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억의 상호매체적 구성: 알랭 레네의 <히로시마 내 사랑>과 홍상수의 <하하하>

        박영선 ( Young Sun Park ),윤준성 ( Jun Sung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3

        사진, 영화 매체와 기억의 관계에 대한 앙리 베르그송과 질 들뢰즈의 철학적 담론, 그리고 프리드리히 키틀러와 폴 비릴리오를 비롯한 매체이론가들의 담론은 사진과 영화 매체의 발명이 근대인의 기억 형식 자체를 구조화했음을 시사한다. 2차대전에 대한 개인적 기억의 문제를 다룬 알랭 래네의 <히로시마 내 사랑>과 여행과 연애를 둘러싼 개인적 기억의 문제를 다룬 홍상수의 <하하하>는, 사진 매체가 지닌 과거적 사실화와 탈현재화 기능을 영화 형식 속에 전용하여 영화적 현재성과 충돌 또는 중첩시키는 각각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히로시마 내 사랑>의 경우, 제2차 세계대전에 관한 기록사진과 다큐 필름, 두 주인공의 보이스 오버 내레이션 등을 교차 편집함으로써 동일한 역사적 사건을 겪은 두 개인의 서로 다른 기억이 충돌·반전되는 히로시마/느베르라는 새로운 기억의 시공간을 구성한다. <하하하>의 경우, 사진적 과거성과 영화적 현재성이라는 기존 문법을 도치시키고, 여행과 연애라는 일상적 사건을 둘러싼 서로 다른 개인들의 엇비슷한 기억들을 중첩시키는 방법론을 통해 서울∩통영이라는 새로운 기억의 시공간을 구성한다. 사진과 영화의 상호매체적 구성을 통해서, 두 작품은 공식 기억의 경계를 이탈하여 부유하는 개인들의 다양한 기억들에 새로운 시공간 형식들을 부여하고, 과거 대상의 재현에 구속되어 오던 기존의 기억 개념을 ``구성 가능한 기억`` 개념으로 전환시킨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hodological construction of individual memories in Alain Renais`s Hiroshima Mon Amour and Sang Soo Hong`s Hahaha, on the theoretical hypothesis that memory has deep relations with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media. In its medial property, photography fixes experiential time into instant images, and film makes every tense into the present. But appropriating photographic media and the technique of montage, Renais and Hong deconstructed the limit of traditional grammar of film, and then created new concept of memory. Their new concepts of memory can be considered as the alternative and artistic response to the age of digital media.

      • KCI등재

        체현감각: 뉴미디어 예술의 경험에 대한 고찰

        송원진 ( Won Jin Song ),윤준성 ( Jun Sung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본 논문은 뉴미디어 예술을 경험할 때 인간의 신체와 정신, 뉴미디어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나타나는 경험을 ‘체현감각(Embodied Sense)’이라 부를 수 있음을 제안하고, 동시대 뉴미디어 예술작품들을 사례로 분석하여 체현감각의 이해를 구체화 한다. 현상학자 모리스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Ponty)와 인지 언어학자인 조지 레이코프(George P. Lakoff)는 인간의 감각이 단순히 물리적 신체에 국한된 것이 아님을 주장했고, 미디어 이론가 마샬 맥루언(Marshall McLuhan) 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해 인간의 감각이 확장됨을 주장했다. 이러한 인간의 감각과 미디어에 관한 두 가지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뉴미디어 예술에서 인간의 신체, 이성, 미디어를 구분하는 것보다 긴밀한 관계와 상호작용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논구하고, 이를 체현감각으로 부르고자 한다. 또한 뉴미디어 예술의 경험에서 이러한 체현감각의 특성을 ‘행위자와 환경의 구조적 결합(structural coupling of actor-environment)’, ‘사회·문화적 맥락의 체현감각(the embodied sense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정보·가상세계의 체현감각(the embodied sense of information and virtual space)’의 세 가지로 나누고, 그에 해당하는 동시대의 뉴미디어 예술작품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뉴미디어 예술작품에서 신체를 통한 감상이 물리적인 반응이라는 우려를 넘어 기존의 감각과는 다른 체현감각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이고, 다양한 현상을 포함하며 확장되고 있는 뉴미디어 예술에서 상호작용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적 틀을 제공할 것이다. The proposal of this paper is about a new term of ‘Embodied Sense.`` It is the aesthetic experience that can be experienced when new media art is closely related to human body, spirit and new media. By analyzing of some cases of new media art works of contemporary, it will be concretized. Phenomenological philosopher Maurice Merleau-Ponty and George P. Lakoff, cognitive linguist claimed that human senses are not simply created by the physical body. Also, philosopher of communication theory, Marshall McLuhan argued human have already extended their senses and nerves by the various media. Based on those theories, I argue that we’d better to focus on various phenomena of human senses by interactions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new media art than dividing to human body, spirit and technology. The character of Embodied Sense in new media art works would be divided three parts; Structural coupling of actor-environment, The embodied sense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embodied sense of information and virtual space. I analyze these cases of contemporary new media art works. This study shows the appreciation through body is not physical reaction but the approaching to embodied sense differentiated as standard one. Moreover, this will provide new analytic frame of interaction that contains variety of phenomena.

