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토클리닉 - 왕초보를 위한 사진 촬영 기초 강좌 (2) - 매뉴얼만 익히면 사진촬영이 즐거워진다 -

        윤정인,Yun, Jeong-In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09 光學世界 Vol.121 No.-

        지난호에 필자는 '카메라 매뉴얼을 최소한 10번은 정독하고서 촬영을 나가자'고 강조했다. 장소와 빛에 따라서 조리개와 셔터속도 조절로 인한 노출에 대해서 개념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시간에는 이에 덧붙여 ISO등 노출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다. 조리개, 셔터속도, ISO 등 세 가지만 이해하면 사진촬영의 모든 것을 다 배운 것과 같다. 그래도 개념이 잡히지 않는다면 지금까지의 내용을 반복해서 읽고 실습해 보자, 특히 디카 사용자라면 각각의 셔터와 조리개 변경에 따른 사진의 변화를 바로바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글로만 읽으면 어렵게 생각될 수도 있으나 직접 실습해 본다면 정말 금방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라고 확신한다.

      • 포토클리닉 - 왕초보를 위한 사진 촬영 기초강좌(3)

        윤정인,Yun, Jeong-In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09 光學世界 Vol.122 No.-

        사진을 결정하는 것은 노출 구도 초점 이라 했다. 이 3박자가 완벽하게 되면 정말 좋은 사진을 만들 수 있다. 구도와 초점은 정해진 법칙이 있어서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고 선천적으로 감각을 타고나기도 하지만 노출만큼은 누구도 쉽게 가르쳐줄 수 없을 정도로 정말 영원한 숙제이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열정을 가지고 정말 끊임없이 사진에 시간을 투자하여 많은 사진을 찍어봐야 한다. 노출 구도 초점에다가 '빛'을 보는 시각을 익힌다면 그야말로 자기만의 독특한 작품을 만들어 낼 것이다. 이번호에서는 빛의 방향에 따른 빛의 종류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 포토클리닉 - 왕초보를 위한 사진촬영 기초강좌(5) -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한 '테크닉'

        윤정인,Yun, Jeong-In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09 光學世界 Vol.124 No.-

        세상에는 사진만으로 구사할 수 있는 언어가 있다. 사진에서 차지하는 구도는 사진 제작에서 본질적인 것이며 매우 중요성을 갖는다. 구도의 본질은 구성이고 그 목적은 주제를 강조하고 시각적으로 가장 유효적절하게 나타내려는 것이다. 좋은 구도는 눈을 즐겁게 하면서 관심을 끄는 한편 시각적으로 잘 표현된 사진은 단순한 사물로서의 대상이 아니라 의사소통의 중요한 요소이다. 사진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구도까지 공부했으니 이제는 왕초보에서 '왕'자를 떼어내고 초보 사진가로서 세상의 보이는 모든 것들을 지휘해보자.

      • SCOPUSKCI등재

        이중원관의 냉각과정에 미치는 과냉각의 영향

        윤정인,김재돌,Yun, Jeong-In,Kim, Jae-Dol,Kato, Toyofumi 대한기계학회 1996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0 No.10

        A fundamental study in cooling and solidification process focused on ice storage was performed, including the interesting phenomena of density inversion, supercooling and dendritic ice. A numerical study was performed for natural convection and ice formation in the cooling and freezing processes with supercooling in a space between double cylinders. When water was cooled under the freezing point by a cooling wall in a cavity, solidification was not started at once, but a subcooled region was formed near the wall. Especially, when the cooling rate was low, subcooled region extended to a wide area. However, after a few minutes, supercooling is released by some triggers. Dendritic ice is suddenly formed within a subcooled region, and a dense ice layer begins to be developed from the cooling wall. Due to the difficulties, most previous studies on solidification process with numerical methods had not treated the supercooling phenomena, i.e. the case considering only the growth of dense ice. In this study, natural convection and ice formation considering existence of supercooling and dendritic ice were analyzed numerically with using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boundary fixing method.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were well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 포.토.클.리.닉 - 왕초보를 위한 사진 촬영 기초강좌(1) - 카메라 기능 제대로 알아야 사진과 친해진다

        윤정인,Yun, Jeong-In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09 光學世界 Vol.120 No.-

