 같이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은 지적장애학생의 자율성과 사회적 적응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에 성공적이고 실질적인 통합을 위한 자율성과 사회적 적응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요구와 특성이 반영된 강점지능을 기반으로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에서 활용 가능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자기결정훈련 프로그램들을 꾸준히 개발․적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 작업장의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의 노출특성에 관한 연구 : 2012~2016년 작업환경 측정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윤형진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측정기관에서 2012년부터 2016년까지의 측정한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의 작업환경측정 자료를 분석하였다. 벤젠의 5년간 측정건수는 27,013건이었으며, 3,958건(14.7%)의 시료에서 벤젠이 정량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량된 벤젠 측정건수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각각 682건, 695건, 862건, 916건, 803건이었고 5년간 91건(2.3%)이 노출기준을 초과하였다. 벤젠의 산술평균은 0.12 ppm, 표준편차는 0.193 ppm이었고, 기하평균은 0.047 ppm, 기하표준편차는 4.87이었다. 톨루엔의 5년간 측정건수는 323,526건이었으며, 이 중에서 191,482건(59.2%)의 시료에서 톨루엔이 정량되었다. 정량적으로 측정된 측정치의 5년간 산술평균은 3.23 ppm, 표준편차는 6.76 ppm이었고, 기하평균은 0.75 ppm, 기하표준편차는 6.68이었다. 크실렌의 5년간 측정건수는 243,058건이었으며, 이 중에서 113,365건(46.6%)의 시료에서 정량적으로 검출되었다. 5년간 노출기준을 초과한 건수는 218건으로 정량된 측정건수의 0.19%에 불과하였다. 크실렌이 정량적으로 측정된 측정치의 5년간 산술평균은 3.12 ppm, 표준편차는 11.86 ppm이었고, 기하평균은 0.61 ppm, 기하표준편차는 6.82이었다.

      • 머신러닝 SVM기법을 활용한 Sentinel-2 산불피해등급분류 모델 구축

        윤형진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event of a forest fire, follow-up process of affected areas where forest fires may have occurred is an important process along with the process of preventing forest fire damage. In these forest fire-damaged areas, pastoral and aerial photograph of forest-damaged areas are analysis and statics at present, but this process is time-consuming and costly. To solve this problems, various researchers are analyzing forest fire damage areas based on remote sensing and conduct research on the detection of statistics on forest fire damage. Althoug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combine and learn various spectroscopic formulas that analyze affected areas of forests based on satellite images that contain multiple spectra, in the case of domestic forests, sensitive vegetation changes occu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four seasons, especially in the case of NBR(Normalized Burned Ratio), which is mainly used in forest fires, it is difficult to provide accurate damage statistics based on remote exploration. In this study, wanted to suggest the forest fire damage grade detec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forest fire damage data using Sentinel-2 images. The forest fire damage area for analysis was based on Sokcho and Gangwon-do forest fire on April 4, 2019, and the forest fire damage grade training data was based on the dNBR rating suggested by the U.S. Geological Survey. The triaing and test for machine learning data in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hese follows. First, we produced dNBR data on April 3, 2019, before forest fires, and April 8, 2019, data after forest fire in Sokcho, Gangwon-do. Second, training data was produced for four cases by dividing the forest fire damaged grade. And the training variables for learning were used to utilize the multi-spectral bands value of the Sentinel-2 images. Third, based on machine learning Scikit-learn, training to forest fire damage area. Fourth, based on the classification model, test image of different periods in the same area for classify distribution map of forest fire damage grades. During machine learning process, 4 kernel formats of SVM were utilized among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as a result of training, the SVM RBF model showed the highest model accuracy in all 4 cases. Forest fire grade model accuracy of 76.19% when forest fire damage grades were same class as dNBR. Based on the training model, April 19, 2019 Sentinel-2 test image was 60.53% matching rate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dNBR classification.