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췌장의 악성 글루카곤종: 1예 보고

        윤지영,정종길<SUP>1<.SUP>,정웅길<SUP>2<.SUP>,박미옥<SUP>3<.SUP>,Ji Young Yun,Jong Gill Jeong,M.D.<SUP>1<.SUP>,Ung Gill Jeong,M.D.<SUP>2 <.SUP>and Mi-Ok Park,M.D.<SUP>3<.SUP>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02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2 No.2

        Glucagonomas are rare pancreatic tumors of islet ahpha-2 cells. Less than 430 case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and 210 cases are malignant tumors. In generally, the tumors typically present with a characteristic constellation of symptoms including necrolytic migratory erythema of the skin, weight loss,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nemia, cheliosis, stomatitis, and an increased thrombotic tendency. Since pancreatic glucagonomas are predominantly located in the tail and findings of radiographic or sonographic examination can remain unspecific, patients often present already metastasis when diagnosis is first established, and can be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the other pancreatic tumors. We report the case of a 59-year-old woman with an malignant glucagonoma of the pancreas infiltrating already the spleen and presenting metastatic lesion in perirenal lymph nodes, and that the tumor was not assocated with the characteristic skin rash. The pateint with a past history of a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for 9 years was admitted with cramp-like left lower abdominal pain, watery diarrhea, and nausea. A solid tumor of tail of the pancreas revealed by ultrasonography and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and distal pancreatectomy, radical nephrectomy, and splenectomy were performed. Immunohistochemial examination of the tumor did show glucagon-reactive tissue and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many secretory granules, 180 to 300 nm in diameter in granulated cells. After pancreatic tumor resection, the patient had normalization of plasma glucagon and blood sugar. (Korean J Endocrine Surg 2002;2:120-123)

      • KCI등재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 표현력의 매개효과

        서윤희 ( Seo Yun-hee ),윤지영 ( Yoon Ji-yo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행복감 및 자기 표현력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 표현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4~5세 유아 40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행복감, 자기 표현력의 관계에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 표현력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행복감, 자기 표현력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음악적 흥미와 자기 표현력, 자기 표현력과 행복감으로 가는 경로가 모두 유의하였으며, 유아의 음악적 흥미는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 표현력은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음악적 흥미가 자기 표현력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유아의 행복감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interest, happiness, and self-expression and to identify mediating effects of self-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musical interest and happiness. The questions pos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o that end, we collected data from 406 children aged 4 to 5 years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public daycare centers, workplace daycare centers, and private daycare centers located in Changwon, Gyeongsang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and The research hypotheses established in this study were verified using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sical interest, happiness and self-expression of the young children, there was a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usical interest, happiness and self-expression of the young childre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interest and happiness of young childre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interest, happiness and self-expression of young children. In addition, all the paths to musical interest, self-expression, and happiness are significant, and musical interest of young children is shown to have a direct influence on happiness. Therefore, self-ex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musical interest and happiness. It signifies that young children's musical interest has not only a direct effect on happiness, but also through the medium of self-express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musical interest of young children influences the self-expression and ultimately help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 권위주의적 모(母)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술 수행능력의 매개효과

        윤지영 ( Yun Ji-young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3 미술심리치료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미술수행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아동패널연구 10차년도 자료 중 594명의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母)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미술수행능력은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母)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이 매개변인인 미술수행능력이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하여 외적 환경인 부모(母)의 양육행동과 함께 아동 개인의 내적 환경인 미술수행능력의 개발 역시 중요하다는 것에 대하여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rt perform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uthoritarian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overall happiness. To this e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using data collected from 594 children and their mothers among the 10th year of the Korean Child Panel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authoritarian parenting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overall happiness. Second, children’s art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overall happines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authoritarian parenting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overall happines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rt performance, a mediating variable,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overall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given to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art performance, an individual’s inner environment, along with the parenting behavior of parents, which is an external environment, to promote children’s overall happiness.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복지관 프로그램 운영자의 옥상녹화 구성요소 선호도

