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 혁신을 위한 감각 중심의 디자인 접근법

        유훈식 ( Hoon Sik Yoo ),반영환 ( Young Hwan Pan ),주다영 ( Da Young Ju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6

        디자인을 통한 서비스 혁신에 대한 기대감 또한 높아지면서 서비스 디자인을 통해 의료 서비스, 교육 서비스, 관광 서비스, 공공 서비스 등을 혁신한 사례들이 등장하고 있다. 디자인을 통한 서비스 혁신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서비스 혁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디자인 관점의 연구들 역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디자인을 통한 서비스 혁신을 위해서 감각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 실제적인 디자인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론들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 고객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를 활용하여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기는 하지만 이와 관련된 개념이 정립되지 못하였고 실제적인 디자인 수행 방법 또한 구체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서비스 혁신을 위한 감각 중심의 디자인 접근법은 감각 중심으로 서비스를 혁신하는 새로운 관점에 대한 개념을 정립함과 동시에 이를 실제적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체계화된 방법론을 함께 제안한다. 연구에서 제안된 감각 경험 조사 방법론의 검증을 위해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고 참가자들의 피드백을 받아서 실용화를 위해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As the expectation on the service innovation through design is increasing, cases which have innovated the service targeting the medical service, educational service, tourism service and public service through service design is emerging. This study has a purpose of proposing methodologies for conducting actual design studies by newly spotlighting the potential value have by the sense in order to innovate the service through design. Although there has been a recent appearance of cases which have strengthened the competitiveness of service utilizing the elements that can stimulate the senses of the customer, but the concept related to this was not established and also the actual design implementation method was not materialized. The sensors-centered design approach for service innovation establishes the concept on the new perspectives that innovate the service centered on senses and at the same time proposes a systematic methodology that enables the actual implementation. The sensors-centered design approach becomes materialized through investigation methodology on the sensual experience felt by the customer through the service and through the idea workshop methodology centered on senses that can derive the service concept centered on new senses.

      • KCI등재

        논문 : 스마트카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경험 디자인 가이드라인

        유훈식 ( Hoon Sik Yoo ),주다영 ( Da Young Ju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1

        통신 기술의 발달, 지능형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의 확산으로 자동차는 단순한 기계장치에서 종합편의 기능을 가진 제2의 생활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로써의 역할을 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탑승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스마트카 기반의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연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스마트카의 사용자 경험 요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스마트카의 사용자 경험 요소를 기능(function), 상호작용(interaction), 표면(surface)으로 정의하였으며, UX/UI 전문가들의 논의를 통해 각 요소 별로 8개의 대표 기술, 14개의 대표 기능, 8개의 유리창의 위치를 정의하였다. 이 후 100명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정의된 스마트카 사용자 경험 요소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문조사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사용자들은 차량에 주요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서 안전, 주행, 감성의 순으로, 조작 방식에 있어서는 음성인식, 터치, 제스처, 물리적 버튼, 아이트레킹의 순으로,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해서는 운전석을 중심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별에 따른 분석에 있어서는 2개의 기능 외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남성과 여성에 대한 가이드가 공통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xpansion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 the car is changing from a simple mechanical device to second living space which has comprehensive convenience function and is evolved into the platformwhich is playing as an interface for this role. As the interface area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passenger is being expanded, the research importance about smart car based user experience is rising. This study has a research objective to propose the guidelines regarding the smart car user experience element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smart car user experience elements were defined as function, interaction, and surface and through the discussions of UX/UI experts, 8 representative techniques, 14 representative techniques, and 8 locations of the glass windows were specified for each element. Following, the smart car users’ priorities of the experience elements, which were defined through targeting 100 drivers, were analyzed in the form of questionnaire surve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users’ priorities in applying the main techniques were in the order of safety, distance, and sensibility. The priorities of the production method were in the order of voice recognition, touch, gesture, physical button, and eye tracking. Furthermore, regarding the glass window locations, users prioritized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to the back.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alysis on gen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for two functions. Therefore this showed that the guidelines of male and female can be commonly applied. Through user requirement analysis about individual elements, this study provides the guides about the requirement in each element to be applied to commercialized product with priority.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감각 중심의 컨셉 도출을 위한 아이디어 워크숍 방법론

