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개념에 대한 토착심리분석 : 중학생과 부모집단을 중심으로

        윤영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자기개념에 대한 토착심리분석: 중학생과 부모집단을 중심으로 2012年 8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尹泳姬 지도교수 朴榮信 본 연구는 중학생과 부모의 자기개념을 규명함으로써, 한국인의 자기개념에 나타난 토착심리를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의 분석대상은 총 603명으로, 중학생 201명(남 92명, 여 109명)과 그들의 부모 402명(부 201명, 모 201명)이었다. 측정 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11)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가장 대표적인 전반적 자기개념은 좋은 사람, 성실한 사람, 평범한 사람이었다. 중학생은 좋은 사람이라는 반응이, 부모는 성실한 사람이라는 반응이 가장 대표적이었다. 둘째, 한국인의 이상적인 자기개념은 존경받는 사람, 성실한 사람, 좋은 사람, 성공하는 사람, 배려하는 사람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은 좋은 사람이, 부모는 존경받는 사람이 가장 대표적인 반응이었다. 셋째, 중학생은 아버지가 지각하는 대표적인 자기개념으로 좋은 사람, 혈연관계, 기대되는 사람, 소중한 사람이 부각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중학생은 어머니가 지각하는 대표적인 자기개념으로 좋은 사람, 혈연관계, 불만스럽다, 기대되는 사람, 소중한 사람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는 자녀가 지각하는 대표적인 자기개념으로, 좋은 사람, 자상한 사람, 의지가 되는 사람, 엄격한 사람을 지적하였다. 아버지는 자녀가 지각하는 자기개념으로 자상한 사람, 엄격한 사람이, 어머니는 자녀가 지각하는 자기개념으로 좋은 사람, 자상한 사람, 의지가 되는 사람이 가장 대표적이었다. 다섯째, 한국인의 객관적인 자기개념으로서, 좋은 사람, 성실한 사람, 평범한 사람이 가장 대표적이었다. 중학생은 좋은 사람, 평범한 사람, 활발한 사람, 성실한 사람, 부모집단은 성실한 사람, 좋은 사람, 평범한 사람이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한국인이 자기자신에 대해 가장 자부심을 느끼는 측면은, 성실함, 유능함, 원만한 인간관계였다. 중학생은 학업성취, 유능함, 성실함, 원만한 인간관계가, 부모는 성실함, 성취함, 화목한 가정이 자부심을 느끼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한국인이 자기자신에 대해 가장 수치를 느끼는 측면은, 능력부족, 자기조절 부족, 외모, 내성적인 성격, 원만하지 못한 인간관계로 나타났다. 중학생은 학업부진, 자기조절부족, 외모, 내성적인 성격, 원만하지 못한 인간관계를, 부모는 능력부족, 자기조절부족, 내성적인 성격, 원만하지 못한 인간관계를 가장 대표적으로 지적하였다. 여덟째, 한국인이 평소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철학 및 좌우명은 성실하게 살자가 가장 대표적이었고, 이외에 정직하게 살자, 행복하게 살자, 하면된다, 더불어 함께 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과 부모 모두 성실하게 살자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주제어: 자기개념, 토착심리, 좋은 사람, 성실한 사람, 평범한 사람, 존경받는 사람, 혈연관계, 엄격한 사람, 학업성취, 원만한 인간관계

      • 인적 특성과 가족 유형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능력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윤영희 영남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M. A. Thesis Influence of Personal Traits and Family Type of Children to Their School Adaptation Ability and Sociality Development Young-Hee Yu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Sang-Sup Kim, Ph. D) Abstract As times changed and the country rapidly industrialized, families with both parents increased, and rapid changes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families changed values of family and family type that maintain and develop family relations directly and indirectly. Consequently, family types in modern society are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fluences of personal traits and family types of children to their school adaptation ability and social development, and below is summary of the result. First, for school adaptation ability by personal trait, female than male in gender, big cities than farming village or smaller cities in residence, rich family than poor family in standard of living, and much interested parents than little interested parents had better ability. It showed personal traits meaningfully influencing school adaptation ability. For sociality development, gender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 However, in residence, large cities showed a higher ability than farming villages and smaller cities in the listed order. In standard of living, rich family than poor family and much interested parents than little interested parents had better ability. It showed personal traits also meaningfully influenced sociality development. Second, for school adaptation ability by family type the following from higher to lower showed a greater ability: grandparent and grandchild families, families with both parents, extended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 parent families. However, the result was not meaningful. It showed family type does not meaningfully influence school adaptation ability. Subcategories such as adaptation to school environment, adaptation to classes, adaptation to classmates and adaptation to rules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s in statistics. However, adaptation to teacher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that children of grandparent and grandchild family adapted better than children of family with both parents. For sociality development, family typ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ult. Children of family with both parents had better development than children of single parent families. However, children from multi-cultured families with both parents were influenced rather negatively to show lower sociality in all areas. It showed multi-cultural families need more social attention. Subcategories as like reliability, teachability, diligence, stability, sociability and low-abiding were higher in children of families with both parents than children of single parent families. Children of extended families showed highest social ability and law-abiding, and children of grandparent and grandchild families showed highest teach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influence of personal traits of children to their school adaptation ability and sociality development is great, and especially, personal traits of more interested par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Family type did not have meaningful influence to school adaptation ability, but sociality development was highly measured with children of families with both parents. It show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ciality development program to children of single parent families or families without their parents. Especially, more concer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re necessary for children of multi-cultured family.