        윤지영 ( Ji Young Yun ),강은지 ( Eun Jee Kang ),강현경 ( Hyun Kyung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장애인들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복지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옥상녹화지의 공간, 시설 및 식재식물,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대상지는 세 지역으로 전원형태의 복지관인 남양주 장애인복지관, 도심형의 서울 장애인복지관, 전원과 도심의 중간형태를 띠고 있는 시흥 장애인복지관을 선정하여 대상지별 특성에 따른 선호도 차이에 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지역 모두 50%이상이 복지관내 옥상녹화지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용목적으로는 산책과 대화의 장소로서 옥상을 활용하고 있었다. 시설물 선호도는 세지역에서 벤치, 파고라, 휴지통 등 휴게시설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식재식물은 허브식물, 관상수 등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을 선호하고 있었다. 공간선호도의 경우 텃밭, 체험실습장, 생태습지 등 원예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자연체험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는 휴식공간과 함께 장애인들의 자연학습공간으로서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선호 프로그램의 경우 자연체험프로그램(28.9%)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원예프로그램(27.0%) 순으로 나타나 옥상에서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를 단순 휴게의 공간뿐 아니라 장애인들의 자연체험, 원예치료공간으로서 치유기능을 부각시킬 수 있는 녹화구성요소의 차별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ive use of green rooftop space, facilities and gardening, targeting members from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with disabilities. The thre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studied were, Namyangju Center located in a rural area, Seoul Center located in a urban area and Siheung Center located in both a rural and urban area.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on the basis of each local community area. In fact, it indicated that 50% of each center knew about the green rooftop at their facilities and its use as a place for taking walks and conversation, It also showed that there was the high preference for priority objects such as a bench, pergola and trash can, Also the preference for natural visualizations like herbal or ornamental plants. The study showed a high preference to a small vegetable plot, hands on gardening and ecological wetland. It also indicated that there was a high preference for experience in nature programs on the rooftops (28.9 %) versus the rate of horticultural programs (27%). Therefore, it proves that the composition of a green rooftop at a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should be differentiated so that the green rooftop can be a place not only for resting, but also great for a natural learning experience and gardening therap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윤지영(Yun, Ji Young) 한국비서학회 201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해 어떤 변인이 고려되어져야 하는 지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학생활적응을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으로 나누었으며, 이러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전공선택동기 변인 중 개인적 전공선택동기와 사회적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변인 중 일반적 관심에 대한 전공만족과 사회적 인식에 대한 전공만족, 직업가치관 변인 중 외재적 직업가치관과 내재적 직업가치관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수도권 지역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1, 2학년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으로 392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은 모두 보통의 수준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선택동기 하위변인 중 개인적 전공선택동기는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하위변인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전공선택동기는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응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도 하위변인 중 일반적 관심에 대한 전공만족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인식에 대한 전공만족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응과 대학환경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가치관 하위변인 중 외재적 직업가치관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재적 직업가치관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 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e, major satisfaction, and work values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Juni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College life adjustment was divided into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adjustment. Major selection motive has sub-variables such as personal motive and social motive; major satisfaction has sub-variables such as major satisfaction on general interests and major satisfaction on social perception; work values has sub-variables such as inner work values and outer work values. Data was collected from samples of 392 students in four junior college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rawn; First, the level of college life adjustment, major selection motive, major satisfaction, and work values proved to be above-average. Second, personal major selection motiv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four fa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while social major selection motiv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djustment. Third, major satisfaction on general interest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four fa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while major satisfaction on social percep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adjustment. Four, outer work value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adjustment while inner work value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adjustment.

