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교육의 속성과 구현 실태에 관한 연구

        윤가영 ( Yun Ga-young ),이효진 ( Lee Hyo-jin ),박인우 ( Park Inn-woo )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1

        스마트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스마트 매체의 등장은 개인의 학습 환경과 학교교육 현장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정부는 학습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2011년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했고, 스마트교육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등장시켰다. 이후 정부를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학교 현장에 도입하고자 다양한 정책이 실행되어 왔으며, 스마트교육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스마트교육이라는 개념이 등장한지 6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스마트교육은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안고 있으며, 스마트교육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재한 상황에서 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정책이 추진되면서 일선현장의 교사들은 스마트교육을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스마트교육은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이론적 기틀 마련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스마트교육의 속성을 정의하였으며, 스마트교육 연구 가운데 실증 및 사례 연구를 검토·분석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이 어떤 속성들을 중심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도출된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T), 열린 학습 환경(E), 자기주도 학습(S), 맞춤형 학습(C), 소셜 러닝(SL)의 5가지로 나타났다. 실증 및 사례연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기기 및 매체의 활용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 학습, 맞춤형 학습은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추후 연구를 통해 스마트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Since the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various Smart media, a learning environment for individual learners and the school has been changing. In the stream of changing learning environments, in 2011, the government announced SMART education strategies, introducing the term officially, “SMART education.” With the governments` efforts to develop and implement SMART education in school, many policies has been enacted and man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nd increased gradually. However, as policies of SMART education have initiated in situation where there is no clear understanding in regard of SMART education, many researchers and teachers confused of SMART education and its identity and attributes, even though it has been 6 years since the concept was introduced. Unfortunately, SMART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as one type of instructional methodology as utilizing Smart technology. Thus,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build theoretical foundation of SMART education through analyzing former research on SMART education to define the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To examine how SMART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terms of its attributes, also, we analyzed research that conducted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n SMART education in actual learning environments. As the results of former research analysis, the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includ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pen learning environment, self-directed learning, customized learning, and social learning. In majority of research, SMART education focused on utilizing Smart technology and media in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but self-directed, and customized learning were less adapted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following research, how to improve educational benefits of SMART education through adapting original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need to be examined.

      • KCI등재
      • KCI등재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무상급식 정책 분석: 2010 2015년의 정책변동을 중심으로

        이은혜 ( Eun Hye Lee ),윤가영 ( Ga Young Yun ),안선회 ( Sun Hoi A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1

        2010년 6월 지방선거를 계기로 시행·확대된 무상급식은 정책 형성 과정에서 복지 범위에 대한 논쟁 및 갈등을 겪어왔으며, 정책이 실행된 지 약 5년이 흐른 근래까지도 예산 확보 방안 및 관련법 미비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이미 다룬 2010년 서울시장과 교육감의 대립을 무상급식 정책의 창이 형성된 1차 촉발기제로 보고, 그 이후부터 최근까지 무상급식 정책의 변동과정을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문제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무상급식 실시 현황, 예산 변동 추이 등의 지표, 복지 제도 패러다임의 변화, 학부모 및 국민 여론조사 결과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 무상급식 정책의 시기별 분석, 각 시도 조례제정안 개정 흐름 등을 통해 정책의 흐름을 살펴보았으며, 셋째, 무상급식을 둘러싼 일련의 정치적 갈등 사건 및 예산 부담 논쟁을 통해 정치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흐름을 통해 2차 정책의 창이 열렸으며, 이와 관련된 정책 변동의 촉진자는 정부, 지자체, 교육감, 정당이라고 분석하였다. 무상급식 정책 변동 과정에 영향을 미친 여러 흐름을 살펴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무상급식 정책의 안정적 집행과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free school meal policy was officially announced and launched after the local elections held in June 2010. Although launched nearly five years ago, the policy is stil lbeing debated over its various aspects, such as the range of beneficiaries that is covered by it, its lack of a sound legal basis, and the strategies to be adopted for budget expansion to accommodate the policy. According to a previous research analysis, a conflict between the mayor of Seoul and the educational superintendent of Seoul in 2010 became the trigger or the window of opportunity for the first policy entrepreneur to introduce free school meals.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in free school meals from 2010 to 2015 using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For conducting the analysis, literature from news, articles, reports, and theses was collected. According to Kingdon, three process streams must be aligned for an issue to be dealt with in the domain of public policy: problems, policies, and politics. In this study, the problem stream comprised indicators such as the present state of the policy, the trends in budget change, the focus on the paradigm shift in welfare policy, and feedback from the parents and public. The policy stream was explained by a chronological analysis of the free school meal policy and the enactment of a relevant ordinance. The political stream, the most influential one, was characterized by events within the government such as the debate on the budget and other political issue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of the process of change showed that the meeting point of the streams opened up second policy window for free school meals, with the policy entrepreneurs being the central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 the local education authority, and the political parties. In addition, the study offered some implications for the stable implementation and development of the free school meal policy.

