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대 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직장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및 PBL의 조절된 매개효과

        신주랑 ( Jurang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활만족과 직장만족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및 PBL 수업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분석에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Ⅱ: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Ⅱ)의 3차년도(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와 Process Macro를 활용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진로정체감은 대학생활만족도와 직장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PBL 수업 참여 여부는 대학생활만족도와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방대학교 대학교육의 수정 및 보완할 점에 대한 논의와 교수학습방법 측면의 개선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identit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PBL classes in the relation betwee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local university students. Third-year data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Ⅱ in 2019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were as follows: Career identity was verifi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Second, whether to participate in the PBL classes had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modifications and supplements to education at local universities and suggested improvement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이해도 집단 유형에 관한 연구

        신주랑(Jurang SHIN),윤가영(Ga-young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는 PBL(Project-Based Learning)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이해 수준을 확인하고, 집단 차이를 구분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하여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조사한 ‘5차년도(2020년) KEEPⅡ’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PBL 수업의 만족도’, ‘학과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삶의 만족도 및 자유도’ 등을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이해도 유형은 ‘자기이해도 상’, ‘자기이해도 중’, ‘자기이해도 하’ 집단으로, 최종적으로 3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집단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한 결과, ‘PBL 수업의 만족도’, ‘학과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삶의 만족도 및 자유도’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자기이해 상’ 집단은 모든 요소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자기이해도 중’ 집단은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고, 상대적으로 계획수행이 낮게 나타났다. ‘자기이해도 하’ 집단은 모든 지표변수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결정과 관련된 요소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자기이해도 수준이 높고 낮은 학습자의 특성을 특정 수업유형을 경험한 학습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교수설계 및 전략 수립 단계에서 학습자 특성을 확인하고 자기이해도를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여 실행한다면 PBL 수업의 효과가 더 클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atent groups of self-understanding among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PBL clas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is classification. Method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we collected samples from the ‘5th year KEEP II: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The variables sele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were ‘PBL class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freedo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understanding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low level’, ‘middle level’, and ‘high level’.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BL class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freedom’. The ‘high level’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s in all factors. The ‘middle level’ group demonstrated overall levels above average but relatively lower levels of ‘goal execution’. Finally, the ‘low level’ group exhibited low levels in all measured variables, particularly in factors related to decision-making.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ith high and low levels of self-understanding, specifically focusing on those who experienced a specific class type, PBL. Therefore, we suggest that instructors should identify and implement teaching strategies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promote self-understanding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BL.

      • KCI등재

        청년세대의 일자리 만족도 유형 분석 및 영향요인: 학교교육경험, 조직풍토, 전공 및 직무 일치를 중심으로

        신주랑(Jurang Shin),장재홍(Jaehong Ja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s of job satisfaction among the youth generation and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each typ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dicators of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d how organizational climate factors, such as the degree of help with school education experience, autonomy and authority in jobs, the degree of development potential, and the level of major and job matching, affect potential group types. Data from the 11th year of the 2005 Korean Education Termination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for analysis.The study found that job satisfaction can be classified into four potential groups: the “development possibility dissatisfaction” group, the “salary and welfare dissatisfaction” group, the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 satisfaction” group, and the “high job satisfaction” group. Furthermore, the degree of opportunity to improve work ability through work, the degree of adjustment of work hours according to one's needs, and the level of education and skill-wor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all groups. However, the degree to which the speed of work can be determined or changed by itself did not affect group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tudy's results, the desired workplace culture and environment of the younger generation were revealed, and necessary implications for those in charge of running a company or managing employment or employment polic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일자리 만족도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급여, 고용 안정성, 복리후생, 업무내용, 근무시간 및 업무량, 근무환경,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개인의 발전가능성, 전반적인 만족도를 일자리 만족도 지표변인으로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교교육경험 도움 정도, 일자리 내 자율성 및 권한, 발전가능성 정도와 같은 조직풍토, 전공 및 직무 일치 수준이 잠재집단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한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1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자리 만족도 유형은 4개의 잠재집단으로 ‘발전가능성 불만’ 집단, ‘급여 및 복리후생 불만’ 집단,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만족’집단, ‘높은 일자리 만족’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일을 통해 업무 능력을 높일 기회 정도, 자신의 필요에 따른 업무 시간 조정 정도, 교육, 기술-업무 수준은 모든 집단을 구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업무 속도를 스스로 결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정도는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년세대가 원하는 직장문화와 환경을 밝혔으며, 기업을 운영하거나 고용 또는 취업정책을 운용하는 책임자에게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