      •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가사노동 사회화의 관련변수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거주하는 확대기 가정 주부를 중심으로

        윤영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자본주의 발전에 따른 사회·문화적, 기술·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의해 인간 삶 전반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가정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가사노동의 경우, 종래에는 생산적이고 노동집약적인 것이 현대에 와서는 소비생활 중심의 노동으로 변모·분화하였다. 하지만, 현대의 기술발전과 가사노동의 기계화에도 불구하고 가사노동에 소비하는 총시간은 그다지 감소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가족생활주기중 확대기의 주부의 경우는 일생에서 가장 많은 노동을 하며, 그들의 가사노동은 육체적, 정신적, 감성적 노동까지 다양성, 전체성, 세심성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책임중압시기'라고 할 수 있는 확대기 가정의 주부의 실제 가사노동 사회화 경향을 알아보고, 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혀 봄으로써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가사노동이 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며, 나아가 확대기 가정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궁극적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뿐 아니라 개념의 틀로서 생태학적 접근을 사용하였다. 생태학적 접근이란 가족과 그를 둘러싼 모든 환경, 즉 물리적·생리적 환경, 심리적·문화적 환경 등 이들 환경과의 상호 관계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현대의 급변하는 환경속에 처해 있는 가정의 제반문제를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하며, 실용학문으로서 가정학의 위치를 재확립시킬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 생태학적 접근을 개념의 틀로 사용함으로써 본 연구에서의 환경요인에 따른 구체적인 변인을 먼저 살펴보면, <인공적 환경>으로는 근린시설 편이성, 내구재 보유수준, 주택형태를 들었으며,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는 자아통제도, 주부역할에 대한 태도, 교육수준, 소득수준, 주부의 취업유무, 남편의 직업지위를, <자연적·물리적·생물학적 환경〉으로는 연령, 자녀수, 건강상태, 가사노동 보조자 수, 가사노동 시간, 시간 충분성, 식수·연료 공급정도로 보았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사노동 각 영역(의·식·주생활, 경영 및 장보기 영역)에 따른 사회화 수준은 어떠한가? 또한, 가사노동 각 영역의 항목별 사회화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생태학적 환경요인이 식생활 영역 가사노동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생태학적 환경요인이 의생활 영역 가사노동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넷째, 생태학적 환경요인이 주생활 영역 가사노동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다섯째, 생태학적 환경요인이 경영 및 장보기 영역 가사노동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여섯째, 전체영역 가사노동 사회화에 가장 크게 영향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사노동 사회화, 자아통제도, 주부 역할에 대한 태도, 근린시설의 편이성, 일반적 사항 등의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확대기 가정의 주부로, 즉 자녀 1인 이상을 둔 50세 미만의 주부를 대상으로 하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질문지는 518부 이다. 표집된 자료는 SPSS/PC+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을 구하였으며, Cronbach' α로 신뢰도를 측정했으며, 중회귀분석(Mu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및 논의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각 영역의 사회화 수준은 각각 차이를 보였으며, 주생활 영역>식생활 영역>의생활 영역>경영 및 장보기 영역 순으로 사회화 수준이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영역은 중간점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경영 및 장보기 영역만이 중간점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학적 환경요인이 식생활 영역 가사노동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인공적 환경의 경우 주택형태(p<.05)만이, 사회·문화적 환경에서는 교육수준(p<.001), 소득수준(p<.05)이, 자연적·물리적·생물학적 환경요인에서는 자녀수(p<.05)만이 영향력을 가졌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약22% 였다. 셋째, 의생활 영역 사회화에서는 사회·문화적 환경의 소득수준(p<.01)만이 영향력을 가졌다. 소득수준 변인 하나의 설명력은 10%였다. 