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萬波息笛ㆍ利見臺 설화의 형성 과정과 『周易』과의 관계 추론

        尹太陽 ( Yun Tae-yang ) 진단학회 2021 진단학보 Vol.- No.137

        이 글에서는 『三國遺事』 万(萬)波息笛조 및 그 유관 문헌에 담긴 『周易』의 상징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전까지 해당 조목은 특히 利見臺와 관련하여 乾卦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그렇지만 『高麗史』에 실린 「利見臺歌」와 『삼국유사』 만파식적조에 인용된 感恩寺 「寺中記」에서 미루어 볼 때 ‘이견대 설화’의 원전은 현재의 만파식적조와 일정한 차이가 있었으며, 문헌 정립 과정에서 설화에 일정한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또한 682년설과 690년설이 병존함으로부터, 만파식적·이견대 설화가 중층적으로 형성되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나아가 『주역』 「說卦傳」을 참조하여 감은사가 乾卦, 이견대가 震卦에 대응하는 공간이며, 만파식적ㆍ이견대 설화가 최초에는 690년 5월 8일(夏至) 전후를 중심 배경으로 작성되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후 이러한 구성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은, 巽卦의 상징성 및 曆日ㆍ卦爻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반영해 682년 5월을 배경으로 재구성된 결과로 보았다. 이후 震卦의 상징성을 고려할 때, 만파식적ㆍ이견대 설화의 1차적 형성은 中代 神文王 대로부터 멀지 않은 시점에 이루어졌다고 이해하였다. 이 1차 텍스트는 下代 元聖王 대에 변형되었으나, 그에 대한 반발을 수습하고자 9세기 초 2차 텍스트가 작성된 것으로 보았다. 그 작성 주체는 金庾信 一家였을 것이며, 이들은 이를 통해 중대에서 하대로의 이행을 震卦에서 巽卦로의 이행에 유비하려 하였다고 여겨진다. 이는 신라 내에서의 易學의 성숙을 반영하며, ‘The Book of Changes’라고도 번역되는 『주역』의 ‘변화’ 개념을 내면화한 것으로도 헤아려진다.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the records on Manpasikjeok(万波息笛, 萬波息笛) to discover symbols of The Book of Changes(周易) in them. The former researches mostly attempted to find out the symbols of Hexagram Qian(乾卦) in them, which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name of Yigyeondae(利見臺). However, “Song of Yigyeondae”(利見臺歌) in Goryeosa(高麗史) and Record in the Temple(寺中記) of Gameunsa temple(感恩寺) show some differences of the legend of Yigyeondae with “Manpasikjeok” article in Samgukyusa(三國遺事). It also implies the changes which occurred in the process of documentation of the legends. The coexistence of the opinions on the text, which claim the background year was 682 or 690, demonstrates their multi-layered formation. I estimate Gameunsa temple was involved with the symbols of Hexagram Qian and Yigyeondae did so with the symbols of Hexagram Zhen(震卦) in the original text, referring to Discussion of the Trigrams(說卦傳) in The Book of Changes. Following that, I think the legends were firstly documented, setting the background time around May 8th in 690, the date of the summer solstice of that year. Other symbols, I guess, were originated from the symbols of Hexagram Xun(巽卦), considering on the date in the calendar and the change of Hexagram and Line(卦爻). The second text is assumed to have located background time in May 682. Given the symbols of Hexagram Zhen, the legends were firstly documented in the near time from King Shinmun(神文王)’s era. This first text was modified in the King Wonseong(元聖王)’s era in the later period(下代) of Silla. I guess, however, to soothe the reaction to that action, the second text was documented in the early 9th century. It may be re-written by the descendants of Kim Yusin(金庾信). Also, they are thought to have created a metaphor, which made people feel correspondence between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period of Silla(中代) to the later period and that from Hexagram Zhen to Hexagram Xun. This situation shows the academic maturation of the study on The Book of Changes by writers in Silla, who scholarly internalized the concept of ‘Changes’ in the scripture.

