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ing Lear의 연구와 공연을 통해 본 한국에서의 쉐익스피어 이해

        윤정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4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45 No.-

        The first essay on King Lear in Korea was written in1955 by Chung-woo Choi.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cultural activities declined greatly in Korea. It was only after the Korean War in 1950 that the study of Shakespeare became active and began to plant its roots in the Korean culture.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how the process of the study and stage production of Shakespeare in Korea through the study of King Lear, known as the greatest work among all Shakespearean drama. First, a study was made of twenty-six essays on the criticism of King Lear in Korea, followed by a chronolog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viewpoints and the approaches of the critics these essays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character analysis, pessimistic approach, affirmative approach, historical approach, and objective approach. Critical writings on King Lear in Korea is not as varied as those in England. There, we can find some imagery, historical approach or character analysis, while the main flow in Korea is textual interpretation. It is remarkable that the critics' interpretations differ greatly and sometimes entirely contradict with one another depending on their viewpoints. Nevertheless, in general the tendency of the interpretation of King Lear in Korea is toward pessimism. The study of King Lear in Korea is more a struggle to keep pace with the scholarship of western countries rather than an original study of the work itself. However, when we consider the short history of our study of Shakespeare and also recognize that Shakespeare is not our native but a foreign literature, we have made great improvement in a short period. Certainly it is important to know the tendency of the scholarship of Shakespeare in western countries, and to keep pace with it. It will also be as important to indigenize Shakespeare into our country and to see and interpret his work from our own viewpoint, for Shakespeare is not only the poet of England but also of the world. Among the four different Korean productions of King Lear, (in 1973, 1982, 1983 and 1984), the most recent, produced by Min-soo Ahn, was the best not only in terms of indigenization but also in terms of stage production. This production alone showed us a symbolic, rather sparce, stage setting with less restraint, and consequently more appropriate to the play itself. Min-soo Ahn presented to us the Lear of our time, a Lear with a golf club or a Lotte shopping bag. The characters were modern western costumes, ones which are worn today. The play opened and closed with songs and dances of the Fool and the jesters. The interpretation of the play in this production was the tragedy of King Lear both seen by and played by the fools. This play almost became a comedy beyond the grotesqueness of the play. This change seems to represent the indigenization of Shakespeare into Korea, for in our country there are thousands of sad stories but few tragedies in the traditional sense. There are sad protagonists who suffer and mourn their fate but few tragic heroes or heroines who defy their fate with hybris. In this production, we saw that the sorrow of Lear was moderated and almost twisted into comedy beyond grotesque. And yet this production was the most lively and organic among the four. It has, however, unfortunately lost the great depth, breadth and height of the tragic hero of the English Renaissance.

      • Lear王의 정신적 성장 과정 : 폭군에서 슬기로운 인간이 되기까지

        尹貞恩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69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14 No.-

        1. Lear cannot read the true love of Cordelia from her "young and true" expression. 2. Lear divides his kingdom between his two elder daughters, Goneril and Regan. 3. When Goneril talks against Lear's rude knights, Lear opens his eyes for the first time to tarsh reality. 4. When Regan turns him out, Lear begs for the minimum necessities of a man on his knees. 5. In a storm he begins to realize there are flattery and truth in the world. 6. He curses Goneril and Regan saying "I am a man more sinn'd against than shinning" but never realizes how he has unjustly treated Cordelia and Kent. 7. He begins to be aware of the existence of others and comes to understand their needs. 8. He prays for heavenly justice. 9. He overcomes the idea of revenge seeking for bare reality and truth. He symbolically takes off his clothes and goes mad. 10. He learns to forgive. 11. He recovers from his madness. 12. He learns to ask for forgiveness. 13. He realizes that "love" is the ultimate joy of life that he can reach and he appreciates his prison life with Cordelia. 14. Cordelia is hanged. Lear despairs, but seeing life on Cordelia's lips he dies with unbearable joy. He finds life in death.

      • Harmony of opposites in Antony and Cleopatra

        尹貞恩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74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24 No.-