넷째, 주생활 영역에서는 인공적 환경의 내구재 보유수준이 가장 큰 영향력(p<.001)을 가졌으며, 사회·문화적 환경에서는 주부역할에 대한 태도(p<.05), 교육수준(p<.05), 소득수준(p<.05)이, 자연적-물리적·생물학적 환경에서는 가사노동 보조자 수(p<.01), 가사노동 시간(p<.05)이 영향력을 가졌다. 이들 변인은 30%의 설명력을 갖는다. 다섯째, 경영 및 장보기 영역에서는 인공적 환경중 내구재 보유수준 (p<.001)만이, 사회·문화적 환경에서는 자아통제도(p<.05), 소득수준(p<.05)이 영향력이 있으며, 자연적·물리적·생물학적 환경에서는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는 변인은 없었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약 23%였다. 여섯째, 전체영역(의·식·주·경영 및 장보기)으로 볼때 인공적 환경의 내구재 보유수준(p<.001)이, 사회·문화적 환경중 소득수준(p<.001), 교육 수준(p<.001)이었으며, 자연적·물리적·생물학적 환경에서는 가사노동 보조자 수(p<.05)만이 영향력을 가졌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약 37%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확대기 가정의 경우 모든 영역에서 가장 크게 영향력을 미친 것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 특히 이 환경요인 안에서도 심리적인 변수보다 소득수준이나 교육수준과 같이 객관적 변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 확대기 가정의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위해서는 저렴한 가격의 재화나 용역이 필요하며, 합리적인 가정관리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평생교육 차원의 각종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가사노동 사회화는 자본주의 발달에 따라 더욱 촉진되며 우리 가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가사노동 사회화라 할지라도 장·단점이 있으므로, 적정한 수준에서 사회화가 가능한 상품이나 용역은 대체시키며, 사회화가 충족되지 못하는 부분은 가정 내부에서 양질의 재화를 생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utilizing ecological theory. The main purposes were to identify the socialization level, and to predict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in term of the selected variables. The sample was drawn from housewives of expanding stage of family life cycle in Seoul. 518 questionaires were analized. Data was analized using muliple regression analysis employing SPSS/PC+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ocialization level of household work was a little above medium point. When the household work was devided into three subareas, the area of food, clothing, and housing the socialization level was a little above the medium point. 2) Among the variables of food area, education of housewife, type of housing, family income, number of childre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the expanding stage of housewives. 3) Among the variables of clothing area, family income was the only important variable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the expanding stage of housewives. 4) Among the variable of housing area, number of household equipment, number of aids for household work, education of housewife, family income, attitude of housewife's role, number of aids for household work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the expanding stage of housewives. 5) Among the varables of home management area, number of household equipment, family income, self control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the expanding stage of housewives. 6) Among the variables of total socialization area, number of household equipment, education of housewife, family income, number of aids for household work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the expanding stage of housewives. 7) Among the environment variables of household work, social-cultural environment, i.e. self control, attitude of housewife' role, education of housewife, family income etc. had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expanding stage of housewives in each subarea.

