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편견 동화에 기초한 문학적 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역할 인식에 미치는 효과

        유수옥 한국유아교육학회 2001 유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K시의 공림유치원 5세아 116명을 대상으로 반편견 동화에 기초한 문학적 활동이 장애유아의 대한 비장애유아의 태도와 사회적 역할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하였다. 8주간의 반편견 동화에 기초한 문학적 활동을 통하여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태도와 사회적 역할 인식이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유지원내에서 뿐만 아니라 유치원밖에서도 수용하는 태도를 갖게 되었으며, 장애유아가 좀 더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고 변화한 것으로 보아 장애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reading activities employing anti-bias stories as a means of changing the attitudes of young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is study, 116 young children comprised 2 experimental and 2 control groups. A child with disabilities was placed in each class. The 116 subjects were administered pre and post test and participated in an individual interview. While no program was provided for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8 weeks of program. The program consisted of reading activities using fairly tale and parent tasks.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attitudes towar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pporting the thesis that the attitudes of young children can be altered through reading activities featuring fairly tales. 2)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their recognition of the social roles available to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gain supporting the thesis that attitudes about disabilities can be altered through planned reading activities.

      • 전래동화그림책의 흉내말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흉내말 특성

        유수옥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화그림책의 흉내말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흉내말 특성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20명이며, 실시기간은 총 12주였다. 연구방법은 흉내말을 넣어 유아들이 이야기꾸미기 한 활동 자료를 수집한 뒤, 흉내말 범주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흉내말 특성 변화를 측정하고, 유아의 반응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래동화그림책의 흉내말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유아들의 흉내말 사용 빈도가 증가하였고 문장에서 다양하게 사용하는 특성을 보였다. 유아들이 사용한 흉내말의 의미적 특성에서는 실시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사용빈도가 점차 증가하였고 기존의 관습화된 흉내말과 새롭게 창조된 흉내말이 나타났으며 어감을 인식하는 특성을 보였다. 유아들이 사용한 흉내말의 형태적 특성에서는 실시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문장에서의 위치를 적절히 찾았으며, 반복적 형태가 주는 리듬감을 인식하였고, 새로운 흉내말을 창조하는 특성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how characteristics of symbolic words of young children in story decorating of traditional fairy tales with symbolic words are. The subjects are 5-year-olds, and the term of the study is 12 weeks. The approach was proceeded by collecting of the data of young children doing their activities with symbolic words, during which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by 'the check list categori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ic words' and interpreted the features of symbolic words of young 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fter using the symbolic words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s with symbolic words, the frequency of using symbolic words has increased in the three-time measures(first, middle, final). Next, in the practical use of the symbolic words, the semantic features of young children's use of symbolic words are that the longer the activities of the symbolic words using, the more frequently infants use the symbolic words. Besides, newly created symbolic words show up and as time goes by, it shows the tendency of recognizing the feeling of words. Last, in the practical use of the symbolic words, morphological features of infants' symbolic words are as follows. Young children show the a change of location in the sentences by repeating the practice, show the most frequent use from the early stage, and by repeating the practice, infants tend to perceive the rhythm and enjoy it.

      • KCI등재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천의 방해요인에 관한 연구

        유수옥,박현주,박랑규,강우선 한국유아교육학회 2002 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성공적인 장애 유아 통합교육의 실천에 방해가 되는 요인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프로그램, 준비되지 않은 교사. 비장애유아와 비장애 유아 부모의 부정적 태도, 많은 원아수가 통합교육 실시에 방해요인이 된다고 하였다. 통합교육의 방해요인에 대한 지각은 통합경험 횟수보다는 교사 경력에 따라 더 많은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높을 때 통합교육이 더 어렵다는 의견이 높았다. 비장애유아와 비장애 유아 부모의 장애유아에 대한 부정적 태도 변화에 대하여서는 매우 긍정적이었으나 교사 경력과 통합 횟수에 관계없이 현재의 원아 수는 너무 많고 통합교육에 적합한 유아교육 프로그램과 자질 있는 교사 양성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방해요인이라고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judgment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ecperiences in inclusion settings on the obstacle factors in the successful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obstacle factors that the teachers met arise from programs, the inclusive teaching ability of teachers, attitudes of young children without special needs and of their parents toward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large classroom enrollment. Differences were related to how long they worked as teaches rather than how much experience they had in an inclusive setting. Teachers with strong career experience recognized more difficulties as obstacle factors. But they also believed that attitudes of young children without special needs and of their parents toward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positive. In addition teachers, regardless of length of time with inclusion teaching, insisted that a decrease in classroom size to below 15, a carefully developed program, and teacher preparation were necessary requisites for successful inclusion practices.

