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한국산 대바늘돌말속(Genus Synedra) 돌말류의 분류학적 연구

        윤숙경 가톨릭대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돌말류(diatoms)의 일 속인 대바늘돌말속(Genus Synedra)에 속하는 종류는 전 세계적으로 수계에 광범위하게 출현하는 분류군으로 부유하거나 부착하는 생활형태를 취하고, 대부분 단독으로 생활하거나 군체를 만들어 생활한다. 대바늘돌말류(Synedroids)는 형태적 유사성 및 군체 형성의 유사성으로 인해 같은 김발돌말과(Family Fragilariaceae)에 속해 있는 김발돌말속(Genus Fragilaria)과는 종의 동정에 있어 많은 혼동이 있으며 속의 한계를 설정하는데 있어 분류학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분류체계를 보면, 두 속을 하나의 속(Genus Fragilaria)으로 통합하여 분류학적 실체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지견과 두 속을 각각 독립된 속으로 인정하고 개개의 속을 더 세분화시켜 이해하는 지견이 있으며 이에 대하여 현재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러한 분류학적인 실체에 대한 논란은 대바늘돌말속과 김발돌말속에 속하는 종류가 광학현미경 하에서 군체 모양의 차이로 구분해 볼 수는 있으나, 개개의 세포 관찰에서는 폭이 매우 가는 바늘모양의 형태로 인해 뚜껑면(valve face)의 관찰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분류학적 특성이 될 수 있는 기타 형태에 대한 관찰이 어렵기 때문에 두 속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형태적 특징들이 부족한 것에 기인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돌말류 중 분류학적 실체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는 분류군인 대바늘돌말류를 대상으로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관찰을 통하여 뚜껑의 길이와 폭, 길이 대 폭의 비율, 점무늬열의 수 및 배열 상태, 뚜껑의 모양, 뚜껑말단의 모양, 헛등줄의 모양, 중심역의 모양, 정축역의 모양, 입술돌기의 수, 둘레띠의 모양, 그물눈의 모양 및 배열 상태, 정단구멍역의 존재유무 및 형태 등 형태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분류학적 및 형태학적 정리를 하였으며, 아울러 그 분류체계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리한 대바늘돌말류는 Patrick and Reimer (1966) 및 Simonsen (1979)의 분류체계를 따라 12종, 17변종, 1변품종, 2미동정종으로 Synedra acus, S. cyclopum, S. delicatissima, S. delicatissima var. angustissima, S. goulardi, S. incisa, S. minuscula, S. parasitica var. subconstricta, S. pulchella, S. pulchella var. lacerata, S. pulchella var. lanceolata, S. rumpens, S. rumpens var. familiaris, S. rumpens var. fragilarioides, S. rumpens var. meneghiniana, S. rumpens var. scotica, S. socia, S. tabulata var. obtusa, S. tenera, S. tenuissima, S. ulna, S. ulna var. aequalis, S. ulna var. amphirhynchus, S. ulna var. contracta, S. ulna var. danica, S. ulna var. obtusa, S. ulna var. oxyrhynchus, S. ulna var. oxyrhynchus for. mediocontracta, S. ulna var. ramesi, S. ulna var. spathulifera, S. sp. 1, S. sp. 2 등 총 32종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관찰된 대바늘돌말류는 정축이 굽은 형태인 S. cyclopum group(Group Ⅰ), 뚜껑이 가늘고 긴 바늘형태인 S. acus group (Group Ⅱ), 뚜껑이 잘 발달된 형태인 S. ulna group(Group Ⅲ), 중심역이 부푼 형태인 S. rumpens group(Group Ⅳ), 점무늬열이 발달된 형태인 S. pulchella group(Group Ⅴ), 뚜껑의 모양이 짧고 마름모꼴 형태인 S. parasitica group(Group Ⅵ), 헛등줄이 잘 발달된 형태인 S. tabulata group(Group Ⅶ) 등 7가지 group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The species of the diatom genus Synedra have been generally known to us as one of the common taxa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aquatic systems all over the world. The Synedra species have been reported as of planktonic form or attached form, and most of them live singly or in colonies. Also this genus is quite closely related to and also frequently mixed and confused with the diatom genus Fragilaria by their morphological similarity and similarity of the colony formation. There has been considerable uncertainty and dispute over the circum- scription of the diatom genera Synedra and Fragilaria. In the classifi- cation system, the recent studies have examined this aspect to justify either the combination of the genera Fragilaria and Synedra or the retention of them as separate. The identification of these genera has traditionally relied more on the difference of colonization than the face of the diatom valve because the morphological details of Synedra species are not easily discernable under light microscope and especially the valve shape is very thin needle form. The species of the diatom genus Synedra collected in Korea have been examined by light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of the Synedra species in Korean materials, to elucidate their taxonomic identity and also to evaluate the classification system. The characters of Synedra specie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length and width of valve, ratio of valve length to width, number of striae, shape of apices, shape of pseudoraphe, shape