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과대학생들의 생명 개념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효현,이준기,신세인,Yoo, Hyo Hyun,Lee, Jun-Ki,Shin, Sein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17 의학교육논단 Vol.19 No.1

        This study surveyed 506 medical students on their perception of life concept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A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of participants' written responses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3 main types and several sub-types of life concept. The main types included: humanities & sociology type, scientific type, and humanities sociology & science mixed type. The humanities & sociology type had 6 sub-types: religious values, ethical values, limited time, social characteristics, consciousness spirit soul, and mixed type. The scientific type had 4 sub-types as follows: respiration & metabolism, genetic & reproduction, homeostasis & emergent property, and mixed type. The most prevalent type was the perception that life concept, ethical values in humanities & sociology typ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life is essential to medical students' learning and improvement of professional competence. These results may suggest a meaningful direction for medical education regarding the concept of life.

      • KCI등재

        의학전문대학원생의 보완대체의학과 한의학에 대한 인식

        유효현(Hyo-Hyun Yoo),이준기(Jun-Ki Lee),신세인(Sein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이 보완대체의학과 한의학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 409명이다.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 M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완대체의학과 한의학에 대하여 1학년은 다른 학년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완대체의학의 변인(정서적 태도, 적합성, 효과성, 수용의도)들은 학년별,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한의학은 학년별로만 모든 변인들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완대체의학과 한의학을 의학으로 인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하위 요인 중 ‘효과성’으로 나타났다.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이 보완대체의학과 한의학과 관련된 올바른 인식을 갖고 환자 요구에 합리적으로 조언을 할 수 있도록 저학년부터 비판적 수용능력과 의사결정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perception of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and Korean medicine. A total of 409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Methodologically, descriptive statistics, M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irst grade student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of CAM and Korean medicine than oth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AM in terms of students’ grade and gender(affective attitude, compatability, effectiveness, intention to adoption). However, there was gender difference in perception of Korean medicine. Also,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perception of effectiveness had influence whether they recognize CAM and Korean medicine as medicine or not. Based on results, this study suggest that medical school should develop the curriculum that improve students decision-making ability and critical capacity, especially for lower grades, so that stdents can give reasonable advice for patients’ needs.

      • KCI등재

        의과대학생이 인식하는 표절 관련 행위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유효현(Hyo Hyun Yoo),김성용(Seong Y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의과대학 학습상황에서 부적절한 학습윤리 행위 중 표절과 관련된 행위들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준수정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의예과 2학년, 의학과 1학년, 의학과 2학년 학생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방식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396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ANOVA, IPA분석에 활용하였다. IPA분석을 위해 X축은 실행도(준수정도), Y축은 중요도로 설정하고,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결과 표절관련행위를 하지 않는 것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이 실제로 준수하는 정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표절관련행위 중 변조, 과제구매제출, 날조, 아이디어 도용은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높게 인식하지만, 베끼기, 참고문헌 위조, 표절, 짜깁기에서는 중요성 인식의 정도가 낮았다. 준수정도가 과제구매제출, 날조, 변조, 아이디어 도용, 참고문헌 위조는 높았고, 베끼기, 표절, 짜깁기는 낮았다. 중요도와 준수정도 차이는 베끼기, 표절, 짜깁기, 참고문헌 위조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년별로 베끼기, 아이디어도용, 표절, 짜깁기, 과제구매제출, 참고문헌 위조에서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었고, 이중 과제구매제출만 준수정도에 차이가 없었다. 교육정도에 따른 중요도와 준수정도 차이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중요도와 준수정도가 높은 지속유지영역에는 변조, 날조, 과제구입제출, 아이디어 도용이 포함되었고, 중요도는 높으나 준수정도가 낮은 중점개선영역에 포함되는 행위는 나타나지 않았다. 중요도와 준수정도 모두 낮은 개선대상영역에는 베끼기, 표절, 짜깁기, 중요도는 낮고 준수정도가 높은 현상유지영역에는 참고문헌 위조가 포함되었다. 결론 표절관련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을 강화함으로써 학생 자신의 학습윤리 확립과 표절관련행위를 준수하는 대학문화 개선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recognition and compliance level of plagiarism-related behaviors of medical student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n online survey method for pre-med1, M1, M2 and a total of 396 response data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st, ANOVA, IPA matrix. Results The perception that it is important not to engage in plagiarism-related behavio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liance. Among plagiarism-related behaviors, it was highly recognized that it was important not to modulation, homework buying, fabrication, idea stealing, but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was low in copying, falsification, plagiarism, and weaving. The compliance was high for homework buying, fabrication, modulation, idea stealing, and falsification, and copying, plagiarism, and weaving were low.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compliance was significant in copying, plagiarism, weaving, and falsifi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importance in copying, idea stealing, plagiarism, weaving, homework buying, and falsification by grade, and only homework buying did not differ in compliance. Differences in importance-compliance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were similar to the results by grade.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compliance analysis, the first quadrant included falsification, fabrication, homework buying, and idea stealing, while the second quadrant did not show any behaviors. The third quadrant with low both importance and compliance included copying, plagiarism, and weaving, and the fourth quadrant with low importance and high compliance included falsification. Conclusions By strengthening education to prevent plagiarism-related behavio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es students' own academic integrity and improve the university culture that complies with plagiarism-related behaviors.