        유훈식 ( Hoon Sik Yoo ),반영환 ( Young Hwan Pan ),주다영 ( Da Young Ju ) 한국감성과학회 2014 감성과학 Vol.17 No.4

        산업의 중심이 제품에서 서비스로 이동하면서 보다 경쟁력을 갖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고객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를 활용하여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서비스 컨셉 도출을 위한 디자인 관점의 방법론과 관련된 연구는 찾기 쉽지 않다. 이 연구는 디자인을 통한 서비스 혁신을 위해서 감각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 감각 중심의 제품·서비스 컨셉 도출을 위한 워크숍 방법론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기존의 아이디어 워크숍과 감각 중심의 제품·서비스 혁신사례 및 감각의 가치와 관련된 문헌자료를 조사하였으며, 기존의 아이디어 워크숍 방법론에 감각의 관점을 정립한 방법론을 체계화 하였다. 정립한 방법론의 검증을 위해서 수행된 사례연구를 통해서 워크숍 방법론에서 수정 및 보완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제안된 감각 중심의 아이디어 워크숍 방법론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할 수 있었고,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감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접근법을 제안한 것에 가장 큰 의의를 둘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접근을 위한 구체적인 아이디어 워크숍 방법론을 제안하고 검증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Corporations continue to make a lot of efforts to provide more competitive services as the focus of industry is migrating from products to services. This study aims to shed new light on the potential values of the sense for service innovation through design and propose the workshop methodology for deriving sense-based product and service concepts.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product and service innovation cases based on the conventional idea workshop and sense and also the value of sense. Moreover, it systematized the methodology that established the perspective of sense to the conventional idea workshop methodology. To verify the established methodology, this study extracted the elements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from the workshop methodology through the previous case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validity as to the sense-based idea workshop methodology and reflect the opinions as to the improvement direction. Consequently, this study is regarded meaningful for proposing the approach of a new perspective as to the sense. Also, this study is deemed meaningful for proposing and verifying the specific idea workshop methodology for the approach hereof.

      • 유기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젤리 인터랙션 디자인

        유훈식(Hoon-sik Yoo),주다영(Da-young Ju)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최근 새로운 입력 방식과 출력 방식의 가치를 발굴하는 Organic User Interface(OUI)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OUI 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기기를 구성하는 재질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젤리와 같이 부드럽고 탄력적인 소재를 손에 들고 다닐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용했을 때 활용가능한 조작 방식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정성적인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을 기반으로 elastic handheld device 로 활용 가능한 23 가지 제스처를 정의하였으며, 20 대, 30 대 그룹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인터뷰 수행을 통하여 elastic handheld device 의 사용자 경험과 관련하여 선호하는 입력 방식, 선호하지 않는 입력 방식, 사이즈, 강도, 재질 등과 관련한 이슈에 대한 의견들을 분석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새로운 재질을 통한 인터랙션이 가지는 사용자 경험의 가치를 발굴했다는 점에 가장 큰 의의를 둔다. Recently, various researches are being executed about Organic User Interface (OUI) to identify the values regarding new input and output methods.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OUI, the material which composes the device is one of the highly important elements. This study has a research objective to define the applicable operation method when applying soft and elastic materials like jelly to hand-handled smart devices and analyze related qualitative user requirements. Based on existing researches, 23 gestures were defined which could be applied as elastic handheld device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20’s and 30’s group. Through the interviews, opinions about various issues regarding preferred and not-preferred input methods which are related with elastic handheld device users’ experiences and related issues with size, strength and materials could be analyzed. This study has the biggest meaning to identify the user experience value of the interaction through new materials.

