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을 중심으로

        윤다인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Today, museum of arts have an obligation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and the promotion of lifelong education as well as the exhibition, preservation and research of artistic materials. UNESCO also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elf-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in 1965 and 1972.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also defined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museum of today many times. Korea laid the foundation of museum education with the Gyeongju Children's Museum School in 1954 and it has been developed with various course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National Folklore Museum, and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regarding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e Seoul Museum of Art, and Leeum, Samsung Museum of Art, few studies have been made for regional museum of art. In the case of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museum education has not been researched. Most of the articles deal with the artistic value of the artists exhibited in the museum of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museums and the locality based on SWOT analysis of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which requires the development of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First, domestic museum of art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e Seoul Museum of Art, Leeum, Samsung Museum of Art and institutions in Changwon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Regarding the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which needs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the current education status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frequent visitors want to have were identified. Considering that the basic education program is not implemented, and it can cooperate with Changdong Art Village, social education program was selected. Considering there are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nearby and it has spacious parking lot, school-linked education program was selected. In the interviews with adult visitors, it was found that they wanted to have educational programs as municipal museum of art. Based on this finding, <Preview World Art Travel: France> and < Meeting with local artists> were planned. In the interviews with adult visitors, it was found that they wanted to have educational programs as municipal museum of art. Based on this finding, <Preview World Art Travel: France> and <Meeting with local artists> were plann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esents the art education to be a meaningful art study focusing on expression, appreciation and experiential activities . However, in the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there is only exhibition explan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Therefore, <Youth Career Education Program> in the experiential area and <’Looking Back the days with History of Masan> reflecting appreciation area and locality area were planned. As a result, educational programs necessary for the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were developed. Here,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way to secure future educational significance. First, an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organized for visitors to the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When monitoring the number of visitors, the main visitors were adults and youths. Although there were educational programs for adults, there was no program for adolescents who are another main visitor group. To activate museum education, it is needed to provide a program for teachers and students as students of nearby schools regularly visit the museum as a field trip or a circle activity due to the free term system. Second, education for appreciation and experience in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in 2015 should be established. The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appreciation and experience more than expression because they are the areas to be utilized in real life. Educational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se issues should be implemented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executed in appreciation and experience area. Third, education programs matchi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should be selected. Each museum of art has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its own characteristics. The researcher identifi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Changwon City Masan Moonshin Museum of Art through SWOT analysis. The museum has many works of Moonshin, possesses round gallery, and exhibitions of great people from Masan. Educational programs utilizing such characteristics should be researched and planned. To activate museum education program, the capacity of the education program responsible person is very important. In case of school linked educational program, museum, school and teachers should make effort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in a mutual cooperative way. If this educational program is activated, the goal to nurture holistic people can be achieved by nurturing aesthetic sensibility, which is the purpose of the art class. In addition, the museum contributes to lifelong education and can secure future visitors through the educational role. In social education programs, the educational curator needs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the interests and needs of adult learners and specialized education for adults considering various obstacles should be in place. Through this, the museum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the direction that adult learners can achieve their self-realization and change life viewpoints

      • 도시하천의 악취와 수질 제어를 위한 산소 능동 용해 시스템 현장 적용 연구