of central area, shape of axial area, number of rimoportula, shape of girdle band, shape of areolae and shape of apical pore field. As a result of this study, 32 taxa of Synedra species were observed, belonging to 12 species, 17 varieties, 1 variety-form, and 2 unknown species and arranged according to the systems of Patrick and Reimer (1966) and Simonsen (1979): Synedra acus, S. cyclopum, S. delicatissima, S. delicatissima var. angustissima, S. goulardi, S. incisa, S. minuscula, S. parasitica var. subconstricta, S. pulchella, S. pulchella var. lacerata, S. pulchella var. lanceolata, S. rumpens, S. rumpens var. familiaris, S. rumpens var. fragilarioides, S. rumpens var. meneghiniana, S. rumpens var. scotica, S. socia, S. tabulata var. obtusa, S. tenera, S. tenuissima, S. ulna, S. ulna var. aequalis, S. ulna var. amphirhynchus, S. ulna var. contracta, S. ulna var. danica, S. ulna var. obtusa, S. ulna var. oxyrhynchus, S. ulna var. oxyrhynchus for. mediocontracta, S. ulna var. ramesi, S. ulna var. spathulifera, S. sp. 1 and S. sp. 2. Of these, seven groups of Synedroids have been observed: curved or arched valve form of S. cyclopum group(Group Ⅰ), thin needle shaped valve form of S. acus group(Group Ⅱ), well-developed valve form of S. ulna group(Grou III), swollen central area form of S. rumpens group(Group IV), distinctly punctate striae form of S. pulchella group(Group V), short rhombic valve form of S. parasitica group(Group VI) and well-developed pseudoraphe form of S. tabulata group(Group VII).

      • Loewe의 와 Schubert의 <Erlk?nig>비교연구

        윤숙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와 음악이 결합한 장르인 독일예술가곡(Lied)은 19세기 독일 낭만주의 음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독일을 중심으로 시의 낭만운동이 18세기 말부터 절정을 이루기 시작하였고 이것에 영향을 받아 독일예술가곡이 발전하였다. 여러 낭만주의 문학가들 중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는 낭만시대의 예술작곡가들에게 선호의 대상이 되었다. 그의 작품은 예술작곡가들이 작곡하기에 좋은 운율체계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 또한 서정적이고 극적이기 때문에 여러 작곡가들이 그의 시를 가지고 독일예술가곡을 작곡하였다. 특히 그의 시 <Erlkonig>는 다수의 작곡가들에 의해 가곡화 되었다. 많은 작곡가들 중에서도 동시대 작곡가인 뢰베(Jonhann Carl Gottfried Loewe, 1796~1869)와 슈베르트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가 괴테의 시 <Erlkonig>를 어떻게 음악적으로 표현하였는지 비교분석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논문은 3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제 1장 서론에서는 독일예술가곡의 전반적인 배경과 연구목적을 밝혔다. 본 논문의 주요부분인 제 2장 본론에서는 괴테의 시 <Erlkonig>의 내용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또한 뢰베와 슈베르트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 두 작곡가가 괴테의 시<Erlkonig>의 문학적 요소를 어떻게 음악과 결부시켰는지 분석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마지막 장인 제 3장 결론에서는 뢰베의 <Erlkonig>와 슈베르트의 <Erlkonig>를 연구, 비교한 결과 얻게 된 음악적인 이해를 연주에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The German Lied, which is a combination of poem and music, is an important genre of the German Romantic music in the 19th Century. From the last quarter of the 18th Century Germany stood up as a center of the movement in the poetic Romanticism. Hence, the German Lied began to bloom. 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 was the most popular poet in the composers of the German Lied. Especially Goethe's poem, <Erlkonig> was set into music by numerous composers. Many Romantic composers found the <Erlkonig> suitable for musical setting mainly because of its dramatic quality and rhythmic structure of phrases. Two contemporary composers, Jonhann Carl Gottfried Loewe (1796~1869) and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also set the <Erlkonig> to the music. It is interesting to compare how the two other composers internalized the poem in their own understandings and expressed it in the form of the German Lied. This thesis consists of 3 chapters. The first Chapter, the introduction, provides the overall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German Lied, and al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tated. The second chapter, which is the main part of this thesis, presents the analysis of the poem and two songs by Loewe and Schubert, along with the comparison of two songs. The third chapter gives some musical insight to the so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songs by Loewe and Schubert specifically.