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results, A forest fire damage grade classification map based on SVM model rather than dNB classification map using spectral indices. In this study, suggest the machine learning model that classification forest fire damage grade to forest in Korea using Sentinel-2 and propose forest fire grade classification map. This result estimated that machine learning can be applied to various satellite images, not only Senitnel-2 images, and it can be utilize follow-up process and fieldwork after forest fire. Keyword : Machine Learning, Scikit learn, Support Vector Machine, Sentinel-2, dNBR 산불이 발생하였을 경우, 피해지역에 대한 후속처리는 산불피해를 예방하는 과정과 더불어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산불 피해지역의 경우 실측 및 목측, 항공사진으로 산불 피해지역을 분석하고 통계하고 있지만, 해당 과정에서 시간 및 비용이 크게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가들은 원격탐사를 기반으로 산불 피해지역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불 피해지역을 통계하는 방향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의 경우, 다중분광 특성을 고려하여 산림 피해지역을 분석하고, 다양한 분광 밴드를 조합하여 피해면적을 산정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산림의 경우 사계절 특성으로 민감한 식생변화가 이루어지며, 특히 산불 피해지역을 탐지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NBR(Normalized Burned Ratio) 지수식의 경우 전·후시기 영상의 간격이 클수록 정확한 피해통계를 제공하기 힘들다. 따라서 국내 산림을 대상으로 산불피해 지역을 분석하기 위해선 다시기의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피해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산림에 따른 피해등급을 분류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entinel-2 영상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데이터를 기준으로 산불피해등급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머신러닝을 접목시키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산불 피해지역은 2019년 4월 4일 발생한 강원도 속초시 대형 산불을 기준으로 진행하였으며, 산불피해등급 훈련을 위한 초기 피해등급은 미국지질조사국에서 제시한 dNBR 등급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학습데이터 구축 및 실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 번째, 강원도 속초시의 산불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산불 발생 직전 영상인 2019년 4월 3일 데이터와 산불 발생 직후 데이터인 2019년 4월 8일 데이터 기반의 dNBR을 제작하였다. 두 번째, 산불 피해지역을 피해등급에 따라 4가지의 Case로 구분하여 4가지 경우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제작하였다. 이때 학습을 위한 사용 변수는 영상의 다중 분광 밴드 값을 활용하였다. 세 번째, Scikit learn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영상 지역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였다. 네 번째, 학습된 모델을 기반으로 동일지역의 다른 시기의 영상을 학습하여 산불 피해등급을 분류하고 이를 지도화하였다. 머신러닝 과정에서 산불 피해등급을 학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 중 SVM의 4가지 커널 형식을 활용하였으며, 훈련데이터 학습 결과 SVM RBF 모델이 4가지 Case 모두에서 가장 높은 모델 정확도를 나타냈다. dNBR과 동일한 등급 구분으로 산불 피해등급을 분류한 경우 76.19%의 모델 정확도를 도출하였다. 분류된 훈련 모델을 기반으로 산불 피해지역에 대한 2019년 4월 20일 영상을 적용하였을 경우, 기존의 dNBR에서 나타난 산불 피해등급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단계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60.53%의 dNBR 일치율을 보여주었다. 학습된 결과를 통해 기존의 dNBR 분류지도가 아닌 기계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된 산불 피해등급 분류지도를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 분석에 기계학습을 접목시켜 국내 산림에 대한 산불 피해등급을 분류하는 모델을 제작하고 이를 활용하여 취득되는 산불 피해지역 영상에 대한 산불 피해등급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해당 결과는 Senitnel-2 영상이 아닌 다양한 위성영상으로도 머신러닝을 접목할 수 있으며, 산불 발생 이후 피해지역을 통계하는 과정에서 현장조사 전 계획 수립 및 현장조사와의 결과를 접목하여 국내 산불 피해등급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 : 머신러닝, Scikit learn, SVM, Sentinel-2, dNBR

      • 치과용 국소마취제에 포함된 epinephrine이 당뇨 환자의 소수술시 혈당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형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당뇨병은 생활 습관 및 식습관의 서구화로 말미암아 유병 인구가 많으며 점점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은 인체의 항상성 유지 및 당뇨로 인한 급성 또는 만성 합병증의 예방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치과영역에서는 epinephrine을 국소마취제인 lidocaine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국소혈류를 감소시켜 국소마취제의 혈중흡수를 느리게 하고 신경 내 흡수를 증가시키는 기전으로 마취작용시간의 증가 및 미세혈관의 수축에 의한 출혈량 감소와 수술시야 확보의 용이성 등의 장점이 많아 흔히 혼합주사액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epinephrine은 부신수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 β-adrenergic receptor를 통하여 glycogenolysis와 gluconeogensis를 자극하여 간에서 일시적으로 포도당의 생산을 증가시킨다. 말초조직과 내장조직에서의 포도당 이용을 지속적으로 억제하여 α-adrenergic receptor를 통하여 insulin 분비를 억제한다. 