        사진의 디지털화와 대중화라는 말이 새삼스럽게 느껴지지 않을 만큼 사진은 너무도 친숙한 일상이 되었다. 똑딱이(콤팩트 디지털카메라) 카메라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DSLR(렌즈교환식 디지털카메라)의 보급률도 급속하게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필자의 경험을 비추어보건데 카메라의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줄 아는 이들이 많지 않을 것이라 추측된다. 필자 역시 사진에 대해 깊이 몰랐을 적에는 항상 '자동(AUTO)모드'로만 촬영을 했다. 이후 자치구 문화원에서 사진에 관한 평생학습과정을 수료하고 사진동아리 활동과 함께 일주일에 한번정도 계속적으로 촬영에 나서면서 사진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쌓게 되었다. 사진학과도 나오지 않은 필자가 초보자를 위한 촬영 가이드를 요청받았을때 부끄럽기도 했으나 '과부 심정 홀아비가 안다'는 속담처럼 사진을 배우는 입장에서 다른 초보자들도 필자와 같은 궁금증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용기를 내어 필자가 촬영현장에서 느꼈던 경험들을 쉽게 풀어 설명하고자 한다. 사진에 대해 알아가면 갈수록 사진은 빛으로 쓰는 언어라고 감히 정의를 내려본다. 이번호부터 필자와 함께 빛을 찍는 사진의 세계를 같이 탐구해 보도록 하자.

      • KCI등재

        공법분야 투고논문 : 마그나 카르타와 저항권

        윤정인 ( Jeong-in Yun ),김선택 ( Seon-taek Kim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2 No.4

        1215년 6월 15일 영국의 러니미드 초원에서 40인의 봉신들의 압박하에 존 왕이 날인함으로써 마그나 카르타가 탄생하였다. 이후 마그나 카르타는 몇 차례의 개정과 왕들의 반복된 승인을 통해, 그리고 영국의 실정법 속에 반영됨으로써, 영국 헌정에 깊이 뿌리내리게 되었다. 나아가 마그나 카르타에 담긴 - 이후에 매우 중요한 헌법적 원리 및 제도로 발전된 - 원칙들은 영연방, 미국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들의 헌법제정에 참고가 되었고, 세계인권선언 등 보편적 차원의 인권보장규범의 제정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이 글에서는 마그나 카르타에 포함되었던 저항권의 의의와 내용, 후대에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저항권이란, 국가권력에 의해 헌법질서에 중대한 침해가 이루어졌을 때 국민이 자신의 자유와 권리를 지키기 위하여 국가권력에 대하여 실력으로 저항하는 주관적 권리를 의미한다. 마그나 카르타가 성립될 당시 존 왕은 반복된 패전과 과도한 세금 징수로 봉신들과 일반 백성들의 반란 위협을 받고 있었고, 결국 봉신들과 귀족들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양해각서인 마그나 카르타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마그나 카르타는 종래 법의 지배 바깥에서 권력을 행사하며 봉건적 의무를 남용하였던 왕을 국가의 법과 마그나 카르타의 효력에 기속시키게 된최초의 문서였다. 심지어 그러한 내용의 문서를 왕에게 직접 날인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마그나카르타는 그 자체로서 이미 폭정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마그나 카르타는 효력을 관철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제61조를 두고 있었는데, 동 조항은 마그나 카르타를 위반하여 봉신들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한 왕에게 25인의 봉신들이 실효적으로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었다. 즉 왕이 봉신들의 자유와 권리를 함부로 침해할 경우 봉신들이 왕을 제재할 권리를 명시적으로 규정하였다는 점에서 저항권조항이 헌법적 문서에 규정된 최초의 사례로 볼 수 있다. 현대 입헌민주주의 국가들에서, 전제왕정에 대항하여 전개되었던 고전적 저항권사상이나 저항권 논리는 그 현재적 적실성을 의심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부당한 국가권력 행사에 대하여 저항하고, 자신에게 보장된 존엄과 자유와 권리의 보장을 관철할 수있는 수단으로서의 저항권은, 초실정법적 권리로서, 국민주권의 구체적 징표로서 그리고 정법(正法)을 지향하는 인간의 권리로서 여전히 중요성을 가진다. 800 years ago, Magna Carta was sealed by King John under the pressure of forty barons on 15 June 1215. Over time, Magna Carta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English laws and deeply embedded in the constitutional tradition of the Commonwealth states. The clauses in the Magna Carta, which later developed into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institutions, gave great influence on constitution-making in many countries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s such a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significance and contents of the right of resistance contained in Magna Carta and its influence today. The right of resistance refers to the subject right of the people against the exercise of state power when it violated to a great degree constitutional order. In 1215, King John faced with a serious threat of rebellion by barons and other subjects over recurrent defeat in the war and excessive tax burdens. King John had no choice but to make concessions that he should not infringe on the liberties and rights of barons and nobles. Magna Carta made the king’s power bound to the laws of the lan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humankind. In that the king could not help sealing on the Magna Carta against his own will, Magna Carts itself can be called a kind of resistance against tyranny. Moreover, the Clause 61 of the Magna Carta provided that the barons could distrain and distress the king and its possessions when he violated the liberties and rights of the barons enshrined in the Magna Carta. So, the Clause 61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s the first clause of sanction against the king in the constitutional document ever. In modern constitutional democratic states, in which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and its mechanisms are well established, it could be doubted that the right to resistance against the king is still useful. However, the right of resistance is still important because it is a right of resistance against the unjust act of government and a right of asserting own’s dignity, liberty and rights. And it also implies the people’s sovereign power.

