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극의 기지 현황과 세종과학기지 주변의 지리적 특성

        윤옥경 ( Yoon Ok Kyong ),최종남 ( Jong Nam Choi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2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2 No.2

        남극은 극한지로서 인간의 거주가 곤란하고, 접근과 활동이 제한적이지만, 매장된 각종 자원과 환경적가치 등으로 인하여 남극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남극 조약에 따라, 남극에서의 어로활동과 군사활동, 그리고 채굴 등의 경제활동과 생물종의 다양성을 저해하는 일체의 활동이 금지되어있는 반면, 과학활동에 대한 제한은 없다. 이 글은 남극에 위치한 과학기지의 현황과 우리나라 세종과학기지에서의 연구활동을 소개하며, 세종과학기지와 그 주변의 지리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이 글은 지리학이 남극 연구에 기여할 점을 제시한다. Antarctica, the coldest continent on average, is barely inhabitable. Human activities in Antarctica and accessibility to Antarctica are very limited. However, its natural resources, natural environment, and reliable records on global climate change have drawn international attention. In Antarctica, through the Antarctic Treaty, international society prohibits overhunting biological resources, prohibits military activities and any profit-making activities including mineral mining, protects biodiversity, and supports scientific research. This study introduces scientific stations in Antarctica and research activities at the King Sejong Station. This study also reveals geographical environments around the King Sejong S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how geography contributes on scientific research in Antarctica.

      • KCI등재

        장소 중심의 답사를 통한 지역 이해의 가능성 탐색: 강원도 탄광지역 답사 실행 연구

        윤옥경 ( Ok Kyong Yo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09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지리학의 전통적인 연구방법으로서 뿐 아니라 지리 교육 고유의 학습방법으로 인정되는 답사에 대해 예비교사의 교육과정에서 어떤 전략으로 접근하여야 하는가 라는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실제 다양한 유형의 답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보통 학과 단위의 정기 답사에서 지리적 기능의 향상과 공간적 사고의 확립, 답사 참가자의 관심을 환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한 학과의 정기 답사 과정을 대상으로 한실행연구를 시도하였으며, 형식적으로는 예비교사인 학생들이 직접 고안한 문항의 학습지를 활용하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구체적 장소를 선정하여 경험하고 탐구함으로써 지역을 이해하는 방법의 가능성을 가늠하였다. 실제 답사에서 강원도 탄광지역의 변화라는 주제에 접근하는데 있어, 10명 내외의 조원들이 조별로 선정한 답사 장소를 방문하고 면담과 실제적인 활동을 전개하였다. 하루 동안의 답사를 마친 후 각 조별로 다른 장소에 대한 경험을 서로 나눔으로서 협동학습의 효과도 누릴 수 있었다. 학생들은 이러한 방식의 답사에 대해 강한 인상과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각자 역할을 맡아 수행하는 과정에 참여한 것을 만족스러워 했다. 이러한 방식의 답사는 학과 단위의 답사에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는 한 방안이 되었으며, 앞으로도 예비교사 교육으로서의 답사의 방향에 대한 발전적인 논의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begun from the question what strategy is effective for fieldwork in the college of education curriculum especially in the case of geography department. Fieldwork is thought of traditional research method in geography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original to geographic education. Even if there are diverse types of fieldwork, it is needed to introduce new field trip strategy for students (preliminary teachers) to improve geographic skills, to make them think spatially and participate actively. It was tried to do action research of a regular field trip of one geography department in this study, for the sake of formality workbook was used which is composed of students self designed questions, at the same time, it is intended to explore the potentiality of regional understanding to select the authentic place of experience and inquiry in substance. In practice, it is tried to do group activity of about 10 members to visit place and interview to understand the theme of regional transformation in a mining region in Gangwon province. Students has experienced the process of cooperative learning between groups as well as intragroup. Students has impressed strongly and been interested in this new way of fieldwork. They are contended to play a own role in this field study. This method is a kind of way to manage the limits of spatial and temporal frame in a large scale field trip of geography department. From now on, it is expected to propose fieldwork practice to apply for preliminary teachers training.