      • KCI등재

        경덕왕(景德王)의 사망 시기에 대한 시론(試論)적 재고찰(再考察)

        윤태양 ( Yun Tae-ya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이 글에서는 『三國史記』에 실린 景德王의 사망 시기를 재론했다. 『冊府元龜』에는 766년 3월·4월 壬子일에 ‘新羅王 金獻英’이 파견한 사절이 보이며, 일간지 또한 정확하다. 그런데 이는 『삼국사기』에서 인용한 古記 등에서 경덕왕이 765년 사망했다고 한 것과 어긋난다. 그러나 이를 따를 경우 惠恭王의 책봉이 지나치게 늦는 점, 당시의 유교적 정치 담론에 입각해 볼 때 사망한 父王의 명의로 사절을 보내는 것은 비상식적이라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책부원귀』의 기사를 부정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 古記 등 異傳의 발생 경위를 밝히려는 입장에서, 경덕왕이 765년 6월 양위하여 767년 전후 사망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와 같이 볼 때 「異次頓 殉敎碑(栢栗寺 石幢記)」와 『三國遺事』의 萬佛山 기사가 국내·외에서 양위 이후 경덕왕의 활동을 알려주는 단서일 수 있다고 보았다. 「이차돈 순교비」에서는 766년 일어난 어떠한 사건이 확인되는데, 이를 이차돈 추모 사업으로 연결 지은 설을 따라 경덕왕이 이를 이용해 法興王과 眞興王의 故事에 유비하여 경덕왕에서 혜공왕으로의 왕위 승계를 정당화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한 상기한 766년의 사절이 『삼국유사』에서 보이는 만불산의 전달 주체로 유력하며, 이를 통해 당의 호의를 얻어 滿月太后의 책봉 등에 우호적인 조건을 마련한 것으로 보았다. 경덕왕은 자신의 후계 혜공왕을 위해, 生의 말년까지 각고의 노력을 다하고 있었던 것이다. I refocussed on the date of death of King Gyeongdeok in this paper. Following Cefuyuangui (冊府元龜), ‘King of Silla Kim Heonyeong (新羅王 金獻英, King Gyeongdeok)’ sent an envoy in march·april ‘Renzi (壬子)’ of 766. This sexagenary date matches well with reality. But it doesn’t match with the records including ‘Old Record (古記)’ on the death of King Gyeongdeok, which said as he died in June 765. But we can find the problems that the investiture of King Hyegong (惠恭王) is abnormally late if we follow those records, and it is awkward to think King Hyegong concealed his father King Gyeongdeok’s death and sent an envoy in the name of him. Therefore, I follow the record of Cefuyangui, but suggest the view that the different traditions appeared because of King Gyeongdeok’s abdication and royal succession of King Hyegong in June 765, and King Gyeongdeok’s death around 767. I also used the “Monument to the Martyrdom of Yichadon (異次頓 殉敎碑)” and a record on Manbulsan (萬佛山) in Samgukyusa (三國遺事) to review this time. “Monument to the Martyrdom of Yichadon” shows that a Buddhistic memorial ceremony was done in 766. I guess by supporting this project King Gyeongdeok endeavored to justify the royal succession of King Hyegong as a one which reminded of royal succession from King Beopheung (法興王) to King Jinheung (眞興王). Moreover, I tried to reveal that Manbulsan would have been delivered to Daizong of Tang (唐代宗) at that time. This effort might have made an advantageous condition to receive investiture on Queen dowager Manweol (滿月太后). I think, so, King Gyeongdeok tried to make a favorable political background for his son, King Hyegong, even in the latest days of his life.

