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나례(儺禮) 준비 기관의 변천과 양변(兩邊)의 전통

        윤아영 국립국악원 2012 국악원논문집 Vol.26 No.-

        Narye can not be prepared by court music organization because of its unique characteristic which performed by clowns. Especially, Narye performed by clowns as a circus was considered as the authentic tradition and the welcoming ceremony of our nation, and its origination has a long history. The organization for this Narye became specialized and just got the name of Naryechung or Naryedogam in late Joseon dynasty. Although these names were appeared in late Joseon dynasty, the organization for Narye had already existed before that period. As Narye was originated from Japhui of Yeundeunghui in Goryo dynasty, which stemmed from Shilla dynasty, the origination of Naryechung also came from Sandaesaek in Goryo dynasty. Because there is few records about Sandaesaek, the details about the time and the structure etc. of that are unknown. And this Sandaesaek was incorporated into Yeondeungdogam in the late Goryo dynasty, and after that Yeondeungdogam was abolished in king Choongryul also in Goryo dynasty. So, the professional preparation association for Narye could not last until Joseon dynasty begins. This phenomenon caused from not only the abolishment of Palgwanhui and Yeondeunghui with the begining of Joseon dynasty because of the atmosphere of Sung Confucianism, but various Jabhui's the only attachment to the Yeondeunghui. These appearances result to the abolishment of Jabhui in Goryo dynasty. Even though Sandaesaek or Yeondeungdogam couldn't be lasted and get the status as a professional association for Narye/Jabhui, Sapyungsoonwiboo and Goonkisi had played the role in combination temporarily for the necessity of Narye for welcoming ceremony. The reason for being existence of two association just for the one performance must be the need of two organization for two sided stages around Sandae. This tradition of two united organizations for Narye has continued in Joseon dynasty, one party is Uigeumboo and the other is Goonkisi. In early Joseon dynasty, there is no name for these two parties that prepare for the Narye as a welcoming ceremony, but by the time of king Sejong period these two parties had become the concept that represent the left and the right part of welcoming ceremony. These no name parties finally became to the names of Naryechung as the temporal organization in king Gwanghaegoon in late Joseon dynasty. This Naryechung also called Naryedogam at the same time and it was also a temporal organization such as those(Uigeumboo and Goonkis)i in early Joseon