      • 초등과학 영재들의 실험활동에서 나타나는 증거평가에 대한 분석

        윤숙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실험활동 상황에서 나타나는 증거평가 과정의 반응유형과 반응유형별 과정 유형과 그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G시 교육청 영재 교육원에 선발된 6학년 학생 20명이었으며 과제는 연구자에 의해 주어졌다. 과제는 촛불 관련 과제 2가지와 물질의 부피와 용해에 관한 과제 2가지이다. 반응유형과 과정 유형 그리고 특성은 인터뷰를 통해 생성된 프로토콜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증거평가 과정을 통해 몇 가지 특성이 발견되었다. 학생들은 증거평가 과장 상에 예상 단계에서 종종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예상하였고 어떤 경우에는 인터뷰 과정에서 그들의 예상이 변하기도 하였다. 또한 실험 단계에서 실험 방법상의 새로운 제안을 하였다. 증거평가 단계에서는 실험결과의 경향성을 중시 여기고 결과를 대체적으로 객관적으로 관찰하였다. 둘째, 증거평가 반응유형은 조건적 수용, 무조건적 수용, 거부, 보류로 총 4가지가 나왔다. 이것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와 비슷한 결과이다. 그러나 반응유형의 비율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셋째, 증거평가 과정에서 영재학생들은 그들의 예상, 예상에 대한 이유 그리고 증거평가와 설명을 반복하였다. 이런 특성으로 미루어 보아 영재학생들은 예상과 증거평가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사고를 정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로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증거평가에 관한 몇 가지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영재학생들의 실험활동 시 요구되는 교수학습 전략을 세우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type and process of response and the features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 that was given in the evidence evaluation process of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 The subject was 20 students at six grade who selected in the center of gifted education' in G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tasks were given to them. There were two kind of candlelight tasks and two kind of tasks about solution and volumes of substance. The type and process of response and the features were analyzed in protocol produced on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me features was founded through the evidence evaluation. Students often expected considering variables at expecting level and they changed their expectations in process of interview in some cases. Also, in experiment level, they suggested new method of experiment. In evidence evaluation level, they laid emphasis on tendency they accepted the results of experiment. they observed result of experiment in a detached way. Second, type of response of evidence evaluation were founded conditional acceptance, unconditional acceptance, rejection and abeyance. These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former study that its subject was general students. But frequency of type was some differences. Third, they explained their expectations, cause of expectations and evidence evaluation continually. It seems that they reconsidered repeatedly in expectation and evidence evaluation level. In this study there were suggested some features about evidence evaluation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expected that results of this study form the found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 성인 뇌졸중 환자의 쓰기 훈련이 편측무시와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

        윤숙경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쓰기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구 소재 Y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은 24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13명 대조군 11명으로 배분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기존 작업치료를 주 5회 30분씩 3주에 걸쳐 치료 중재를 받았으며, 실험군만 치료사의 설명과 지도하에 보호자와 함께 주 5회 15분씩 3주 동안 쓰기 훈련을 병행하였다. 치료 중재 전 MMSE-K와 MVPT, 알버트 검사, 캐서린 버지고 척도를 사용하여 대상자 선정과 사전 평가를 하였으며, 3주 후 편측무시와 시지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MVPT, 알버트 검사, 캐서린 버지고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쓰기 훈련 전·후 알버트 검사에서 실험군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05), 대조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5). 캐서린 버지고 척도의 결과에서는 두 집단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5). 둘째, 쓰기 훈련 전·후 시지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MVPT에서 실험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05), 대조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뇌졸중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편측무시의 감소와 시지각 장애 회복에 쓰기 훈련이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감소와 시지각 향상을 위해 쓰기 훈련이 효과적일 것이라 제안할 수 있다. 그러나, 편측무시와 시지각 향상과 함께 일상생활활동으로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시공간적 요소들이 포함되어있는 과제와 병행하여 쓰기 훈련을 시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하며, 특별한 금기 환자 없이 적용할 수 있는 쓰기 훈련은 작업 치료사의 정확한 설명과 지도가 있다면, 가정 프로그램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고 사료되어 진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riting training of adult stroke patients on unilateral neglect and visual perception. 24 stroke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Y hospital located in Daegu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with 13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with 11 patients. Therapy intervention was given to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existing occupational therapy for 30 minutes five times per a week for total three weeks. Only in an experimental group, writing training was conducted with guardians under explanation and instructions of therapist for 15 minutes five times a week for total three weeks. Before therapy intervention, selection of target patients and pre-assessment were performed using MMSE-K, MVPT, Albert’s test and Catherine bergego scale. MVPT, Albert’s test and Catherine bergego scale were used to examine the changes of unilateral neglect and visual perception after three wee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bert’s test before and after writing training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n experimental group(p< .