      • KCI등재

        헌법재판소는 민주주의의 수호자인가

        윤정인(Yun, Jeong-In),김선택(Kim, Seon-Taek) 한국비교공법학회 2015 공법학연구 Vol.16 No.1

        오랫동안 ‘헌법재판소는 민주주의의 수호자’라는 흔들리지 않는 믿음이 존재해왔다. 이 글에서는 헌법재판소가 민주주의에 실제로 기여하는가, 민주주의의 수호자로서 제도적ㆍ기능적으로 당연히 정당화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헌법재판소는 위헌적 권력행사에 대한 통제, 인권의 보장, 비민주적 악법의 제거나 과거청산을 통해 민주주의의 발전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헌법재판소는 국가권력에 대해 적절한 비토 플레이어 역할을 하지 못하거나 위헌적 권력행사를 정당화해주는 결정을 내리기도 한다. 비교법적으로 봤을 때 민주주의 선진국이 항상 발전된 헌법재판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것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정치문제의 사법화’ 현상이 만연함에 따라, 고도의 정치성을 띄거나 민주적 공론의 장에서 결정되어야 할 사안들이 헌법재판소에 넘겨짐으로써 민주주의로의 이행과 민주주의의 공고화에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반대로, 민주주의로의 이행은 다수의 신생 민주주의 국가들에서 헌법재판소의 설립과 위헌법률심사제도의 도입에 계기가 됨으로써 헌법재판소가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성숙하고 안정된 민주주의 속에서 헌법재판소도 그 존립을 위협받지 아니하고 본연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음을 경험적 증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민주주의의 수호자라고 불릴 자격을 얻기 위하여는, 헌법재판소 스스로 헌법재판소를 낳고 양육한 민주주의 체제를 공고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헌법적 가치에 충실한 결정을 내리기 위하여 부단한 노력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헌법재판소가 본연의 헌법해석 임무에 충실하지 않고 부분적 이익에 봉사하거나 정치적인 권력게임의 일원이 될 경우, 민주주의의 후퇴를 야기할 것이며 결국에는 국민의 신뢰를 잃고 그 존재가치마저 부정당할 수도 있음을 명심하여야 한다. For long, the these: “constitutional court is a guardian of democracy” has been a kind of conventional wisdom. This article deals with the question, whether constitutional court could contribute to the transition to and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actually and could be justified as a guardian of democracy normatively from the point of institutional and functional view. On the one hand, constitutional court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through the control of unconstitutional exercise of political power, judicial guarantee of fundamental human rights, removal of undemocratic laws enacted in the period of authoritarian regimes, etc. However, constitutional court occasionally tends to avoid its role as a veto player in political games or make decisions justifying the exercises of political power, whose constitutionality are very suspicious. Comparatively, the constitutions of established western democracies don’t always have the constitutional court system. And owing to the recently widespread phenomena of judicializing (mega-)politics, the problems with highly political character, which have to be resolved in the public sphere, are handed over the constitutional court. As a result,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is to be delayed or obstructed. On the other hand, the historical transition to democracy in the new democratized countries made the introduction of constitutional review and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al court possible. The historical evidences teach us that only in stable and mature democracies the constitutional court could fulfill its functions faithfully. In order to be qualified as a guardian of democracy, constitutional court has to make sincere efforts to consolidate democracy, which gave birth to and brought up constitutional court. Above all, constitutional court has to make a decision faithful to constitutional values. If constitutional court serves partial interest or makes efforts to gain the favorable position in the political power game, the court will take responsibility for the recession of democracy. In the end, the court will lose the trust from the people and even its raison d’etre.

