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독서지도 : 「오세암」을 중심으로

        윤서연 경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종이책이 위기에 처해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TV매체와 컴퓨터, 스마트폰 등에 밀려 책이 더 이상 사람들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외국이나 우리나라의 대형서점이 하나 둘씩 사라지고, 도서관도 시대에 맞게 전자책을 구비하고, 컴퓨터를 설치하며, 영화를 상영하는 등 시대에 맞는 독서 환경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2011년 국민독서 실태 조사」결과, 독서가 삶에 도움이 되지만 책을 읽지 못하는 요인으로 일과 공부로 인한 시간이 없는 것과 더불어 책 읽는 습관이 되어 있지 못한 것을 꼽았다. 이에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여 동화에 대한 독서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는 전제를 입증해 보고자 하였다. 동화는 성인소설에 비하여 공상적이고 초자연적이며, 애니메이션은 비활동성 개체에 인위적 조작을 가해 움직임의 환상을 심어줄 수 있어 아동이 쉽게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동화「오세암」과 이를 각색한 애니메이션 영화 <오세암>을 텍스트로 선정하여 독서지도에 있어 애니메이션의 일반적 효용을 일람한 후, 원작 동화와 애니메이션의 서사구조를 대비해 보았다. 그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효율적인 독서지도의 모형을 독서 전, 독서 중, 독서 후의 3단계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독서지도의 의미를 검증하는 데까지 이를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2009학년 1학기부터 2012학년 2학기까지 방과 후 독서논술을 지도하고 있는 충북 진천군 소재의 초평 초등학교 학생 73명(1학년 18명, 2학년 17명, 3학년 15명, 4학년 7명, 5학년 16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부터 11월 중순까지 시행한 소정의 독서활동 결과를 근거자료로 제시하였다. 제6차 교육과정 5학년 2학기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정채봉의 동화「오세암」은 1986년 새싹 문학상을 받은 작품으로, 1986년 처음 출간된 이후 16만부 이상 팔렸고, 이것은 다시 2002년 애니메이션 <오세암>으로 제작되어 2003년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서 최고상인 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동화「오세암」이 고아소년 ‘길손’을 주인공으로 길손의 득도적 배경과 순차적 시간구조를 통해 ‘동심의 회복과 불심의 구원’이란 주제를 구현하고 있다면, 애니메이션 <오세암>은 보다 감성적이고 디테일한 배경과 역진적 시간구조를 통해 ‘엄마에 대한 그리움과 그 희구’란 보다 현실적이고 절박한 주제에 치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동화에 비해 시각적 환상성을 가지는 애니메이션과의 매체적 차별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바로 이러한 특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독서지도에 적용할 경우, 아동의 적극적 감성을 유발해 독서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독서 지도는 독서 전, 독서 중, 독서 후의 3단계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먼저, 독서 전 지도 방법으로 첫째, 스키마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오세암’은 무엇을 뜻하는지, 작가 정채봉에 대해서 아는지 등을 묻는 것으로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질문에 답하게 하였다. 둘째, 동화에 나오는 낱말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질문에 답하게 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새로운 낱말에 대한 스키마를 활성화시키고 관심을 갖게 하였다. 셋째, 제목을 보고 드는 생각과 책과 DVD의 표지 그림을 보고 느낀 점을 묻고, 각각의 표지 그림을 보고 난 후 ‘오세암’의 뜻이 무엇일지 예측하게 하고 어떤 내용일지 상상하여 5줄 내외로 써보게 하였다. 독서 중 지도 방식은 동화책의 경우, 책을 읽으며 주인공 길손이와 감이에 대한 모습을 상상하여 그림으로 그려 볼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또한, 동화를 읽으며 중심인물이 누구인지 살펴보게 하였다. 이때 등장인물의 성격을 알 수 있는 문장이나 대목을 써 봄으로써 등장인물의 성격을 나름대로 파악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동화의 주제나 기억에 남는 문장이나 장면 등도 기록하게 하였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함께 감상하면서 다음 내용은 어떤 내용이 나올지 상상해 보고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등장인물이나 배경, 사건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였다. 또한, 등장인물의 행동에 대하여 옳고 그름을 자신의 생각과 견주어 토의해 보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동화「오세암」과 애니메이션 <오세암>의 다른 점은 무엇인지 비교해 보게 하였다. 독서 후 지도 방식은 애니메이션의 경우, 저학년에게 애니메이션 <오세암>을 보고 줄거리를 써 보고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을 그리고 그 이유도 써 보게 하였다. 줄거리를 만화로 그려보게 한 후, 말 주머니나 빈 공간에 줄거리를 간략하게 써 보게 하였다. 또, 등장인물 가운데 한 명을 선택해 자신이 가장 인상 깊었던 어느 한 사건을 정해 그 사건의 주인공이 되어 그 사람 입장에서 일기를 쓰되 저학년은 그림도 함께 곁들이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을 감상한 후 독후감쓰기․만화로 표현하기․주인공에게 편지쓰기․동시로 표현하기․뒷이야기 이어쓰기․작가에게 편지쓰기․작가나 주인공과 인터뷰하기 등의 활동 가운데 자유롭게 골라서 한 가지 활동을 할 수 있게

      • 베이커리카페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서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many catering companies in modern society are constantly striving to meet the rapidly changing social trends and needs of customers. They are developing various items utilizing their own personality and presenting them to customers, and they are actively reflecting on their preference and purchase tendency.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a combination of coffee and dessert has increased in the restaurant industry, and it appeared that cafés and bakeries are the most popular Entrepreneurship among the many catering companies. According to the foundation exhibition held by Samsung COEX on March 2, 2017, As a result of research 2017 Franchise Seoul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entrepreneurship. The selection rate of café and bakery establishment was 65%, which was more than half the preference rate. This shows that busy modern people prefer a light food culture and can also see the need for light communication in everyday life. These trends. These trends led to the illumination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Bakery Cafe, a café and bakery comple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of bakery café by setting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lated research in order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and return visit intention. For this study visited seoul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customers who visited stores in Seoul and received services A total of 3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262 cop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in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PS 18.0 statistical package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items. In addition, cronbach 'a was performed to verify reliability.