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ndless Target

        유주현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필자는 1999년 35mm 장편영화 [질주]에서 옵티컬디자인, 2001 DV장편영화 [눈물]에서 편집, 2002년 35mm 장편영화 [비디오를 보는 남자]에서 조감독, 각종 16mm 단편작업 연출 그리고 지금 HD 단편인 (Endless Target) 연출을 하면서, 다양한 포및의 영상매체를 경험 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나름대로의 내린 결론은 영화의 포맷을 중요하지 않다라는 것이다. 단지 어떠한 영화를 만들기 위하여 재정, 시간과 인적인 요소에 의하여 영화 포맷을 결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서 영화의 연출자는 자신이 생각한 시나리오를 영화로 표현함에 있어서 자신의 재정과 시간, 인적인 요소를 판단하여 최적인 영화의 포맷을 정하면 된다는 것이다. 영화의 가치는 35mm 필름으로 촬영을 하던지 6mm DV로 촬영을 하던지 포맷과 화질이 큰 비중이 있는 것이 아니고, 어떠한 콘셉으로 작품을 어떻게 잘 표현을 하여 관객에게 어떻게 다가 갈까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여러 가지의 영화 포맷이 존재하는 현 2003년에 이 졸업작품을 정리하면서 이러한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아래 HD 프로덕션의 장단점을 정리한 것은 HD 프로덕션을 경험하지 못한이를 위하여 참고 사항으로 요약정리 한 것이다. 1) HD 프로덕션의 장단점 1) HD의 장점 첫째 화질면에서는 상당히 우수하다. 필자의 주관적인 판단도 들어갔겠지만, DV 및 16mm 필름보다는 월등히 우수하고 35mm 필름보다는 약간 떨어지는 느낌이 들었다. 35mm 필름보다 떨어지는 듯한 느낌도 HD용 단렌즈를 사용하면 극복을 할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직접 사용을 안 해봐서 판단을 내리기는 어렵다. 둘째, 적은 스텝을 가지고 촬영을 할 수 있다. [Endless Target]의 스텝은 연출, 프로듀서, 조감독, 연출부2명, 촬영감독, 촬영부 2명, 녹음기사1명, 미술부2명등 보통 10명 내외로 현장에 투입이 되었다. 스텝이 적은 것이 좋은 것은 아니지만 그만큼 제작비의 부담을 덜 수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을 배제한다면 DV영화 수준으로 스텝을 꾸릴수도 있다. 셋째, 프로덕션 시간이 단축이 된다. 만약 [Endless Target]이 만약에 35mm 필름으로 촬영을 했더라면 이 작품은 적어도 4달 이상의 작업시간이 들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Endless Target]은 컴퓨터 그래픽과 합성이 많이 나오는데, 필름현상과, 필름스캐닝 및 컴퓨터그래픽 작업 다시 필름 레코딩 작업등을 하면 도저히 2달 안의 작업을 수행못했을 것이다. HD로 촬영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HD에서 SDI로 바로 다운 컨버트 하여 그래픽작업을 하고 촬영한 즉시 편집을 하였기 때문에 단기간에 컴퓨터 그래픽효과가 많은 작업이 가능했다고 본다. 2) HD 단점 첫째, 장비가 보급화 되지는 않았다. 그래서 장비 랜탈비용이 35mm 필름 장비 랜탈 가격과 비슷하거나 비싼 편이다. 그래서 일반적인 장편 극영화의 작업이 HB로 촬영이 하는 것이 드문 이유이다. HD는 아직도 산업화가 된장비가 아니라서 구태여 HD로 촬영할 모험을 감수할 영화사는 드문 것이다. 그러나 우리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은 HB 촬영 장비가 있어서 예외 사항일수 있으나, 단 렌즈등 각종 악세사리가 부족한 편이어서 HD 작업을 하는데는 약간의 부족함이 있는 듯 하다. 둘째, 아직도 영화산업적으로 시스템이 갖추어지질 못하고 있다, HD 시스템은 아직 촬영장비뿐 아니라 후반작업은 물론 프레 프로덕션 작업의 정보 및 경험 부족으로 작품을 제작하는 데에는 많은 시행착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2) 작품 의의 Endless Target을 마무리 하며 이 작품의 의의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 작품은 필자가 상상했던 것을 영화상으로 표현했다는 것을 큰 의의로 두고 있다. 영화제작기간이 충분하지 않아서 육체적 정신적 고생이 많았으나 영화를 완성했다는 것에 만족한다. 시간적인 여유만 있었다면 더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었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다음 작품을 더 잘 만들 것을 기약하기로 했다. 시간이 충분하지 못한 관계로 만족할만한 작품은 못 만들었지만, 아무들 영화를 완성하였다. 자신이 상상한 작품을 만들고 이것을 관객에 보여주는 것, 영화를 만드는 재미인 것 같다. 마지막으로 서강대 영상대학원 학우들이 더 좋은 작품을 만들기를 기원하며 이 작품을 마친다.