      • KCI등재

        우리나라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에 나타난 장애 등장인물의 이미지 비교

        유수옥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특수교육학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에 나타난 장애 등장인물의 이미지를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장애 등장인물의 이미지의 시대적 변화를 연구하였다. 창작동화에서 전래동화에 비해 정신적, 신체적 장애 등장인물이 좀 더 확대된 장소에서 확대된 대상과 다양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 하고, 자신의 일도 스스로 성취하는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특히 창작동화에서 전래동화와 달리 친구와의 상호작용도 높았다.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에서 정신적 장애는 신체적 장애에 비해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특히 창작동화에서 신체적 장애는 장애가 없는 등장인물과 크게 차이가 없는 등장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이는 21세기의 공학의 발달,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 그리고 특수교육의 발달이 신체 장애인의 독립성을 지원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라고 여겨진다.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Folk Tales and Korean Created Story Books on the Image of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내·외적 요인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접근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유수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4

        This study was determined the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that affect undergraduate students’ social proximity to disabled people by surveying 152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wo liberal arts cour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variables varied according to the point in time during the semester and type of disability. Specifically, the findings showed the following:1. At the end of the semester, self-esteem proved to be an internal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students’ social proximity, especially to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2. The external variables for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included disabled friends and movies related to disabilities, while those for the end of the semester were movies and courses related to disabilities. 3. In general,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with which movies related disability were appeared led to a decrease in influence on physical proximity and an increase in influence on interpersonal proximity. However,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with which such movies were view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decreased the influence on interpersonal proximity to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hat on physical and interpersonal proximity to people with autism. Th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social proximity to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such as mental retardation and autism, that is unfamiliar and difficult to accept. Furthermore, the emergence of relevant courses as a variable at the end of the semester indicates that discussions are an effective means of intervention, along with viewing of disability-related movies. 본 연구는 대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접근감 형성에 미치는 내적·외적 요인은 학기 초와 학기 말, 그리고 장애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내적 요인인 자존감은 학기 초와 달리 학기 말에, 그리고 특히 정신지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접근감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외적 요인은 학기 초에는 장애 친구와 장애 영화 시청이, 학기말에는 장애영화 시청과 장애관련 과목이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다. 장애영화 시청 횟수의 증가는 하위 차원인 신체적 접근감에 대한 영향력 감소와 함께 개인간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대인간 접근감 형성에 대한 영향력 증가를 가져왔다. 그러나 태도 수정기인 학기말에 영화 시청 횟수의 증가는 대학생에게 친숙한 지체장애인의 경우에는 대인간 접근감 형성에만, 자폐 장애인에 대해서는 신체적 접근감뿐만 아니라 대인간 접근감에 대한 영향력 감소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과 접촉이 많지 않고 의사소통이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운 정신적 장애인에 대한 좀 더 적절한 중재 방법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또한 학기 말의 과목 변인의 대두는 단순한 시청 횟수 증가보다 토론의 기회가 태도 수정에 효과적임을 제시해주고 있다.