        Antony and Cleopatra는 公的인 두 成人의 私的인 사랑의 이야기이다. 두 成人은 나라를 대표하는 통치자였다. 따라서 그들의 사랑의 이야기는 곧 당대의 역사의 이야기이기도 했다. Shakespeare는 이 작품에서 초대의 인간의 무대를 우리에게 보여 준다. 지리적으로는 Alexandria, Rome, Messina, Syria의 들판, Athen, Actium 근처 등 지중해 일대를 무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토록 넓게 잡고 있는 무대였지만 Octavius, Lepidus 그리고 Antony 등의 거물이 나누어 활동하기엔 이 세계는 너무나 비좁았다. 이 작품은 Romeo and Juliet의 단순한 사랑의 긍정과 Troilus and Cressida의 단순한 사랑의 부정이 통합된 사랑의 역설적인 긍정을 보여주고 있다. Antony and Cleopatra에서는 반대되는 두 힘이 조화를 이루어 새 세계를 창조해 나가는 오묘한 진리를 볼 수 있다. 즉 女性과 男性, 東洋과 西洋, 仁間性과 神性, 歷史와 永遠, 이승과 저승, 바다와 땅, 부패와 결실의 대조적인 兩面이 대립하고 조화를 이루며 부딪히고 얼켜가며 새 세계를 만들어 나간다. 이 연극은 Antony 가 색정에 빠져 있는 상태를 통탄하는 Philo의 말로 시작된다. 그러나 같은 첫 장면에서 Antony는 자신의 사랑이 이 지상에는 담겨질 수 없는 정도의 거대하고 신성한 것이라고 말한다. 그에게 있어 왕국은 한줌의 흙덩어리요 지구는 더러운 것이다. 그의 사랑을 담기 위해서는 새 하늘과 새 지구를 찾아내야 한다. 이와 같이 저들은 神性과 세속性의 兩極이 얽힌 사랑속에 이 세상을 걷어찬다. 그러나 그들은 여전히 이 세상의 통치자로서 살아가고 있다. Antony는 비록 왕국을 한줌의 흙덩어리로 보리만큼 사랑에 빠진 사람이기는 하나 그에게는 세계의 지배자인 무사로서의 또 하나의 충동이 있다. <로마의 생각>이 그에게 닥쳐오자 그는 그를 묶은 Cleopatra의 사랑의 사슬을 끊고 만류하는 그녀를 박차고 로마로 돌아간다. 여기에 무사인 동시에 사랑의 조인공인 Antony 의 갈등이 있다. Antony의 사랑이 불탈 때에 냉냉하던 두 사람의 관계는 또한 음양처럼 대립적인 조화가 결합을 이룬다. Antony는 Octavius Caesar의 누님 Octaviad와 정책적인 결혼까지 해가며 세계의 지배자로서의 삶을 새롭게 시작한다. Pompey의 배 안에 모여 잔치를 버리고 있는 세계의 분담자들인 Octavius Lepidis, Antony 그리고 Pompey의 모습은 온 세계가 한배 안에 모여 있는 장관이다. 세 사람의 목을 잘라 세계를 독차지하라는 부하의 권고에 왜 알리지 않고 해치우지 않았냐고 나무라면서도 명예 때문에 세계의 독차지를 포기하는 Pompey, 實力에 넘치게 술을 마셔 정신을 잃은 채 남의 등에 업혀 실려나가는 <세계의 三分의 一>인 Lepidis, <중대한 임무>를 위해 때(time)의 주인이 되려고 애쓰고 있는 Octavius Ccaesar, 그와는 반대로 <때>의 총아가 되어 마음껏 마시며 때와 하나가 되어버리는 Antony등 각자의 모습은 저들의 미래의 운명을 예고 하여 준다. 잠시 무사로서 활약을 하던 Antony는 다시 Cleopatra에게로 돌아옴으로 Octavius Caesar와의 전쟁을 일으키게 된다. 이 전쟁에서 그는 Cleopatra에 대한 그의 사랑 때문에 참혹한 패배를 당한다. 그러나 그는 기우는 기세 속에서도 부하들에게 베푸는 그의 지극하고 풍부한 사랑으로 사람들을 탄복케 한다. 그를 배반하고 Octavius에게로 간 그의 부하 Enobabus에 대한 그의 관대하고 지극한 사랑은 마침내, Enobarbus로 하여금 참회속에 自決까지 하게 된다. Antony는 패배후 끊임없이 변하는 구름의 모습에서 자신의 모습을 본다. 잠시 있다 형태도 없이 뒤섞여 녹아 전체 속에 사라지는 구름 같은 그의 삶임을 보는 것이다. 그는 패배와 죽음 앞에 모든 것을 잃으나 Lear같이 항거하지 않으며 비록 슬프기는 하나 Lear와 같은 갈등도 發狂도 고통 끝에 오는 죽음도 없다. 그에게는 <때와 총아>로서의 순응과 도취가 있을 뿐이다. Lear의 세계를 갈등속에 發狂하고 죽기까지 운명에 항거하는 휴맨이즘의 극치라고 한다면 Antony의 세계는 이를 넘어 운명에 조화를 가져오는 종교의 경지라 하겠다. Antony의 죽음은 한 없이 초라하고 비참하다. 그러나 Cleopatra에게 심어진 그 像은 한 없이 숭고하고 거대하다. 그녀는 Antony가 죽은 후 그녀의 꿈이야기를 이렇게 한다. 그의 얼굴은 하늘 같았소, 그 얼굴엔 태양과 달이 있어 각기 제 궤도를 돌며 작은 공 같은 지구를 비추고 있었오. ……… 왕국들과 섬나라들은 그의 주머니에서 떨어지는 은화처럼 수두룩 하였소. 그를 따라 죽는 Cleopatra의 죽음은 Antony와는 대조적으로 "high Roman fashion"의 의식을 가꾼 女王다운 것이다. 그들에게 있어 죽음은 삶의 끝이 아니라 그들의 사랑을 성취하는 새로운 삶에의 시작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즐거움으로 죽음을 재촉하여 自殺한다. 저들의 사랑은 이 세상에서의 패배를 의미한 듯하다. 그러나 마침내는 이 세상의 시간과 세력과 죽음을 초월하는 승리를 가져옴으로 永遠을 장악한다. 한편 세계를 독차지하고 Cleopatra까지 승리의 행렬의 장식으로 삼으려던 Octavius Caesar의 끝장면의 모습은 공허하기만 하다.