      • 1930년대 아동문학 연구 : 이태준, 이주홍, 현덕을 중심으로

        유주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이태준, 이주홍, 현덕 작품의 인물, 공간, 서술의 형상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1930년대 아동문학의 미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격적인 작품분석은 이야기층위와 담론층위에서 진행되었으며, Ⅱ장에서는 이야기층위에서 사회적 현실과 아동인물의 갈등관계를 분석하는데서 출발하여 Ⅲ장에서는 인물의 행위와 행위가 이루어지는 이야기 공간의 관계를 집의 <내>공간과 거리의 <외>공간의 관계 및 아동인물이 생성하는 공간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Ⅳ장에서는 텍스트의 표현층위인 담론층위에서 세 작가의 서술방식을 서술자, 인물, 독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1930년대 아동문학의 서술방식과 언술기능의 특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아동인물을 둘러싼 현실과 인물의 관계 양상을 분석하였다. 세 작가의 작품에서 아동행위자는 욕망의 대상을 획득하거나 획득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획득과 박탈의 설화프로그램에서 아동주체가 대상을 획득하기 위해 아동주체에게 부여된 양상과 자질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이태준 작품에서 아동인물이 겪는 갈등양상은 부모가 부재하며 조력자가 없고 반대자만 있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부재의 현실을 인식하지 못한 인물은 집에서 쫓겨나고 죽음을 맞이하게 되며, 부재의 현실을 인식하고 떠나는 행위를 하는 행동적인 아동인물은 대상을 획득하게 된다. 이주홍의 작품에서는 가난이라는 발신자의 억압성에 의해 아동인물의 대상획득은 아동의 의지와 능력에 의해 불가능하지만, 아동인물은 계급 모순적 현실을 깨닫게 되는 자각하는 인물로서 그려진다. 그러나 인물의 갈등관계가 외부적인 요인이 아닐 때, 아동인물은 자신이 가진 지혜로 대상을 획득한다. 현덕의 작품에서 아동의 삶을 지배하는 것은 가난이라는 궁핍한 현실이며, 아동인물은 가난으로 인한 갈등상황에서 다른 가난한 친구를 도와주는 인물과 가난한 환경을 극복하고자 창조적인 행위를 하는 인물로서 그려진다. Ⅲ장의 공간분석에서는 Ⅱ장에서 분석한 아동인물의 행위를 중심으로 인물의 행위와 인물의 행위가 이루어지는 이야기 공간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시기 아동문학에서 인물과 공간의 구체적인 관계를 집의 <내>공간과 거리의 <외>공간이 가지는 관계를 중심으로 아동인물의 행위에 의해 생성되는 경계공간으로서의 아동공간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태준의 작품에서는 내/외 공간의 전도양상이 나타나며, 이러한 <내>공간의 부재에 의해 아동인물은 집을 떠나 새로운 <내>공간을 꿈꾸는 기다림의 공간으로 나간다. 이주홍의 작품에서 물질적 기반, 경제적 결핍, 자연재해 등의 <외>공간적인 형상소가 <내>공간에 침입하면서, 아동공간으로서의 <내>공간이 아동인물을 보호할 수 없는 부정적인 공간으로 변화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인 <내>공간은 가족의 공간이며, 갈등의 원인이 외부적인 요소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아동인물은 집을 떠나지 않고 집에서 ‘정주’하게 된다. 그러나 아동인물의 갈등이 외부적인 요인이 아닐 때, 아동인물은 불평등한 힘의 관계를 역전시켜 대상을 획득하는 전도공간을 형성한다. 현덕의 작품에서 집은 모성의 가치가 지배하는 비호의 공간이다. 언제든지 돌아올 따뜻한 집이 존재하면 아동인물은 내/외 경계를 횡단해서 밖으로 자유롭게 나가 물질적인 관계에서 일탈되는 해방공간을 창조할 수 있다. Ⅳ장의 서술층위에서는 서술자와 인물, 독자와의 관계에 주목하여, 세 작가의 서술방식과 언술기능을 고찰하였다. 이 시기 서술방식은 성인 서술자가 아동인물을 관찰하고 아동인물과 거리조절을 통해 서술자의 목소리를 드러내고 감추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이태준의 작품에서는 아동인물에 대한 직접적인 감정의 언어를 드러내면서 독자와 더불어 인물에 대한 미적 정서를 공유하고자 하는 고백적인 글쓰기가 시도되었다. 이주홍 작품의 서술자는 전지적이고 개입적인 서술자로서 독자에게 인물에 대한 정보를 작품의 서두에 제공하면서, 독자로 하여금 인물을 바라보아야 하는 독서의 방향을 제시하는 서술자이다. 또한 다양한 서술기법을 시도하여 작품의 구술성, 현장성을 강화하여, 독자와 소통하고자하는 서술전략을 구현하였다. 현덕의 작품의 서술자는 인물의 옆에서 인물을 관찰하는 서술자로서, 아동인물을 초점화자로 내세우거나 아동인물을 초점화한다. 이러한 서술자는 독자를 향해 서술자의 목소리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않지만, 서술자와 인물, 독자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독자로 하여금 인물을 바라보아야 하는 시각을 제시하는 숨겨진 서술자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1930년대 아동문학은 아동인물이 고유의 자질과 능력을 가진 행위의 주체로서 형상화되었고, 인물의 행위에 의해 아동고유의 경계공간이 생성되었으며, 서술층위에서는 아동독자를 향한 다양한 서술방식이 모색되면서 서술자와 인물, 독자와의 역동적인 관계 속에서 작품의 리얼리티가 구현되었다는 점에서 미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explores the aesthetic aspects of 1930s' children's literature by means of comparative analyses of the works of Lee Tae-Jun, Lee Ju-Hong and Hyun Duk especially with respect to characters, spatial configurations and narration imbedded in those works. The analyses are conducted at two levels -- story level and discourse level. At the story level, Chapter 2, on the one hand, investigates how children are characterized vis-a-vis social reality, and, Chapter 3, on the other hand, deals with the ways in which characters' actions are varying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space. At the level of