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measured in the research model,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s of various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of the bakery cafe presented in Hypothesis 1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s(+) the service satisfaction of the bakery cafe.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of the bakery cafe presented in Hypothesis 2 on the revisit intention showed positive (+) influence on return visit quality. Finally,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revisit inquiry in Hypothesis 3 shows that customer satisfaction affects positively on revisit 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ny should provide fast service and facilities Appearance of the employee that satisfy customers'need and need to build trust and maintain it. Second, because service qua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urn visit decisions Managers and employees who provide services are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e elements of tangible credibility, responsiveness, empathy, and assurance.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task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for the respondents in Seoul. and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because it is concentrated on college students and 20s in the sample. In future studies. Not focused on specific customers, A large sample population should be selected and investigated. Secondly, this study is limited in the application of abundant cases and concepts due to the fact that there are not many previous studies on bakery cafe. Third, because this study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bakery cafe visitor There is a limit to the distortion of each variable. As a result, in future studies. It is not a factor that refers to the quality of other services Bakery café's differentiated Constituent factor item should be created. Based on expert measurement results Through systematic empirical and empirical studies, need to find effective research directions. 오늘날 현대사회 속에 존재하는 많은 외식기업들은 급변하는 사회 트렌드와 그에 따른 고객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그들은 자신만의 개성을 살린 다양한 아이템을 개발하여 고객들에게 선보이고 있으며, 고객의 선호도, 요구사항, 그리고 구매성향 등을 파악하여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최근 외식업계에서는 커피와 디저트 조합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데, 많은 외식기업 중 카페나 베이커리가 창업분야로 가장 인기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난 2017년 3월 2일 삼성 코엑스가 주관한 창업박람회에 의하면 ‘2017 프랜차이즈 서울’에 창업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조사를 한 결과 ‘카페베이커리’ 창업 선택비율이 65%로 절반 이상의 높은 선호비율이 나타났음을 밝혔다. 이는 현재 바쁜 현대인들이 가벼운 식문화를 선호하고 있음을 보임과 동시에, 일상에서의 가벼운 소통에 대한 요구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렌드는 카페와 베이커리의 복합매장인 베이커리카페의 창업과 운영에 대한 조명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서비스품질에 대한 고객만족도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베이커리카페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지역의 베이커리카페를 방문하여 서비스를 받은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0부를 배포하고 그 중 262부를 회수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한 자료를 SPSS 18.0 통계패키지를 활용한 통계분석 중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문항의 구성개념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Cronbach′α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에서 측정된 여러 변수 간 관계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여 여러 변수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가설 1에 제시된 ‘베이커리카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 실시한 결과, 베이커리카페의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에 제시된 ‘베이커리카페의 서비스품질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 실시한 결과, 서비스품질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설 3에 제시된 ‘고객만족에 따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 실시한 결과, 고객만족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은 고객들의 요구에 만족할 수 있는 빠른 서비스와 시설, 그리고 서비스 종사원의 용모 등 고객에게 신뢰감을 주어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과 재방문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하는 경영자나 직원들은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공감성, 확신성의 요소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문제의 한계점과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대한 설문조사는 서울 지역의 응답자들을 대상으로만 이루어졌으며, 표본에서 대학생과 20대에 편중되어 있어 일반화되기 어렵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특정고객에게 편중되지 않고 넓은 표본 집단을 선정하고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기존의 참고할 수 있는 베이커리카페에 대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점으로 인하여 풍부한 사례와 개념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베이커리카페 이용고객들의 방문경험을 기반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각 변수가 왜곡될 수 있는 한계를 지닌다. 결과적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다른 산업의 서비스품질을 참고한 구성요인이 아닌, 베이커리카페만의 차별화된 구성요인 항목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전문성을 갖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실증적 연구를 시행하여 효과적인 연구 방향을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 간의 관계: 자기자비와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

        윤서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죽음불안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아통합감이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 65세 이상 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중 결측치 및 이상치 32부를 제거하고 총 468개의 데이터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자기자비와 자아통합감의 이중매개효과는 SPSS PROCESS macro model 6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불안은 자기자비, 자아통합감에 각각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우울과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자기자비는 자아통합감과 정적상관, 우울과 부적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아통합감은 우울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아통합감은 각각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죽음불안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아통합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기자비와 자아통합감을 순차적으로 거쳐 우울에 이르는 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의 죽음불안이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죽음불안이 높을수록 낮은 자기자비를 보이고, 이는 다시 낮은 자아통합감을 유발하여 우울을 높인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아버지 양육행동 척도 개발