      • KCI등재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시스템의 테스트베드 구현

        윤정은,김원석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2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5 No.2

        Digital twin has the advantages of quality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so it is widely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In this paper, a method to implement the major technologies of digital twin easily and quickly is presented. These include data management and relay servers, real-time monitoring applications including remote control interfaces, and direct connection protocols for video streaming. In addition,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a two-wheeled vehicle with a 2D interface is also proposed. The implemented system performs near real-tim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real environment and the virtual space. The delay time that occurs in remote control of the vehicle in the real environment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applying the proposed delay time reduction method. In addition, in the case of 2D interface-based control, an algorithm that can guarantee the user experience was implemented and applied to the actual environment and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 KCI등재

        보행자 점유공간 현행화 및 대기공간 서비스수준 산정을 위한 개선 연구

        윤정은,이경진,진형석,유희천,윤일수 한국ITS학회 2024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3 No.1

        보행자시설은 자동차의 통행이 배제된 상태에서 보행자만의 통행을 위한 시설로서 보행자 도로, 계단, 대기공간 등이 있다. 보행자시설별 보행자 특성과 용량은 보행 통행체계의 설계 및 운영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도로용량편람에서 보행자시설에 대한 용량과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위주의 교통정책으로 인해 보행자시설에 대한 분석 방법은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디며, 그 결과 현실적인 평가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변화된 도로교통 여건을 반영하고 보행자시설 중 대기공간에 대한 서비스수준 평가의 기 준이 되는 인체타원에 한국인 인체 치수 변화를 반영함으로써 현행화된 점유공간을 제시하였 다. 또한 새롭게 정의된 점유공간을 바탕으로 대기공간의 서비스수준에 대한 기준값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비스수준 기준값은 실제 보행 현황을 현실 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edestrian facilities encompass pedestrian roads, stairs, and queuing areas exclusively designed for pedestrian use. The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provides guidelines for analyzing the capacity and level of service of pedestrian faciliti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analysis methods tailored specifically for pedestrian facil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roduced a new standard of pedestrian space to account for changes in the Korean body ellipse. Furthermore, based on this newly defined pedestrian space, we proposed a new standard value for the level of service of queuing areas. The results of on-site survey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level of service can effectively reflect the actual walking situation.

      • KCI등재

        학교기반 긍정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연구 -여고생의 행복, 자기결정성을 중심으로-

        윤정은,김성봉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학교사회복지 Vol.0 No.47

        This study aimed to verify whether School-Based Positive Intervention Program is a positive effect on high school girls happiness and self-determination promo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the happiness of high school girls who participated in the school-based positive intervention program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leasant life and engaged life that is a sub-factor also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Second, the total score of self-determination of the high school girls who participated in school-based positive intervention programs and the relatedness were increased. But the autonomy and competence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later tests, the total score of self-determination, and the autonomy and the competenc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but the relatednes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ast, self-determination of the control group showed a pattern that lowers steadily in subsequent tests. These result is in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spection, the school-based positive intervention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high school girls happiness and improving of self-determination. As described above, a school-based positive intervention program was promoting the happiness of high school girls, has also been found to improve self-determination through the autonomy, competence and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relevance. 본 연구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학교기반 긍정개입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시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여고생 중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결과에서 관심군으로 선별되어 본 프로그램에 대한 자발적 참여 의사를 표현한 26명을 대상으로 하여 긍정개입 프로그램 8회기를 실시하고,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통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실험설계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실험집단 참여자들의 수가 13명으로 모수 통계를 사용하기에는 적은 숫자이므로, 비모수 통계처리방식을 채택하여 맨-휘트니 유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사용하여 집단간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각 집단과 검사 시기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행복 총점과 하위요인인 즐거운 삶, 적극적인 삶이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자기결정성 총점과 하위요인인 관계성이 증가하였고, 추후검사에서 자기결정성 총점과 자율성 및 유능성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교기반 긍정개입 프로그램이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에서 관심군으로 선별되어 정서적인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여고생들의 행복 증진과 자기결정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에서 관심군으로 선별된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학교기반 긍정개입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