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품 오브제의 활용으로 본 캐릭터라이제이션

        유수연(Su-Yeon Y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논문은 영화에서 소품 디자인이 계획적으로 사용될 경우 관객과의 다양한 주제 소통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는 사실을 검증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소품의 적절한 선정은 공간의 완성도를 높여 주어 안락함과 쾌적함을 주는 동시에, 개개인의 캐릭터나 감각 등을 표현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시지각적 장치이다. 근래에 들어 이러한 소품의 역할이 인식되면서 그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영화 <Piano> 에서 여자 주인공은 침묵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녀의 언어를 대신하는 것은 피아노라는 소품이다. 이 소품은 영화의 주제의식 나타내고 관객과 비언어적으로 소통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아노 소품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소품들 역시도 영화의 시지각적 장치를 넘어서 캐릭터를 드러내는 내러티브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영화에 사용되는 소품오브제는 준비단계에서부터 계획적으로 구성될 경우 영화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필자는 연구논문의 가독성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피아노>의 소품을 물리적 의미, 감정전달과 심리적 의미, 문화와 사회적 의미로 나누어 설명하여 진행하였다. 향후 영화의 소품 오브제의 활용과 사용에 적절한 방법론적 연구는 계속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prove that prop objects in movies can be purposefully used to communicate various themes to the cinema audience. This paper intends to prove that the prop objects in movies can be used to communicate messages and themes to the audience very usefully. I selected the movie “Piano” to investigate by the use of prop objects. Piano of Prop objects in 〈Piano〉 can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s without a dialogue of main character. At the same time, the props can make a audiences sympathy as a role playing like a main character. As a result, the prop objects used in the movie were explained to study their relevancy to the narratives of the movie. The prop objects in the movie is so useful and powerful, and then image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hings in the movie as a narrative tool and storytell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alculated prop objects of the movie during stage can earn positive reviews about the movie as much as possible. And prop objects of the movie deliver emotional messages to the audience of image making methods in the planning of set design for movies and their use.

      • KCI등재

        조성기의 「통도사 가는 길」 연구 : 주체의 욕망 탐색과정을 중심으로

        유수연(Yoo,Suyeon) 국어문학회 2011 국어문학 Vol.51 No.-

        여행이란 일상을 벗어나고 싶은 충동, 혹은 도피와 관련된다. 길을 떠난 여행자는 낯선 시간과 공간의 탐색을 통해 새로운 인식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여행은 실제적 여행이든 ‘은유로서의 여행’이든 간에 근대 서사문학의 내적 형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여로형 소설은 여행자인 주인공의 욕망의 탐색과정이다. 이러한 탐색의 과정은 서사와 기호 즉 언어에 의해 드러난다. 서사란 사건들이 연결되고 구성되어 의미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또한 사건과 관계 맺는 유기적 인물의 심리는 기호에 의해 서술된다. 때문에 서사와 기호 분석을 통해 주제의식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통도사 가는 길」의 두 축, 즉 서사와 기호의 차원에서 주체의 소외와 욕망을 밝혀 보았다. 주인공은 ‘그녀’에 대한 간절함 때문에 여행을 떠난다. 그 여행의 과정에서 ‘그녀’에 대한 나의 욕망은 ‘어머니’에 대한 막연한 동경에서 기인함을 알 수 있다. 그를 확인하는 과정이 바로 통도사를 향해 가는 여정이다. 여행의 과정을 통해 주인공은 욕망의 실체와 마주치게 되고 그 과정은 ‘기호’에 의해 드러난다. 주인공의 의식이 천착하는 기호는 라깡의 이론에 근거해서 분석해 보았다. 주인공은 기표의 세계를 떠돈다. 기의를 갈망하나 결코 만날 수 없는 소외된 기표의 운명은 주인공의 운명과 동일하다. 이러한 일련dml 서사는 주체가 소외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A journey is associated with transcendental impulse or escape to get out of routines. A traveller leaving for roads gets to open new horizons of awareness through searching unfamiliar time and space. The journey like this, irrespective of whether it’s a real journey or a journey as a metaphor, is based as the internal form of modern narrative literature. A journey type-novel is the searching process of a hero’s desire. It is exposed by narration and language and in other words, by symbol. Narration is made up for a chain of incidents and these form meanings. Also, the psychology of a related character who is involved in incidents is narrated by symbol. As a result, the subject’s consciousness can be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narration and symbol. This thesis attempts to prove the alienation and desire of the subject with two axises of <A road to Tongdosa>, i.e narration and symbol. The hero leaves the journey because of the earnest desire for “her”. This journey process shows that his desire for her comes from a vague sense of longing for his mother. The process to confirm his being is the journey to Tongdosa. While on journey, the hero is confronted with the reality of his desire and the process is revealed by symbol. Based on Lacan’s theory, this paper analyzed the symbol where his consciousness arrives at. The hero wonders about the signifier's world. A alienated signifier’s destiny, who longs to meet the signified but not to meet is the same as that of the hero. A series of narrations hint at the possibility for the subject to overcome his alienation.