        윤서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fulfilled by the aim of research and develops the original personality with performance of fathers who have early childhood children in order to verify nurturing role and grasps the differences results based on the Enneagram personality, and these are may used optimized nurturing methods and consultation in the future.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ather’s parenting behavior scale based on Enneagram personality types’ that is confirmed through by total three different questions of selection processes. In the first questions of selection process, through the Enneagram and father’s parenting behavior scale, 1,083 questions were selected in the first place. Meantime, fathers those who have early childhood children were subjected based on a character trait investigating of nurturing behavior through 89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analyze and extract 243 questions more. Through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 open-ended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total 1,326 questions and two experts examined and remove unnecessary questions, therefore, total 456 questions were selected. In the 456 questions, other 16 experts of Enneagram also examined through the content validity, 118 final questions were selected. In the second questions of selection process, the Enneagram workshop was held for those of 60 numbers of fathers who have early childhood children and worked out features of parenting behavior scale based on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categories of 223 Enneagram questions were collected then removed the overlapped questions and similar signification questions from the first questions of selection process and selected in total 81 final questions. To verify the Expert’s content validity, 199 questions were selected and verified for content by five different the Enneagram experts from the first questions of selection process and in the second questions of selection process workshop. The content validity was composed by five different categories of Likert-type scale, and in the 60% of coincidence of questions standard of selection, the average mark was above 4.0, ratio was decided more than 1.0 and total 122 questions were selected. In the third questions of selection process, those 207 numbers of fathers who have early childhood children were targeted to fulfill 122 questions that from the second questions of selection process and those final 80 questions were finally selected that has more than 0.30 coefficient of correlation by conduct analyzing of 5 categories of Likert-type scale. Those 80 final questions consist by 9 different types of categories of questions; 1st type has 9questions, 2nd type has 8 questions, 3rd type has 10 questions, 4th type has 11 questions, 5th type has 8 questions, 6th type has 9 questions, 7th type has 8 questions, 8th type has 9 questions and 9th type has 9 questions. In order to verify final 80 questions’ reliability, surveyed for 241 fathers who have early childhood children and the result of reliability coefficient was 0.67 ∼ 0.84 which shows and leads to consistency of reliability coefficient 0.92 of whole questionnaire that based on the Enneagram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feature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developed fathers’ parenting behavior scale was carried out in three different ways. The first method is to confirm public recognition for final questionnaires, surveyed 171 fathers those have early childhood children. To verify for the public recognition, the scale that has developed from this study and VETI-A, (Vision Enneagram Type Inventory for Adult) which is already proved well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n vision Enneagram for adult scale were used and the result of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0.178 ∼ 0.389 range which therefore was not easy to verify the public recognition and it is certainly low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It shows that original my personality and fathers’ nurturing role could be different when I do role of father’s nurturing role. The second method is also to confirm the public recognition, another survey was held for 166 fathers’ who have early childhood children, and the VETI-M (Vision Enneagram Type Inventory for Mothers), which is vision Enneagram for both early childhood children and childhood mothers, survey was used and this study’s scale’s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calculate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with this study was 0.209 ~ 0.558 range, therefore public recognition was identified but again, the it showed low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and it proves that there is definite difference between father’s role and mother’s role when they nurture their children compare to their original personality. The third method is expert validity recognition that is consisted by female expert and husband who have early childhood children and have studied of Enneagram modules and have completed the Enneagram