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a control group(p> .05). Catherine bergego scale as another assessment tool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oups (p< .05). Second, MVPT assessment performed to examine the function of visual perception before and after the writing training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n experimental group(p< .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a control group(p> .05). Taken all together, it was shown that the writing training affected the restoration of unilateral neglect and visual perception. Therefore, we can propose that the writing training is effective to reduce the unilateral neglect and improve the visual perception. However, for generaliza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the restoration of unilateral neglect and visual perception,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perform writing training in parallel with the task including the factors of visual perception. Since writing training is taken relatively easy, inexpensive and can be applied to patients without specific contraindications, it can be used as home program with the detailed explanation and guidance of therapist.

      • 한국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채터봇과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에 관한 사례 연구

        윤숙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영어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제 2언어가 아닌 외국어로서 영어를 학습하게 되는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학생들이 실제로 영어로 의사소통할 기회는 많지 않다. 최근 컴퓨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 도구는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의사소통 환경을 제공해 준다는 측면에서 각광받고 있으며, 특히 동시적 의사소통 도구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거의 실제 대화 상황과 동일하다. 또, 문자 기반 의사소통 도구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언어는 말과 글의 특징을 동시에 가진다. 채터봇과 메신저는 동시적 문자 기반 의사소통 도구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채터봇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 작용, 메신저는 인간과 인간의 상호 작용이라는 측면에서 다르다. 따라서 이 두 채팅 도구는 다른 특성을 띄고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역시 다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두 도구가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어떤 도구가 더욱 학습자의 영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시적 문자기반 의사소통 도구들 중에 채터봇과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이 우리나라 대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쓰기 및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 전략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데 있다. 또한 두 도구를 이용한 채팅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2주간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 12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채터봇과 메신저를 이용하여 16회에 걸쳐 채팅을 하도록 하였다. 학습자들에게 사전 및 사후 쓰기 평가와 말하기 평가,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채터봇과 메신저의 사용이 표현 능력과 정의적 측면 및 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채팅 내용을 분석하여 채팅 내용에 나타나는 언어적 측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채터봇과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 활동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과 말하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수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쓰기 능력의 향상도에 대한 평균 차이에 관한 유의도 검증을 통계적 방법으로 실시하지는 못했지만 사전·사후 쓰기 평가 및 말하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둘째, 채터봇과 메신저는 동시적 문자기반 의사소통 도구라는 공통점을 지니므로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총 16회 중 1회, 6회, 11회, 16회의 채팅 내용을 T-unit으로 분석한 결과 채터봇과 메신저 이용 집단 모두 T-unit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길어졌다. 이것은 학습자들이 한 문장 내에서 사용한 단어 수가 더 많아졌음을 의미하며, 채팅을 통해 쓰기 능력이 증진되었음을 말한다. 또, 두 집단 모두 도움 요청 전략을 사용하였고, 대문자를 써야할 곳에도 소문자를 사용하였다. 쓰기 평가에서 학생들이 문장 첫 단어를 대문자로 사용한 것과 비교해 볼 때, 이것은 학생들이 '쓰기'라는 부담감 없이 채팅에 임하였고, 하고 싶은 말을 써 넣어야 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나타난 특성으로 보인다. 셋째, 서로 다른 채팅 도구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채터봇 이용 집단의 경우 시간이 흐르면서 기초적이고 쉬운 문장에서 범하던 문법적인 오류가 줄어들었고, 주제 회피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 대화를 자연스럽게 이어가는 능력이 길러졌다. 이런 경향은 채터봇의 특징인 같은 주제나 문장에 대한 반복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반복은 오히려 학생들이 채터봇의 한계를 느끼고, 채터봇과의 채팅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리게 하기도 하였다. 반면, 메신저 이용 집단의 경우 'hmm', 'uh'와 같은 표현과 대화의 중복 같은 구어적 특성이 더 많이 나타났다. 학생들이 가끔 스스로 오류수정을 하였으며, 그 횟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 채팅 초기에는 언어 전환(code switching)이 나타났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외에 이모티콘의 사용이 두드러졌으며, 문법적으로 정확하지 않더라도 학생들이 의사소통하는 데 커다란 지장을 주는 정도는 아님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궁극적으로 두 도구가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면서도 각 도구의 특성을 잘 활용할 때 더 효 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채터봇과 메신저 모두가 영어 학습 및 말하기, 쓰기에 대한 태도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채터봇 집단의 경우 채터봇과의 대화의 한계나 지나친 반복 등으로 인해 흥미가 약간 떨어지기도 하였다. 따라서, 인공지능프로그램으로 개발된 채터봇을 활용할 경우에는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지속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우리 나라의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채터봇과 메신저의 특성을 고려하여 영어 교수 및 학습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채터봇의 경우 반복이라는 특성을 지님으로써 기본적인 문법적 오류를 줄여주고, 대화를 자연스럽게 이어가는 능력을 길러준다. 