discourse, Chapter 4 identifies narration techniques of the 1930s by focusing on the triadic relationship among narrators, characters and readers. Chapter 2, specifically, analyzes child characters in light of their surrounding realities and social relations. The central narrative program in the works of the three writers commonly concerns whether children acquire desired objects, or not. Chapter 2, in this regard, inquires into the qualities needed for child characters to acquire such objects. In the works of Lee Tae-Jun, child heroes (i.e., orphans), having neither parents nor supporters, only encounter opponents, and acquire the desired objects, once they depart from the place surrounded by opponents, if not fail to gain them by dying. To Lee Ju-Hong, children are unable to acquire the desired objects due to poverty, which is beyond children's capacity. However, child heroes, at least, realize that the poverty they experience originates from social inequalities. Similarly, child heroes in Hyun Duk's works are subject to poverty. They, nevertheless, helps their friends who are in the worse situation and strive to overcome their adversity. Chapter 3, extending the analyses of child characters in Chapter 2, takes a look at the ways in which child characters' actions and spatial configurations are mutually associated. The two primary spaces within which child heroes are situated are home (internal space) and street (external space), and the borderlin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are drawn by children. In Lee Tae-Jun's fictions, child heroes, initially lacking their internal space, leave for some other places in search for an internal space. In Lee Ju-Hong's, material causes belonging to the external space (e.g., socio- economic inequality, natural disasters) permeate and subvert the internal space to the extent that home can no longer function as a haven for children. Child heroes, however, choose to stay at home instead of departing from the internal space, because the causes arousing conflicts are basically extraneous to their familial relations. To Hyun Duk, home is configured as a space filled with motherly love and care. Because child characters have such a warm place to return, they can freely traverse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and create a new space free from material interests. Chapter 4 pays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s among narrators, characters and readers. The revealing of narrators' voice depends on how an adult narrator observes children's behavior and/or how the narrator adjusts the distance from child characters. In Lee Tae-Jun's works, the narrator directly voices emotional languages about child characters, and invites readers to share such sympathy. Lee Ju-Hong's narrator, taking an omniscient and interpretative stance, provides readers with information about characters, and seeks to communicate with readers concerning how readers view the characters. In Hyun Duk's works, in comparison, a middle-class child appears as the focalizer, and other child characters are viewed through the eyes of the child focalizer. As such, child focalizer forms an identity distinctive of what is given by the adult narrator, and the aesthetic distance among the narrator, characters and readers is established. Seen in this way, at the story level, children's literature of the 1930s portrayed children as an active agent having qualities and capacities peculiar to childhood and performing actions in their own spaces. At the discourse level, children's fictions of the 1930s, being addressed towards children readers, experimented diverse narrative patterns embodying concrete realities.