      • KCI등재

        의과대학 학생들의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은유적 표상

        유효현(Yoo, Hyo Hyun),신세인(Shin, Sein),이준기(Lee, Jun-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의과대학 재학생들의 생명과 죽음에 대해 형성하고 있는 은유적 이미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남부권 소재 한 의과대학 학생 435명으로부터 생명과 죽음에 대한 개방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은유적인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질적 자료들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귀납적으로 분석되었 으며, 그 결과 생명과 죽음 모두에 대해 ‘생물학․의학 관련 은유’, ‘감정 관련 은유’, ‘사회․문화 관련 은유’, ‘추상적 상징 관련 은유’의 네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 해 볼수 있었다. 보다 세부적으로는 생물학․의학 관련 은유’에서 생명의 경우는 ‘발생과 성장’, ‘항상성’, ‘균형과 질서’, ‘생기와 역동성’이, 죽음의 경우에는 ‘쇠락’, ‘항상성의 붕괴’, ‘소멸과 분해’로 범주화 되었다. ‘감정 관련 은유’에서 생명의 경우는 ‘감정의 표현’, ‘자연 속에서의 생동감’이, 죽음의 경우는 ‘슬픔’, ‘생각과 감정의 소멸’로 범주화 되었다. ‘사회․문화 관련 은유’ 중 생명의 경우는 ‘더불어 삶, 무리 속의 생명’과 ‘종교적 상징’, ‘생일’이, 죽음의 경우는 ‘관계의 단절’, ‘장례 그리고 사후세계’로 범주화 되었다. 마지막으로 ‘추상적 상징 관련 은유’에서 생명의 경우는 ‘타오르는 불꽃’, ‘교류와 순환’, ‘주체성, 의지 그리고 가능성’이, 죽음의 경우는 ‘무와 소멸’, ‘완전한 어둠’, ‘끝이 아닌 죽음’, ‘돌이킬 수 없고 불가항력적인 순간’으로 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생명과 죽음에 대한 다양한 은유적 이미지는 의학교육과정에서 의과대학생들의 생사관 확립을 위한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보건계열 학생들의 사람해부실습 교육 효과

        유효현(Hyo Hyun Yoo),송창호(Chang Ho Song),한의혁(Eui-Hyeog Han),김형태(Hyoung Tae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7 No.3

        연구의 목적은 사람해부실습 후 보건계열 학생들의 교육효과를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사람해부실습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13학년도 사람해부실습에 참여한 보건계열학생 1,041명으로 대상으로 12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람해부실습 전보다 후에 인간의 삶과 존엄성에 대한 생각이 깊어지고, 실제 시신으로 실습한 것이 해부학 및 전공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으며, 사람해부실습에 대한 만족도, 흥미도, 추후 참여의사는 높았다. 그러나 추후 시신기증 의향은 낮게 나타났다. 사람해부실습은 인간의 삶과 존엄성, 생명윤리 등에 대한 전문직업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고, 보다 효과적인 사람해부실습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공별 맞춤형 해부실습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 A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find better ways for more effective cadaver dissection education by analyzing education effect on paramedical students after cadaver dissection. By using questionnaires composed of 12 questions, we have surveyed 1,041 paramedica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cadaver dissection in 2013 and analysed the results. The paramedical students are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operation treatment, physical therapy, alternative medicine, clinical pathology, emergency rescue and dental hygienics. As a result, we have found that cadaver dissection makes students have more respect for human life and dignity, helps students learn anatomy and major. Furthermore, the degrees of satisfaction, interest, intention of afterward participation in cadaver dissection afterward are high. However, the degrees of intention of cadaver donations are low. We need to develop cadaver dissection programme customized for each majors in order to helps students have more respect for human life and dignity, more professionalism, more effective cadaver dissection education.