      • KCI등재

        웨스 앤더슨 영화의 의상 활용 연구

        유수연(Yoo Suyeon)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7 영상기술연구 Vol.- No.26

        Wes Anderson created his own mise-en-scene style for a storyline like a fairy tale. Wes Andersson is a director building his own unique world in visual storytelling and narrative structure. Wes Anderson is very famous for ‘adult fairy tale’ and fashionable image 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ovie costume of Wes anderson and to discuss its aesthetic implications in the Wes Anderson’s costume style. This study is focused to consider the uniform costume as visual communication by wes anderson’s <the Grandbudapest hotel> movie. The Grandbudapest hotel is a genre of adventure movie of Gustave H. Gustave is a legendary concierge at a famous hote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s. Anderson’s movie costume has s characteristics like a uniform or uniform style by applying the visual symbol. The Grandbudapest hotel have a lot of uniform costumes and props by the pattern in the communication. Uniforms signify order, conformity and discipline in the public city like a modern times. Anderson is good at making a detail of characters using special colors of clothes. This study is to talk about the symbolic images appeared in Grandbudapest hotel’s costume adopted dualistic meanings in uniforms and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symbol shown on the uniform design.

      • KCI등재

        모래놀이치료가 알코올중독자 아버지를 둔 아동의 불안과 애착관계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유수연(Soo Yeon Yoo)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2015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Vol.6 No.1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andplay therapy on the anxiety, attachment relations, and interpersonal stress of children with alcoholic fathers. The subjects were 20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ith alcoholic fathers who were suggested by teachers at two local children’s centers in Cheonan City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two centers located in Pyeongtaek City in Gyeonggi Province.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ren of Alcoholics Test (CAST-K) was administered, and among children with 12 points or higher, ten children were chosen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en children were chosen as the control group. Sandplay therapy was only conduc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unseling involved a 40-minute session per week for a total of twelve sessions, including pre- and post-tests, from November 2012 to March 2013. The sandplay therapy program was administered on a one-to-basis by two sandplay therapists. To verify the changes in the pre- and post-test levels of anxiety, attachment relations, and interpersonal stres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 non-parametric test of Mann-Whitney’s U test and Wilcoxon’s signed rank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e effectiveness of sandplay therapy in reducing anxiety, improving attachment relations and reducing interpersonal stress, and the potential of being an effective instrument for therapy.

      • KCI등재

        『악학궤범』 향비파의 조현법

        유수연 ( Su Yoon Yoo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2 이화음악논집 Vol.16 No.1