      • KCI등재

        나오시마에서 나타난 해양지역 재생의 특성과 유기적 디자인 연구

        윤지영(Yun, Ji Young),변철(Bian Zh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본 논문은 나오시마의 지역 재생에 나타난 자연, 예술, 건축의 유기적 특성과 지역성과의 관계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첫째, 재생 프로젝트를 주도한 안도 다다오의 미술관 건축과 예술, 자연과의 유기적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둘째, 나오시마의 장소성과 지역성과 연계하여, 주민 참여로 이루어진 아트프로젝트에 대해 분석하였다. 셋째, 나오시마 해안의 옥외 예술 작품을 통해 표현된 해양성과 지역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오시마가 이루어가고 있는 지역 재생의 목표인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회복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고, 한국에서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지역 재생을 위한 고려 사항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사례분석, 방문 관찰 및 종합분석의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적 재생으로, 나오시마는 더 이상 산업 폐기물의 섬이 아니라 안도 다다오와 21세기 최고의 예술가가 융합하여 만든 미술관이 있는 건축디자인의 명소가 되었다. 안도 다다오의 건축이 보여주는 추상성과 극단적 절제미가 제임스 터렐, 월터 드 마리아의 예술작품과 나오시마의 자연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건축, 자연, 예술과의 관계를 승화시키고 있다. 둘째, 사회적 재생으로,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나타난 지역성의 부활과 주민 참여 정신을 들 수 있다. 낙후되고 버려진 폐가물들이 일본 예술가들과 주민들에 의해 예술 문화의 장소로 재생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역공동체 의식이 회복되고 나오시마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이 생겨났다. 셋째, 문화예술의 재생으로, 이는 나오시마의 해양성과 깊이 연계되어 있다. 나오시마의 해안은 그 자체가 광대한 옥외 전시 공간이 된다. 빈부, 교육의 차이없이 공공문화를 누구나 향유하고 즐기는 공공 문화이다. 넷째, 지역 경제적 재생으로, 세 개의 미술관과 관련 시설들은 주민들에게 새로운 직업을 제공하고 경제적으로 회복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organic relationships among architecture, art and nature, and the regional recovery shown in the regeneration of Naoshima. Literature review was done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cases of urban or regional regeneration as well as to look over the organic relationships of Ando Dadao’s architecture and nature. Also, by visiting the site- Naoshima, the organic design between three galleries built by Ando Dadao and art works of James Turrel and Walter De Maria were analyzed. The outdoor works and the renovation of old houses of Naoshima as an art space were also thoroughly looked over.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success of the regeneration of Naoshima resulted from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the process of art projects in the old houses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identity as marine island. In conclusion, four factors including 1)renovation of physical environment, 2)recovery of social community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the process, 3)appropriate introduction of culture and arts based on the regional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and 4)economic activation should be totally considered for successful regeneration.

      • KCI등재

        일본인의 `숲`의 가치관에 따른 `Mori-Girl` 패션 트렌드 및 조형성 분석

        윤지영 ( Yun Ji-young ),이노미 ( Lee No-m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3 No.-