      • 문학 텍스트로서의 영어 교과서 활용 분석 : 논픽션 산문을 중심으로

        유주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고등학교 교과서의 문학 텍스트와 과업 활동을 분석하여 활용성을 밝히고 문학 텍스트로서의 교과서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활용 실태와 고등학생들의 문학텍스트에 대한 흥미를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은 한국 영어 교육에서의 교육 목표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EFL환경인 한국에서 실용적인 활용을 통해 영어를 습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문학은 효과적인 영어 학습 자료로서 그 가치와 효용성에 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한국에서의 영어 학습은 실제로 교과서에 가장 많이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텍스트와 과업 활동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본 논문은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텍스트의 과업활동들의 내용을 분석하고 문학 텍스트를 지도함에 있어서 그것들의 적합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15종을 대상으로 문학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문학 텍스트는 소설, 시, 희곡, 논픽션 산문, 이 4가지로 장르에 포함되는 텍스트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고등학교 교사 12명과 고등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교실영어수업에서의 문학 텍스트의 활용성을 알아보고 문학 텍스트에 대한 흥미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 장르 문학 작품과 비교하여 논픽션 산문에 포함되는 다양한 장르의 문학 텍스트의 활동 비율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과업 활동의 효용성이 부족하고, 문학 텍스트가 가진 장점을 잘 활용하지 못한다. 셋째, 교사들은 영어 학습 자료로서의 문학 텍스트에 대해 그 효용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 교실 영어 수업에서의 활용도는 낮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문학 텍스트에 뒤따르는 과업 활동은 텍스트에 걸맞게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의 문법 설명과 독해 중심 교수 방법에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high school textbooks provide learners and teachers with appropriate tasks related to literary texts and to investigate teachers' teaching with literary texts to teaching and students' interests in literary texts.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ves in English education in Korea. Since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study English through daily conversation in Korea, the effort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are required. It has been proven that literature is a valuable resource for language learning. Since English learning in Korea is heavily dependent on textbooks, it is essential that the use of literary texts and the tasks based on them presented in Korean high school English text books are studied.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what types of tasks on literary texts are being used and how well they are applied. For this study, literary texts of fifteen different highschool text books are analyzed, according to literary genres; prose fiction, poetry, drama, non-fiction prose. Also, two surveys among 12 high school teachers and 100 stud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present situation of English education with regard to literary texts and the preference for literary texts and related tasks. After the analysis, this study reache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various literary texts included non-fiction prose are remarkable quantitatively, compared to pure literary text. Second, some tasks based on literary texts are progressive and interesting, but the majority of tasks fail to motivate students to read further, interact or do group work. Third,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terary texts in English textbooks, but they do not teach literary texts effectively. In Korean English class, according to the survey, it is hard for teachers to teach literary texts and to perform various tasks. Since the literature can develop linguistic skills and general knowledge about culture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interesting, appropriate, and integrated tasks which promote all four language skills: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Moreover, the teaching skill to maximize the utility of literary texts for students will be required.