      • KCI등재

        통합유치원에서 자폐유아의 사회적 놀이 행동 발달에 관한 연구

        유수옥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199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유치원에 통합된 장애유아의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놀이 중재를 제공하였을 때 나타나는 자폐유아와 비자폐유아의 사회적 놀이 행동의 발달적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자폐유아의 사회적 놀이 행동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자폐유아와 비자폐유아 6명이었다. 5개월간 자유 놀이 시간에 시간 표집법으로 관찰 연구하여 1개월 단위로 발생비율을 산출하여 표와 그림으로 작성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자폐유아의 가장 진보된 사회적 놀이 행동은 또래를 향한 행동으로 발전하지 않고 놀이감을 향한 행동에 머물렀다. 둘째, 자폐유아는 가장 진보되지 않은 자기를 향한 행동이 많이 발생하였다. 셋째, 교사를 향한 행동이 적게 발생하였다. 넷째, 놀이감을 향한 행동은 관찰 말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또래를 향한 행동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자폐유아는 비장애유아나 비자폐유아와 다른 예견되지 않고 일탈된 사회적 놀이 행동 특성을 보여 주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particular social play behavior patterns of autistic children by comparing between developmental changes of social play behavior of autistic young children and of non-young autistic children, which was shown in structured play intervention, in order to promote social intervention of peers with integrate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in a kindergarten. 6 autistic young children and non-young autistic children were observed by Time Sampling March through July during free play time in a kindergarten. The concurrence ratio of each social play behavior and subordinate play behavior were computed by collected data every month. He table and fig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upon the concurrence ratio.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ost developed social play behavior of autistic young children was play materials-directed behavior. 2. Compared to non-young autistic children, autistic young children had more time to self-directed behavior throughout observation period. 3. Autistic young children had more teacher-directed behavior than non-autistic young children. 4. Autistic young children had tendency to show increased play material-directed behavior during observation period. 5. Autistic young children tended to increase peer-directed behavior by May but after that it turned out to be decreased.

      • 장애 이해에 적합한 장애주제 그림책 선정에 관한 기초 연구

        유수옥 한국통합교육학회 2006 통합교육연구 Vol.1 No.2

        장애이해 개념이 의료적 모델에서 사회적 모델로 진전됨에 따라 장애의 문제를 “사회안”의 문제로 보게 됨으로써 따라 장애 이해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실에서 장애 이해를 돕는 전략으로서의 유아용 그림책의 가치를 살펴보고, 세 가지 유형의 장애 주제 그림책을 10가지 기준에 의해 분석하였다. 적절한 그림책은 장애인에게 감정 이입과 수용을 증진시키고, 성공이나 실패후의 성공과 긍정적 이미지를 보여주고, 장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제공하고, 장애인에 대한 존중을 나타내고, 슈퍼 맨이나 무능력한 사람이 아닌 현실적인 한 사람으로 묘사되어야 한다는 기준에 따른 분석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교사들이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천을 위해 장애 이해에 필요한 적절한 그림책 선정과 활용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disabilities has increased as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disabilities has developed from a medical model to a social model and as considering the problem of disabilities as the problem of “within the society".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the value of picture books as a strategy to help young children understand disabilities and analyzed three types of picture books about disabilities with 10 criteria. The three analysis cases of picture books about dis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that it should increase the empathy and acceptance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demonstrate the success or success after failure and positive image, provide children with an accurate understanding on disabilities, represent the respec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describe disabilities not as supermen or unable persons, but as a real person. This study enabled the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to select and utilize appropriate picture books which are useful to understand the disabilities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 지역 주민을 위한 지역 대학의 건강프로그램 개발 모색

        유수옥 한국간호연구학회 2018 한국간호연구학회지 Vol.2 No.3

        Purpose : After studying the Seobuk Hospital, which is a health promotion center in Seoul, we will seek to develop health programs at local universit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Methods : Develop health programs for local universities after analyze cases of health promotion projects at the Seobuk Hospital, and considering the health promotion projects of similar medical institutions. Conclusion : I hope that the university that provides health services to the community will be established as a local community, establishment of a Health-related Establishment Council among local universities. To plan health promotion projects that include students, staff, communities, and the environment, Health-related local communities should be established to promote mutu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