dynasty. Naryechung was composed with the two parties; Jawbyun(left side) and Woobyun(right side), and these two parties' tradition was a very unique appearance of preparation for events. Usually, to arrange for one event, there is only one head and the following hierarchy system, but these two parties of preparation system was extraordinary. According to the text book Naryechung Deungrok or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these two sided parties are a competition and also a mutual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text book Joseonsaryak, this system preparing Narye for the welcoming ceremony seemed to be the tradition stemmed from the Shilla dynasty. Although Sandae, Gyulchae and Narye are common features in east Asia, and Sandaes in Goryo and Joseon dynasty are also related in those in China, Narye performed consisted of two sided stages and operation in welcoming ceremony didn't originated from China. Therefore this two sided system for welcoming ceremony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our nation's long historical traditions. 영접의식에서 연행되었던 나례(儺禮)라고 하는 것은 그 특수성으로 인해 기존의 궁정 장악기관 등에서는 다룰 수 없었던 것이다. 특히 영조의(迎詔儀)시 창우(倡優)들에 의해서 연행되었던 나례는 우리나라 고유한 전통으로서 손님맞이 의식의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던 만큼 그 연원이 오래된 것이다. 이 나례를 준비하는 기관은 조선 후기에 나례청(儺禮廳) 혹은 나례도감(儺禮都監)이라는 이름으로 전문화 되어 나타난다. 나례가 우리나라 고유한 전통으로서 신라시대부터 있었던 연등회 등의 잡희에서 유래한 것처럼 나례청의 기원도 산대색(山臺色)까지 올라 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산대색은 고려시대에 연등도감(燃燈都監)에 편입되었고, 이 연등도감도 이후 충렬왕때 폐지되면서 나례 전문 준비 기관으로서 존속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고려시대에도 사평순위부(司平巡衛府)와 군기시(軍器寺)가 영접의식 등이 있을 시에는 임시로 도상나례를 담당하여 그 맥을 이어왔다. 조선시대에도 이처럼 두 기관씩 이 전통을 이어받아왔는데, 의금부와 군기시가 그것이었다. 역시 조선 전기까지만 하더라도 이 임시 기구의 명칭은 정식으로 명명되지 않았으나, 세종 8년 내재적으로는 좌우(左右)의 대표되는 개념은 갖추기 시작하였고, 조선 후기 광해군때에 비로소 나례청(儺禮廳)이라고 하는 이름하에 임시기구가 등장하였으며 이것은 나례도감(儺禮都監)으로도 혼용되어 불리웠다. 나례청(나례도감)의 구성은 좌변(左邊)과 우변(右邊), 즉 두 부서로 나뉘어 나례의 준비를 하였는데, 이는 매우 독특한 공연 준비 양상이다. 보통 한 행사의 준비를 위해서는 하나의 수장(首長)이 감독하고, 이를 중심으로 한 명령체계 하에 일이 진행되는 것과는 다른 이례적인 제도이기 때문이다. 이 두 변(邊) 사이의 관계는 서로 경쟁 관계이기도 하면서, 공조하는 관계이기도 하였다. 이처럼 나례를 준비할 때에만 양변(兩邊)으로 나뉘어 준비하는 제도는 [조선사략] 등의 기록에 의해 신라시대의 유풍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대(山臺), 결채(結綵), 창우희(倡優戱) 같은 것들이 동아시아의 공통된 연행양상이고, 우리나라의 산대 등도 중국과 관련되어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처럼 양변(兩邊)으로 나뉘어 잡희를 행하는 나례의 연행 양상은 중국의 기록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전통이다. 따라서 이 양변의 제도 역시 우리나라의 고유한 나례 전통 중의 하나로 간주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반도와 중국의 영접의식에 나타난 보편성과 고유성 –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의 절장(節仗)을 중심으로