      • 한국교회 사회복지의 활성화 방안 모색 : 서울시 소재 주일출석교인 1,000명 이상 40개 교회를 중심으로

        윤영희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회는 하나님 말씀의 기초위에 세워진 곳이며, 세상과 동떨어져 있는 곳이 아니라 세상 속에 존재한다. 그리고 모이는 교회, 흩어지는 교회가 되어 교회의 일원으로,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고 있다. 한국 선교 초기에 복음을 들고 온 선교사들이 행했던 것은 먼저 복음과 함께 사회복지적인 기능들이 많았다. 즉, 그들은 복음의 핵심인 케리그마를 전할 뿐만 아니라 학교, 병원, 고아원 등을 세워 인간의 필요를 채워주고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했다. 그것이 태동이 되어 시작된 것이 사회복지 사업이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교회에서 선교적 기능의 하나로서 담당했던 사회복지가 이제 국가적 차원으로 탈 기독교화 되어 갔고, 그로 인해 점차 교회의 사회복지적 기능이 약화되었다. 그러나 급변하는 현대시대에는 교회가 단순히 한 개인의 영적인 문제만을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는 없는 상황이 되었고, 한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까지도 고려해야만 한다. 즉, 한 개인의 영적, 심리적, 사회적 모든 부분에서 통전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더구나 세상은 그 속에 있는 교회를 향해 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한다. 교회의 사회복지는 무엇보다도 그리스도께서 사랑하시는 모든 약하고, 가난하고, 병든 이들을 돌보는 것인 동시에 이들이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사회적, 제도적, 법적 장치들을 만들어가는 일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주일출석교인 1,000명 이상의 40개 교회를 무작위 표본 추출하여 각 교회가 실시하고 있는 사회복지 운영형태와 사회복지분야를 비교ㆍ분석하였다. 그것을 통해 운영형태별로는 혼합형 모델이 좀 더 다양한 활동분야를 시행하고 있다는 것과 사회복지분야별로는 노인복지가 가장 활성화 되고, 청소년복지가 취약하다는 결과가 나타남을 볼 수 있다. 또한, 각 교회별로 현재 실시하고 있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매우 미흡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복지, 아동복지, 장애인복지, 지역사회복지, 청소년복지의 다섯 가지 사회복지분야를 초소형교회, 소형교회, 중형교회, 대형교회, 초대형교회별로 활성화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40개 교회 중 사회복지분야별로 모범사례들을 선정하여 실천사례를 소개하므로 본 논문의 3가지 목적을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첫째는 한국교회 사회복지 운영 형태별, 복지 분야별 분석을 통해 한국교회 사회복지 현황을 밝히고, 그것을 토대로 다섯 가지 복지 분야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는 교회사회복지 대상별 프로그램을 소개하여 모든 교회가 교회의 크기에 상관없이 교회의 규모와 형편에 맞는 교회사회복지를 실시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셋째는 모범 실천사례들을 제시함으로 교회사회복지를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회와 준비 중에 있는 교회들에게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향후 과제라 할 수 있는 것은 청소년복지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많은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또한, 교회의 사회복지 실태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이 계량화 되는 것이다.

      • 가정의 독서환경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윤영희 동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대한 가정의 독서 환경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가정의 독서 환경의 변인들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상대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가정의 독서 환경, 유아의 창의성 ,유아의 정서지 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가정의 독서 환경 하위 요인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가정의 독서 환경 하위 요인이 유아의 정서지능 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가정의 독서환경이 유아의 창의성 및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과 국·공립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3세~ 6세 유아와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 300부를 배부하여 미회수 및 불성실한 답변을 한 46부를 제외하고, 254부를 통계처리 자료로 사용하였다. 가정의 독서환경 검사지로 Morry(1997)의 (Guidelines for Promoting Litercy at Home)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 하였으며, 유아의 창의성검사는 전경원(2003)이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정서지능측정도구로 문용린(1997)이 제작한 유아 ․ 초, 저용 정서지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가정의 독서 환경, 유아의 창의성,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가정의 독서 환경 하위 요인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의 후진방법(backward)방법을 실시하였고, 가정의 독서 환경 하위 요인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의 후진방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가정의 독서환경이 유아의 창의성 및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독서환경, 유아의 창의성, 유아의 정서지능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가정의 독서환경 하위요인 중 독서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의 독서환경 하위요인 중 독서활동 즉 독서프로그램 혹은 독서지도 방법 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독서환경은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도라지 추출물이 차로 이용되었을 때 초기 감기에 대한 면역력 상승효과