      • KCI등재

        의학전문대학원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유효현(Hyo-Hyun Yoo),박귀화(Kwi-Hwa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연구목적은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이 흥미와 적성 등에 적합한 진로를 선택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진로요구조사에 기초하여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C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3, 4학년, 총 211명을 대상으로 대학차원에서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시작 시기, 전공선택을 위한 정보수집방법, 흥미-적성-졸업 후 전공간의 일치도, 진로지도를 위해 제공해주길 원하는 정보, 전공을 선택할 때 고려사항, 전공을 선택하지 못한 이유 등을 설문조사하였다. 진로지도 프로그램 시작 시기는 3학년, 4학년, 모든 학년 순으로 나타났고, 전공선택을 위한 정보는 주로 선배와 직접 체험을 통하여 수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를 결정한 학생은 흥미를 가진 전공과 적성에 적합한 전공 및 졸업 후 전공간의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공을 선택한 학생은 적성과 흥미를 가장 크게 고려하고, 전공을 선택하지 못한 학생은 자신의 적성을 모르거나 전공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진로지도 기본 방향을 제시해주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학교 여건에 맞추어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맞춤형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career guidance program based on the research of career demand in order to help students choose and prepare careers suitable to students’ interests and aptitude. The study surveyed 211 students in the 3<SUP>rd</SUP> and 4<SUP>th</SUP> years of C medical school. The survey was about start time of career guidance by medical schools,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for major selection, conformity degree among interest-aptitude-major after graduation, demanded information for career guidance, considerations in selecting majors, the reasons for not being able to select majors, etc.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thought that start time of career guidance should be good for juniors, seniors, or all grades in order. The students got the information about career selection mostly from the direct contact with seniors. Students who had already decided the career, showed the high conformity degree among interest-aptitude-major after graduation Students who had already decided the majors, highly considered the aptitude and interest, while students who had not decided the majors, did not know their aptitude or did not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majors. This study gave the basic direction for the career guidance and provided necessary information for designing customized career guidance programs by reconstructing contents of the programs according to school conditions.

      • KCI등재

        의학전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설계프로그램 효과분석

        유효현,박귀화,김성용,임선주,Yoo, Hyo Hyun,Park, Kwi Hwa,Kim, Seong Yong,Im, Sun Ju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15 의학교육논단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planning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with regard to career choice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A total of 89 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ty-four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5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t-test, analysis of covariance,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sis of frequency by PASW SPSS ver. 18.0 (SPSS Inc.). A career planning program was developed using the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odel. The contents of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exploration were included in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onducted as a seminar with preferred major profess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rinsic motivation score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p<0.05).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M=4.59)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M=4.40).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cisiveness (p<0.01) and realistic choice (p<0.05), the sub-factors of the career maturity test,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score of decisive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M=2.94)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M=2.79). The score of realistic choice in the experimental group (M=3.17)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M=3.37). Most medical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areer planning program. It is hoped that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signing career guidance programs for students in medical schools.

      • KCI등재

        나의 첫 번째 환자와 실습용 교구 사이에서 : 해부실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의과대학생의 생각과 감정에 관한 연구