      • 기업홍보담당자들의 포털뉴스에 대한 인식 연구 : 위기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유주현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how industry PR managers perceive portal news sites that have brought changes to the press and news consumers. As an extension of existing studies focused on the functions of portal news sites or the formation of media and public opinion in respect to them,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perceptions of industry PR professionals at a practical level. Industry PR managers have primarily focused on press media, and so it was hypothesized that their preparations and responses to the recent shift to portal news sites would be weak. Furthermore, with the inclusion of portals to the 2009 revised press arbitration law,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s in current developments such as the responsibilities of newly-emerged portal news and the responses of the industries was thought to be a timely topic for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PR managers, while regarding the portal sites influencing the opinions of consumers as duly important, mostly held negative views of portals. It was revealed, for example, that in the case of misreporting of a story, it was feared that difficulties could stem from the negative public opinion generated by portal news sites while the story was being revised or rescinded. This is an area in which industries are in need of correction and directional development. Plans for dealing with portal news sites are now in the construction stages, and there is a need for studies that can be used and applied at the practical level. While comparing different cases presented by the PR managers interviewed, the study noted the necessity for portal news sites to realize their social obligations and to institute measures for preventing the reoccurrence of problems. While other sites possess systems for easy identification by consumers of potential legal issues, such systems have yet to be fully adopted by portal news sites. Results also showed that PR managers damaged by the wrong information will likely have difficulty formulating measures in the future as a professional stratum. Many difficulties were noted by editors of portal news sites in terms of industry identity and brand management, and solutions to such problems are sorely needed. To sum up the above, consumers are prone to mistaken information that can impact company identity and stir up negative opinion, resulting in chaos among the press, news consumers and the industries. This has caused industry PR managers to hold dim views of news portal sites. Such needs to be a focus of attention and ideas for problem-solving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언론과 뉴스 소비자들의 생태계를 변화시킨 포털 뉴스에 대한 기업 홍보담당자들의 인식을 분석했다. 이는 그 동안 포털 뉴스의 기능, 미디어와 여론 형성 등을 중심으로 한 연구의 연장으로 기업 홍보담당자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인식을 중심으로 진행한 것이다. 그 동안 기업들의 홍보활동은 언론사가 중심이었으나 뉴스의 중심이 포털로 이동하면서 이에 대한 대처와 준비가 미약할 것이라는 가정을 했다. 또한 2009년 개정된 언론 중재법에 포털이 포함 되면서 여론 출발점인 된 포털 뉴스의 책임과 각 기업의 대응 등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할 때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홍보담당자들은 소비자 여론의 시작점이 되고 있는 포털 뉴스에 대한 중요도와 인식은 높은 편이었지만, 부정적인 시각이 대부분이었다. 잘못된 정보가 보도되면 해당 사안을 정정하는 사이 포털뉴스에서는 부정적인 여론이 만들어져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현장에서는 이에 대한 시정과 발전적인 방향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아울러 포털 뉴스에 대처하는 방안은 이제 기초단계에서 준비되고 있어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진행 기간 동안 각 기업 홍보담당자들은 다른 사례와 비교하며 포털 뉴스의 사회적 책무와 재발방지책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다른 콘텐츠에는 소비자가 법적 문제가 될 수 있는 점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만 포털 뉴스에서는 이것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잘못된 정보로 피해를 입은 기업 홍보담당자들은 공통적으로 향후 조치의 어려움 있는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포털뉴스의 편집이 기업 정체성과 브랜드 관리에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포털뉴스에서 소비자들은 기업 정체성과 부정 여론을 형성할 수 있는 잘못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언론과 뉴스 소비자, 기업 모두에게 혼란을 일으켜 기업 홍보담당자들은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앞으로 이에 대한 보완과 노력이 필요하다.