        The contents of the hyangbipa (향비파) chapter in Akhak gwebeom (악학궤범) are consisted of scales which are each four scales on both naksijo (낙시조) and ujo (우조), explanation on cheongp`ungche (청풍체), and illustrations for naksijo samji (낙시조 삼지) and ujo as well as cheongp`ungche. In comparison of illustration on stings and frets of hyangbipa, there is inconsistency on tuning, as resulting in difficulty of accordatura, which still need further study for better academic precision. It was considered in this paper that examination on disorder of frets and stings was needed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tuning system of hyangbipa, so that features and aspects of accordatura on samji of naksijo, ujo, and cheongp`ungche was investigated. Som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Hyangbipa is individually tuned along with samji of naksijo, ujo, and cheongp`ungche. Also, its tuning method is different, in that each scale should be adjusted at specific, open-sound on each open string. As a result, there are some changes, for instance, fret positions of main tones in a specific scale or jo become changed, and fingering can be varied. In tuning of hyangbipa, the skill of pressing strings has been generally in use, and it is confirmed in relation of naksijo`s samji, ujo, and cheongp`ungche in Akhak gwebeom. Therefore, the illustration of hyangbipa presents both original sound and pressing sound together, and this difference between original and pressing sound produces difference of notes on stings and frets in hyangbipa usage described in Akhak gwebeom. In summary of these findings, the difference of notes between original and pressing sound is one note. Much pressing sound on samji of naksijo is produced on the fifth, seventh, eighth, ninth, and tenth frets, and cheongp`ungche is found on the fifth, seventh, eighth, and tenth frets of yu-hyeon (유현) and chung-hyun (중현). Otherwise, pressing sound is less found on ujo and it is found only on the fifth fret of dae-hyeon (대현). Hitherto, what is examined on hyangbipa and its distinguished tonal features is expected as well for apprehension on its tonal system in depth.

      • KCI등재

        자연 요소를 활용한 감정의 시각적 표현 기법 연구

        유수연(Su-Yeon Y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6

        〈피아노〉에서 자연은 사물 자체로서의 1차 의미를 거쳐 주체인 에이다가 자기를 이해해가는 과정의 매개 역할을 담당하며 뿐만 아니라 관객과의 의사소통 전달의 도구로 활용된다. 즉 자연이 1차적 의미를 통과해 2차적 의미를 지향하는 상징으로 쓰였다. 영화의 공간 중 자연 요소는 감독의 내러티브를 전달하고 캐릭터의 심리를 드러내기 위한 가장 효과적 표현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자연 요소의 종류의 그 일반적 의미뿐만 아니라 특정한 의미와 상징성까지 연구해보는 것은 미장센을 보다 정확하게 읽기 위한 반드시 필요한 연구과제이다. 영화 속에 존재하는 자연 요소를 총괄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한 논문은 아직 없고, 이에 본 논문은 선행으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볼 수 있다. 본론에서는 가독성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1. 하늘, 2. 땅, 3. 물, 4. 바람, 5. 햇빛, 6. 공기의 확산, 7. 나무(가지)의 순서로 자연요소를 분류해 작성해 보았다. 본 논문은 영화 속에서 자연 요소를 미장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in the movie, especially 〈Piano〉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nature and nature`s meanings aspect of the subject through symbolic mediation. This paper considers symbols of nature as material mediation, sky, water, wind, light, tree and mist. In my paper, nature separates these seven element images. I selected the movie “Piano” to investigate by the use of nature elements in the movie. Nature elements in 〈Piano〉 can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s very effectively. At the same time, the nature elements can make a audiences sympathy as a role playing like a main character or explain character"s feeling and emotion. For example, the nature lacking the light is full of the dead images and the nature with the light is full of energies of lives. But we must give attention to that the two natures are the same thing in his poems. This means that the nature is not the independent. As a result, the nature elements used in the movie were explained to study their relevancy to the narratives of the movie.