        윤다인 동아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부산광역시의 하수관로는 총 연장 8,515km이며, 이 중 우수와 오수를 동시에 배제하는 합류식 관로는 4,102km로 구성 되어있다. 합류식 하수관의 노후 및 관거 정리의 미흡으로 인해 오수와 우수가 하천에 유입되고 있다. 유입된 하수가 하천에 악취를 발생시키며 지역 주민들의 악취 민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괴정천에 산소 능동 용해 시스템을 적용하여 악취와 수질 제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산소 능동 용해 시스템은 두 대의 순산소 발생기, 산소 용해기와 수위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은 1㎥/분의 규모로 하천 수위가 35cm 이상일 때 운영되어 일 평균 23시간 가동하였다. 그 결과, 시스템의 배출구 지점 기준으로 하류 방향과 설치 구간의 맞은편까지 효과를 보였다. 시스템 설치를 통해 용존 산소 농도는 최대 3.1배 증가하였으며, 용존 산소 증가 지점에서 복합 악취는 최대 59.8% 저감하였다. 하천이 혐기 상태일 때, 용존 산소가 높은 지점에서 황산이온 농도는 최대 55mg/L 증가하여 악취 대표 물질인 황화수소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보였다. 용존산소의 증가로 인해, 하천의 총 인은 75%, 부유물질은 67.7% 저감되어 수질 개선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하천에 산소 능동 용해 시스템을 설치하여 악취와 수질제어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순산소 기술을 활용하여 하천의 악취와 수질을 개선하는 국내 첫 사례로 평가된다. The sewage line of Busan Metropolitan City is 8,515km in total length. Among them, there is a pipeline that excludes rainwater and sewage. Its length is 4,102 km. Sewage and rainwater flow into the river due to aging of the sewer pipe and insufficient piping arrangement. The inflow sewage causes odor in the stream. As a result, the odor complaints of local resident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Therefore, there is a great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on how to effectively control odors. In this study, the active oxygen dissolving system was applied to ‘Gue-jeong River’ to confirm odor and water quality control effect. The oxygen active dissolution system consists of two pure oxygen generators, an oxygen dissolver and a water level sensor. The system is 1㎥/min scale. It operates at a height of 35 cm above the river and operates an average of 23 hours per day. As a result, it was effective in the downstream direction based on the outlet point of the system. And it showed the effect to the opposite side of installation section. Through the system installation,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increased up to 3.1 times. In addition, complex odor decreased by 59.8% at the point of increase of dissolved oxygen. When the river is anaerobic, the sulfate ion concentration increases up to 55 mg/L at high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s. And it showe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hydrogen sulfide which is a representative substance of odor. Due to the increase of dissolved oxygen, total phosphorus was reduced by 75% and suspended matter by 67.7%. In this study, the effect of odor and water quality control was confirmed by installing an oxygen active dissolution system in the stream. It is also the first case in Korea to improve the odor and water quality of rivers by utilizing pure oxygen technology.

      • 대학생이 지각한 자기분화와 대인관계유능성이 심리적강인성에 미치는 영향

        윤다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자기분화, 대인관계유능성, 심리적강인성의 관계와 자기분화와 대인관계유능성이 심리적강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0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분화, 대인관계유능성, 심리적 강인성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자기분화, 대인관계 유능성, 심리적 강인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자기분화와 대인관계 유능성이 심리적 강인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대학생이 지각한 자기분화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요인이 심리적 강인성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검증을 위한 독립표본 t-test, Pearson적률상관분석, 표중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에서, 성별에 따른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남자가 여자에 비해 자기분화 전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유능성 또한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대학생의 자기분화는 대인관계유능성과 심리적강인성에 높은 상관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유능성과, 심리적강인성도 높은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유능성이 높을수록 심리적강인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이 보다 독립성과 책임을 갖고 유연한 대인관계일수록 스트레스완충자원인 심리적강인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자기성숙과 성장에 충분한 역할을 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 - differentiation, interpersonal ability, psychological hardiness, self -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on perceived psychological hardines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tudy, 401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differentiation, interpersonal ability, and psychological hardiness of college student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elf-differentiation, interpersonal ability, and psychological hardiness? Third, what is the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psychological hardiness? Fourth, what are the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sub-factors of psychological hardiness? Statistical analysis for reliabilit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kurtosis, kurtosis, independent sample t-test for gender and grade differences, Pearson's ratiometric correlation analysis,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comparison of the average of the two groups according to gender showed that the male has higher total differentiation than female, and the interpersonal ability is also higher than that of male. There was no meaningful result according to grade.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self - differentiation of college student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ability and psychological hardiness, and interpersonal ability and psychological hardiness were highly correlated.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elf -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hardiness. This result implies that college students have more independence and responsibility and flexi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fluences psychological robustness, a stress buffer resour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elp college students to play a sufficient role in their maturation and growth.