        윤영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라지는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고. 예로부터 각종 병증의 약재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약재로 사용 되어져 왔던 길경이라는 재료보다는 도라지라는 음식 재료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뿌리식품인 도라지 추출물에 대해서 항산화 방어시스템, 폐기관지염증, 지질 성분, 대사개선 관련에 어떠한 유익성이 있는지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따라서 도라지의 사포닌(saponin)과 이눌닌(inulin)성분의 약리 효능으로는 위액분비억제작용, 중추신경 억제작용, 천식, 해열, 진통, 진정, 진해, 거담, 항염증 치료, 항궤양 및 혈당조절, 항암억제, 항콜린작용, 혈당강화작용, 콜레스테롤 대사개선작용, 유전자발현 등 다양한 활성의 약리작용이 성인병 치료에 효과적이므로 이러한 활성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도라지 추출물 소재의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를 포함한 도라지 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 작용이 일정하게 약리효능을 극대화 하기위하여 사포닌 함량을 균일하게 유지 될 수 있도록 도라지 추출물을 균일하게 표준화(60ml) 하여 차로 이용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역에 따라 재배 도라지의 사포닌 함량이 다소차이가 있었지만, 재배 년차가 길수록 활성성분 및 사포닌 성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함량 차이를 비교하지 않고 재배기간이 3년근 정도 되는 수확한 생도라지를 가지고 사포닌이나 다른 생리활성 물질이 많이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중탕기(증기압력솥)를 가지고 추출 가공한다. 적합한 비율(60ml)로 레토르트 봉지에 담아 배분하여 초기감기 증세가 있는 대상자들에게 음용하게 한다음 그 특성을 조사하여 도라지의 효능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30여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나이와 성별에 상관없이 도라지차 음용(일주일) 실험군으로 선별하여 초기감기 증세가 있는 실험군에 한하여 실험에 임하도록 취하였다. 본 연구에 실험재료로 사용한 도라지는 전남 화순에서 재배한 3년근 도라지로 화순장날 직접 재배한 생산자한테 구입했으며, 생도라지를 껍질채 세척한 후 두개의 중탕기에 2관(8kg)을 나눠넣어 각각 깨끗한 생수물(10,800ml)을 넣은 다음 100c 온도에서 약4시간 끓여 도라지액(5,400ml)을 추출하여 1일 복용 180ml를 레토르트 봉지3개에(1봉지 60ml) 담아 식사 전후 상관하지 않고 하루 3번 마시도록 하였다. 3일분씩을 미리 나눠주고 되도록이면 약리활성 작용 때문에 따뜻하게 마시도록 하였다. 차를 마신 후 2틀이 지난날부터 호전되는 증상이 보이기 시작했고 그 대상자들은 기침을 할 때, 목이 따끔거리는 사람, 침 삼키기가 어려운사람, 가래가 끊은 사람, 코 막힘, 가슴이 답답한 사람 등으로 반응이 있었으며 음용 후 대부분 환자들이 훨씬 몸이 가볍고 기분이 좋으며 힘이 솟구친다는 표현을 나타냈었다. 그러나 빡빡한 누런 콧물 감기 증세 에서는 크게 진정 상태를 나타내지는 못하였지만 좀 더 장복할시 분명 효과가 있으리라 추측하여진다. 이렇게 효과 면에서 탁월하다면 도라지를 꼭 음식재료로만 사용해서 섭취 할 것이 아니라 도라지 가루, 환, 과립, 또는 차로 이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발전되었으면 한다. 종합적인 측면에서 보면 추출한 액으로 이용한 차의 기호도가 좋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라지가 질병치료제로서 더욱 폭 넓은 응용의 가능성과 차후 지속적인 식품으로서의 가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한층 더 제시하고 있다. Balloon flower includes various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and has been used to make medicines for various symptoms. It is more popular as an ingredient for food called balloon flower than as a medicinal ingredient. However the exact advantages of balloon flower extract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bronchopulmonary infection, lipid composition, and lipid metabolism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Inulin and saponin in balloon flower are pharmacologically effective in deterring gastric secretion and central nerve, healing asthma, fever and pain, calming, stopping coughing, loosening phlegm, healing infection, removing ulcer, controlling blood sugar, preventing cancer, acting as anticholinergic, healing diabetes, improving cholesterol metabolism, and gene expression. A research on balloon flower extract is necessary to maintain above activities, which are effective in curing adult diseas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aintain the even saponin content by standardizing balloon flower extract (60ml) to use as tea to maximize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in balloon flower and the extract.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saponin content in balloon flowers depending on its cultivated location. The content of active substances and saponin increases over years. However, without comparing contents, I harvested 3-year-old raw balloon flowers and extracted and processed them using drugs double boiler (steam pressure pan).Extracts were pour into retort packs following appropriate amount (60ml) and were distributed to targets with flu symptoms. The targets drank them and the effectiveness of extract was tested. Thirty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were assigned as balloon flower tea drinking group (for a week). The students with flu symptoms among the group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Balloon flowers used for this experiment were 3-year-old balloon flowers produced in Hwasoon, Jeollanam-do. They were