      • 창의성 계발을 위한 나무블록 디자인 사례 연구

        유수연(Yoo, Suyeon),황성걸(Hwang, Sunggu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3 No.-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수많은 블록놀이를 탈피한 신개념의 나무블록 완구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기존의 나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일반적인 블록은 어떤 형태의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양과 세트화 된 블록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나무로 생각하기’는 32가지의 다양한 유닛과 많은 양의 블록으로 상상하는 모든 것을 만들고 조립 가능하다. ‘나무로 생각하기’가 기존의 블록과 전혀 다른 기능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자기만의 조형물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32가지의 유닛 1500pieces로 만들기 가능한 연령으로 만5세의 유치원 아이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현장 유치원 원장님 인터뷰 및 창의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이루어졌다.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의 문헌조사를 하였으며, 2회의 워크숍을 통해 디자인의 원리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의 워크숍을 통하여 첫째 창의적 확장이 가능하며, 둘째 융통성의 원리에 부합되고, 셋째 오감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이론적 배경에 적합한 나무블록을 디자인 제안하였다. 또한 ‘나무로 생각하기’ 워크숍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재료를 다루는 능력, 구조의 이해, 생각의 구체화가 이루어지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향후, ‘나무로 생각하기’를 활용한 움직이는 장난감(moving toy) 등 다양하고 지속적인 개발과 나무라는 천연소재의 가격조율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new concept wood block toys instead of traditional ones. The usual blocks made of wood or plastic need many kinds and sets of blocks to make some structures. However ‘The Thinking With Wood’ in this study enables anything imaginable with 32 diverse units and lots of blocks. ‘The Thinking With Wood’ has entirely different functions that children can make their own sculptures comparing usual ways. This study focuses on 5-year-old kindergarteners who can make sculptures with 1500 pieces of 32 units. The way of this research consisted of interviews with kindergarten directors and theoretical reviews for creativity. This research includes searching domestic and overseas data bases and networks through internet, documentary survey and could deduce the principle of design through two workshops. This study could suggest the wood block design based on the following theory. Firstly should make creative enhancement. Secondly should accord with the principle of flexibility. Thirdly should satisfy five senses. Additionally this study could observe ability to deal with material, understand structure and actualize ideas. From now on, we should make efforts for continuous development such as ‘Moving Toy’ using ‘The Thinking With Wood’ and price adjustment for natural material like wood.

      • KCI등재

        손의 기능훈련이 실버세대의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

        유수연(Yoo, Su Yeon),황성걸(Hwang, Sung Gu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본 논문은 선행연구인 ‘조기인지장애의 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장난감의 적응성 조사’에 근거한 후속연구로서, 실버세대에게 인지능력을 높이고 정서적 안정을 위한 손의 기능 훈련이 어떠한 영향을 주며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사례중심 연구로 실시되었다. 선행연구에서 기능성 장난감을 통해 손의 움직임이 인지장애예방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손의 기능 훈련과제를 제시하여 실버세대의 일상생활능력에 정서적으로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정서측정도구(ARE) 검사를 실시하여 정서척도를 분석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비롯한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을 통한 문헌조사와 과제를 이용한 실험으로 이루어졌다. 실험 연구대상은 기본적 의사소통과 손사용이 가능하나 지적기능과 기억력감소로 인하여 일상 생활능력에 부족함을 겪고 있는 75세 이상 85세 이하의 여성노인 5명을 S노인요양원 사회복지사의 추천을 받아 진행하였다. 훈련과제는 손가락뜨개질, 케른블록 활동 두 가지를 매주 1회씩 10회기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손 기능 훈련과제 중에서 손가락뜨개질이 실버세대의 일상생활능력에 긍정정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도 실버세대의 정서안정이나 일상생활동작을 위한 유용한 훈련법을 고안하고 실천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ed on the case to research the effects of hand’s functional training on cognitive ability and emotional stability in silver generation as a follow-up study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The Research on Adaptability of Functional Toys for Brain Activation in the Early Cognitive Impairments. Preceding studies showed that hand movements with functional toys helped prevent Cognitive Impair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otion scale by conducting inspection with Apparent Emotion Rating Instrument(ARE) to research emotional effects on daily life abilities, presenting hand’s functional training tasks to silver gener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following methods : literature surveys of preceding studies, publications ( including theses and book ), and experiments with task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five elderly women from 75 to 85, who had basic communication ability and hand function but suffered from lack of daily life abilities because of decreased intellectual skill and memory, recommended by a social worker in the S. Nursing Home. The training tasks were hand knitting and Kern Block play carried out once a week for ten sessions. The findings from the study were that hand knitting of two tasks had a positive emotional effect on daily life abilities of silver 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stently study and practice training methods for emotional stability and daily life movements in silver generation.