      • 세계시민교육 수업의 문턱에 선 글로벌 이슈 : 사회과 예비교사의 선호 혹은 외면

        윤다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global issues which are the specific knowledge and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which global issues can be delivered to the students beyond the gate of class and what backgrounds determine such teachers’ gatekeeping. Modern society is an era of global village where borders between countr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blurred. News from all over the world spreads quickly through various media and affects each other's lives. Interdependence between countries and people around the world is deepening day by da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emerged as a national and social issue. In Korea, the government continues to expand the foundation for implemen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erms of policies and curricula. Howeve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which has relatively lower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nd level of global citizenship compared to those in Western countries with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backgrounds, has the limit that it has developed from a nationalistic and cultural-assimilative perspective.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y are focusing on the broad global perspective of ‘peaceful and sustainable society’ and striving to carry ou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his purpose. Hav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global issues are also presented b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stitutions and scholars as a key element and basic competence. In particula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its own importance as a goal and content element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t is also a major subject that allows students to view various areas of the world at the school sites. It is the teacher who plays a central role as the executor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Especially, the implementation and effec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epend on the interest and willingness of teachers while no concrete discussion has been established on the implement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school site in Korea. In this study, teachers are the gatekeepers in the delivery of curriculum and actual teaching. Teachers play an important role as the determinant of class subject and content beyond official curriculum or textbook. However, there is lack of research about th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e field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hard to find the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future-oriented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basic perception about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global issues. Three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is purpose: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about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econd, what global issues do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prefer and refuse? Third, what is the backgrounds of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preference and refusal about global issue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mixed research method of conducting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was implemented. 212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15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from 3 groups(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 geography education major, history education major) were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compiled by comparing and integrating the results of the two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the three categories: 1) perception about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2) perception about global issues, and 3) perception formation backgrounds. First, for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familiar but vague’, ‘learned but not knowing how, what and why to do’ and ‘understood in certain relationship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survey, more than half of the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were not awar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even if they were, it was vaguely recognized due to its abstractness and breadth. In addition, more than half of them said that they have never learn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learning also showed an uncertain attitude toward convincing reasons of teaching, specific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course of participating in the interview, participants found it difficult to distinguis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They underst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s three relationships: the type of hierarchical relationship, development process, and division of the beneficiaries. Second, for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global issues are ‘the teaching materials that I am not very interested in but good for students’, ‘teaching methods with activities and knowledge in harmony’ are effective, and among the 8 topics of global issues presented in the study ‘human right is preferred and prioritized than global economy and international politics’.