      • KCI등재

        지역화 교과서 분석을 통한 지역 학습 내용 구성 방안

        윤옥경(Ok Kyong Yo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3 No.2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초등 사회과의 교육과정 지역화논의와 현실을 파악하고 지역학습의 개념을 재정립하여 ``서울``을 사례로 지역학습 내용 구성의 틀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의 지역화란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의 지방분권화를 의미하며 이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위해 학습 내용과 학습자의 경험이 연결될 수 있는 일상적 생활세계인 지역을 학습의 소재로 활용한다. 전통적으로 지역학습에서 지역은 향토, 지역사회, 신변지역으로 접근되었다. 향토는 이해와 애정·소속의 대상이고, 지역사회는 학습의 자원이면서 의사소통의 장·참여와 실천의 장이며, 신변지역은 조사·비교의 대상이면서 주요 개념이나 이론을 설명할 수 있는 사례가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지역화 논의와 지역학습의 유형화를 바탕으로 현재 사용 중인 지역화 교과서 ``사회과 탐구: 서울의 생활`` 내용을 분석하면서 지역학습 내용 구성의 틀을 제안했다. 본고에서는 서울의 지역학습 내용을 구성하는데 서울을 경험의 공간, 참여의 공간, 탐구의 공간 차원으로 구분하여 이해하면서도 지리학의 새로운 지역개념을 도입하여 보다 적합성을 갖춘 지역학습 내용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지역특수적인 소재를 활용하고 지역의 맥락에서 의미있는 잇슈와 주제를 중심으로 접근하는것이 방법면에서 뿐 아니라 내용면에서 지역화를 실현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In the context of region reconceptualized as a learning framework, using the Seoul region as an example, this paper focused on the debate and the condition of reg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It means that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is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to develop and manage curriculum. In that case, region is understood to be a resource used to connect the subject matter to children`s experience. Furthermore, region is interpreted as Heimat, community and world around. Heimat is intended to be understood, loved and belonged to. Community is the resource for learning and the space of communication, participation and action. World around is the typical example to be searched, compared and explained by the concept and theory. On the base of the regionalization debate and the classification of learning a region, I analysed the local textbook, Social Studies Inquiry: Life in Seoul and suggested the framework of learning a region. In this paper, I tried to pick out the spatial demension of Seoul. It is classified into the space of experience, participation and inquiry. In conclusion, the region-specific materials and approach laying stress on the issue and topic in the geographical context of the region will determine that a proper regionalization occurs through not only methods but also content.

      • KCI등재

        도시 브랜드 개발을 통한 도시 이미지 구축에 대한 연구

        윤옥경(Ok Kyong Yo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6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새로운 도시 브랜드인 ``메디시티 대구``의 등장 과정을 살폈다. 또한, 이 연구는 또한 ``메디시티 대구``라는 브랜드가 가지는 수동적인 장소 이미지와 능동적인 장소 이미지를 고찰하였다. 수동적인 장소 이미지는 이 도시 브랜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하여 파악되었다. 반면에, 능동적인 장소 이미지는 도시 당국과 홍보관계자들이 이 브랜드를 통해 구축하려는 도시 이미지 전략과 더불어 이미지 구현을 위한 경관과 이벤트 등을 통해 파악되었다. 대구광역시는 ``메디시티``라는 새로운 도시 이미지를 이용하여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의도와 달리 새로운 도시 이미지 확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의료산업이나 의료서비스를 도시이미지로 내세우는 다른 도시들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This study reviews in detail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Medicity Daegu``, new city brand of Daeg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also analyses both passive and active aspects of place image named ``Medicity Daegu``. To reveal passive images toward the city`s new brand name,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On the other hand, active images are explored by analyzing strategies the city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s has adopted for the image-making and examining diverse landscapes and events the city have taken place. It was expected in the first place that the new image could help the city make more competitive, and boost its regional economy through the spread of the new city image. However, the city has currently faced difficulties to spread the new city image and has a limitation to acquire uniquely distinctive image because of overlapped images pursued by other city governments in the fields of medical industry and medical services. Some considerations are then suggested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image of "Medicity Daegu".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환경지도 제작활동의 환경교육 및 지리교육적 함의 -초등학교 학생들의 동네 환경지도 제작활동을 중심으로-

        윤옥경 ( Ok Kyong Y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환경지도 제작활동에 대해 지리교육 및 환경교육에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환경지도를 그리는 활동을 시행하였다. 환경지도의 주제는 동네의 환경과 관련하여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이있으며, 활동 전후 변화를 살펴보면 학생들은 동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지도그리기에 익숙해졌음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지도그리기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제작한 환경지도에서는 장소기반의 환경 문제 인식이 나타났지만, 지도 표현상의 특징을 살펴볼 때, 지도학습에서 지도 그리기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초등학생들이 환경지도에 기술한 동네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대책은 구체적이었으나 환경의 의미를 협의로 해석하여 환경문제에 치우친 경향이 있었으며, 차후 환경지도 제작에서 보다 다양한 환경관련 주제 발굴을 통해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In an attempt to seek the implication of environmental mapp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geographical teaching,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6th grade make environmental mapping on the topic of community environmental problems that the students expect to be improved. It is verified that the students have more interest of community environmental problems and become accustomed to map drawing through environmental mapping. However they have been in trouble with map drawing still. It is found out that the students are conscious of place based environmental problems in environmental map, even it is need to be trained of map drawing. The understanding and strategy to solve community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students in environmental map are concrete, but they are biased a little. It is needed to guide the consciousness and interest of students through digging out more diverse and wide environmental issues and themes in environmental mapping.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