      • 의제배당과세제도가 이연법인세회계에 미치는 영향

        유주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이연법인세회계와 의제배당과세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의제배당과세제도로 인한 당기순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일시적 차이인지, 그리고 위의 차이가 일시적 차이라면 이연법인세자산(부채)성을 충족시키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론적인 부분에 중점을 주어 의제배당과세로 인하여 세무조정이 발생한 경우의 이연법인세회계처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우리나라의 이연법인세회계의 목적은 기업회계 상 손익인식기준과 세무회계 상 과세소득 산정기준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법인세비용과 법인세부담액과의 차이를 반영함으로서 당기순이익, 자산 및 부채를 적정하게 표시하는데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이연법인세차는 재무보고 목적상 일시적 차이가 발생한 관련거래가 보고되었고 당해 일시적 차이는 미래과세소득에서 차감될 때 미래의 법인세부담액을 감소시키는 효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법인세부담액 감소는 일시적 차이가 발생한 기업만이 배타적으로 누리는 효익이므로 자산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위의 정의에 비추어 볼 때, 의제배당제도로 인한 세무조정으로 발생한 과세소득과 회계이익의 차이에 대하여 이연법인세회계처리를 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의제배당으로 인한 과세소득과 회계이익의 차이를 이연법인세 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연법인세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그 항목이 일시적 차이임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자산성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와 미래에 현재 인식한 이연법인세 자산이 실현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른다. 실현가능성에 대한 판단은 전술한바와 같이 의제배당제도라는 한 가지 요소에 따라 판단할 수 없는 부분이므로 실현가능성은 충족한다는 가정 하에 의제배당과세제도로 인한 과세소득과 세무회계의 차이가 이연법인세 자산성을 충족하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의제배당과세제도로 인한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는 일시적 차이에 해당하고, 이연법인세자산성도 충족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었다. 이연법인세회계가 도입된 지 10여년이 경과하였다. 그간 이연법인세회계와 관련한 많은 선행연구가 있었지만, 의제배당과세제도와 같은 일시적 차이를 발생시키는 세부항목과 관련하여 이론적인 분석을 한 연구는 발견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이연법인세회계와 관련된 단일항목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인천광역시 푸드 뱅크 사업의 기업기탁 증대방안 연구

        유주현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 국 문 요 약 ] 인천광역시 푸드 뱅크 사업의 기업기탁 증대방안 연구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유 주 현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푸드 뱅크 사업의 기업 기탁자를 대상으로 기탁의 저해요인에 대한 원인과 기부를 증대하는데 필요한 제반여건을 연구하여 기부문화 정착 및 기탁참여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에 기탁현황, 기탁체계, 푸드 뱅크 사업의 인식 및 만족도, 푸드 뱅크 기탁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인천광역시 푸드 뱅크 기업 기탁 증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푸드 뱅크 사업에 기탁참여 동기는 잉여생산물 처리를 위한 것과 푸드 뱅크 사업의 목적에 적극 동참 및 결식․지역사회지원 등의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푸드 뱅크 사업 참여 후 기업의 잉여물품 처리 비용의 변화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 기업의 73.3%가 처리비용이 감소했다고 응답하였다. 푸드 뱅크 사업의 기대효과는 직접적인 효과 외에도 기업의 이미지 제고, 저소득층 건강증진 효과,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 절감 등과 같은 간접적․이차적 편익들도 있다고 하겠다. 즉, 푸드 뱅크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혜택으로 경영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푸드 뱅크의 기탁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탁자들이 사업적(business)으로 푸드 뱅크 기탁이 유리할 수 있도록, 행정적인 지원 및 세제 혜택과 같이 기탁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기업규모에 따라 제품이 폐기되는 가장 큰 이유는 <표4-13-1>와 같이 대․중소기업은 식품사고 발생 우려로 기탁 가능제품을 폐기하는 비율이 61.1%로 가장 많았으며, 자영업은 유통기한이 촉박해서라는 이유가 57.1%로 가장 많았다. 즉, 규모가 큰 기업들은 식품사고 발생 시 기업의 이미지와 법적 처벌을 가장 많이 우려하였으며, 이에 따른 식품의 안전성의 문제에 관해 기업들은 많은 부담을 가지고 있다고 인터뷰를 통해 응답했다. 