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said that they do not have much interest in global issues, but global issues are necessary to be addressed in class when they become teachers. They said global issues are important class materials because they are needed to prepare students in the future oriented perspective and global issues have importance and necessity in conjunction with their major subjects. Also, they are good subjects for understanding and solving domestic issues and it is important that classes that deal with global issues can call attention and interest to students from school days. Most research participants said that teaching method of global issue-centered class should consider both the activities and transfer of the knowledge. It means that both of them should be harmonized in class properly. Among the 8 topics presented in the study,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prioritized human right because they believe that the premise of learning it is paramount for basic value education as citizens of the world. Also, they said that it is desirable to move on to the specific areas of issues such as society, economy, politics, economy and the environment after learning human right for avoiding nationalistic and selfish attitude. Third, the backgrounds of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 on global issues were summarized into four backgrounds of preference and three backgrounds of refusal. The backgrounds of preference were organized into four: the association to real life, the experie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ersonal interests and experience, and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major subjects. First,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were interested in global issues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ir country or daily lives and have feasible solutions that they have faced. Second, they were having related perceptions and interest in global issues through their experie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university lectures. Third, they learned global issues and recognized the necessity to address them in class based on the personal experiences and interests such as student exchange program and traveling abroad. Fourth, there were various ways of internalizing and rationalizing the significa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global issu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ir major. The backgrounds of refusal were organized into three: the difficulty of the content, the contentiousness, and the doubt of feasibility. First,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showed a tendency to avoid difficult global issues for students and for themselves. Second, they were passive about the contentious global issues and thought it was important for students to have their own positions or thoughts on such issues but should be prevented from revealing their own opinions as teachers in class. Third, even though they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global issue, they doubted the feasibil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erms of the order of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discussion of global issue orient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held on the following. First, the aspect of gatekeeping could be clearly found from the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point of view. This allowed to predict what global issues could be passed on to the students from what backgrounds beyond the gate of the class in the future global citizenship class. Second, they tended to focus mainly on the cosmopolitan-type of world citizenship which emphasizes individual’s morality and responsibility.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give a glimpse into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nationalistic and neo-liberalistic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at many scholars have pointed out, but it can be problematic in that it only emphasizes individual duties or responsibilities without raising questions about the unequal social structure or system. Thir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dilemma and stereotypes of the teacher's role in class on contentious global issues. Discussions and redefinition of the teacher's role for realizing the true meaning of debating classes need to be made, breaking away from stereotypes such as banning teachers from expressing their position. Fourth, policy discussions are needed to provide effective university lectures for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moving away from the theoretical-level approach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global issu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call attention to the global issue orient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global citizenship teacher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research. 현대 사회는 국가 간의 경계가 점차 흐려지고 있는 지구촌 시대이다. 전 세계 곳곳의 소식은 각종 미디어를 통해 빠르게 전파되고, 서로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전 세계 국가와 사람들 간 상호의존성은 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세계화 시대에서 살아갈 학생들의 세계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세계시민교육의 중요성이 국가적,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정책이나 교육과정 차원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시행하기 위한 토대를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가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다인종의 배경을 가진 서구권 국가들에 비해 다문화수용성과 세계시민의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한국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은 국가주의적, 문화동화주의적 관점에서 발전되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평화롭고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이라는 범세계적 관점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위한 세계시민교육을 수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이슈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갖추는 것은 세계시민교육 기관과 학자들에 의해 세계시민교육의 핵심 요소이자 기본 역량으로서 제시되고 있다. 