vision basic module from postgraduate. Using by this study’s developed scale, diagnosed female expert with husband was produce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sistency with father’s self diagnosis. The consistency was 33.3%~100% range and the average consistency was 50%. In conclusion, from this study, using developed Enneagram personality type scale’s show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scale by total 80 questions, and it also showed that original my personality could go differently when fathers do their nurturing role. Based on this study research, there are big difference results depend on original personality compare to father’s nurturing role from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 number 9, number 2 and number 4. However, number 3, number 7 and number 1 have showed not much of difference. At the moment, the importance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is getting more magnified, the father’s parenting behavior based on Enneagram personality type scale is visibly shows the different phenomenon of original personality and role of behavior. Moreover, to participate in role of nurturing children for fathers, self-awarenes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of parenting is crucial, maximize the strengths to induct to very positive effects on parenting, and complement the weaknesses to minimize the stresses and conflicts from the parenting. Therefore it would conducts to practical helps to father’s on parenting. 본 연구는 본성적 성격과 아버지 역할의 수행에 따른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최적화된 양육방법으로 교육이나, 상담 등으로 활용되고자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아버지 양육행동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에 해당하는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아버지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은 총 3차 문항 선정과정을 거쳐 최종문항이 확정되었다. 제1차 문항 선정과정에서는 에니어그램 및 아버지 양육관련 척도를 문헌조사를 통해 1,083문항을 추출하였다. 또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성격적 특성을 바탕으로 양육행동을 묻는 개방형 질문지를 89부 분석하여 243문항을 추출하였다. 문헌조사와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 총 1,326 문항을 전문가 2인이 문항을 검토하고 제거하는 방식의 선정과정을 거쳐 총 456문항이 선별되었다. 456문항을 에니어그램 전문가 16인의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거쳐 총 118문항이 선정되었다. 제2차 문항 선정과정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60명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워크숍을 실시하여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양육행동 특성을 파악하고 에니어그램 유형별 문항을 총 223개를 수집한 후 1차 문항 선정과정에서 선정된 문항과 중복된 문항 및 의미가 비슷한 문항을 삭제하여 총 81문항이 선별되었다.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1차 문항 선정과정과 2차 문항 선정과정인 워크숍에서 선별된 문항을 합하여 총 199문항을 에니어그램 전문가 5인의 내용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내용 타당도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고, 문항 선정기준은 일치도 60% 중에서 평점 평균치 4.0이상이며, 비율이 1.0이상으로 정하였으며, 총 122문항이 선별되었다. 제3차 문항 선정과정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207명을 대상으로 2차 문항 선정과정에서 선별된 총 122문항을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여 문항 전체 상관계수를 분석하여, 상관계수가 .30이상인 문항인 80문항이 최종 선별되었다. 최종문항으로 선별된 80문항의 각 유형별 문항 수는 1유형이 9문항, 2유형이 8문항, 3유형이 10문항, 4유형이 11문항, 5유형이 8문항, 6유형이 9문항, 7유형이 8문항, 8유형이 9문항, 9유형이 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80문항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24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67~.84로 전체 문항에 대한 신뢰도 계수는 .92로 본 척도가 일관성 있게 에니어그램에 기반한 아버지 양육행동 특성을 측정하고 있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뒷받침해 주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인 개발된 아버지 양육행동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3가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첫 번째 방법은 최종 문항에 대한 공인타당도 확인으로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1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공인타당도를 위해 사용된 척도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와 구성 차원이 동일하면서도 이미 타당도와 신뢰도를 인정받은 비전에니어그램 성인용 척도(VETI-A)를 사용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178~.389의 범위를 보여 공인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다소 낮은 상관계수 결과는 본래 나의 성격과 아버지라는 역할을 수행할 때 나타내는 성격유형이 다를 수 있음이 설명되었다. 두 번째 방법도 공인타당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166명을 대상으로 공인타당도를 위해 사용된 척도는 비전에니어그램 유아·아동기 어머니용 검사(VETI-M)로 본 척도와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와의 상관계수는 .209~.558의 범위를 보며 공인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다소 낮은 상관계수는 어머니 양육이라는 역할과 아버지 양육이라는 역할을 수행할 때 나타내는 성격유형이 다를 수 있음이 설명되었다. 세 번째 방법은 전문가 타당도 검증방법으로 대학원에서 에니어그램 관련 과목을 이수하고 에니어그램 비전베이직 과정을 이수한 유아기 자녀를 둔 여성 전문가와 남편으로 구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를 가지고 여성 전문가가 남편을 진단하여 작성한 척도와 남편이 자가 진단한 척도와의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일치율은 33.3%~100%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 일치율은 50%의 일치율을 보였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아버지 양육행동 척도 총 80문항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래 나의 성격과 아버지라는 역할을 수행할 때 나타내는 성격유형이 다를 수 있음이 설명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어진 본성적 성격과 아버지 양육이라는 역할 수행에 따라 성격유형이 크게 차이가 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9번, 2번, 4번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본성적 성격과 아버지 양육이라는 역할 수행에 따라 성격유형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3번, 7번, 1번 유형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양육에 대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아버지 양육행동 척도를 통해 본래의 성격과 역할에 따라 성격왜곡 현상을 가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자신의 양육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강점은 극대화함으로써 양육에 긍정적 효과를 유발하고 약점과 보완해야할 점을 파악함으로써 양육에서 오는 갈등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아버지에게 실제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보육교사의 