따라서 기업의 기탁참여 활성화를 위해서는 식품의 유통기한에 대한 새로운 기준의 마련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부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완벽한 저온유통시스템이 완비되어야 하며, 푸드 뱅크 운영자는 기부식품의 안전성을 선별 할 수 있도록 식품안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구간별 체크리스트를 통해 안전성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기업의 푸드 뱅크 사업 기탁증대를 위해 해결되어야 할 중요 요인으로 기탁식품으로 인한 사고발생 시 면책 및 보험강화를 꼽았다. 기탁식품이 손상으로 인한 식품사고로부터 기탁자를 보호 할 수 있는 제도적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식품기부 활성화에 관한법률 제3조에 따라 한국 사회복지협의회에서는 전국 푸드 뱅크에서 전국 일괄 생산물 배상책임보험에 가입되어있다. 그러나 홍보 부족으로 인해 기탁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해 주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푸드 뱅크 사업에 관한 인지도확산 및 인식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홍보 전략이 개발되어 인천광역시 푸드 뱅크 사업의 발전에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기탁업체 중 대부분은 기탁물량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늘릴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시와 정부의 경영지원 및 세제혜택 확대, 기탁 기업에 대한 행정적 지원 등을 확대할 경우 기업들의 푸드 뱅크 사업 참여가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푸드 뱅크는 지역특성 및 기부식품의 종류, 이용자 특성 등 사업 인프라에 차이가 크므로 인천광역시 식품기부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어야할 것이다. 주제어: 푸드 뱅크, 나눔의 실천, 기탁증대, 기부문화 활성화

      • 장벽게임을 사용한 명료화 중재가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대화단절과 발화 수정에 미치는 효과

        유주현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 발달 아동들도 대화 중 여러 번의 단절을 경험한다. 그리고 대화 단절이 일어날 때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 그러나 언어 장애 아동들은 대화 단절 상황에서 단절을 회복하기 위한 적절한 행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 중 특히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은 더욱 대화 단절을 많이 경험하고, 단절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본 연구는 학령기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장벽게임을 이용한 명료화 요구 훈련을 통해 대화단절과 수정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연구했다. 연구 대상 아동은 생활연령 7 ~ 10세이고, 일반 초등학교 1 ~ 3학년에 재학 중이며 언어연령 5 ~ 6세인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유지 단계로 진행 하였다. 중재 방법은 그림자석을 그림판에 붙이는 방법으로 서로의 과제는 볼 수 없는 장벽게임 상황에서 발생하는 대화단절에 따라 명료화 훈련을 실시했다. 이때 사용한 중재 전략은 Olivar-Parra et al.(2008)의 연구에서 사용한 ‘모델링 제공’, ‘사회․인지적 충돌 상황 제시’, ‘시각적․언어적 피드백 제공’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이 보인 대화단절을 평가하기 위해서 대화단절 총 산출률과 유형, 필수 정보 산출률, 수정전략을 평가하기 위해 전체 발화 수정전략, 유형별 발화 수정전략 산출률, 유형별 발화 수정전략 성공률로 분석했다. 한 회기에 아동이 화자역할 6번, 청자 역할 6번을 경험할 수 있도록 중재를 실시하고, 매 회기 평가는 중재 전에 실시하였다. 중재 종결 1주일 후부터 주 3회에 걸쳐 유지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 결과 대화단절 총 산출률이 중재 이후 모든 대상 아동에게서 감소를 나타냈고, 유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단절 유형은 모든 대상 아동들에게 ‘불충분한 정보'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불명료한 참조', ‘내용적 오류'가 모든 대상아동들에게 골고루 나타났으며 ‘관련 없는 정보'는 거의 산출되지 않았고, 기타는 출현하지 않았다. 모든 단절 유형들은 중재 이후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중재 결과 필수 정보 산출률은 중재 단계 초반에는 낮은 산출률을 나타냈으나 중재 이후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발화수정 유형별 변화는 모든 대상 아동에게서 공통적으로 ‘반복'과 ‘교정'이 감소하고, 첨가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수정 성공 유형은 B 아동에게서만 ‘전체 수정’과 ‘부분 반복’ 과 ‘첨가’ 가 나타났다. 그러나 성공 유형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첨가’로 나타났다. A 아동과 C 아동은 발화수정 유형은 ‘반복’, ‘교정’, ‘첨가’ 가 나타났으나 성공하는 유형은 ‘첨가’ 만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장벽게임 상황에서의 명료화 중재는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대화단절률을 감소시키고, 대화단절 상황에서 부적절한 수정전략을 감소시키고, 적절한 발화 수정전략을 증가시키는데 효과를 나타냈다.