      • KCI등재

        영조(英祖) 17~19년 악기·악학(樂學)의 재정비와 그것의 정치적 함의

        윤태양(Yun Tae yang) 국립국악원 2017 국악원논문집 Vol.36 No.-

        조선 영조(英祖, 재위 1724~1776)는 재위 기간 동안 예악(禮樂)의 문제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정치적으로도 재위 17년(1741) 이후 신임옥사(辛壬獄事)에 대한 신원(伸冤) 조치 등을 실시하고 이조(吏曹) 낭관(郎官)·한림(翰林)의 추천권 개혁, 사원(祠院) 훼철 등의 정치적 사업이 진행되면서 안정적으로 왕권을 행사하였다. 영조 17~19년 동안 악(樂)에 대해 영조가 보인 관심과 그에 기반을 둔 국가적 사업 또한 이러한 왕권의 행사와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사업으로 황단(皇壇, 大報壇)의 아악기(雅樂器) 제작 사업과 『악학궤범(樂學軌範)』의 재간 및 「어제악학궤범소서(御製樂學軌範小序)」의 작성, 「하황은(荷皇恩)」의 작성을 꼽을 수 있다. 영조 17년에 진행된 황단 아악기 제작 사업은 출범 당시에는 영조가 두드러지게 개입하지 않았으나, 세종 조에 제작하였던 편경(編磬) 유물이 발견되면서 영조가 이를 친견(親見)하는 등 영조의 큰 관심을 받았다. 이후 영조는 이연덕(李延德)으로 대표되는 악기조성청의 인원과 활발히 접견하면서, 황단 아악기의 제작이 완료된 이후에도 악기의 제작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며 관련 사업을 진행하였다. 그 시기상 이는 영조의 권위를 확고히 하고자 황단 아악기 제작사업을 정치적으로 이용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조 18년 『악학궤범』이 재간된 것은 이상의 상황을 배경으로 하였다. 이 때 영조는 「어제악학궤범소서」를 작성하여 국초의 황은과 세종 조의 “대거예악(大擧禮樂)”, 그리고 영조 본인이 진행한 악(樂) 정비 사업 등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를 매개로 숙종(肅宗) 대의 진연(進宴)을 의식하여 효(孝)를 강조하는 발언을 하면서 그에 대한 우호적 태도를 드러냈다. 이어 영조 19년에는 다소의 우여곡절이 있었으나 진연 개최에 대한 상소를 격식을 조정하는 조건으로 받아들여 어연(御宴)이라는 이름으로 실행하였다. 이 어연 중 대왕대비를 위한 양로연에서 영조는 「하황은」 등의 악곡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하황은」은 본인이 직접 존명의리(尊明義理)를 강조하는 새로운 사장(詞章)을 짓고 이를 『악학궤범』의 「어제악학궤범소서」와 함께 수록하도록 하는 등 직접 개입하여 본인의 정치 이념적 의지를 드러냈다. 이러한 영조 18~19년의 악학(樂學) 사업은 영조 재위 20년을 전후로 “예악형정(禮樂刑政)”을 상징하는 서적 등이 대대적으로 출간되는 것과 근접한 시기에 이루어졌으며, 영조 17년 이후 정권이 안정되었음을 상징하는 조치 중 하나였다. 이후에도 영조 25년 홍무제의 황단 배향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하황은」을 이용하는 등, 영조는 이후에도 재위 17~19년을 전범(典範)으로 하여 예악을 통해 군주의 권위를 확립하려 시도하였다. 이 기간을 거치면서 악(樂)은 국초의 황은과 “대거예악(大擧禮樂)”의 시대인 세종 조, 그리고 현재의 영조 조를 연결하는 매개체가 되었으며, 영조는 이를 당대와 후대의 정치 무대에서 활용했다. 이는 영조 17년 이후의 정치적 상황이 안정되었음을 상징하는 장면 중 하나로, 영조가 자신의 대에 정비된 “예악형정(禮樂刑政)”의 양태를 과시하는 데도 기여하였다. King Yeongjo (r.1724~1776) of Joseon Dynasty showed great interest in courtesy and music during his reign. In other hands, he exercised stable political power after the 17th year (1741) of his reign. His interest in music from the 17th to 19th year of his reign and the national projects based on this interest are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exercise of his royal authority. The project to project to make the instruments to play East-Asia Courtesy Music used at hwangdan, which was proceeded at the 17th year of his reign, started incidentally. At first, King Yeongjo didn’t intervene directly in the project. However, after the relics of pyeon-gyeong (East-Asian percussion instrument made of stone) made during the period of King Sejong had been discovered, King Yeongjo showed great interest in it, examining those relics in person. From this time, King Yeongjo actively met members of Akgi Joseong-cheong (Office for producing musical instruments), represented by Yi Yeondeok. Furthermore,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strument-making project, he displayed special interest in the produc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proceeded related projects. Considering the chronological sequence, it can be estimated that King Yeongjo used the instrument project to politically reinforce his royal authority. Those events became the background of the republishment of Akhawgwebeom (Book on the Standard of Musical Study) at the 18th year of his reign. When this book was republished, he drew up The Short Preface of Akhakgwebeom by King Yeongjo. In this text,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mperial benevolence at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great development of courtesy and music” at the period of King Sejong, and the projects of King Yeongjo himself to reorganize music. In addition, using the book as a medium to remind bureaucrats of jin-yeon (court banquet) at the time of King Sukjong, he uttered the words accentuating filial piety, showing his favorable attitude toward King Sukjong. Although there were difficulties, he finally holded eo-yeon (royal banquet) in the 19th year of his reign. King Yeongjo directed to use hymns including Hahwangeun (Hymn to appreciate the imperial benevolence) during yangroyeon in this eoyeon event. Especially in the Ha-hwang-eun, he included a new poetic literature that he recomposed himself to emphasize honoring the Ming dynasty and maintaining loyal righteousness. He also had it contained into The Short Preface of Akhawgwebeom by King Yeongjo on Akhawgwebeom. Like this, by intervening in these events in person, he disclosed his will on political ideology. Those projects on music from the 18th to 19th year of his reign were accomplished around the period of the publishment of the books on “courtesy, music, law enforcement, and political principle”, which was near the 20th year of his reign, and they symbolized the stabilization of the regime after 17th year of his reign. Even after the period, he tried to reinforce the royal authority through courtesy and music, establishing the period of 17th to 19th year of his reign as a standard. Going through the period, music became the medium that linked the initial stage of Joseon Dynasty which was the years of the imperial benevolence, the period of King Sejong when “courtesy and music were greatly developed”, and the period of King Yeongjo himself. King Yeongjo utilized this not only in his period of reign but later. As a proof symbolizing the stability of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17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it contributed to his showing off the “courtesy, music, law enforcement, and political principle” which were reorganized during his reign.