여러 교과 중에서도 사회과에서 세계시민교육은 그 자체로 목표이자 내용 요소로서 중요성이 있으며, 실질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세계의 다양한 영역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하는 중심 교과 또한 사회과이다. 학교 차원의 세계시민교육 실행 주체로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것은 교사이다. 특히 국내 학교 현장에서의 세계시민교육 실행에 관한 구체적인 논의가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실행이나 효과는 교사의 관심과 의지에 달려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의미에서 교사가 교육과정의 전달이나 실제 교수에 있어 문지기(Gatekeeper)의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교사는 공식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를 뛰어넘는 수업 주제 및 내용에 대한 사실상의 결정권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세계시민교육 분야에서 현장교사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세계시민교육의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과 필요성을 고려한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실질적 지식이자 내용인 글로벌 이슈에 대한 기초적인 인식 수준과 인식 형성 배경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어떠한 글로벌 이슈가 수업의 문턱을 넘어 수업에 전달될 수 있는지, 그러한 게이트키핑을 결정하는 배경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어떠한 글로벌 이슈를 선호하고, 외면하는가? 셋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이슈에 대한 선호와 외면을 형성하는 배경은 무엇인가?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행하는 혼합연구방법으로 A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는 212명의 사회과 예비교사들이, 포커스 그룹 면담에는 한 전공당 5명씩 3그룹(일반사회교육, 지리교육, 역사교육)의 15명의 예비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는 1)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 2) 글로벌 이슈에 대한 인식, 3) 인식 형성 배경의 3가지 항목에 따라 두 연구방법을 통해 수집 및 분석된 자료를 적절히 비교‧통합하여 정리하였다.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에게 세계시민교육은 ‘익숙하지만 막연하고’, ‘배웠지만 어떻게, 무엇을, 왜 해야 하는 건지 모르겠는’ 모호한 교육이었으며, ‘다문화교육과의 특정한 관계 속에서’ 혼란스럽게 이해되고 있었다. 설문조사에서 반 이상의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세계시민교육에 대하여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인지하고 있을지라도 세계시민교육의 추상성과 광범위성으로 인해 막연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에서 반이 넘는 사회과 예비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을 배운 경험이 없다고 응답했다. 배운 경험이 있는 예비교사들 또한 세계시민교육을 수업에서 해야 한다는 당위성이나 구체적인 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해 확신 없는 태도를 보였다. 포커스 그룹 면담의 연구참여자들은 면담 참여 과정에서 세계시민교육을 다문화교육과 혼용하고 구분하기 어려워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해 연구참여자들은 세계시민교육과 다문화교육을 위계적 관계 유형, 발전 과정 유형, 수혜 대상 구분 유형의 3가지 관계로서 이해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에게 글로벌 이슈는 ‘나는 별로 관심이 없지만 학생들에게는 좋은’, ‘활동과 지식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수업 방법’이 효과적인 수업 소재이며, 글로벌 이슈의 주제 중 ‘경제, 정치보다 인권’을 더욱 선호하고 우선시하였다.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평소 글로벌 이슈에 대한 관심이 크게 없다고 답하면서도 학생들은 반드시 배워야 할 필요성이 높은 수업 소재라고 답하면서 아이러니가 나타났다. 이에 대해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구체적으로 글로벌 이슈가 미래지향적 측면에서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해, 세부 전공 교과목에서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국내 이슈에 대한 이해와 해결을 위해 좋은 수업 소재이기 때문에, 학생 시절부터 세계 이슈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환기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답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은 글로벌 이슈 중심 수업의 교수학습방법으로서 활동 중심의 신문활용수업, 토의‧토론법, 역할극, 모의학습과 지식 전달 중심의 강의법과 같은 수업 방식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수업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였다.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연구에서 제시된 8가지 주제 중 인권을 가장 우선시하고 선호하였으며, 경제 및 정치와 같은 주제를 외면하고 있었다. 인권에 대한 학습의 전제가 세계시민으로서의 기본적인 가치관 교육을 위해 가장 중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사회, 경제, 정치, 환경과 같은 구체적인 영역의 이슈들로 옮겨가는 것이 국가주의적, 이기적 태도를 지양하기 위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셋째, 글로벌 이슈에 대한 인식 형성 배경을 선호하게 되는 배경 4가지와 외면 하게 되는 배경 3가지로 정리하였다. 선호하게 되는 배경은 실제 삶과의 연관성, 세계시민교육 경험, 개인적인 관심사 및 경험, 전공 과목과의 연계 가능성의 4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우리나라 또는 일상적인 삶과 연관성이 높으며 실제 해결 모습을 직‧간접적으로 접한 글로벌 이슈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었다. 둘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대학 강의를 통한 세계시민교육 경험을 기반으로 글로벌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관련한 인식을 형성하였다. 셋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교환학생이나 해외 여행 등의 개인적인 경험과 관심사에 기반하여 글로벌 이슈를 접하고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넷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일반사회교육, 지리교육, 역사교육의 각 세부 전공의 특성과 목표에 따라 글로벌 이슈와 세계시민교육의 의의를 다양하게 내재화, 합리화하고 있었다. 외면하게 되는 배경은 내용의 어려움, 논쟁성,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심의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에게도, 예비교사인 본인에게도 어려운 글로벌 이슈를 기피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논쟁적인 글로벌 이슈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학생들이 그러한 문제에 대해 자신만의 입장이나 생각은 가지는 것은 중요하지만, 교사 본인의 입장을 밝히는 것은 금기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글로벌 이슈 중심 수업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세계시민교육적 내용의 교육과정 상의 순서 배치나 평가의 측면에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실현 가능성에 의심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글로벌 이슈 중심의 세계시민교육 수업과 관련하여 논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입장에서 게이트키핑(Gatekeeping)의 양상을 뚜렷이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미래의 세계시민교육 수업에서 어떠한 배경에서 어떠한 글로벌 이슈가, 어떠한 배경에서 수업의 문턱을 넘어 학생들에게 전달될 수 있을지 예측해볼 수 있었다. 둘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주로 개인의 도덕성과 책임을 강조하는 코스모폴리탄 유형의 세계시민성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그동안 많은 학자들이 지적해온 국가중심적, 신자유주의적 세계시민교육을 극복할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불평등한 사회 구조나 제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 않고 개인의 의무나 책임만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셋째, 논쟁적인 글로벌 이슈에 관한 수업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딜레마와 고정관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의 입장 표명 금기와 같은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논쟁 수업의 진정한 의미를 실현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논의와 재개념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에게 세계시민교육과 글로벌 이슈의 이해에 대한 이론적 차원의 접근에서 벗어나 실효성 있는 교원양성기관 강의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향후 글로벌 이슈 중심의 사회과 세계시민교육과 세계시민교사교육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관련 연구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모국수학이 재일동포의 민족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다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모국수학 제도는 민단이 간부 양성을 목적으로 대한민국 정부에 요청해서 1962년 대통령령에 의해 시행되기 시작한 것으로서, 내용에 조금씩 변화를 겪으며 50년 이상 유지되어 왔다. 