        유효현(Yoo, Hyo Hyun),정덕호(Chung, Duck-Ho),이준기(Lee, Jun-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해부실습 과정에 참여한 의과대학생들이 자신들의 경험을 토대로 적어 놓은 기록들을 바탕으로 해부실습 과정에서 의과대학생들이 느끼고 생각한 것들은 무엇이고, 이들이 경험한 시신에 대한 관계 설정은 어떠한지 탐색해 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남부권 소재 의과대학 학생 161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에게 개방형 텍스트 자료를 수집한 후 Colaizzi(1978)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의과대학생이 해부실습 과정에서 느끼고 생각한 것들은 ‘무지에의 자각을 통한 학습 동기의 형성’, ‘개별지식들의 통합 및 유기적 재구조화를 통한 유의미성 확보’, ‘해부학적 변이성에 대한 깨달음’, ‘정체성 인식에 대한 반성적 전환’, ‘위대한 아름다움으로부터 느끼는 경이감 그리고 경외감’으로 범주화되었다. 또한 해부실습에서 경험하게 된 의과대학생들의 시신과의 관계 설정은 ‘주어진 과업에 몰두하다 존중감과 사람이라는 생각을 잊음’, ‘스키닝이나 신체 절개나 절단 등 온전한 형태가 사라져 감에 따라 대상화’, ‘극도의 두려움과 불편한 감정을 잊고 버티려 방어기제로 의도적으로 대상화’, ‘두부를 절개해 뇌를 꺼내냈을 때 사람이라는 생각을 잊음’, ‘극도의 피로감 때문에 사람이라는 생각을 잊음’, ‘한번도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은 없음’으로 범주화해볼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들은 해부실습 교수개발과 해부실습 교육 활동 점검과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medical students felt and thought during the dissection based on the records written by medica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issection practice, and how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the bodies they experienced.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161 students from medical schools in the southern reg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fter collecting open text data from the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Colaizzi (1978).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what medical students felt and thought during the dissection practice were categorized as ‘formation of learning motivation through ignorance’, ‘securing significance through integration and organic restructuring of individual knowledge’, ‘awareness of anatomical variation’, ‘reflective transition to identity awareness’, ‘a sense of wonder and awe from great beaut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ies of medical students experienced in the dissection practice could be categorized as ‘Objectization as intact forms such as skinning, body incision or amputation disappear’, ‘Intentionally objectification as a defense mechanism by forgetting extreme fears and uncomfortable feelings’, ‘When I take out its brain after a head incision, I forget that it was a human’, ‘Forgetting the idea of being a person because of extreme fatigue’, ‘I ve never thought about it like that’. Conclusion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develop and improve the curriculum for dissection practice.

      • KCI등재

        의예과 학생의 셀프리더십,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유능감,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유효현(Hyo Hyun Yoo)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 의예과 신입생들의 셀프리더십,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유능감,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분석하여 대학생활적응을 보다 잘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C지역 의과대학 의예과 신입생 131명이었다. 연구결과, 셀프리더십은 평균 3.86(±0.61),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유능감, 대학생활적응은 평균 3.86(±.61), 3.44(±.48), 3.78(±.52)이였고, 성별은 차이가 없었다(p>0.05). 셀프리더십,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유능감, 대학생활적응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5). 셀프리더십은 자기존중감과 대인관계유능감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자기존중감과 대인관계유능감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자기존중감은 대인관계유능감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예과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학생활적응을 위하여 자아존중감은 필수적으로 교육해야 하는 내용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기는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premedical students better adapt to college lif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leadership, self-esteem,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1 premedical students in a C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 for self-leadership were 3.86(±0.61). For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college life adjustment mean score were 3.86(±.61), and 3.44(±.48), 3.78(±.52), and with no gender difference(p>0.05).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life adjustment,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p<0.05). Self-leadership indirectly effects it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l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directly effects college life adjustment, self-esteem indirectly effects it through the mediation of interpersonal competence.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on the factors effect college life adjustment, and confirmed that self-esteem is an essential educational conten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o help college life adaptation.

      • KCI등재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 개념 인식 비교

        유효현(Hyo-Hyun Yoo),신세인(Sein Shin),이준기(Jun-Ki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에 대한 개념 인식 구조와 임상실습을 경험하기 전과 후의 인식 구조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의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1~4학년 학생이었고,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교육과정 전과 후에는 학생들이 공유하는 행복한 의사에 대한 개념에 차이가 나타났다. 임상실습 경험 전과 후에는 환자, 치료, 보람과 같은 단어들을 포함하는 ‘전문성’에 대한 하위그룹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상실습경험 전에는 ‘개인적인 삶의 질’ 그룹과 ‘자아실현’ 그룹이 나타났다. 반면 임상실습 경험 후에는 ‘전문성’ 그룹과 함께 ‘가족과의 시간’ 그룹,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 그룹, ‘대인관계’ 그룹, ‘신체적‧정신적 건강’ 그룹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기본의학교육에서 행복한 의사에 대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rection of medical education by analysing medical school student’s perception structure about ‘happy doctor’. In particular, this study compared perception structure between two groups of students before clerkship and after clerkship.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4 academic year students in medical school. Students’ text about ‘happy doctor’ were collected by open-end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using sematic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of network analysis, perception structure of each groups were confirmed. The network of each groups have ‘Professionalism’ group including words such as ‘patient’, ‘treatment’, ‘worthwhile’ in common. Three groups, ‘Professionalism’, ‘Quality of life’ and ‘Self-realization’ constituted the before clerkship network. And five groups, ‘Professionalism’, ‘Time with family’, ‘Balance between work and househol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constituted the after clerkship net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for developing the basic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happy do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