      • 헌법개정에 있어서 민주적 정당성

        윤정인(Yun, Jeong-In) 헌법이론실무학회 2018 헌법연구 Vol.5 No.1

        민주적 헌법국가에서의 가장 강력한 주권행사의 방식은 국민이 헌법의 제・개정에 참여하는 것이다. 국민은 헌법의 제정・개정권력자로서 헌법의 제・개정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최후의 원천이다. 한 공동체를 법적 공동체로 만드는 시원적 힘을 가진 헌법의 정립작용은 기타의 규범의 정립작용과 질적으로 구분되며, 헌법의 정당성은 궁극적으로 공동체를 구성하는 인민, 즉 주권자의 의사로 소급한다. 따라서 헌법의 제개정은 헌법에 의해 구성된 대의기관에 의하여 형식적・간접적 정당화되는 것으로 족하지 않고, 주권자의 실질적・직접적 정당화를 요한다고 보아야 한다. 더욱이 최근 한국은 민주주의의 쇠퇴와 대통령 탄핵 등 헌정의 위기를 국민의 적극적 참여를 통해 극복하였다. 촛불혁명을 통하여 중대한 헌정사적 기회를 스스로 만들어낸 국민들이 새로운 국가디자인을 위한 헌법개정에 참여하는 것은 국민들의 요구인 동시에 시대적으로 요청되는 바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행법제도나 정부, 국회의 개헌추진방식은 개헌절차에서 국민의 최소한의 참여만을 보장하고 있다. 과거에 국민의 대표에게 헌법개정을 비롯한 모든 국가의사결정을 위임할 수밖에 없었던 물리적・기술적 조건들은 극복되고 있다. 실제로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멕시코시티주 에서는 크라우드소싱 방식을 이용하여, 광범한 국민참여를 통한 헌법개정을 추진한바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헌법개정에서의 민주적 정당성의 본질을 밝히고,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이번 헌법개정은 국민이 주도하는 절차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며, 국민이 주도한 헌법개정이 이루어진 외국의 사례를 소개한 후 한국에서의 크라우드소싱에 의한 헌법개정 가능성과 그 실익에 대하여 전망하였다. The most powerful way of exerting sovereignty in the constitutional democratic state is making or remaking of a constitution. The people, who have an authority over the constitution, is the final source of legitimizing the constitution-making.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a constitution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e establishment of other lower norms, the legitimacy of the constitution ought to stem from the people’s will. Thus, it is not enough to legitimize the constitution-making process formally and indirectly by the representatives, or rather, the people must legitimize the constitution-making substantively and directly. Recently the Korean people broke through the constitutional crisis by active participation in politics: so-called “Candlelight revolution”. So it is required as well as it is a requirement from the people, who certainly created the constitutional momentum, to participate in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process, which means redesigning the country. However, neither the Korean Constitution nor the current steps to amend the Constitution by the government and the parliament guarantee the people’s substantial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constitutional amendment. But, in fact many physical and technical conditions which set the limit on the direct democracy has changed. Moreover, in comparative perspective, constitution-making cases with crowdsourcing measures in Iceland, Ireland, and Mexico City are very inspiring and encouraging.To sum up, this paper will commit to the democratic legitimacy in the constitution-making and emphasize that the upcoming constitutional amendment should be led by the people, considering the constitutional momentum in Korea. Accordingly, this paper will introduce comparative cases which performed the crowdsourcing constitution-making and will discuss the applicability and the benefits of the constitution-making process with public participa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