또, epinephrine은 glucagon의 분비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glucagon과 길항작용이 있고, 결과적으로 고혈당을 초래한다. 그렇지만 현재 치과용 국소마취제에 함유된 epinephrine이 어느 정도 혈당 상승을 유발하는 지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치과용 국소마취제인 lidocaine에 혼합된 epinephrine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당뇨환자 38명과 건강한 성인 38명을 대상으로 식후 2시간에 치과 진료실에서 안정시 혈당과 1:100000 epinephrine이 포함된 lidocaine 54 ㎖와 epinephrine이 포함되지 않은 lidocaine 54 ㎖를 사용하여 마취 5분, 30분 후에 혈당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이원분산분석(p<0.05)을 이용하여 검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1 에서 마취전의 평균 혈당치는 180.3 ㎎/㎗, 마취 5분 후의 평균 혈당치는 182.8 ㎎/㎗, 마취 30분 후의 평균 혈당치는 182.2 ㎎/㎗로 측정되었고, 혈당치의 변화 양상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이원분산분석. p< 0.05) 2) 실험군2에서 마취 전의 평균 혈당치는 237 ㎎/㎗, 마취 5분 후의 평균 혈당치는 234.5 ㎎/㎗, 마취 30분 후의 평균 혈당치는 231.8 ㎎/㎗로 측정되었고, 혈당치의 변화 양상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이원분산분석. p<0.05) 3) 대조군1에서 마취전의 평균 혈당치는 117.6 ㎎/㎗, 마취 5분 후의 평균 혈당치는 119.1 ㎎/㎗, 마취 30분 후의 평균 혈당치는 129.3 ㎎/㎗로 측정되었고, 혈당치의 변화 양상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이원분산분석. p< 0.05) 4) 대조군2에서 마취 전의 평균 혈당치는 104.2 ㎎/㎗, 마취 5분 후의 평균 혈당치는 102 ㎎/㎗, 마취 30분 후의 평균 혈당치는 105.3 ㎎/㎗로 측정되었고, 혈당치의 변화 양상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이원분산분석. p< 0.05) Recently, the number of diabetic patients have been increased with westernized living way and meal habitation. The regulation of blood sugar concentration is very important for diabetic patients to keep homeostasis and, to prevent acute or chronic complications. Epinephrine combined with lidocaine is used in dental clinic extensively. And epinephrine combined with lidocaine also effects on decreasing the blood leakage volume by constricting micro vessle and arteriole. But, So far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the effect of epinephrine contained in dental local anesthetic agent on the blood sugar of diabetes during minor oral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whether epinephrine which combined with dental local anesthetics influence body glucose level in diabetes patients by glucose monitor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8 diabetic patients and 38 normal adults, each patient was checked body glucose after a meal 2 hours later with resting state, and injection 1:100000 epinephrine with dental lidocaine 54 ㎖ or lidocaine 54 ㎖ only. And then the body glucose level was checked 5 minutes and 30 minutes after injec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wo way ANOVA test (p < 0.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experimental group 1, the mean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180.3 ㎎/㎗ before an anesthetic injection, 182.8 ㎎/㎗ after 5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and 182.2 ㎎/㎗ after 30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The change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not statistically by two-way ANOVA tests (p< 0.05). 2) In the experimental group 2, the mean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237 ㎎/㎗ before an anesthetic injection, 234.5 ㎎/㎗ after 5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and 231.8 ㎎/㎗ after 30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The change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not statistically by two-way ANOVA tests (p< 0.05). 3) In the controlled group 1, the mean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117.6 ㎎/㎗ before an anesthetic injection, 119.1 ㎎/㎗ after 5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and 129.3 ㎎/㎗ after 30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The change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not statistically by two-way ANOVA tests (p< 0.05). 4) In the controlled group 2, the mean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104.2 ㎎/㎗ before an anesthetic injection, 102 ㎎/㎗ after 5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and 105.3 ㎎/㎗ after 30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The change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not statistically by two-way ANOVA tests (p< 0.05).