      • KCI등재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그릿(Grit) 영향요인 탐색

        김소정(Sojung KIM),윤가영(Ga-young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그릿(Grit)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관련 변수들을 선정하고 랜덤 포레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11차~13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패널의 총 대상 2,150명 중 예측 변수인 그릿에 결측치가 존재하는 사례를 제외하고 총 1,359명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활용하였고, 그릿과 그릿의 하위요인인 흥미유지, 노력지속에 대해 각각의 예측 모델을 도출하였다. 설명 변수는 아동 특성 요인, 학부모 특성 요인, 가구 특성 요인, 학교 특성 요인에 해당하는 총 41개 변수를 선정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그릿과 흥미유지 및 노력지속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설명 변수는 대부분 아동 특성 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릿에서 변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요인은 집행기능이었으며, 성실, 학교적응(학습활동), 학업스트레스, 진로성숙도 순이었다. 흥미유지의 경우, 집행기능, 성실, 진로성숙도, 학업스트레스, 학교적응(학습활동)의 순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노력지속에서는 성실, 집행기능, 학습태도, 학교적응(학습활동), 자아존중감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다. 대부분의 경우, 설명 변수의 특성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그릿(흥미유지, 노력지속)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아동의 그릿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아동이 집행기능 전략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고, 성실한 태도를 유지·발달하며, 학교적응(학습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환경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또한, 부모 및 학교 특성 요인이 아동의 그릿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지만, 이러한 요인들이 아동 특성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력을 고려할 때, 학교 현장과 가정에서의 적합한 환경 조성, 심리·정서적 지원 등이 함께 제공된다면 아동의 그릿 발달에 직·간접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lect relevant variables and analyze them through random forest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gri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For this purpose, Utilizing data from the 11th to 13th waves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1,359 sub-ject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cases with missing grit values. Random fores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41 selected variables for grit, perseverance, and interest consistency. Results I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predominantly observed that certain child-related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grit and its aspects. For grit, variables like executive function, diligence, school adaptation, academic stress, and career maturity were crucial. Consistency of interests was notably affected by executive function, dili-gence, career maturity,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Perseverance of effort was influenced by dili-gence, executive function, learning attitude, school adaptation, and self-esteem. Generally, higher levels of these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grit in children. Conclusions To foster a child's grit, it's crucial to help them acquire executive function strategies, maintain a dili-gent attitude, and create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school adaptation. While the direct influence of parental and school characteristics on a child's grit is relatively minor compared to individual factors, establishing a suitable en-vironment and provid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at both school and home will aid in children's grit developmen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이해도 집단 유형에 관한 연구

        신주랑(Jurang SHIN),윤가영(Ga-young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는 PBL(Project-Based Learning)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이해 수준을 확인하고, 집단 차이를 구분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하여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조사한 ‘5차년도(2020년) KEEPⅡ’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PBL 수업의 만족도’, ‘학과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삶의 만족도 및 자유도’ 등을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이해도 유형은 ‘자기이해도 상’, ‘자기이해도 중’, ‘자기이해도 하’ 집단으로, 최종적으로 3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집단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한 결과, ‘PBL 수업의 만족도’, ‘학과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삶의 만족도 및 자유도’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자기이해 상’ 집단은 모든 요소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자기이해도 중’ 집단은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고, 상대적으로 계획수행이 낮게 나타났다. ‘자기이해도 하’ 집단은 모든 지표변수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결정과 관련된 요소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자기이해도 수준이 높고 낮은 학습자의 특성을 특정 수업유형을 경험한 학습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교수설계 및 전략 수립 단계에서 학습자 특성을 확인하고 자기이해도를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여 실행한다면 PBL 수업의 효과가 더 클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atent groups of self-understanding among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PBL clas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is classification. Method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we collected samples from the ‘5th year KEEP II: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The variables sele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were ‘PBL class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freedo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understanding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low level’, ‘middle level’, and ‘high level’.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BL class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freedom’. The ‘high level’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s in all factors. The ‘middle level’ group demonstrated overall levels above average but relatively lower levels of ‘goal execution’. Finally, the ‘low level’ group exhibited low levels in all measured variables, particularly in factors related to decision-making.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ith high and low levels of self-understanding, specifically focusing on those who experienced a specific class type, PBL. Therefore, we suggest that instructors should identify and implement teaching strategies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promote self-understanding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B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