      • 중·고 레슬링 선수들의 훈련프로그램 종목별 체력 비교 연구

        유주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 레슬링 남자 선수들을 대상으로 종목간의 훈련 프로그램 효과, 선수들의 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P 중․고등학교 남자 레슬링 선수들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은 기초체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나이, 종목별, 기초체력을 구분하여 훈련프로그램을 통한 종목간의 체력 비교 연구를 측정하였다. 통계적 검증은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사전․사후 차이를 분석하여 처리하기 위해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중학교 종목간의 훈련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차이는 근력, 근지구력에서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p<.05), 민첩성에서 자유형 선수들이 10m왕복달리기, 사이드스텝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버피 테스트에서는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p<.05). 중학교 종목별 차이는 자유형보다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이 대회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실험을 통해 훈련프로그램은 자유형 선수들보다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에게 더욱 잘 맞는 훈련 프로그램인 것 같다는 결과가 나왔다. 2. 고등학교 종목간의 훈련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차이는 근력, 근지구력, 버피 테스트, 사이드스텝에서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p<.05), 자유형보다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이 대회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실험을 통해 훈련프로그램은 자유형 선수들보다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에게 더욱 잘 맞는 훈련 프로그램인 것 같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상의 결과에서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자유형 선수들이 그레코로만 선수들에 비해 기초체력의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민첩성 훈련을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연구의 훈련 프로그램은 자유형 선수들보다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에게 적합한 훈련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는 일정지역에 소재한 중학교와 고등학교 선수들만을 대상으로 한정되어 비교 분석하였기 때문에 대상인원의 제약에 따른 연구 결과의 객관화에 다소 미흡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자유형 선수에게 맞는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며, 추후에 대학교, 일반 실업팀, 국가대표로 대상을 확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아울러 레슬링 체급 및 종목별로 구분해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In-ear 마이크 신호와 out-ear 마이크 신호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의 dual 채널 음성 향상 기법

        유주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헤드셋에 내장된 in-ear 마이크와 out-ear 마이크 신호를 활용한 dual 채널 음성 향상 기법에 대한 논문이다. In-ear 마이크는 귀의 안쪽 방향으로 위치하여 화자의 이관(eustachian tube)을 통해 들어오는 소리를 수집하며, 주변 노이즈의 유입이 차단되어 SNR 이 높은 특성을 갖지만 긴 관을 통해 전달 되어 신호의 대역이 제한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Out-ear 마이크는 귀의 바깥 쪽 방향으로 위치하여 주변 환경의 노이즈가 섞인 화자의 음성을 수집하여 주변 noise 에 의해 왜곡된 신호가 유입된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선 한계점이 있는 각각의 신호를 활용하여 상호 보완적인 방향으로 음성 향상을 진행하는 음성 향상 모델을 제시한다. 이러한 2 가지 신호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선 딥러닝 (deep learning) 을 기반으로 한 음성 향상 모델을 제안한다. 사용된 딥러닝 구조는 sequential 한 음성 데이터에 강점을 갖는 LSTM network 을 dual 채널로 구성하여 time-domain 의 sequential 정보를 반영하는 feature extractor 로 활용하였고, network 에 skip-connection을 더하여 음성 복원 및 noise 제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은 DNN 구조 및 입력 채널 수 변화에 따른 음성 향상 모델의 성능 비교를 수행하였다. 성능 확인을 위한 측정 지표는 PESQ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와 STOI(short time objective intelligibility), LSD (log-spectral distance) measure를 사용하였다. This thesis is about the dual-channel speech enhancement system that utilize signals collected through in-ear microphone and out-ear microphones embedded in headset. In-ear microphone is loc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ear and used to collect sounds coming through the speaker's Eustachian tubes. In-ear signal is a signal with a high signal to noise ratio (SNR) due to the blocking of ambient noise. However, it has a limitation that the frequency band of the signal has cut-off dur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long tube, i.e. Eustachian tube. Out-ear microphone is locat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ear, and it collects the speech signal and the nois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However, out-ear microphone signal has a limitation that the inflow of signals were distorted by ambient noi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eech enhancement system that enhances the noisy speech signal by using each of in-ear and out-ear signal in a complementary way. Furthermore, we used a deep learning approach in order to implement the speech enhancement system. The deep learning structure used for the speech enhancement system consisted of two channels of LSTM network, which had an advantage in addressing the sequential information of speech data, and the LSTM network was utilized as a feature extractor that reflects the sequential information in time-domain. In addition, skip-connection was added to the network to focus on speech restoration and noise cancellation.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speech enhancement model according to the DNN structure and the number of input channels. In addition, the metrics used for performance verification were the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PESQ) and short-time objective intelligence (STOI) and log-spectral distance (LS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