      • 中華人民共和國 도시주민 조직 방식의 형성 : 일본 점령기에서 건국 초기(1937-1954)의 北京을 중심으로

        윤형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本稿는 中華人民共和國 건국 초기 도시주민의 조직 방식이 성립되는 과정에 대한 탐색이다.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는, 국가 구성원을 조직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독특한 방식을 中國共産黨이 가진 조직에 대한 경험과 전망이 이전 정권들이 남겨놓은 유산 및 도시의 현실과 부딪치면서 만들어 낸 역사적 형성물로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표준화된 주민조직인 街道居民委員會, 그리고 건국 초기에 ‘單位’ 조직에 선행하여 직업을 기반으로 한 주민조직의 기능을 수행했던 工會를 분석한다. 양자의 통합적인 파악을 통해 中共이 도시주민을 재조직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선택과 타협의 결과 조직 방식의 이원적 구조가 형성되는 역사적 과정을 밝힐 수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을 전후로 한 도시의 기층 통치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연속성은 바로 경찰의 위상에서 찾아볼 수 있다. 경찰의 말단 기구인 派出所가 도시의 기층 통치를 담당하고, 특히 戶政의 담당기관으로서 인구관리를 주관하는 구조가 근대적인 경찰 제도가 도입된 淸末부터 지속적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일본의 점령과 국민당이 다시 北京을 접수하는 과정에서도 경찰 기구의 인적 구성이나 조직구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1947년에 국민당 정권이 市政府 산하에 民政局을 설치하고 경찰국의 戶政 부문을 이관했던 것은 새로운 변화였으나, 中共이 接管 시기에 戶政을 公安局에 이관시킴으로써 짧은 예외상태로 끝나게 되었다. 또한 接管 이후 인력과 경험의 부족으로 기존 경찰 인원을 留用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에서 공안 기구의 하층에서 기존 경찰들이 업무 능력을 바탕으로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黨治의 원칙 역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을 전후로 도시 기층 통치에서 나타나는 연속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건국 초기에 나타났던 지도문제를 둘러싼 당조직 계통과 공회 계통의 혼란은 단지 운영상의 혼란이 아니라 조직원리 자체의 문제였다. 또한 업종별 단체협약의 추진 과정에서 드러나듯이 市總工會를 중심으로 한 공회 계통이 추구하던 목표는 노동자들의 경제적 이익을 대변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었다. 일본 점령기의 공백을 전후로 北京의 工會 조직은 대부분 國民黨이 조직한 것이었다. 업종별 공회의 조직, 업종별 전국조직, 업종별 전국조직의 연합으로서의 전국총공회 조직 등을 노동조직에 관한 목표로 설정하고 있었던 국민당의 방침은 이후에 中國共産黨이 추구했던 노동조직의 원칙과 유사한 것이었다. 국민당이 추구하는 노동운동의 방향 역시 黨團 조직을 바탕으로 주로 파업의 금지나 勞資紛糾의 방지를 지향했다. 적어도 당-국가와 공회의 관계에 있어서는 1949년 전후에 뚜렷한 연속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일본 점령 당시에 北京의 城區에는 郊區의 保甲과 같은 기층 주민조직이 없었다. 1939년이 되면 중요한 변화가 나타났는데, 城區에서도 ‘街巷公益會’라는 명칭의 주민조직이 편성되었던 것이다. 그 배경에는 일본의 町內會에 해당하는 조직을 만들라는 일본군 사령관의 지시가 있었다. 1940년 하반기에는 좀더 체계적인 ‘자치조직’의 계통을 구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고, 이때 街巷公益會는 坊으로 재편되었고 하급조직인 里도 편성되었다. 점령 후기에는 新民會가 체제를 개편하면서 지역별 기층 주민조직의 운영에 개입하기도 했다. 국민당은 ‘復員’ 이후 北京에서 자치조직의 개편을 실행했지만, 坊里에서 保甲으로 이름이 바뀌었을 뿐 주민조직의 구조는 대체로 유지되었다. 이 시기 保甲長의 선발이나 書記의 임명을 보면 保甲 조직이 상당한 자율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처럼 보이는데, 이는 이후 中共이 北京을 接管한 이후에 기층 주민조직을 관리하는 모습과는 상당히 대조적이다. 中共의 接管 이후 기층의 행정 기구는 街政府의 건립과 취소를 거친 이후 몇 년 동안 현상을 유지하였고, 주민조직은 保甲 조직이 철폐된 이후 통일된 형식이 확립되지 않은 채 다양한 조직이 병존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脫産幹部’로 이루어진 국가기구와 공장, 학교, 기관 등 각종 ‘單位’에 포함되지 않고 일상을 영위하는 北京의 주민들 사이를 매개하는 존재로서 새롭게 등장한 것이 바로 ‘積極分子’들이었다. 