워라밸(WLB) 및 조직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윤서연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 국문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워라밸과 조직문화 인식의 전반적 경향성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워라밸은 어떠하며 이는 개인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보육교사의 조직문화는 어떠하며 이는 개인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 내 A 지역과 B 지역 소재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5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워라밸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연구 도구는 김정운, 박정열(2008)이 개발한 ‘일과 삶의 균형(Work-Life-Balance)’ 척도를 유치원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한 도구(이소담, 2017)를 본 연구 목적에 부합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조직문화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연구 도구는 박정열, 손미영(2016)이 개발한 일과 삶의 균형 조직문화 척도를 수정·보완 후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배부 및 회수는 2021년 7월 26일부터 2021년 8월 20일까지 4주간 실시하였고 E-mail 발송과 구글 설문지 설문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문항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고, 주요 변인의 분포 파악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워라밸과 조직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분산분석 후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 경우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위해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처리는 SPSS 2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워라밸에 대한 일반적 경향성은 5점 만점 기준에서 볼 때 평균 3점보다 약간 낮은 정도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워라밸은 개인배경 중 최종학력, 재직기관 내 직급, 급여수준, 담당 영유아의 연령, 하루 평균 근무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보육교사의 연령, 결혼여부, 경력, 근무기관의 유형, 근무기관 보육교직원 수에 따른 워라밸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조직문화에 대한 일반적 경향성은 5점 만점 기준에서 볼 때 평균 3점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조직문화는 개인배경 중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직급, 급여수준, 근무기관의 유형, 보육교직원 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보육교사의 경력과 담당 영유아의 연령, 하루평균 근무시간에 따른 조직문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워라밸과 조직문화 인식에 대해 살펴보며 보육교사의 워라밸에 관한 실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 워라밸에 지속적인 관심과 보육교사의 워라밸을 위한 조직문화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한국 傳統醱酵食品의 書目에 관한 연구 : 김치類 및 醬類를 중심으로

        윤서연 淸州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Kimchi is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and perfect food which represents Korean food culture. Fermented soybean's main ingredient is Korean soybean, and fermented soybean paste, soy sauce, red pepper paste are regarded as not only indigenous Korean sauce but also main ingredients in Korean dishes, thus Korean people have inherited and developed these traditional fermented food consistently. For the research of thematic bibliography, this study conducts diachronic analysis on the contents, transmission and changes of the seomok of Kimchi group and Fermented soybean group.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xplore the status and the system of the seomok of Kimchi group and Fermented soybean group in general. The content bibliography regarding each seomok of this study refers to the original text of ancient writings with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the publication date of the seomok of this study is set until 1943. Chosunmussangsinsikyolijebeop(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published in 1943 details the recipe of the Kimchi group and the Fermented soybean group with Korean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Jengjoji> in Imwonsipyukji(1827: 林園十六志), and inherits the research materials in the early 19th century. In reviewing the 40(kinds) bibliographies of Kimchi group and 60(kinds) bibliographies of Fermented soybean group, thesis on the seomok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is as follows: 1) Based on 'Seonjangyang' recorded in <Wijidongijeon> of Samgukji(265~290: 三國志 魏志東夷傳) Korean people have developed the skills of making Kimchi and Fermented soybean group from early on. 2) The record of <Shillabongi Shinmunwang> and <Goguryeobongi Dongmyungsungwang> in Samguksagi(1145: 三國史記 新羅本紀 神文王⋅高句麗本紀 東明聖王), Korean history book, it can be inferred that fermented soybean group and Kimchi was precious at that time. 3) The record of <Gapoyukyung> in Dongkukyisangkukjip(1241: 東國李相國集 家圃六詠) it can be inferred that Kimchi during this period was quite plain as salted and pickled with fermented soybean paste, and fermented soybean paste was not seperated from soy sauce. 4) Based on 'Ryoyeomji' recorded in <Sanchonjabyeong> of Dongmunseon(1478: 東文選 山村雜詠) Kimchi which was made of wild vegetable was typically eaten at that time, and condiments such as green onion, garlic have been widely used. 5) In reviewing 38 Kimchi group, 7 Sikhae group, and 18 fermented soybean group in Sangayorok(1450: 山家要錄) which is the oldest existing cook book, there were various types of Kimchi group at that time. It can be referred that the worship of Buddhism in Koryeo Dynasty allowed the vegetable based recipe to be developed rather than meat dishes. 