        윤아영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xamine the claims that the procedures for the welcoming ceremony of Goryeo recorded in Seonhwabongsa Goryeodogyeong, written by Seo Geung (1091-1153), correspond to the jeoljang of the Prince of Song, China, and to distinguish the uniqueness of the welcoming ceremony of Goryeo and the universality of the two cultures. The artic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Song, organized by Seo Geung, tells us two things. First, Song and Goryeo are independent countries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onquest and conquest, and second, but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culturally. Therefore, it is an error to compare the procedure of the Seonhwabongsa Goryeodogyeong with the welcoming ceremony of the Chinese crown prince. This is because the two countries are independent countries and the reception ceremony set by Goryeo must be compared to the design used in the national welcoming ceremony of the Song Dynasty. It is understandable that Goryeo welcomed Song's delegation in accordance with Goryeo's unique design format, and some common procedures were in consideration of the other country. In addition, it seems difficult to convince the argument that the origin derived from Janggan-gi, the only event organized in the Tang noble lady's trip, as baekhee was Goryeo's and did not include such a form in China's official cabinet system. This is because the gap between the two is far in terms of timing, class, and scale. In other words, a welcoming ceremony introduced in the Seonhwabongsa Goryeodogyeong is a unique style of Goryeo. More ultimately, it can be said that the key factor that determines the uniqueness of the two countries' reception consciousness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Baekhee procedure. 본 연구는 서긍(徐兢, 1091~1153)이 저술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기록된 고려의 영접의식 의장 절차[節仗]를 중국 송나라 황태자 노부의장에 해당한다는 주장을 비교 검토해 보고, 당시 고려 의장의 고유성과 양국 문화의 보편성변별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서긍이 정리한 고려와 송과의 관계에 관한 글은 두 가지를 알려주고 있다. 첫째, 송과 고려는 서로 정복피정복의 관계와는 무관한 독립국가라는 것과 둘째, 양국은 독립국가이지만 문화적으로는 일부 공통점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고려도경』의 절장(節仗)을 중국 황태자 노부의장에 비교한 것은 오류이다. 양국은 독립된 국가로서 고려가 정한 영접의식 의장은 송나라의 국가 단위 의식에 사용되는 의장과 비교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고려는 송의 사절단을 고려의 고유한 의장 형식에 맞게 영접했고, 이 중 백희(대)를 비롯한 나머지 절차는 중국 관방 의제에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것으로 고려 영접의식의 고유한 특성이다. 즉, 『선화봉사고려도경』에 소개된 영접의식으로서의 의장은 고려의 고유한 양식으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더 궁극적으로는 양국 영접의식의 고유성을 가르는 핵심요소는 백희의 첨입유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모화관 영접의식 ‘헌가’의 양식과 의미