        본 연구는 내추럴하고 소녀적인 이미지의 패션 표현뿐만 아니라 라이프스타일에 있어서도 여유롭고 자유로운 경향을 보이는 일본의 `모리 걸(Mori-Girl)` 패션에 대한 이론적 정초를 통해 모리 걸 패션 트렌드와 조형성을 밝힘으로써 모리 걸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신(神)들이 사는 `숲`을 경외시하는 일본 특유의 가치관이 반영된 모리 걸 패션은 편안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현대여성들의 기호에 부합하여 일본의 독특한 자연관을 현대 패션에 접목한 사례로 주목할 만하다. 먼저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모리 걸에 대한 개념과 유래, 기원 등의 연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리 걸의 의상과 헤어, 메이크업, 가방과 신발, 장신구와 관련된 패션 트렌드를 순차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숲`의 가치관에 나타난 모리 걸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추출하였다. 의상, 헤어, 메이크업, 가방, 신발, 장신구 등에서 모리 걸의 고유한 특질인 `숲`의 가치관에 대한 작품들을 검토하여 그 조형성을 추출한 결과, 모리 걸 패션의 조형성은 모방을 통한 독창성과 혼종성, `숲`과의 조화를 위한 자연 친화성, 귀여운 감성적 표현의 여성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일본의 모리걸 패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현대에 나타나는 패션의 특성을 그들의 가치관과 연결시켜 분석한 독창적인 연구로써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며, 모리 걸 패션에 나타난 일본인들이 지니고 있는 `숲`의 가치관에 따른 새로운 조망의 조형성 분석은 모리 걸 패션의 국내인식에 대한 전환점을 모색할 수 있는 이론적 단초를 제공함으로써 관련 논의에 활기를 불러 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ri-Girl fashion trends based on Japanese unique value, and to extract the formativeness of Mori-Girl fashion. It is worthy of attention example which is combined with modern fashion and Japan`s unique view of nature. Mori-Girl fashion reflects the value of `forest` and relaxed style in modern women. We researched the concept of the Mori-Girl and identified the origin. Based on this, we examined Mori-girl`s costume, hair, makeup, bags, shoes, and accessories related to fashion trends. Also we extracted the formativeness of Mori-Girl`s fashion based on the value of `forest`. As a result, the formativeness of Mori-Girl is the uniqueness and hybridism through the imitation, the natural affinity for harmony with `forest`, and the feminity expressed for cute emotion. It is significant and unique research for connecting the value and fashion characteristics, and it contributes to new research. This new aspect of formativeness analyzing is seeking to the turning point of perception in domestic about Mori-girl fashion and is expected to activate the theoretical discussions.

      • KCI등재

        비서 관련학과 직업윤리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윤지영(Yun Ji-Young) 한국비서학회 200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4 No.1

        비서직 직업윤리란, 비서직 종사자가 지녀야 할 직업윤리로 정의되며, 직업일반의 윤리와 비서직 특수직업윤리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비서 관련학과의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비서 관련학과 교수와 현직 비서의 인식을 조사하여, 비서 관련학과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의 필요성, 비서직 직업윤리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 비서 관련학과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의 적절성,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사내 직업윤리교육의 경험 여부와 실효성에 대한 인식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현재 40개의 비서 관련학과 중 12개 학과와 7개 학과에서 각각 직업일반윤리 중심의 교양과목과 비서직 특수직업윤리 중심의 전공과목으로 직업윤리 과목을 개설하여 교육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에 대해 대부분의 조사대상자가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며, 비서 관련학과의 교과과정을 통해 가장 비중있게 다루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나, 현재 비서 관련학과의 비서직 직업윤리교육 적절성에 대한 인식 결과는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는가의 질문에서 보통이거나,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과 중요도에 대해 비서직 특수직업윤리교육이 직업일반윤리교육보다 더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았고, 과목의 구분에서는 전공과목으로 하거나, 비서실무 등의 과목에 포함시켜 실시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은 교양과목 중심에서 벗어나 전공과목으로서 발전해야 하며, 이를 위해 비서직 직업윤리 과목의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육 과정과 교재, 수업방법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한다.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increased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vocational ethics educatio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secretarial scienc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a)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vocational ethics education for secretarial science department in junior college and university, and (b) to search for its desirable guides and directions. For this purpose. the face to face personal interviews with the expert group and the questionnaire surveys of professors and secretaries were conducted aft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being closely review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disclose their recogni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 vocational ethics education and its present conditions, and to suggest the future improved directions for it. The researcher compared the attitude of professors and secretaries toward the vocational ethics education for secretarial science. Encouraging findings from this study include that (a) professors and secretaries at large place importance on the vocational ethics education for secretarial science, more emphasizing the specific vocational ethics education than the general one, and (b) they highlight the current vocational ethics is insufficient with a number of possible reasons, such as lack of concrete and practical curriculum, teaching materials, instructions, etc. Compared with secretaries, professors take the more negative look at the real situation. In order to make students aware of and well prepared for ethical dilemmas that may arise in the workplace, the contents and the curriculum of specific vocational ethics education in school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