반면 메신저의 경우 이용자들이 비슷한 배경을 지니고 있을 때, 학습자들이 문법적으로 정확하지 않은 문장도 서로 이해하도록 하였다. 반면 시간이 흐를수록 채터봇과의 대화는 학생들이 지루해했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채팅 도구의 특성을 절충하여 언어의 정확성이나 반복 연습이 필요한 학습 단계에서는 채터봇을 사용하고, 언어의 유창성이나 즉각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단계에서는 메신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채터봇과 메신저라는 동시적 문자기반 의사소통 도구를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예비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채터봇과 메신저는 문자 채팅이므로 구두 토론보다 부담감이 없으면서도 채팅에 나타나는 글은 문어이면서도 구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동시성을 지님으로서 비동시적 의사소통 도구의 활용에 비해 실제 의사소통에 가까운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실제 구두토론에 앞서 연습의 단계에서 채터봇과 메신저를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보아 채터봇과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은 학생의 표현 능력과 정의적 측면 및 전략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것은 동시적 문자기반 의사소통 도구가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매체 자체가 가진 매력은 곧 소멸되기 마련이므로 적절한 주제를 선정하고 이에 알맞은 활동 개발을 통해 학생들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 역시 중요하다. 후속 연구에서는 각 도구의 특성을 보다 잘 살리고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수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s the world has become globalized, proficient writing and speaking skills are needed much more than before. However,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study English in an EFL setting do not have enough opportunities to use spoken and written English in a communicative environment. Recently, the usage of CMC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ools is being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thod that helps students' practical learning of English. Text-based chatting is known to be especially effective in enhancing writing and speaking skills in language use. Even though both chatterbot and messenger are text-based synchronous CMC tools, they also have their own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are expected to influence students differ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act of two synchronous text-based CMC tools, chatterbot and messenger, on writing and speaking skills of English, students' attitudes and use of strategies. This study also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use, using the two chatting tool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chatterbot and messenger, the researcher carried out experiments on 12 university students for 12 week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using chatterbot and messenger.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tools, the researcher tested the students' written and spoken language proficiency and surveyed questionnaires. Also carried out was an analysis of language used in the chatting scripts of the student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language used.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First, chatting activities using both chatterbot and messenge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riting and speaking abilities of the learners. Although it has not been possible to provide statistically meaningful comparison of means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test result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Second, the two synchronous text-based CMC tools had a similar influence on the language use of the learners in chatting. When measuring the average of chatting tasks of the learners using T-unit analysis, the T-unit length had shown a gradual extension. Also, both group learners used 'appeal for help' strategies and did not use capital letters, although they used them in the writing tests. Third, the two chatting tools had a different influence in language use in chatting. The students using chatterbot tended to decrease basic grammatical errors and topic avoidance. Due to the repetition of sentences or subjects which is a unique character of the chatterbot system, the students who used chatterbot, were able to converse better in English. However, some eventually lost interest in using chatterbot. In the messenger group, there were more characteristics of spoken language, such as fillers and overlapping of conversation. The learners in this group showed occasional self-correction and the frequency of self-correction gradually increased. Also, there were code-switching and use of emoticons. Students understood each other very well, even though the sentences they produced were not grammatically correct. Fourth, both chatting tool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earner's motivation, confidence, goal orientation and use of strategies. However, there had been a minor decrease in the interest of learners in the chatterbot group.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necessary in maintaining students' interests. In conclusion, the use of two synchronous text-based CMC tools, chatterbot and messenger, positively influenced students' achievements of writing and speaking skills, affective attitudes and the use of strategies. The use of CMC tools, however, should be used properly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ir potential, and it is important to maintain students' interest through choosing appropriate subjects and activities. This also calls for future studies which explore various ways of using tools to fit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pedagogical purpose.