        윤아영 한국국악학회 2019 한국음악연구 Vol.65 No.-

        Heonga(헌가, lit. instruments on the royal court) of Mohwagwan(모화관, lit. house representing of admiring china)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yeongjeobuisik(영접의식), the national welcoming ceremony was regarded not as music or its formation but as mountain-shaped stage in spite of sharing the same name with one performed inside the royal court. However heonga of Mohwagwan was presumed to be the musical stage presented by musicians of the official musical organization, Jangagwon(장악원), because the relevant records show the evidence of the musical instruments and the participation of Jangagwon. Heonga of Mohwagwan in the national welcoming ceremony might have played a representative role that shows the highest diplomatic level of royal welcoming ceremony rituals as Heonga inside the royal palace yard had. Originally, heonga of Mohwagwan formed as two stages had been a long tradition of Joseon dynasty at least since the king Sejong’s reign, had been reduced one stage because of diplomatic climate change with china and the burden of structuring expense. Also, after the war Byeongja Horan(병자호란, lit.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7, Heonga had changed from playing Heongaak(헌가악, lit. music of the royal court) to presenting decorations with puppets because of loss of musicians and instruments and diplomatic climate change between two countries. Therefore, the mountain shaped stage depicted on the painting <Bongsado> (1725, the first year of king Yeongjo’s reign) was not the same with the one before the war Byeongja Horean. Heonga had changed to the same object to yungeo(윤거, lit. pulling stage) or sandae(산대, lit. mountain-shaped stage) because of these changes, therefore it had became considered as an useless object, and it had been often told abolition of it. However, as Heonga had still has purpose of entertaining visitors and indispensable symbol representing auspicious occasion, the ostensible could last till the end of Joseon dynasty. 영접의식 중 모화관에 설치된 ‘헌가(軒架)’는 전정헌가와 같은 악대나 음악과는 무관한 것으로 산대와 동물이칭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인조 12년까지만 하더라도 모화관 ‘헌가’는 그 주변이나 위에서 장악원의 악공이 악을 연주했던 무대장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모화관에서의 영접의식에는 장악원이 전정헌가의 편종 편경을 비롯한 각종 악기들을 갖추고 참여하였다는 기록에 의해 전정에서의 헌가악과 같은 음악을 연주했을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이다. 모화관에서의 ‘헌가’ 설치와 헌가악의 연주는 황제의 조칙을 들고 오는 사신이 입경했을 때, 전정헌가와 같은 가장 큰 규모의 악대로 환영한다는 상징적인 예를 나타내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래 모화관 영접의식의 ‘헌가’는 양변에 각각 일기(一機)씩 조성되는 것이 전통이었으나 대외관계의 변화 및 비용 부담 등의 이유로 병자호란 이후로 한쪽 변에만 설치하는 것으로 축소된 것 같다. 더불어 악공이나 악기 등도 흩어져 헌가악의 연주는 불가능해졌으므로 생략되고 잡상만을 진열하는 의물 역할로만 남게 된 것이다. 따라서 영조 원년 <봉사도>에 묘사된 모화관 영접시 헌가산대는 한 대만 남은 것으로, 장악원 악공의 연주도 빠진 잡상만 설치된 형태로 변화된 것이다. 병자호란 이후 모화관 영접의식의 ‘헌가’는 헌가악의 연주를 동반하던 양식에서 잡상만 진열하는 의물로 축소됨에 따라 무용한 것으로 여겨져 폐지가 주장되었다. 그러나 헌가는 발생과 함께 빈객을 즐겁게 하고 경사를 상징하는 필수 불가결한 증표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었으므로 명목만이라도 영접의식이 지속되는 한 폐지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학습자의 경영예술 창작 체험이 제품-서비스 혁신 아이디어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윤아영,김효근,서현주,Yoon, Ayoung,Kym, Hyogun,Suh, Hyunju 한국지식경영학회 2019 지식경영연구 Vol.20 No.2