      • KCI등재

        毗有 王代 倭의 都督6國諸軍事號 문제와 百濟의 대응

        윤태양(Yun, Tae Ya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서강인문논총 Vol.0 No.58

        이 글에서는 毗有王(재위 427~455) 대 백제의 對倭 외교의 역동적 변화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비유왕대는 이른바 ‘倭 5王’에 속하는 珍・濟가 宋과 교섭한 시기이자, 왜국 왕이 송에 使持節 都督倭・百濟(이후 加羅)・新羅・任那・秦韓・慕韓 6國諸軍事 安東大將軍 倭國王이라는 몹시 독특한 형태의 官爵을 제수하기를 요청하였던 시기이기도 하다. 도독6국제군사호는 438년 시점에는 왜국왕이 自稱한 것에 불과하였지만, 451년에는 일부 수정을 거쳐 끝내 송으로부터 왜국왕에게 실제로 수여되었다. 필자는 이러한 왜국의 도독6국제군사호가 백제・왜국・송 3국 사이에서의 잦은 교섭과 협의를 거친 결과물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신라를 비롯한 한반도 남부와의 역동적인 관계 속에서 당대의 시대 분위기를 설명하려 하였다. 438년에 최초로 왜왕 진이 도독6국제군사호를 요청할 당시, 이는 왜국이 將軍號를 제수하여 자국 내에서의 지방 지배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독자적으로 한반도 지역과 접촉할 명분을 만들기 위한 개념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대외적인 소란에 휘말리는 일을 막고자 하였던 백제는 이에 대해 440년대 송에 대한 사절 파견을 통해 왜국이 도독 6국제군사호를 수여받을 여지를 없앴을 것으로 보았다. 이로 인해 왜국의 외교는 실패하였고 백제와 왜국의 관계는 냉각되었을 것이며, 酒君 사건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450년을 전후한 시기에 백제는 馮野夫로 대표되는 중국계 유이민과 木氏 세력을 이용하여 자국의 남방 영역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려 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이와 함께 백제는 이들 세력을 매개로 한반도 남부와 왜국의 “軍・郡”에 해당하는 유력자의 교섭을 주선하였으며, 필자는 두 나라 사이에 이러한 합의가 이루어진 결과물이 451년 도독6국제군사호의 수정・승인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더 나아가 왜왕 제가 사망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459년 전후까지, 이러한 교섭의 형태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In this paper, I tried to discover the dynamic changes during King Biyu(毗有王) of Baekje’s era. That era was the time when King Chin(珍) and Sai(濟) of Wa state entered into a political relationship with Song(宋) dynasty of South China. In this relationship, also, two kings of Wa State demanded the title ‘The Chief Controller(都督) who has the Staff of Authority(使持節) and Military Supremacies of the Six States, Wa・Baekje・Silla・Imna・Jinhan・Mohan(倭・百濟・新羅・任那・秦韓・慕韓 6國諸軍事), Great General who maintains peace in the East(安東大將軍), King of Wa State(倭國王)’ to Song dynasty. It was just the title given by himself in 438, but with some modifications, that title came to be officially accepted and given by Song dynasty to King of Wa State in 451. I suggest the view that this title could be given to Wa State undergoing several negotiations and discussions among Baekje, Wa State, and Song dynasty. Also, a dynamic relationship of those states with Southern Korea became an important background and atmosphere of them. In 438, king Chin of Wa state attempted to strengthen the domestic hold over Wa region, as well as justify its contact to Southern Korea by appointing himself as a ‘The Chief Controller who has Military Supremacies of the Six States’ and his vassals as ‘Genenral’s in Wa State. But Baekje endeavored not to be entangled with external disputes, so Baekje sent envoy s during 440s to p revent S ong d y nasty to give t he t itle to King of Wa State that he had demanded. As a result, diplomatic policies of Wa State failed and Baekje-Wa relationship worsened. Also, I guessed that Jugun(酒君, Saki-no-kimi) problem occurred in this context. I guess, however, Baekje became to try to collect powers of Mok(木) clan and Chinese immigrants including Fungyabu(馮野夫), nearby Woongjin (Gongju). Its purpose was to strengthen the dominance on its southern part. With this attempt, Baekje mediated trades between “Gun(軍)・Gun(郡)” of Wa State and Southern Korea in a non-military form. I think, by this agreement between Baekje and Wa State, the title about ‘The Chief Controller who has Military Supremacies of the Six States’ could be accepted by Baekje and given to king Sai of Wa s tate by Song dynasty in 451. Until 459, when I guess king Sai of Wa state died, I think this relationship maintained stably.