      • 근로자의 쟁의행위 정당성에 관한 연구

        윤숙경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직이 그 목적을 달성하고 장기적인 생존을 위해서는 내부의 구성원들의 견해, 입장 및 관점 등의 차이를 얼마나 잘 조율하고 조정하는 활동이 당면한 과제가 된다. 이를 노사관계에 적용해보면, 노․사 양자 간의 갈등은 당연히 존재할 수밖에 없고 그 원만한 조정여부는 노사관계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필연적 과정이 된다. 노사관계는 서로 다른 목적과 관점 그리고 이해관계를 지닌 두 개의 조직 간 관계이다. 그 특성상 협력적이기도 하고 대립적 양상을 갖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노사관계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단체교섭과 단체협약을 바탕으로 하는 체계이며, 이 과정에서 근로자들의 단결권이 보장되어있으며, 상대방을 굴복시키기 위한 쟁의권을 사용할 수 있다. 근로자들이 자신들의 주장과 이익을 관철시키기 위한 쟁의행동은 법률적으로 보장되어있기는 하지만 실무상에서는 법의 한계를 넘어서는 불법적 행동들도 표출된다. 쟁의행동이 합법적이든 불법적이든 기업의 정상적인 생산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큰 손실을 일으킨다. 쟁의행동의 주체인 근로자에게도 결코 이익이 되지는 못한다. 그리고 국가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손실을 가져오며, 사회적 측면에서도 막대한 불편과 손실이 발생하고, 기업과 국가의 대외적 신뢰도에서도 악 영향을 발생시킨다. 특히 불법적 쟁의행동은 법률적 위반으로 인하여 근로자 개인에게 민․형사상의 책임문제가 귀속되며, 쟁의이후에도 노사 양자간의 갈등의 잔재는 계속되어 조업활동과 다음의 노사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노․사간 단체교섭과정에서 원만한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근로자들은 합법적 쟁의행동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자극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법률적 허용범위를 넘어서는 극한의 대립적 갈등행동도 발생된다. 즉 불법적 시위, 파괴, 점거농성 뿐만 아니라 폭력과 같은 과격한 집단행동 등도 나타나며, 이러한 단체행동은 비합법적인 것으로 산업현장에서 큰 손실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근로자에게 주어진 권리이기는 하지만 대립적 쟁의행동은 지대한 국가적 경제손실을, 사회적 불편함과 악영향을, 근로자에게는 경제적 손실과 정신적 충격 등을 가져온다. 이와 같이 크나큰 손실을 초래하는 노사관계문제는 매우 중대한 관심사이자 실질적인 과제이며, 근로자에게 주어진 정당한 쟁의행동의 한계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정당한 쟁의행위를 통하여 안정적 노사관계를 구축하는 지침을 형성하고, 동시에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근로자의 쟁의행위는 헌법상 근로자에게 부여된 정당한 권리이며, 우리나라의 노사관계시스템상에 필수적인 요소임에는 틀림없으나, 주지할 것은 그 정당성에 있다. 쟁의행위가 근로자에게 부여된 기본적 권리이지만 그것이 비윤리적이거나 비합법적인 것이어서는 안되며, 그러한 비합법적, 비윤리적인 것이 일반 대중에게 피해를 미치거나, 사용자의 재산권내지는 생산활동을 침해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노사관계의 안정성확보와 건전하고 협력적 노사관계의 구축을 통하여 지속적이고 영속적인 기업의 발전과 더나아가서 국가경제의 발전을 도모하려면 노․사 당사자간 자율적으로 노사관계의 틀을 형성해야한다. 특히 합법적인 범주안에서 노사 양자가 상호간 이익이 될 수 있도록 제도와 관행을 스스로 구축하기 위한 지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명확한 것은 노사관계의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기업의 존속과 성장 그리고 국가의 경제적 발전과 성장도 없으며, 사회적 안정성도 확보하기 어렵다. 무한경쟁의 글로벌체제에서 국가와 기업의 신뢰도는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자 방법에 해당된다는 점을 인식해야한다. 그러므로 노사 당사자뿐만 아니라 정부도 우리나라의 노사관계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구축하는 데 요구되는 각종 제도와 관행을 발전시켜야 하며, 이를 토대로 기업의 경쟁력 향상과 국가 발전의 튼튼한 토대를 쌓아야 한다. 근로자들도 자신에게 주어진 정당한 권리이지만 그것은 합법적 테두리내에서 이루어 져야함을 명심해야 하며, 과도하거나 불법적 쟁의행위로 인한 막대한 손실이 결국 근로자에게 돌아온 다는 것을 주지하고 노사 상호간에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에 노력하고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 암병동 환자의 통증정도와 통증조절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 환자, 가족, 의료인 요인

        윤숙경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ain intensity and pain contol satisfaction of cancer ward patients-patients, family and healthcare provider. The subjects were 112 hospitalized cancer ward patients who had administration of narcotic analgesics at the G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J city, Gyeongnam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1 to October 28 in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correlation by SPSS/WIN 21.0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knowledge about pain control was 0.57±0.15 point (range 0-1 point) in cancer patients and 0.53±0.15 point in cancer patient's family member. The mean score of attitude about pain control was 2.72±0.77 point (range 1-5 point) in cancer patients and 2.81±0.79 point in cancer patient's family member. The mean score of attitude about pain control of healthcare provider that cancer patients perceived was 3.63±0.60 point (range 1-5 point). 