        This study investigates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s in individuals to clarify the principle between artistic stimulation and business innovation idea generation based on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artistic creation program of business art, and derived meanings from their experience. As a result, we presented 4 essential categories, 8 main subjects, and 20 sub-subjects; 1) Optimizing rational and creative thinking, 2) Projecting oneself to the artist, finding balance, 3) Having room in mind to view the surroundings, finding insight into the world, 4) Eureka moment,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business and art. We also found out participants of the program 1) Gradually expanded the criteria, 2) In chaotic directions, and 3) Leaded business creativity through from a non-form to reality throughout the project experience, The attempt to identify business phenomena by using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had an academic significance regarding the unfamiliarity of the method in the business administration area. Moreover, this study broadened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creativity by art in business areas. The study verified the categories and subjects of the business art, paving the way towards application in the real business situation.

      • 국내 여성 동성애자의 장소 형성과 문화 실태

        윤아영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2013 여성연구논총 Vol.13 No.-

        국내 여성 동성애자에 대한 연구가 미미하나 차별금지법안 등 성적 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여성 인권의 신장 방안에 대한 논의가 대두되고 있다. 국내 여성 동성애자들이 형성하는 온·오프라인의 공간적 특성과 더불어 실제적으로 그들이 거주하는 주거 밀집 지역의 특성을 연구하여 사회적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여성 동성애자의 지리적 공간에 대한 특징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참여관찰을 통해 연구한 결과 여전히 터부시되고 있는 여성 동성애자의 공간적 특징을 알 수 있었으며, 사회와의 차단을 통해 성적 정체성으로 인한 차별 및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들은 평균적으로 경제적 수준이 남성에 비해 낮기 때문에 그들이 형성하는 주거 밀집 지역이 1인 주거가 특화된 원룸 단지 등 소규모 주택을 값싸게 공급하는 곳에 형성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밝히게 되었다.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이니 만큼 더 이상 여성 동성애자들의 문화가 음지화(陰地化)되기보다는 또 하나의 사회적 공동체로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시용향악보』 무가계 악곡의 발생 배경 추론 -<나례가>, <성황반>, <내당>을 중심으로-

        윤아영 한민족문화학회 2023 한민족문화연구 Vol.82 No.-

        The three songs of Naryega, Seonghwangban, and Naedang, known as shamanic music included in the Singyonghyangakbo, have been analyzed differently due to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lyric songs. This study decoded the lyrics of these three songs through comparison with narye ritual at the time based on the fact that the Singyonghyangakbo was compiled between November 18 (1505) and March 17 (1506). First of all, the difficulty of interpreting the situation in which naryeong gongtaek, clowns, and ghosts are combined in the same text was due to the situation of the day when four complex narye rituals were held at the same day before and after the guna ritual. Unlike the existing Seonghwangban, which was presumed to have absorbed the strange music of Seonghwangdang, it was sung in the court describing the year-end guna ritual. In particular, singing the four gates shamanic gods i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four gates of the castle in the guna ceremony, and then singing the golden eyes heavenly king is related to bangsangsi, who was serving covered with the mask of golden four eyes. Naedang was interpreted as a female song with obscene meanings in that a song related to Buddhist service or male slaves appeared. However, this song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it was actually related to guna ritual among narye's four rituals. This is because the jinja, who played the role of a traitor in Chinese guna ritual, have traditionally been selected from slaves, and if they followed the tradition of guna ritual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presumed to mean the male slaves of guna ritual. As a result, the three songs are related to four kinds of narye ceremonies at year end, and although the title may be misunderstood as a shamanic songs, it was revealed that the music was created at the time because it depicted the year-end events in the court. However, although all three songs have newly created lyrics,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musical genre of the created song is another problem, and the judgment of whether the musical style of these songs is a shamanic type, lyric poetry or a folk song is reserved.