purchased from the producer at the Hwasoon market. Raw balloon flowers were washed without peeling the skin. They were put into two separate drugs double boiler, 8kg per boiler, along with 10,800ml of clean water and were heated for approximately 4 hours at 100C. A total of 5,400ml were produced. One-day dose equaled to 180ml and the extract was poured into 3 separate retort packs (60ml per pack). Targets were instructed to drink them three times a day before or after a meal. Three day dose was distributed at once, and the targets were advised to heat the extract before drinking to make the pharmacological substances active. The targets improved two days after they began drinking the tea. They had confessed symptoms such as throat pain when coughing or swallowing, phlegm, stuffy nose, and chest pressure. After drinking the tea, most of the patients said their body feels lighter, they feel better and more energetic. The tea was not so effective in healing jammed nose, but it is expected to have impact when taken for a longer period. Since balloon flower has proven excellent effects, I hope it doesn’t stay being used as ingredients for food, but be used in variety of ways by making them into powders, pills, juices, or teas. Seen from the general perspective, the response to the tea made out of extract was positive. Therefore this study calls for further researches on the possibility of using balloon flower as medicine and also on the value of balloon flowers as food in the future.

      • 문해교사 학습공동체 '한걸음' 구성원의 경험학습 사례련구

        윤영희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문해교사 학습공동체 ‘한걸음’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해교사들의 경험학습에 관해 탐구하였다. 수년간의 문해교사의 경력을 가진 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이 성인문해학습자들의 비대면 수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학습공동체를 구성하고 경험학습을 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고, 그 경험 속에서 어떤 성장과 발전을 하고, 그 경험은 어떤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 연구해볼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의 학습경험과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공동체로 성장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것이 참여자들에게 주는 의미가 있음을 판단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는 학습공동체 ‘한걸음’ 구성원들의 경험학습은 어떠한가? 둘째는 학습공동체 ‘한걸음’ 구성원들의 성장과 변화는 어떠한가? 셋째는 학습공동체 ‘한걸음’ 구성원들의 경험학습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는 어떠한가이다. 연구 방법은 경험을 있는 그대로 접근해서 탐구하는 질적 사례연구로 성인문해교육기관인 수원제일평생학교에서 학습자들의 비대면 수업을 위해 ‘온라인콘텐츠 개발 연구’를 하는 문해교사들의 학습공동체 ‘한걸음’ 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원제일평생학교에서 문해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교사 7인을 선정하였다. 선정 기준은 첫째, 문해교사들의 경력은 짧게는 3년부터 24년에 이르고 오랜 시간 동안 성인학습자들을 위해 전문적인 역량을 갖추고 활동하고 있다. 둘째, 학습공동체에서 각각의 콘텐츠를 경험한 임원과 회원을 선정하였다. 셋째, 잘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의 상호작용과 성찰 과정을 통해 구성원들의 성장을 보기 위해 학습의 능력 수준도 다양하게 선정하였다. 질적 사례연구의 방법인 문서 자료수집과 참여관찰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는 문해교사 학습공동체 ‘한걸음’은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 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인 문해교사는 대부분이 삶의 보람을 갖기 위해 봉사하는 마음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학습공동체 ‘한걸음’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성인학습자에게 비대면 수업을 하기 위해 온라인콘텐츠 개발 연구모임을 구성하게 되었다. 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습공동체에 참여하게 되었다. 첫째는 문해교사 학습공동체 ‘한걸음’ 구성원들이 경험한 것은 무엇인가? 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학습경험은 다양한 방법으로 교수자가 학습할 수 있는 방법, 학습자 입장에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수법을 알기 위해 교사들이 각자 배우고 싶은 것을 이야기하고 회의를 통해 중요하고 급한 것의 순서를 정해 서로 배우기도 하고 가르치기도 하는 양방향 교수 방법으로 학습하였다. 자기 자신의 학습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배움을 나누고 정보를 공유함으로 서로서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 배움에는 끝이 없고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이 따로 없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런 공동체학습을 경험하면서 문해교사 스스로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 둘째는 문해교사 학습공동체 ‘한걸음’ 구성원들은 어떠한 성장과 변화는 어떠한가? 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교사들은 좋은 수업을 만들어가기 위해 함께 연구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학습한 것을 공유하였다. 