오늘날 모국수학은 재일동포 민족교육의 중요한 한 축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 형태가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고 규모 또한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렇듯, 모국수학 제도가 긴 역사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모국수학이 재일동포의 민족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최소한 6개월 전에 모국수학을 위해 한국에 온 재일동포 3, 4세 22명을 눈덩이 표집을 통해 모집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구술자들이 모국수학을 결정한 배경에는 뿌리 찾기, 유학, 이력 쌓기, 탈(脫)일본, 한류의 영향과 같은 다섯 가지 동기가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뿌리 찾기란 한국어나 한국 문화 및 역사에 대한 지식과 같은 민족적 소양을 키우고 한국 생활을 통해 자신의 기원 및 민족 정체성에 대해 보다 심도 있게 탐색하려는 것을 뜻한다. 이들은 한국어의 실질적인 효용보다는 한국어가 자신의 민족의 언어라는 측면에 더 주목하며, 모국수학을 통해 자신의 뿌리와 연관되어 있는 한국의 문화를 배울 수 있다는 점에 보다 의미를 두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부 구술자들은 ‘유학처’로서 한국을 택하여 모국수학을 하게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한국이 자신의 모국이라는 사실보다는,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생활비가 저렴하고 보다 쉽게 유학 갈 수 있다는 면에 더 주목했다. 셋째, 또 다른 구술자들은 모국수학을 통해 한국어를 익히고 국제 경험을 갖추어 장래에 취업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거나, 다른 분야로 전직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모국수학을 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은 한국어가 자신의 민족의 언어라는 측면보다는, 일본사회에서 한국어가 갖는 효용가치 및 ‘국제 경험’으로서의 모국수학에 좀 더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일본을 떠나고 싶다는 ‘탈(脫)일본’과 관련된 욕구가 일부 구술자들에게 모국수학을 선택하는데 주요한 계기로 작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부 구술자들은 한류의 영향으로 인해 모국수학을 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과 10년 사이에 나타난 새로운 현상이다. 다음으로, 모국수학생들이 한국 생활 중 겪었던 경험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일부 구술자들의 경우 한국 생활 초기에 본국의 한국 사람들에게서 발견되는 행동양식을 자신의 준거의 틀로 여기며 ‘한국인이 되기 위한 시도’를 하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다수의 구술자들은 모국수학 중 본국의 한국인들과 교류하였고, 그 경험과 내용에 의해 민족정체성에 크고 작은 변화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인터뷰를 했던 거의 모든 구술자들은 많은 한국인들이 재일동포에 대해 무지하거나 편견을 가진 것 같다고 말하였다. 이에 대한 구술자들의 반응은 보통 부정적이었으며, “실망”, “충격”, “분노”, “짜증”과 같은 단어들을 통해 표현되었다. 다음으로, 다수의 구술자들은 지금까지 만났던 많은 본국의 한국인들이 재일동포는 한국인이 아니라고 하는 인식을 직간접적으로 표현했다고 말했다. 이러한 태도는 많은 구술자들에게 상처를 주었는데, 이에 대한 대처방식 및 인상은 무척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많은 구술자들이 모국수학을 하며 재일동포들에게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는 한국인들을 만났던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들을 전체적으로 분석해 볼 때, 구술자들은 재일동포에게 우호적인 한국인들과의 만남을 통해 겪은 긍정적인 경험보다는 부정적인 경험에 의해 더 크게 영향 받았다. 이 부정적인 경험들은 ‘재일 정체성’의 강화로 연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구술자들은 한국에서 경계인으로서 생활하며, 자신의 소속이 한국인가, 일본인가를 선택해야 하는 다양한 상황을 맞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술자들은 태어나고 자란 일본을 떠나 한국에서 생활하며 여러 가지 문화 차이를 경험했으며, 이에 대처하는 방식 또한 다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모국수학생들이 모국수학 과정 중 겪었던 민족정체성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모국수학의 동기와 목적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구술자들이 모국수학 과정이 자신의 민족정체성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쳤다고 구술하였다. 이들의 민족정체성의 변화는 한국적 민족정체성의 강화, 재일적 민족정체성의 강화, 일본적 민족정체성의 강화의 세 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이 범주들은 모국수학생들이 최종적으로 가지게 된 확고하고 유일한 민족정체성이라기 보다는 모국수학 중 겪었던 단편적인 변화의 단계를 나타내기도 하고, 동시에 두 가지 민족정체성이 모두 강화되는 경우도 존재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국수학 중 한국적 민족정체성의 강화를 겪었다고 구술한 구술자는 오직 두 명에 불과했다. 이들은 ‘뿌리 찾기’를 위해 한국 행을 택하였고, 한국의 대학교에서 수학하였으며, 모국수학을 마친 후에도 한국에서 계속 살기를 강하게 희망한다는 공통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거의 모든 구술자들은 모국수학 과정 중 재일로서의 민족정체성을 처음으로 가지게 되거나,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재일로서의 민족정체성이 강화되는 것을 경험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모국수학을 통해 자신이 재일동포라고 인식하게 되거나 인식의 강화를 겪은 구술자들 사이에서도 그 이유는 다양했고, 인식의 내용에 있어서도 조금씩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재일적 민족정체성의 강화를 겪은 구술자들의 경험은 (1)‘나는 재일이다.’, (2)‘한국인은 아니다’, (3)‘부정적인 재일에서 긍정적인 재일로’, (4)‘정하지 않아도 괜찮다’로 분류할 수 있었다. (1)‘나는 재일이다.’유형은, 재일동포만이 가진 특질이나 재일동포만이 공감할 수 있는 측면들에 보다 주목하며, 자신을 한국인도 아니고 일본인도 아닌 ‘재일이다’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2)‘한국인은 아니다’유형은, 한국 생활을 통해 경험한 본국의 한국인들과 자신의 차이 및 이질성을 강조하며, 이 결과로 인해 재일적 민족정체성이 강화된 구술자들이다. (3)‘부정적인 재일에서 긍정적인 재일로’유형은, 일본에 있을 때부터 재일로서의 민족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모국수학을 통해 자신의 민족정체성을 보다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는 변화를 경험한 구술자들이다. 마지막으로, (4)‘정하지 않아도 괜찮다’유형은, 모국수학 전에는 자신의 민족정체성이나 자신이 속한 국가가 한국과 일본 중 어느 쪽인지를 정해야만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모국수학을 통해 “정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것을 깨닫고 경계인이자 월경(越境)인인 재일로서의 자신을 받아들이게 된 구술자들이다. 셋째, 인터뷰에 응해주었던 22명의 구술자들 중 모국수학을 하기 전 자신을 ‘일본인’으로 정체화했던 구술자는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들 중 일부는 모국수학을 하며 처음으로 자기 안에 있던 일본적인 요소를 발견하였고, 이는 일본적 민족정체성의 강화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본을 바라보는 시각에 변화가 생겼다는 구술자도 존재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모국수학 후 자신을 오직 ‘일본인’으로만 정체화 하는 것은 결코 아니었고, 재일적 민족정체성과 함께 일본적 민족정체성도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모국수학은 대다수 구술자들에게 자신이 재일임을 ‘확인’ 및 ‘재확인’하는 과정으로 작용하였으며, 일부 구술자들에게는 자기 안에 있던 일본적인 요소를 ‘발견’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민족정체성은 다양하게 분화되어 가고 있고, 복합적이며 중층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구술자들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이는 자신감 및 자아정체감의 풍부화와 연결되고 있었다.