      • KCI등재

        텔레마틱 인터페이스의 예술적 변용과 의미에 관한 연구

        송원진 ( Won Jin Song ),윤준성 ( Jun Sung Yoon ),김인섭 ( In Seob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4

        본 논문은, 디지털 기술들의 긴밀한 간섭에 위치한 새로운 매체들이 물리적 거리 극복의 갈망을 현실 세계에서 지각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는 점을 보이고, 이로 인해 생겨난 새로운 관계망적 가능성을 실질적인 예술작품을 통하여 논구하고자 한다. 빌렘 플루서(Vil?m Flusser)는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담론형 매체에서 대화형 매체로 구조적인 변화를 일으켰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 고찰을 위해, 본 논문은, 텔레마틱스 (Telematics)라는 물리적 거리 극복의 열망을 기반으로, 미디어아트의 새로운 매체이용이라는 표면적 변화와 내적으로 일어난 감상자의 역할 구조 변화를 관계하여 논구할 것이다. 이러한 역할구조의 변화를 주도하는 새로운 매체는 ‘텔레마틱 인터페이스 (Telematic Interface)``라고 부를 것이며, 이것은 현재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뉴미디어, 컴퓨터미디어, 인터넷 등의 의미를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텔레마틱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작품들의 고찰과 분석은 공간적, 시간적 거리에 대한 논의와 그로 인한 새로운 관계망에 대한 실증을 제공할 것이다. New media(Digital technology to interfere with it) can be perceived the desire that overcomes the physical distance in the real world. This study focuses on the new possibilities arising therefrom networks through works of art. Vil?m Flusser argues that the discourse of media changes structurally into the interactive media In the medium of human communication. I will discuss that the use of media art, new media, with the change in the surface area caused by the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hange and the role of viewers. These roles led to structural changes that the new media will be called as ``telematic interface``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interchangeably for the new media, computer media, the Internet, such as comprehensive means and designations of the purpose. Telematic interface that is based on the study and analysis of spatial and temporal distance of the artwork, will provide proofs for the consequent discussion on the new networks.