6) The inflow of Red peppers revolutionize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term of red pepper first described as 'waegaeja' in Jibongyuseol(1613: 芝峯類說), it has taken over a century before 'Junghae' and the recipe of 'Sunchang red pepper paste' in Soomunsaseol(1740: 謏聞事說) appears. Meanwhile, Sikhae group which occupied a prominent place with Kimchi group had gradually decreased in the mid-15th century, and had barely survived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We can infer that red pepper started to fill the gap during this period, because it is hardly possible that the recipe of red pepper suddenly appears in Soomunsaseol(the mid-18th century) since red pepper had introduced in the after 16th century and had been recorded in Jibongyuseol(the early-17th century). Moreover, the writer of Soomunsaseol was male and interested in cooking, there was a high likelihood that red pepper could be used in various dishes including fermented soybean and Kimchi. 7) As the distinction between Kimchi and Pickled vegetables was not clear in the Koryeo Dynasty, as we have seen in previous seomok bibliographies, the distinction between soy sauce and fermented soybean paste was not clear either. Since red pepper powder has been used in Kimchi, the use of jeotgal group has become more frequent, and the color, flavor, and nutrition of Kimchi has been improved. 8) 'Dambukjang' is the form of intensive process among fermented soybean group and there is a discrepancy in interpretation. Dambukjang is often thought to belong to fermented soybean paste group, but it has been part of red pepper paste group in Chosunyolijebeop(1938: 朝鮮料理製法) because its making process was short. As Dambukjang has shorter period of fermentation than Choenggukjang, Dambukjang's taste of soybean is more natural than general fermented soybean paste and that's the most distinguished feature. 9) The seomok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both Kimchi group and fermented soybean group is as follows: ① 11 seomoks such as <Shillabongi>(1145) of Samguksaki, <Gapoyukyung>(1241) of Donggukisangukjip, Sangayorok(1450), Sasichanyocho(1483: 四時纂要抄), Soowoonjapbang(around 1540s: 需雲雜方), Domundaejak(1611: 屠門大嚼), Jibongyuseol(1613), Choissieumsikbeop(mid-17th century: 崔氏飮食法), Yorok(around 1680s: 要錄), Joobangmun(end of 1600s: 酒方文), Chisaengyoram(1691: 治生要覽) in the 13th ~ 17th century ② 6 seomoks such as Sallimgyeonngje(1715: 山林經濟), Soomunsaseol(1740), Jeungbosallimgyeonngje(1766: 增補山林經濟), Gosashinseo(1771: 攷事新書), Gosasibijip(1787: 攷事十二集), Haedongnongseo(1799: 海東農書) in the 18th century ③ 13 seomoks such as Onghuijapji(early 1800s), Joochan(estimated early 1800s: 酒饌), Gyuhapchongseo(1815: 閨閤叢書), Imwonsipyukji(1827: 林園十六志), Nongjunghoeyo(1830: 農政會要), Ojuyeonmunjangjeonsango(1850: 五洲衍文長箋散稿), Goonhakhoedeung(mid 19th century: 群學會騰), Siuijeonseo(end of 19th century: 是議全書」), Booinpilji(1915: 是議全書」), Eumsikbangmun(1880: 飮食方文), Chosunyolijebeop(1917: 朝鮮料理製法), Chosunmussangsinsikyolijebeop(1924: 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Chosunyolibeop(1938: 朝鮮料理法) after the 19th century. With this, the number of information including both Kimchi group and fermented soybean group was 11 in the 13th~17th century, decreased to 6 in 18th century, and increased to 13 after 19th century. 10) The document about fermented soybean group and Kimchi, recorded in Samguksagi((1145), appeared in Donggukisangukjip(1241) of Koryeo Dynasty and then appeared in Sangayorok((1450), the first Korean cook book, as food. Since then, Kimchi group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in Sallimkyungje(1715), and have led to Jeungbosallimkyungje(1766), Imwonsipyukji(1827), Chosunmussangsinsikyolijebeop(1924, 1943). Fermented soybean group let the legacy continue to Sallimkyungje(1815), Jeungbosallimkyungje(1766), Nongjeonghoeyo(1830), Chosunyolijebeop(1917/1938) up to the present. 김치는 韓國의 오랜 醱酵食品이면서 完全食品으로 韓國의 食文化를 대표하는 食品이다. 醬은 그 원산지가 韓半島인 콩이 주원료로, 韓國의 料理에서 된장⋅간장⋅고추장 등은 고유의 양념이자 重要한 食材料로 看做되어 韓民族은 이러한 傳統醱酵食品을 開發하여 持續的으로 繼承⋅發展시켜왔다. 本 硏究는 主題書誌學的 硏究를 위하여 김치類 및 醬類 書目의 內容 및 傳承⋅變遷에 관한 通時的 分析을 통하여, 김치類와 醬類 書目의 位相 및 그 系統 등을 總體的으로 考究하는데 그 目的이 있다. 이에 각 書目에 內在된 관련 內容書誌는 旣存 專門硏究者들의 硏究結果와 함께 해당되는 각 古文獻 書目의 原文을 함께 살펴보았고, 本 硏究의 硏究對象 書目의 下限時期는 1943年으로 定하였다. 1943年에 刊行된 「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은 「林園十六志」(1827) <鼎俎志>를 底本으로 國譯하여 김치類와 醬類에 관한 調理法을 詳細히 기록하고 있어, 19세기 初期의 자료를 充實히 繼承하고 있기 때문이다. 以上과 같은 김치類 書誌 40여 종과 醬類 書誌 60여 종을 綜合的으로 살펴본 結果, 우리나라 傳統醱酵食品 書目에 관한 硏究의 論旨는 다음과 같다. 1) 「三國志」 <魏志東夷專>(265~290)에 기록된 ‘膳藏釀’으로 보아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찍이 醱酵食品인 김치와 醬 만드는 技術을 發達시켰음을 파악할 수 있다. 2) 우리나라 典籍인 「三國史記」(1145)의 <新羅本紀 神文王> 篇과 <高句麗本紀 東明聖王> 篇의 기록으로 보아, 醬과 김치는 이 時期에 상당히 貴한 食品이었을 것으로 推論된다. 3) 「東國李相國集」의 <家圃六詠>(1241)의 기록으로 보아, 이 時期의 김치는 소금물에 절인 形態와 된장에 박은 장아찌의 形態로 매우 단조로운 맛의 김치인데다, 된장은 간장과 分離되지 않은 形態이었을 것으로 推論된다. 4) 「東文選」의 <山村雜詠>(1478)의 蓼鹽漬를 통하여 이 時期에는 산야채로 담근 김치도 日常的으로 食用되었고, 파⋅마늘의 양념도 汎用化 되었음을 推論할 수 있다. 5) 現存 最古의 調理書인 「山家要錄」에 실린 38종의 김치類와 7종의 食醢 및 18종의 醬類를 살펴보았을 때, 이 時期에는 김치類가 상당히 多樣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崇佛政策을 實施하였던 高麗時代의 狀況으로 보아, 肉類 料理보다 菜蔬 위주의 調理法이 더욱 더 發達하게 된 繼起로도 推論하여 볼 수 있다. 6) 고추의 流入은 朝鮮時代의 韓半島에 一大 革命을 招來하였는데, 「芝峯類說」(1611)에서 最初로 고추의 用語가 ‘왜개자’로 紹介된 후, 「謏聞事說」(1740)의 ‘菁醢’와 ‘순창고추장’ 만드는 법의 料理法으로 登場하기 까지는 1세기가 넘게 所要되었다. 한편, 15세기 중반 김치類와 함께 重要한 位相을 차지했던 食醢類가 점차 減少되어 17세기 말에는 간신히 命脈만 維持한 것으로 보아, 이 時期의 空白期를 고추가 채워나가기 始作한 건 아니었을까 類推해 볼 수 있다. 16세기 말에 고추가 流入되어 17세기 초의 「芝峰類說」에 기록된 후, 18세기 중반의 「謏聞事說」에서 갑자기 고추의 使用方法이 登場한 調理法이라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謏聞事說」의 編著者는 男性으로 料理에 關心이 많은 者여서 이를 기록으로 남긴 것이니, 이미 廚房에서는 通常的으로 醬과 김치와 더불어 다른 料理에도 고추를 利用하였을 確率이 높다고 볼 수 있다. 7) 지금까지 살펴본 書目文獻에서 17세기 중기에 고춧가루가 醬과 김치에 利用되기 以前의 高麗時代에는, 김치와 장아찌의 區分이 明確하지 않았던 것처럼, 醬 역시 간장과 된장의 區分이 明確하지 않았다. 