      • 모둠학습을 통한 읽기 수업의 효과 및 학습자 태도 비교 :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유형을 중심으로

        윤다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23

        모둠학습을 통한 읽기 수업의 효과 및 학습자 태도 비교 :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유형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읽기 수업에서 모둠학습을 수행하는 중학교 3학년생들을 개별학습 또는 모둠학습을 선호하는 집단으로 각각 분류하여 모둠학습 수업을 실행한 뒤 집단 간의 읽기 학습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측정하고자 한다. 연구 질문은 첫째, 모둠학습을 기반으로 진행하는 읽기 수업에서 개별학습 선호집단과 모둠학습 선호집단의 읽기 학습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모둠학습을 기반으로 진행하는 읽기 수업에서 개별학습 선호집단과 모둠학습 선호집단의 학습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 3학년 학생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그들이 선호하는 학습 유형이 개별 또는 모둠학습 중에서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개별학습 선호자와 모둠학습 선호자는 각각 35명이었다. 개별 및 모둠학습에 대한 선호도 점수가 동일한 2명과 무응답자 6명은 본 연구의 목적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결과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학습유형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를 종료한 이후에 집단별 동질성 검사를 위한 사전 읽기 능력 검사를 진행하였다. 이 후 주 3회로 총 12회에 걸쳐서 모둠별 문장해석, 모둠별 문제 풀이, 단어학습 활동을 위주로 읽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모든 실험 수업이 종료된 이후에 집단별 읽기 능력과 정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 읽기 능력 검사와 모둠활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측정하는 설문연구를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보다 심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개별학습 선호자 2명과 모둠학습 선호자 2명의 자발적인 지원을 통해 표적집단면접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둠학습을 기반으로 진행하는 읽기 수업에서 개별학습 선호집단과 모둠학습 선호집단의 읽기 학습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로 판명되었다. 읽기 능력 검사에서 모둠학습을 선호하는 집단이 개별학습을 선호하는 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의 향상을 보여주어 통계적으로 두 집단 간의 읽기 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10점을 만점으로 개별학습 선호집단의 사전 검사 평균은 6.11점에서 사후 검사 평균 5.17점으로 약 1점 정도 하락한 반면에, 모둠학습 선호집단은 사전 검사의 평균 점수 5.63점에서 사후 검사의 평균 점수는 6.77점으로 약 1.1점 정도 상승하였다. 두 번째, 모둠학습을 기반으로 진행하는 읽기 수업에서 개별학습 선호집단과 모둠학습 선호집단의 학습 태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각 모둠활동의 흥미도, 유용도, 만족도에 대한 모둠학습 선호집단의 선호도가 개별학습 선호집단의 흥미도, 유용도,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별학습 선호집단의 흥미도 평균은 4점을 만점으로 2.41점, 모둠학습 선호집단의 흥미도 평균은 3.10점이었다. 유용도의 평균은 개별학습 선호집단의 평균점이 2.4점, 모둠학습 선호집단이 3.13점이었고, 만족도의 평균 점수는 개별학습 선호집단이 2.56점, 모둠학습 선호집단의 점수는 3.21점이었다. 이와 더불어 표적집단면접을 분석한 결과로 개별학습을 선호하는 집단보다 모둠학습을 선호하는 집단이 모둠활동으로 이루어지는 읽기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모둠활동에 보다 활발하게 참여하려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가 모둠활동을 통한 읽기 수업을 계획할 때에 학생들의 학습과 관련된 특성들을 파악하여 교수에 반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연구가 비교적 단기간에 진행되었고 특정 학년의 중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점과 다양한 학습 유형 중에서 개별 및 모둠학습 유형에만 초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한 부분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장기적으로 연구를 설계하고 다른 학교급을 대상으로 개별 및 모둠학습 유형 이외의 학습 유형과 관련한 연구를 진행할 것을 후속 연구로 제언한다.