      • KCI등재

        멜랑콜리 미학을 통한 로버트 프랭크의 다큐멘터리 사진에 대한 재해석

        김민정 ( Min Jeung Kim ),윤준성 ( Jun Sung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멜랑콜리 미학을 통한 로버트 프랭크(Robert Frank, 1924∼)의 다큐멘터리사진의 재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개인의 고통과 불안한 시대를 지나 온 프랭크는 멜랑콜리적 정서와 힘이 예술의 동력으로 사용되어 자신의 삶과 작업에서 부정의 정서가 새로운 가능성의 의미로 전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멜랑콜리 파토스는 우울하며 슬픈 기색을 의미하지만, 그 부정적 고통의 그늘 반대편에는 다른 긍정의 내용이 있다. 살아있는 생명체로써 멜랑콜리적 삶은 강하고 섬세한창조자로서의 인간이 가지고 있는 힘이다. 미학적 힘의 근원으로서, 멜랑콜리 파토스는 내재된 주관적 고통의 개별적 인식에 따른 경험과 체험의 시간을 겪어낸 자에게 주워지는 월계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는 과거의 우울과 불안은 우리에게 삶의 가능성으로서 다가올 수 있는 것이다. 고대 그리스 학자들로부터 키에르케고르, 니체, 하이데거를 통하여, 비극적 상황의 고통에서 유래한 명랑성이 불안을 자유로 치환한다. 삶을 존재하게 하고 시간의 존재로부터 자유로운 주체로 다시 태어나게 하는 것이 멜랑콜리적 파토스이고 미학적 힘이다. 미학적 힘, 멜랑콜리의 원천으로서의 내재적 공명을 다큐멘터리사진 이미지로 보여준 로버트 프랭크의 작업을 연구하였다. 인권에 대한 인종 편견적태도와 소외, 군중속의 고립, 침울한 권태와 절망의 일상적 미국을 보면서 프랭크는 현실을 직시하였다. 그의 사진은 구체적인 조형성과 말하고자 하는 내용의 전달이 아니라 관객의 해석에 따른 해석학적 관람을 요구한다. 대상에 대한 자신의느낌이 나타나는 사진 이미지는 내적 의미의 발현이며 인간의 삶에 관계되는 의미를 지닌 메타 감정이다. 본인은 대상물로부터 전해지는 주체자의 직관으로 다큐멘터리사진 작업을 한 로버트 프랭크를 멜랑콜리 미학으로 재해석하여 다큐멘터리사진의 미학적 힘을 논구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on The reinterpretation of Robert Frank`s documentary photography through the melancholic aesthetic power. Aesthetic Pathos is a pretty gloomy and blue image, but Aesthetic Power also has an optimistic image as well. That is the power of Melancholic life as a living creature. The living creature is a strong and sensitive creator that is a human being. Through melancholic agony; Despair can be turned into the hope. That is an aesthetic power and the road of melancholic wisdom. Melancholic pathos as an aesthetic power`s origin is a laurel of victory to the human being been through the subjective pain. Greek cheerfulness replaces the despair to free will. An aesthetic power comes from the melancholic pathos. It is for us to have a chance to be born as a fulfillment of the will. That is an aesthetic power of melancholic pathos. Despair as ‘The sickness unto Death’ is an another possibility approached us. The happiness rooted tragedic pessimistic disposition pain change the despair into freedom through the Greek philosophers, Kierkegaard, Nietzsche, Heidegger. Throughout the history, the pessimistic disposition has had effects on all major areas of thinking since Greek tragedy. This form of pessimism is not an emotional disposition as the term commonly used. Melancholic pathos is an aesthetic power that overcoming and transcendence beyond finite being to infinite free subject. I studied on Robert Frank`s works that have melancholic pathos of inner resonance. That is a manifestation of humanism. That is a communication between artist and image. The United states in the 1950s experienced economic growth and highly materialistic periods. Consumerism spread over all western society. Robert Frank`s photographs showed for distanced view of American Society as a immigrant. He saw racial issue, alienation, despair and loneliness of America. He captured a tension of race, class differences in a daily life. He wanted to follow his intuition and his way needed viewers interpretation, not make a narrative story and artistic rule. That shows melancholic pathos and aesthetic power to keep him as an documentary photographer.