고춧가루가 김치에 活用되면서 젓갈類도 함께 더욱 活潑하게 利用되며, 김치가 보다 고운 빛깔과 감칠맛을 내며 營養價까지도 向上된 것으로 파악된다. 8) 醬類 가운데 速成醬의 形態인 ‘담북장’은 대개 된장類에 포함시키는데, 「朝鮮料理製法」(1938)에서는 급히 담는 고추장이라 하여 고추장類로 區分하여, 담북장에 대한 解釋에도 差異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담북장은 淸國醬보다 콩을 띄우는 期間이 짧아서 콩 本然의 맛이 一般 된장보다는 淡白한 것이 特徵으로 파악된다. 9) 김치類와 醬類의 情報가 共同으로 包含된 書目으로 ① 13~17세기의 書目은 「三國史記」<新羅本紀>(1145)⋅「東國李相國集」<家圃六詠>(1241)⋅「山家要錄」(1450)⋅「四時纂要抄」(1483)⋅「需雲雜方」(1540경)⋅「屠門大嚼」(1611)⋅「芝峰類說」(1613)⋅「최씨음식법」(17C중엽)⋅「要錄」(1680경)⋅「酒方文」(1600대말)⋅「治生要覽」(1691) 등 11종 ② 18세기의 書目은 「山林經濟」(1715)⋅「謏聞事說」(1740)⋅「增補山林經濟」(1766)⋅「攷事新書」(1771)⋅「攷事十二集」(1787)⋅「海東農書」(1799) 등 6종 ③ 19세기 이후의 書目은 「옹희잡지」(1800초)⋅「酒饌」(19세기 초기 추정)⋅「閨閤叢書」(1815)⋅「林園十六志」(1827)⋅「農政會要」(1830)⋅「五洲衍文長箋散稿」(1850)⋅「群學會騰」(19세기 중기)⋅「是議全書」(19세기 말기)⋅「夫人必知」(1915)⋅「음식방문(1880推定)」⋅「朝鮮料理製法」(1917)⋅「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1924)⋅「朝鮮料理法」(1938) 등 13종의 文獻에 나타난 기록을 들 수 있다. 이로써 김치類와 醬類가 함께 수록된 情報는 13~17세기에는 11종이었다가 18세기에는 6종으로 줄었고, 19세기 이후에는 다시 增加하여 13종으로 늘어난 것을 確認할 수 있다. 10) 「三國史記」(1145)에 수록된 醬과 김치에 관한 기록은 高麗時代의 「東國李相國集」(1241)에서 모습을 보이다가 우리나라 最初의 調理書인 「山家要錄」(1450)에서 食品으로서의 당당한 모습을 드러내었다. 김치類는 「山林經濟」(1715)에서 尨大하고 體系的으로 정리되기 시작하여 「增補山林經濟」(1766)⋅「林園十六志」(1827)⋅「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1924/1943)으로 繼承되었다. 醬類는 「山林經濟」(1815)⋅「增補山林經濟」(1766)⋅「農政會要」(1830)⋅「朝鮮料理製法」(1917/1938)으로 그 脈을 이어와 現在에 이르게 되었음을 파악하였다.

      • 알바 알토의 건축사고 특성과 공간디자인 방법을 적용한 매기 암 센터 디자인

        윤서연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핀란드를 대표하는 건축가이자 디자이너인 후고 알바 헤링 알토(Hugo Alvar Henrik Aalto)는 모더니즘이 추구하였던 기능주의와는 구별되는 인간을 위한 건축의 역할에 중점을 둔 작품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알바 알토 관련 연구들은 주로 그의 건축과 빛의 표현과 연출수법에 중점을 두는 경향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알바 알토의 건축사고에 초점을 두고 그가 그의 건축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인간을 위한 건축적 기능의 역할이 갖는 본질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며, 이를 통해 그의 건축에서 나 타나는 여러 표현 방법이 갖는 의미적 해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 해 암 환자의 정신적, 심리적, 그리고 정서적 치유를 목적으로하는 매게 암 센터의 공간계획안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본 논문에서는 알바 알토의 건축사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해 ‘공존성’, ‘신체성’, ‘물질성’의 3가지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알바 알토의 건축공간에 대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각 특성별 공간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1)‘공존성’의 디자인 : 실내 자연광 유입, 외부재료의 융합, 토지의 형태적용, 전통 주거 건축 형태의 도입 2)‘신체성’의 디자인 : 개인의 개별성 존중, 신체와 사물 사이의 관계성 확보, 세밀한 인체 치수의 적용, 인간 경험에 기초한 통합적 인 재료의 사용 3)‘물질성’의 디자인 : 편안함, 평온함과 같은 인간의 감성을 고려한 빛(자연요소)과 소재(건축요소)의 융합과 조화 최종적으로 상기의 사례분석 결과에 입각하여, 서울을 사이트로 하는 ‘서울 매기 암 센터’ 공간 계획안을 제시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 과 같다. 1) 공존성의 적용 : 이용자와 자연 요소간의 다양한 감각적 접촉을 다 양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하여 각 실의 배치와 이동에 있어서의 동선 상에 주변의 자연환경과 연계되 는 데크, 창, 온실, 수공간 등을 계획 하였으며, 각 자연 요소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경관으로 작용하도록 제안 2) 신체성의 적용 : 한국의 문화적, 지역적 특성으로서의 한옥과 같은 공간성을 개인 면담공간 등에 적용 하였으며, 천연 나무 소재를 내장재에 사용하여 이용자의 공간환 경이 친밀함과 편안함을 형성하도록 계획, 제안 3) 물질성의 적용 : 주동선의 주요 소재인 적벽돌 쌓기에 틈새를 부여하여 외부의 빛과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공간감과 부드럽고 따뜻함을 부여하고자 계획하였으며, 이 는 우드루버 등의 적용과 함께 공간의 개방감과 더불어 각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기여하기 위해 계획, 제안 주제어 : 알바 알토, 공존성, 신체성, 물질성, 매기 암 센터 Hugo Alvar Henrik Aalto, a renowned Finnish architect and designer, is celebrated for his works that prioritize the role of architecture in catering to human needs, thereby distinguishing his approach from the functionalism championed by Modernism. Previous studies on Alvar Aalto have predominantly focused on his architectural expressions and lighting techniques. This study seeks to concentrate on Aalto's architectural philosophy, illuminating the intrinsic significance of the architectural functions intended for human benefit as pursued in his works and thereby endeavors to interpret the meaningful expressions of these functions as they are revealed in Aalto's architecture. The ultimat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patial plan for Maggie's Cancer Center, designed to foster the ment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healing of cancer patients. This study identified three key characteristics of Alvar Aalto's architectural thought 'coexistence', ‘physicality,' and 'materiality'-through a thorough review of related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Centered on these attributes, this study conducts a case analysis of Aalto's architectural spaces. From this analysis, the study distills spatial design methods specific to each characteristic. 1) Design of 'Coexistence': It encompasses the infusion of natural light indoors, the integration of external materials, the application of the land's form, and the incorporation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al shapes. 2) Design of 'Physicality': It respects the individuality of the person, ensures a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objects, applies precis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uses materials integrated based on human experience. 3) Design of 'Materiality': It aims to harmonize light (a natural element) and materials (architectural elements), considering human emotions such as comfort and tranqu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cas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a spatial planning proposal for the 'Seoul Maggie's Cancer Center' located in Seoul, and the main elements of the plan are as follows. 1) Application of 'Coexistence': To diversify and activate various sensory engagements between the users and natural elements, the plan incorporates decks, windows, greenhouses, and aquatic spaces strategically placed in the circulation routes within each space. These elements are designed to act as dynamic landscapes that change over time, seamlessly integrating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2) Application of 'Physicality': The plan integrates spatial qualities akin to a Hanok, reflecting Korea's cultur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to personal consultation areas. Natural wood materials are employed for interior finishes to create a space that engenders intimacy and comfort for users, as proposed in the design. 3) Application of 'Materiality': The design introduces gaps in the stacking of red bricks, a principal material in the main circulation routes, to create a blend with external light, offering a variety of spatial sensations along with a gentle and warm atmosphere. This strategy is planned in conjunction with the use of wood louvers to enhance the sense of openness within the space while also contributing to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users' privacy. Keywords: Alvar Aalto, Anthropocentrism, Coexistence, Physicality, Mataeriality, Maggie’s cancer center