      •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 작품을 응용한 현대 스카프 디자인 연구 :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윤다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23

        인류의 역사이래 스카프는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계급 상징의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하였으며, 현대에 와서는 패션의 한 분야를 차지하면서, 자신만의 개성을 표출하는 중요한 악세사리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따라서 스카프도 다른 패션 소품과 마찬가지로 패션 트렌드의 경향을 철저히 분석하여 독자적인 디자인 개발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국내 내셔널스카프 브랜드는 아직까지 라이센스 브랜드나 수입 브랜드 디자인의 모방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점차 국내 스카프 시장의 경쟁력이 약화되어 시장점유율이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자기만의 개성을 중시하는 국내외 소비자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브랜드 고유의 디자인 연구 개발이 시급하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 디자인의 큰 흐름이 인간의 체취가 밴 장식적이며 자연적인 모티브를 소재로 한다는 특성에 비춰 현대 디자인의 경향과 매우 흡사한 점을 지니고 있는 1800년대 미술공예운동의 시조(始祖)로 일컬어지는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의 작품에 디자인되어진 플라워 패턴(flower pattern)을 응용하여 현대 디자인의 트렌드에 맞게 스카프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하였다. 작품은 04/05 F/W 시즌 경향에 맞춰 자연복귀적이며 친환경적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는 윌리엄 모리스의 작품 중에서 Pimpernel Wallpaper, Honeysuckle textile design, Acanthus Wallpaper, Garden tulip wallpaper, Evenlode printed cotton, Trellis Wallpaper, Chrysanthemum Wallpaper에 나타난 플라워 모티브를 소재로 하여 스카프 디자인에서 이를 재배열하였으며 윌리엄 모리스 작품에 나타난 플라워 모티브의 형태와 색채를 응용하여 Classic Allure, Recycling Vintage, Oriental Retro, Sweet Shine의 네 가지 주제를 설정하여 디자인하였다. 작품제작은 패턴을 핸드 드로잉한 후 포토샵 프로그램을 통해 컬러와 리핏 수정을 거친 후 DTP(Digital Textile Printing)로 제작되었다.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국내 내셔널 스카프 브랜드의 디자인 개발은 물론, 1960?70년대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던 텍스타일 산업의 재도약에도 미력한 힘이나마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Interrelation between PMCA-1 and inflammatory mediators expression in gingival tissue depending on severity of periodontitis : 만성 치주염의 염증 심도에 따른 치은 조직에서 PMCA-1과 염증 매개체 발현의 상관관계

        윤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1823

        본 실험에서는 건강한 조직과 염증 심도에 따른 조직에서 골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인자인 PMCA-1과 IL-11, LIF와 같은 염증 매개체의 발현 및 상호작용에 대해 관찰함으로써 치주염 심도가 염증 진행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 인자가 치주조직 파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북대학교 병원 치주과 내원환자 중 전신적으로 건강하며 흡연력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여러 환자요소 및 임상 치주상태를 기록하고, 만성 치주염의 소견을 보이지 않는 건강한 치은 부위 (1군, 16명), 중등도 이하의 만성 치주염 이환 부위 (2군, 16명), 중증 이상의 만성 치주염 이환 부위 (3군, 16명)에서 각각 변연치은을 채득하고 액화질소에 급속 동결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각 조직 내 PMCA-1, IL-11 및 LIF의 발현을 관찰하고,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상대적 발현을 정량한 후, 해당 조직의 β-actin 발현을 이용하여 표준화함으로서 각 군의 평균치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MCA-1의 발현은 2군과 3군에서 증가 양상을 보였으며 3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군과 2군, 1군과 3군, 그리고 2군과 3군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IL-11의 발현은 2군과 3군에서 증가 양상을 보였으며 3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군과 2군, 1군과 3군, 그리고 2군과 3군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LIF의 발현은 2군과 3군에서 감소 양상을 보였으며 1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군과 2군, 1군과 3군, 그리고 2군과 3군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PMCA-1, IL-11 및 LIF는 만성 치주염의 심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인자들이 서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추후 이들 인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치주질환의 진단 및 처치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