      • KCI등재

        영화 <박쥐, Thirst>를 통해 본 시네마의 뉴미디어 되기

        안근영 ( Geun Young An ),윤준성 ( Jun Sung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본 논문은 뉴미디어 시대의 시네마가 변화하며 발전되는 일련의 과정이 뉴미디어로써 지속가능한 확장 가능성을 지닌 매체로써 설명될 수 있다는 가설에서 출발한다. 뉴미디어가 새롭게 등장하는 매체에 따라 그 지위가 전복되는 역설적인 용어인 것처럼, 과거에는 뉴미디어로 다루어진 시네마는 디지털 미디어에 의해 그 지위가 다시 전복된다. 그러나 시네마는 새로운 매체의 등장 때마다 각각의 매체들을 재매개함으로서 새롭게 거듭났다. 이러한 현상은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되기’이론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네마의 뉴미디어-되기는 설득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시네마의 뉴미디어-되기는 시네마가 타 미디어들을 변용하고 수용하는 가운데 미디어들의 경계를 허물어 새로운 시네마로 생성되는 것이다. 시네마가 새로운 형식으로 재정립되는 것은 본 연구의 가설을 입증하는 하나의 이론으로써 그 의의가 있다. 이를 논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영화 <박쥐, Thirst>를 선정하였다. 영화 <박쥐>는 시네마의 본질이 뉴미디어 시대에서 뉴미디어-되기로써 어떻게 감응되는가를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이다. 영화 <박쥐>는 시네마가 변화하지 않으려는 본성과 변화되고 있는 본성의 이중성을 드러내는 시네마의 뉴미디어-되기이다. 본 연구는 욕망을 지닌 <박쥐>의 캐릭터를 시네마의 뉴미디어-되기의 은유로 해석하여 이들을 병치하여 논구한다. In the paper, we set up a hypothesis that the cinema has sustainable expanding possibility as the new media. Historically, the cinema have changed and developed forms. As the new media rollovers its status following the new appearance of the media, the cinema called the new media in the past is overturned its status by digital media. But the cinema turns over a new form through re-mediation. This phenomenon can be understanded as ‘becoming-the new media’ of cinema based upon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s Becoming theory. Becoming-the new media generates new cinema through breaking down other media’s boundaries, transforming and accepting them. The attempt to re-establish a new mode of cinema has a significance as atheory in prov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is study chooses the Korea feature film <Thirst>for a way of demonstration. The film <Thirst> is a vital clue to show ‘becoming-the new media of cinema.’ The film is becoming the new media of cinema to reveal the duplicity of cinema’s essence both that is changing its nature and that resist to be changed. Thus, in the paper, we discuss becoming the new media of cinema to use the characters with desire of the film metaphorically.

      • KCI등재후보

        참여예술로서 커뮤니티 아트에 대한 연구

        송미경(Song Mi Kyung),윤준성(Yoon Jun Sung)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9 No.3

        2000년대 중반부터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시작된 예술프로젝트는 커뮤니티 아트라 불리며 서울, 경기, 인천, 충남 등의 문화재단과 지자체의 재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역안의 구성원인 주민들과 예술가들에게 지역사회를 소재로 참여적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지역 발전을 유도하게 한다. 또한 공동체의 사회문제, 구성원의 갈등을 해결하고 통합하기 위해 기획된 예술프로젝트로서 예술 내부의 특정한 흐름이 정책적으로 선택되며 강화되어지고 있다. ‘커뮤니티 아트(community art) 라는 용어는 커뮤니티와 아트가 결합된 단어로 공동체 기반 예술 혹은 공동체의 이해에서 출발한 공동체 예술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는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로 하며, 예술 내부의 새로운 가치를 발 견하고 예술의 선구조를 마련해가는 문화예술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2년도부터 경기문화재단과 안양문화예술재단이 커뮤니티 기반으로 진행하고 있는 우리동네예술프로젝트 중 박수갈채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논하고자 한다. 지역사회 구성원인 주민들이 관람자에서 참여자와 실천가인 주체로 변화되 고 예술과 생활이 하나 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커뮤니티 아트에 있어 의미있는 기초 작업이 될 것이다. 최근 지역문화진흥법이 통과되면서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그에 비해 여전히 문화와 예술은 커뮤니티 안에서는 추상적인 단어일 뿐이다. 문화 자체가 삶의 총체가 되고. 예술이 되는 과정 속에 주체자인 주민들이 참여적인 과정을 통해 문화예술이 스스로를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 삶과 예술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2000 called art community arts project began based on community from the mid-1990s, done in finance, including Seoul, Gyeonggi-do, Incheon, South Chungcheong Cultural Foundation and the municipality. Members of the local residents and artists, community planning as a material to join a program to induce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to. Also in the arts project was planned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s of the community and members struggle to integrate policy selected specific flow of art inside, has been strengthened. The term Community Arts (community art) interpreted words combined with community and art for community based art or departed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of community art. Said that this required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who discover the art inside the new value and will provide a sonkcio of art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is paper discuss target applause applause project case through out-of-town art projects from fiscal year 2012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and Anyang culture and Arts Foundation has been in community-based. Let s look at the process art and life be one change to the principal participants and practitioners in admission of residents who are the community members. Recently, regional cultural promotion law was passed and the heightened interest in the local culture, but it still and culture and art community in an abstract word, is just that. Culture is life whole. Must seek a new paradigm can recognize that it would become a part of life and art that inhabitants of a participation process during the process of the arts through art and culture themselves happy to 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