문해교사는 동료와의 지적 교류에 함께 참여하여 새로운 정보를 공유하게 되고 이를 통해 학습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하게 되었다. ‘한걸음’ 학습공동체 구성원이 유기적 관계를 맺으며 서로를 지원하였다. 각 팀에서 학습한 내용은 학습공동체에 공유하였다. 이러한 협업은 공동체가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찾아내는 보완적 관계를 형성하는 효과가 있었다. 각각의 구성원들에 대해 그전에 몰랐어도 교류가 생기면서 서로 배려하고 이해하며 서로 성장하는 공진화가 이루어졌다. 셋째는 문해교사 학습공동체 ‘한걸음’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학습공동체가 유지되고 지속될 수 있었던 것은 교사들의 협력학습을 지원하고 지지해 준 리더의 역할이었다. 이러한 리더의 신뢰와 지지는 교사로 하여금 학습공동체의 목표를 수행할 수 있게 한 요인이었다. 더불어 리더를 도와주는 팔로워의 조화로움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리더와 구성원이 함께 리더이자 팔로워인 관계가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이 함께 배우는 사람과 가르치는 사람인 것과 같은 맥락이다. 결국 학습공동체에서의 경험학습은 혼자만의 학습이 아니라 함께하고, 서로서로 공유하는 학습이다. 배우는 사람이 가르치고 가르치는 사람이 배우는 ‘교학상장’(敎學相長)의 의미이다. 문해교사 학습공동체 ‘한걸음’과 같은 학습공동체 문화가 형성되어 평생교육에서 모든 학습자가 학습의 불평등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학습하고 ‘앎’을 향한 학습에 참여하여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 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의 지식공유와 그로 인해 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이 같이 성장하고 변화하는 것이 평생교육에 의미를 갖는다. 주제어: 문해교사, 학습공동체, 경험학습, 지식공유, 성장 경험, 교학상장, 한걸음

      • 청소년의 학대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친구, 교사 관계의 조절효과

        윤영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살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주요한 사망원인이 되고 있는데 특히 가 정 안에서의 학대 경험을 가진 청소년들이 자살에 대하여 더 위험한 상 황에 놓여 있을 가능성이 클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청소년들의 학 대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학대경험과 자살생각 간 에 부모, 친구,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를 파악한 후, 학대에 노 출된 청소년에 대하여 개입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에서 7차 년도로 조사된 가장 최 근 자료를 사용하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ᆞ2ᆞ3학년 청소년 496명 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 지난 학기 성적, 친구와의 만남회수, 학업스트 레스, 자아존중감을 통제했을 때, 자살생각에 대한 변수의 구조에 영향 을 주는지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경험 은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대경험과 자살생각 간 에 부모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의 중에 교사와의 관계 만 순수조절효과를 보이며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학대경험과 자 살생각 간에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자살생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을 조절해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것은 학교 내 교사의 개입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자살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 다는 것과 학교현장에서 사회복지실천이 요구됨을 의미하며 이에 대하여 함의와 제언들이 논의되었다. Suicide is becoming a major cause of death among adolescents in Korea and in particular, adolescents that have been abused within the home are placed in a situation with a higher risk of suicide. Therefore,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s of abuse experiences on suicidal thoughts in adolescents, looks into the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experiences and suicidal thoughts to observe whether they can moderate the effect that abuse experiences have on suicidal thoughts, and searches for intervention methods for adolescents exposed to abuse. For this, the most recent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which has been researching data for 7 years, was used and observations were made of 496 adolescents attending 1st, 2nd, and 3rd grades of high school to see whether variable structures of suicidal thoughts are affected when gender, grade, previous semester marks, number of times meeting friends, academic stress, and self-esteem are controll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buse experiences had a direct effect on suicidal thoughts. Second,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experiences and suicidal thoughts, only relationships with teachers showed purely moderating effects having indirect effects. In other words, bette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moderated the negative effects that abuse experiences had on suicidal thoughts. Such results implicate that effects of adolescent suicide preven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eacher interventions at school and they signify that social welfare practices in schools are needed and associat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