中共은 이전의 정권들이 주민조직을 통해 도시주민을 관리했던 방식과 달리 坊里長이나 保甲長보다 훨씬 넓은 범위의 적극분자층 전체에 대해서 세밀하게 파악하고 관리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3년 여의 시간이 지나면서 1949년의 接管 시기에 만들어진 기층 행정 기구와 주민조직의 운영 방식은 民政 사무 처리의 취약성이라든지 소수 적극분자들에 대한 과도한 부담 등의 문제점을 노출하기 시작하였고, 1952년 하반기부터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여 街道居民委員會와 街道辦事處가 만들어지기 시작하면서 장기간 지속되는 국가기구와 주민조직의 연계방식이 자리잡게 되었다. 街道居民委員會의 설립은 中共의 도시주민 조직 방식이 직업단체를 통한 통일적 조직이라는 틀에서 직업별 조직과 지역별 조직이라는 양대 축의 병존으로 선회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도 있다. 일본의 점령과 함께 국민당이 주도하여 결성한 공회 조직은 와해되었다. 일본 점령기 北京에서는 자발적인 노동조직의 결성이라든가 노동자들의 활동은 최대한 억제되었으며, 新民會의 職業分會나 勞工協會, 그리고 華北勞工協會와 같은 노동조직은 주로 노동력의 파악과 징발을 위한 조직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점령기에 상층에서 노동통제를 담당하는 기구와 방식에 여러 가지 변화가 나타난 것과는 대조적으로, 기층에서의 노동자 관리와 확보에 있어서 주로 전통적인 노동청부 방식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국민당은 戰後에 北京에서 北平市總工會를 중심으로 각 업종별 공회를 조직했다. 그러나 北平市總工會는 시 전체의 노동조직을 포괄하는 조직이 아니었으며, 市黨部에서는 포괄적인 조직을 만들려는 의도도 없었다. 국민당은 기층 조직의 정비에 소극적이었으며, 공회가 있는 기업에서도 기층에는 노동자와 경영자 사이에 매개층의 존재가 여전히 강하게 남아 있었다. 中共은 北京에서 接管 이후 市總工會를 정점으로 하는 공회 조직의 건설을 추진하면서 처음부터 업종별 조직을 만든다는 원칙을 제시하였다. 도시주민의 조직 방식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공회는 도시주민의 주요한 조직 형식으로 상정되고 있었다. 그러나 공회의 조직에는 한계가 있었고 공회로 조직된 도시주민의 다수도 분산되어 있었다. 五反運動은 사영 기업에서 공회 조직이 강화되는 계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사영 기업 및 공회에 대한 중공의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분산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당과 市總工會의 사영 기업 공회에 대한 개입이 강화되면서, 공회 계통의 조직구조 문제가 제기되었고 결국 공회의 조직 원리의 적용에 있어서 중요한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즉 區 이하의 공회 조직이 업종별 조직에서 지역별 조직으로 바뀌었다. 지역을 단위로 하는 직업조직의 건설은 중공의 통치 하에 등장한 새로운 현상이었다. 이는 공회라는 형식을 통해서 도시주민을 조직한다는 중공의 방침이 현실적 조건과 타협하면서 만들어 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공회라는 틀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지역에 따른 조직이라는 원리를 끌어들인 것은, 街道居民委員會 및 街道辦事處의 설립과 궤를 같이 하는 변화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기층 통치에서 경찰의 위상, 당이 공회를 비롯한 대중조직을 지도한다는 원리, 도시주민 조직의 이원적 구조 등은 모두 현재에도 유효성을 가지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도시주민 조직 방식은 건국 초기에 중공의 조직 구상과 도시의 현실이 부딪치면서 이루어진 타협과 조정을 통해 형성되었다. 그리고 그 형성과정에서 중공은 직업별 조직과 지역별 조직 양쪽 모두에서 이전 정권들에 비해 더 체계적이고 당과 국가의 의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 수 있었다. 건국 초기에 만들어진 이러한 조직구조는 문화대혁명에 이르는 시기의 대중운동과 정치적 혼란, 그리고 개혁개방 이후의 경제체제의 전면적 재편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흩어진 모래’에 비유되곤 했던 중국사회에 조직적인 안정성을 부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