      • KCI등재

        영조의(迎詔儀)시 도상 나례(途上 儺禮)의 첨입과정 및 성격에 관한 연구

        윤아영 한국국악학회 2011 한국음악연구 Vol.50 No.-

        본고는 중국에서 보낸 조서(詔書)나 칙서(勅書)를 맞이할 때 행했던, 우리나라 국가의식으로서 도상(途上)에서의 나례(儺禮)가 언제 수용되었는지, 그 연원은 무엇인지를 파악해 보고, 더불어 도상나례의 성격 및 가치를 논한 논문이다. 영접의식(迎接儀式)으로서 행했던 나례라고 하는 것은 중국에서 요구했던 ‘번국영조의(藩國迎詔儀)’의 양식대로 행한 것이 아닌 우리나라의 독특한 것이다. 이는 고려말 태조의 위화도 회군 이후 태조를 위해 결채(結綵), 채붕(綵棚) 등을 설치하고, 음악을 연주(演奏)하였으며, 거기에 잡희(雜戱)를 곁들이기 시작한 것과 관련된 것이다. 이후로는 중국 황제의 조서를 받들고 오는 사신(使臣)을 맞이할 때에도 이와 유사한 형식으로 채붕(綵棚)을 설치하고, 잡희에 해당하는 나희(儺戱)를 연출하는 것이 정식이 되었다. 이후로 같은 의식에서 점차 나희(儺戱)라는 용어 대신에 나례(儺禮)라고 하는 좀 더 양식화 된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정례로 정착되었다. 즉, 조선조 이후 영접의식 중 하나였던 나례(儺禮)는 여말 선초에 영조의의 시작을 알리는 절차로 첨입되어 우리나라의 독특한 손님 맞이 의식이 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영조의시 행해진 나례는 중국에서는 도상(途上)에서 사용된 바 없어서, 일단 그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도 차별성이 있다. 비록 중국의 원소(元宵) 등에서도 채붕과 가무백희 등은 있었으나, 이것이 우리나라의 연등회․팔관회와는 유관할 수 있을 지언정, 영조의시 나례의 첨입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만 시행되었던 이 독특한 영조의시 나례는 중국에서 연원했다기 보다는 이미 신라시대 및 고려시대의 유풍으로서 조선조 영조의에까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도상에서 영접의식의 하나로서 행해졌던 나례(儺禮)의 성격에 관해서는 이를 흉(凶)한 것, 즉 벽사(辟邪)적인 것으로 여겨서 해석된 바도 있으나 이는 옳은 해석이 아니다. 도상에서 영조의시 행해졌던 나례의 성격은 ‘길(吉)’한 것으로 의전적(儀典的)인 성격 외에도 경사적(慶事的)인 성격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상(途上)에서 손님을 맞이할 때에 이처럼 채붕(綵棚)과 잡희(雜戱), 즉 나례(儺禮)를 행한 것은 신라시대 유풍이 고려시대의 팔관회 및 설화산대희(設火山臺戱) 등에 이어졌던 것이다. 이것이 조선시대에는 궁정 나례 뿐 아니라, 도상에서 행해졌던 각종 잡희 등에도 영향을 주어, 나희 혹은 나례로 지칭하면서 전해진 것이다. 따라서 나례는 고려말 조선초에 도상에서 영접의식의 시작을 알리는 것으로서 첨입되었으나, 이는 기존에 우리나라에 존재하였던 독특한 전통이 반영된 것이었다. 비록 중국이 지정한 영조의 절차와는 달라서 폐지 논란이 있기는 하였으나, 당시에도 우리나라의 독특한 것, 독창적인 것으로 인정되어, 폐지되지 않고 조선 말까지 이어지게 된다. This theses is to study Dosang* Narye* performed at a reception called Youngjoeui* and its origination based on literature. According to the Chinese literature, Dosang Narye or Baekheejapgi was performed at Palgwanhwe* during the Shilla Dynasty. But there are very few subsequent records on Palgwanhwe. But it is known that Seolhwasandaehee* and Gwangdaehee* performed during Yeondeunghwe* were continued and absorbed as part of Goongjeong Nary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first record on Dosang Narye is a ceremony welcoming the first king of the early Joseon Dynasy, Lee Seong Gye where Chaeboong* and Japhee conducted at Youngjoeui were performed. Ever since, Japhee began to be called Nahee. Given that Dosang Bakheejapgi was called Nahee and later Narye while such terms were not found in China,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it was affected by Korea's unique Goongjeong Narye. Dosang Narye was considered inseparable from Chaebo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Meanwhile, these terms were not found in the Chinese literature on Youngjoeui. Although they are similar to the performance conducted on Wonsojeol or Chinese spring festival, the latter was not developed into the court ceremony and far from Youngjoeui. It was once suggested that Dosang Narye performed at the beginning of a guest welcoming ceremony had the features of exorcism seeking to eliminate evil spirits that might have accompanied envoys. But it turned out that Dosang Narye had festival and entertaining characteristics rather than exorcising ones. It is Korean unique tradition to perform Chaeboong and Japhee (i.e Narye) at guest welcoming ceremony. The tradition conducted at Palgwanhwe during the Shilla Dynasty continued into Goryeo Dynasty as part of Yeondeunghwe and Seolhwasandaehee and into Joseon Dynasty as part of Goongjeong Narye. There is strong possibility that Japhee or Nahee performed at Goongjeong Narye was expanded in its meaning to be adopted at Youngjoeui. In short, Dosang Baekheejaphee was expanded in its meaning to be called as Nahee and Nary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or Dosang Narye that is unique Korean tradition different from Chinese Youngjoeui in its process, there was an argument for its elimination and a relevant memorial was presented to the ki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it was defined as something that should not be abolished and maintained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궁정(宮庭) 나례(儺禮)의 지속성에 관한 궁구(窮究) -내농작(內農作)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윤아영 한국국악학회 2012 한국음악연구 Vol.52 No.-