2) The mean score of pain intensity of cancer patients was highest pain intensity was 5.68±2.13 point (range 0-10 point), average pain intensity was 3.62±1.53 point, lowest pain intensity was 1.96±1.41 point. 3) The mean score of pain control satisfaction of cancer patients was 3.43±0.51 point (range 0-5 point). 4) The difference of knowledge about pain control of cancer patients was nonexistent. The characteristic about difference of attitude about pain control of cancer patients was age (F=4.469, p=.014), the presence of spouse (t=2.78, p=.006). The characteristic about difference of attitude about pain control of healthcare provider that cancer patients perceived was a period of diagnosis (F=4.01, p=.021), recurrence (t=2.75, p=.007). The characteristic about difference of highest pain intensity was age (F=4.36, p=0.015), recurrence (t=2.01, p=.047). The characteristic about difference of lowest pain intensity was age (F=4.45, p=.014). The characteristic about difference of average pain intensity was age (F=3.17, p=.046). The difference of pain control satisfaction of cancer patients was nonexistent. 5) The highest pain intensity of cancer patient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in control knowledge in cancer patients (r=.23, p=.013), knowledge about pain control of family member (r=.21, p=.024), and attitude about pain control of family member (r=.24, p=.010). The lowest pain intensity of cancer ward patients had no variables. The average pain intensity of cancer ward patient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in control knowledge in cancer patients (r=.19, p=.040). 6) Pain control satisfaction of cancer patient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ttitude about pain control in cancer patients (r=.18, p=.048), knowledge about pain control in healthcare provider (r=.41, p<.001). 7) The variables influencing highest pain intensity of cancer patients were knowledge about pain control in cancer patients (β=.24, p=.009), and recurrence (β=-.20, p=.030). The variables influencing lowest pain intensity of cancer patients were age (β=.22, p=.016). The variables influencing average pain intensity of cancer patients were knowledge about pain control in cancer patients (β=.19, p=.040). 8) The variables influencing pain control satisfaction of cancer patients were attitude about pain control in healthcare provider (β=.41, p<.001). In conclusion, the pain intensity of cancer ward patients was not up to scratch, the level of pain control satisfaction was medium, so healthcare provider need to offer nursing intervention for cancer patients to lower the pain intensity and raise the pain control satisfaction. Out of the factors - patients, family, healthcare provider, the knowledge about pain control of patients had influenced on the pain intensity of cancer patients. The pain contro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attitude about pain control of health care provider . This study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We should carry out more research in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