      • KCI등재

        신라 성덕왕대의 정치 질서와 ‘종실 · 척리(宗室·戚里)’

        윤태양(Yun, Tae Ya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20 No.2

        이 글에서는 『三國史記』 「列傳」 金庾信 下 附錄 允中에 보이는 “宗室 ․ 戚里”를 중심으로, 新羅 聖德王 대(702~737)의 정치 질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宗室 ․ 戚里”가 보이는 해당 사료의 시간적 배경은 712년 8월 무렵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愷元 ․ 金元泰 등의 인사를 구심점으로 형성되었던 세력으로, 중시 등 관료들의 인사를 통제하려 하였고 불교에 친화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들의 성격은 마찬가지로 “宗室 ․ 戚里”로 불릴 수 있는, 이후 宿衛 외교에서 보이는 ‘왕족’ 인사 ․ 金順元 등까지 계승되었다고 보았다. 이들과 대립한 비“宗室 ․ 戚里”계 인사들은 允中(允忠)으로 대표되며 유교적 관료제를 추구하면서 “親親”의 논리에 맞서 “善善”의 논리로 비호되었다. 이들은 712년 무렵부터 “宗室 ․ 戚里”계 인사와 대립하며 집단화되어 720년대 중반 이후에는 정권의 주류를 차지하였으며, ‘왕족’을 宿衛 외교에 동원해 국내 정치와 격리시키고 외척을 통제할 적지 않은 권한을 갖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그렇지만 이들의 권력이 일정 이상 강해지자, 후계자인 金承慶(孝成王)은 신충과 김순원 등 “宗室 ․ 戚里”계 인사와 접촉하며 이들을 해체시킨 것으로 보았다. 이와 같이 볼 때, 성덕왕 대 정국 속에서 “宗室 ․ 戚里”의 성격을 재고해 보게 된다. 곧 그들은 그 성격상 오히려 국왕에 의존적이었으며, “宗室 ․ 戚里”라는 집단이 등장한 것 또한 방어적인 의미에서였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효성왕 대에는 “宗室 ․ 戚里”와 비 “宗室 ․ 戚里”계 인사의 대결 구도 자체가 해체되었으며, “宗室 ․ 戚里”는 성덕왕 대의 정치 상황을 나타내는 단어로서 한정된다고 여겨진다. In this paper, I tried to figure out the political order in the King Seongdeok (聖德王)’s era, looking through the record of “Royal Family and Relatives by Marriage(宗室 ․ 戚里)” in the biography of Yunjung(允中) in Samguksagi(三國史記). That record might describe the situation around August 712. The word, I think, means the political faction represented by Gaewon(愷元) ․ Kim Wontae(金元泰). They endeavored to control the appointments of bureaucrats like Jungsi(中侍) and were familiar with Buddhism. The faction might contain people extensively who had similar political direction and could include ‘Royal(王族)’ Guards(宿衛) and Kim Sunwon(金順元). Non-“Royal Family and Relatives by Marriage” faction, including Yunjung, pursued Confucian bureaucracy system and received protection by the slogan of “Be Virtuous to the Virtuous People(善善)”, against the that of “Be Familiar to the Familiar People(親親).” They had become an influential faction around 712 and became a powerful one around the mid-720s. However, the situation had been disadvantageous to the royal successor Kim Seungkyeong(金承慶), who became King Hyoseong(孝成王) later. So, he contacted figures of “Royal Family and Relatives by Marriage”, like Sinchung(信忠) and Kim Sunwon, and made the Non-“Royal Family and Relatives by Marriage” faction dissolved. “Royal Family and Relatives by Marriage” is thought to have been dependent on the king and have emerged to defend itself. The faction was seemingly re-established by King Hyoseong, but because of the dissolution of the political structure itself in the King Seongdeok’s era, “Royal Family and Relatives by Marriage” could not last more as a political fa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