        Narye was a royal court ceremony that had been proposed of abolition persistently. However, Narye had long been lasted from the late Goryo to the mid Joseon dynasty, for about 700years. This long lasting persistency of Narye must have been caused by something uniqueness that compared with Naenongjak. Royal court Narye and Naenongjak were both performed by clowns, so they were very unique court cultures that had been argued of abolition by retainers in those days. They asserted that those two court cultures were too playful to inappropriate as the royal court culture. However, royal court Narye was longer lasted than Naenongjak and that was recorded to the text book Ahkahkguibum as a court culture, in differ to this. Royal court Narye had the inherent character that it was performed in the year-end days as a court ceremony. Besides this inherent character, royal court Narye had very dynamic and inventive characters. Naenongjak had focused to the realism of agricultural affairs and silk yarn, on the contrary Narye had no detail structures of performance except to the rule of circuses by clown’s. Therefore, the contents of Narye was very various and more humorous than Naenong’s. Also, the absence of luxurious stage settings seemed to make Narye to persist for the long time compared with Naenongjak. The realism as Naenongjak’s essence had resulted in rare and luxurious stage settings as a side effect. On the other hand, Narye had no need for the stage setting on a large scale, and it was performed rather simple than other royal court ceremonies performed in the court yards. The side of conventionalization, royal court Narye had a serial formalities that consisted with a harmonious court hierarchy of king and his subjects, a royal banquet and a king’s gift to the poor people, on the contrary, Naenongjak had not. For the last thing, on the side of the royal court music, royal court Narye had been accompanied with dances and musics performed by a music director, court musicians, an official Kisaeng, singing children, and dancing children, while Naenongjak hadn’t. Therefore, royal court Narye was recorded to the royal text book Ahkhakguibum to the contrary Naenongjak wasn’t. So, only Narye had been long lasted with a authority, and this fact has been revealed in comparison to Naenongjak’s example. As a result, the persistence of royal court Narye that had been lasted from the late Gorye to the mid Joseon dynasty seems to be caused by its sense of humor, a dynamic, inventive and thrifty character, and the conventionalization and with authority. 궁정 나례는 조선시대 내내 희완(戲玩)의 것으로서 폐지논의가 꾸준히 제기된 궁중 의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려말부터 조선 중기까지 궁정나례는 매년 폐지되지 않고 약 700여년간 지속될 만큼 자생력 및 지속성을 갖고 있었던 궁정문화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지속력이 과연 어디에서 기인하는지를 이와 매우 유사한 연행형태를 갖추었던 내농작(內農作)과 비교해서 찾아 보았다. 궁정 나례와 내농작은 궁중 후원이라고 하는 공간에서 동일한 연희자인 광대들에 의해 연출되었던 궁중 문화였다. 특히나 이의 연출을 담당했던 이들이 광대였기에, 희완으로 간주되어 폐지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되었던 특수한 두 개의 궁중문화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나례와 내농작은 그 지속시기 및 왕실문헌 기록화 등의 측면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궁정 나례의 지속성은 그 연행시기가 세말(歲末)이라고 하는 폐지될 수 없는 시기적 특수성을 가졌던 점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내재적 특성 외에도 궁정 나례는 매우 역동적이고, 창의성이 가미된 궁정문화였다. 내농작이 정해진 내용을 그대로 재현하는 사실주의적인 연출에 초점을 맞춘 반면, 나례는 광대들의 각종 재주를 펼쳐보인다는 큰 틀 외에는 세세하게 지정된 것은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의 공연 내용은 매우 다채로웠으며, 특히나 내농작보다는 해학적 요소가 훨씬 가미된 것이었다. 또한 이처럼 연출의 자율성에서 기인하는 무대장치 사치성의 부재(不在)는 더욱더 나례의 지속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나례와 달리 내농작은 사실주의적 연출에 국한되었기에 각종 무대장치를 희귀하고 화려한 것으로 치장하는 것에 경쟁적으로 초점을 맞추었다. 반면 나례는 무대장치라고 할 만한 것이 크게 요구 되지 않았고, 오히려 다른 궁정문화보다도 더욱 간소하게 후원에서 펼쳐졌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양식화(樣式化)라고 하는 측면에서도 살펴보면, 궁정 나례가 군신간의 화합을 도모하고, 연회를 베풀고 춥고 굶주린 백성들에게 하사(下賜)를 하는 등의 일련의 절차를 갖추었던 반면, 내농작은 이와 같은 일련의 절차가 완성되지 않았다. 또한 궁중악(宮中樂)의 수반이라고 하는 면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궁정 나례는 악사(樂士), 악공(樂工), 여기(女妓), 가동(歌童), 무동(舞童) 등이 참여한 시가무(詩歌舞)가 수반되었던 데 비해 내농작에는 이와 같은 궁중악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예악 규범서에는 궁정 나례만이 수록되어 후세에 전거(典據)를 제시할 수 있었던 것이고, 이것이 지속력의 한 요소가 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자생력의 원인은 이와 유사한 내농작이 양식화 및 기록화의 전철을 밟지 못한 것에 비견되어서도 알 수 있는 점이다. 결국, 궁정 나례의 지속성은 이와 같은 시기적 이점을 비롯해, 해학성, 역동성, 창의성, 검박성 및 양식화로 인한 기록화 등이라는 요소로 인해 고려말부터 조선후기까지 지속될 수 있는 힘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