      • SNS 마케팅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을 중심으로

        윤서연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스마트폰 보급의 지속적 확대와 모바일 인터넷 속도의 향상은 우리 생활을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사용하며 새로운 미디어로 급부상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SNS 채널은 그 영향력, 파급력이 급증하면서 기업의 홍보와 브랜드 전략에 있어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SNS의 주 이용자가 20대 여성인 만큼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들도 SNS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연간 4,000억원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는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s) 화장품 업체들은 기존 판매채널인 병원에서의 마케팅만을 고수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소비자들은 제품 정보를 얻기 어려운 점을 가장 큰 단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SNS를 통한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마케팅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페이스북에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브랜드 페이지를 개설하였고 20대~40대 여성 13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사전, 사후 설문조사 결과를 SPSS WIN 18.0 프로그램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페이스북을 통한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마케팅은 브랜드 사전지식이 없는 경우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ohen's d 값을 통해 실제적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세 측면 모두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여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의 SNS 마케팅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코스메슈티컬 브랜드를 사전에 알고 있던 집단에 대해서는 SNS 마케팅이 브랜드 인지와 구매의도 일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부터 코스메슈티컬 브랜드의 SNS 마케팅 진행시 브랜드 사전 지식이 없는 집단을 타깃으로 하여 진행하거나, 브랜드 사전 지식이 있어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브랜드 철자 인지 여부, 구매 확신 여부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SNS 마케팅을 진행하는 것이 보다 높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NS를 통한 화장품 광고가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소비자들도 일반 화장품 소비자들과 비슷한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는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진행한 최초의 실증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특히 Cohen's d값을 통해 SNS 마케팅의 효과 유무 뿐 아니라 실제적인 효과 크기까지 분석하여 현실적으로 제한적인 마케팅 예산으로 최대의 ROI(Return on Investment)를 기록해야 하는 코스메슈티컬 마케팅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oday, continuous expansion of smartphone penetration rate and higher mobile internet speed are making our lives totally different. Especially Social Network Service(SNS) rapidly rose as new media with users more than half of global population. In sync with this trend, SNS gets more importance in company Public Relation and Brand strategy with fast growing influence. As main users of SNS are women in 20s, local and global cosmetic brands are utilizing SNS marketing actively. However, 400-billion-won-market-size Cosmeceutical brands cling to direct marketing at hospitals. Furthermore, consumers are recognizing the most negatie elements of cosmeceuticals as difficulties of getting product information. The study used Paired t-Test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NS marketing of cosmeceutical brand for it's brand awareness,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For the purpose, the study opened brand page on facebook, and conducted survey. The respondent were 135 in total, from 20s to 40s women. Survey result before SNS marketing, and after SNS marketing were analyzed through SPSS/WIN18.0. The results showed that SNS marketing of cosmeceutical brand affects brand awareness,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Particularly, analyzing the effect size with Cohen's d factor, SNS marketing was expected to have great improvement effectiveness in brand awareness,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of cosmeceutical brands. On the other hand, for the group aware of cosmeceutical brand before the research,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SNS marketing only in some factors of brand awareness,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when doing SNS marketing for cosmeceutical brands, targeting for consumers not aware of brand is necessary. If target consumers are aware of brand already, SNS marketing in purpose of brand spelling awareness or confident purchase intention hav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ould be better. The study has significance of the first empirical study in cosmeceutical field based on theory of SNS marketing for cosmetics affect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nd cosmeceutical consumers pursue similar values with of cosmetics. Especially, I hope the study help cosmeceutical marketer to make highest ROI with Cohen's d value for analyzing effect size of SNS cosmeceutical marke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