      • KCI등재

        논문 : Z-force 터치 제스처 정의 및 사용자 선호 유형

        유훈식(주저자) ( Hoon Sik Yoo ),정소연(공저자) ( So Yon Jeong ),김기덕(공저자) ( Ki Duk Kim ),주다영(교신저자) ( Da Young Ju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3

        Z-force는 터치 기반 디바이스에서 X축과 Y축을 넘어 압력을 인식하는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이다. Z-force와 관련된 연구와 실제 적용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Z-force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을 정의하고 그 중에서 유용한 입력 방식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Z-force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을 정의하기 위한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총 29가지의 Z-force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을 정의하였다. 유용한 입력 방식을 도출하기 위해서 29가지 입력 방식에 대한 사용자 조사를 수행하여 ``strong touch``와 ``strong longpress``가 가장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활용 가능성이 낮은 입력 방식도 함께 정의하였다. 이 연구는 기술 개발 관점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Z-force를 활용을 위한 터치 제스처 유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 큰 의의를 가진다. Z-force refers to input interaction method that recognizes beyond X and Y-axis on the touch screen device. Z-force-related research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are on the rise. In this paper, we conduct the research on Z-force touch gesture to provide more emotional and natural experience of input interac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useful touch gestures that can utilize Z-force interaction. We propose a total of 29 touch gestures that bases on eight touch types and steps of pressure that has been defined in the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paper, ``strong touch`` and ``strong long press`` are the most convenient form of interaction among 29 defined gestures. This research is significance because it defines useful Z-force touch gestures from the user’s perspective.

      • KCI등재

        챗봇을 통한 스마트러닝 한국어교육의 학습 효과: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유지연 ( Yoo Ji Yeon ),유훈식 ( Yoo Hoon Sik )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21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24 No.2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its sharp growth in demand, AI chatbot has spread to other fields, including the field of language education on AI-based smart learning. This empirical study aims to review the learning effects of Korean education using AI chatbots in smart learning. In addition, the perceived learning effects of Korean as second language (KSL) learners were examined. Additionally, as the learning style of the learners could influence the learning effect,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learning effect according to the students’ learning style (visual, auditory, and hands-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used a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tbot application and answered a survey on the learning effect, namely the earning content, learning flow, learning anxiety, learning 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KSL learners conside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chatbots was as effective as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hatbot also received positive evaluation in terms of decreasing learning anxiety and increasing learning efficacy.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that among the different learning styles, visual learner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learning anxiety.

      • KCI등재

        자율주행 자동차의 시트 공간 구성 유형 분류 및 선호도 분석

        유채문(Chae Moon Yoo),반영환(Young Hwan Pan),유훈식(Hoon Sik Yoo) 대한인간공학회 2019 大韓人間工學會誌 Vol.38 No.6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pace type for the seat of autonomous vehicle and to find the type of space preferred by the driver. Background: The autonomous driving car is a secondary living space that is not simply a means of transportation because the driver and passengers are not responsible for driving because everyone can use the car, and as the spatial meaning extends to the working space, it is important for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to be provided with the service at the time of making the request. Method: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a total of 10 spaces were derived from each company"s self - driving car case study, and it was defined as 5 steps according to autonomous driving stage 3 and 5 stages based on autonomous driving stage The survey resul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gender, marriage, driver"s gender, age, marriage status, family members, and purpose of car use, and conducted a recursive 5-point scale (one point very dissatisfactory/two points dissatisfaction/3 points average/4 points satisfaction/5 points) In the final conclusion, based on the preference of each type of space derived from the questionnaire, the representative subjects of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and the research was completed with qualitative survey. Results: "Back seat (forward / backward)" was the most favorable choice for drivers. Conclusion: In the Level 3 of autonomous driving, we preferred the space configuration that is conveniently used in lines that do not deteriorate safety. In addition, users" expectations for autonomous vehicles have not been favored, and the composition of monotonous spaces such as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rs is not preferred. In the Level 5 of autonomous driving, it was free from the responsibility of driving, so it needed a space to meet various purposes. For various purposes, I preferred seat arrangements that can be used as a variable type, such as the separation and rotation of seats. Among them, the preference for seat design that can be used independently is higher than the non-independent form such as the front seat integral type. Application: This study can be most meaningful in analyzing the requirements for the direction of the space design of autonomous vehicl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