      • KCI등재

        웃도드리 거문고 운지법에 관하여

        유수연 ( Su Yoon Yoo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9 이화음악논집 Vol.13 No.1

        본 논문은 보허자에서 파생된 도드리 가운데 웃도드리 거문고 운지법에 관한 연구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현행 거문고보와 가야금, 대금, 해금, 피리보에 수록되어 있는 웃도드리는 다같이 합주를 해보면 유독 거문고만이 음정이 부정확하게 발음되는 부분이 있다. 이에 의문을 제기하고 그 부분의 현행 거문고와 가야금, 대금, 해금, 피리보 웃도드리 음정을 비교한 결과 모든 악기는 동일한 ``남려`` 음정으로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거문고를 비롯한 모든 악기의 음정은 동일하게 기보되어 있으나, 유독 거문고의 음정이 조화롭지 않게 발음되는 원인은 현행 거문고보 웃도드리 ``남려``의 일부 운지법이 경안법으로 기보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현행 거문고 웃도드리에 경안법이 표기된 부분은 3장 첫째 각 여섯째 박, 5장 첫째 각 넷째 박·다섯째 박, 6장 넷째 각 둘째 박·셋째 박, 웃도드리 7장 넷째 각 둘째 박·셋째 박이다. 따라서 이 부분의 음정, 운지법의 정확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행 거문고보 웃도드리 음정, 운지법과 최초로 거문고 웃도드리가 수록된 1700년대의 어은보 이후 다수 고악보에 수록된 웃도드리 음정, 운지법의 동일, 상이 여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은보 이후 다수 고악보와 현행 거문고보 웃도드리 음정은 모두 동일한 ``남려``로 기보되어 있는 반면, 운지법은 고악보마다 경안법과 역안법의 표기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행보와 다르게 역안법으로 기보된 악보는 어은보, 역양아운, 현금오음통론, 삼죽금보, 이왕직아악보, 아악부현금보다. 악학궤범 거문고 안법조에 "그러나 각각 정해진 괘가 있으니 처음 배울 때는 제 법대로 타는데 힘써야 하고 익숙해지면 반드시 정해진 괘에 구애됨이 없이 역안하여 다음 괘의 소리를 내도 무방하다."라는 기록은 가락을 연주하는데 있어 기능이 능숙한 악사들은 경안과 역안을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여러 수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이와 같이 경안과 역안을 자유로이 넘나들며 여러 수법이 표현되었다는 데에 현행 거문고보 웃도드리 경안법이 쓰여진 ``남려`` 음정의 부조화적인 음정이 발음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악사 양성소에서 학습하신 필자의 스승(구윤국: 경북대 명예교수)에 의하면 옛 스승들은 음악을 전수함에 있어서 가락을 기보하는 것 보다는 대부분 1:1 실기 학습으로 구전되었다 한다. 이것이 기보 상에도 역안과 경안이 뒤섞이는 혼돈을 가져온 것이다. 더불어 시대가 흐름에 따라 변화된 악기의 크기나 구조 등은 고려치 않고 본고에서 제기한 부분의 웃도드리 ``남려`` 음정을 예전의 10괘(경안법)에서 내던 것과 동일하게 연주함으로써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위와 같은 까닭으로 본 논문이 제기한 부분의 현행거문고보 웃도드리는 여러 다른 악기들과의 합주에서 유독 불완전한 음정이 발음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행 거문고 웃도드리에 표기된 경안법은 모두 역안법으로 전환하여 연주해야 한다. 또는 가야금, 대금, 피리, 아쟁과 같이 정악과 산조 악기의 구분을 확실히 함으로써 현행 거문고보 웃도드리와 같은 음정의 부조화를 피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fingering of Utdodeuri Geomungo out of Dodeuri derived from Boheoja. Following is the result of study. When playing all the Utdodeuris which are written on the current score of Geomungo, Gayageum, Daegeum, Haegeum and Piri, it is found out that only Geomungo sounds incorrect pitch in some part. This study raised a question about that and compared the Utdodeuri notes in the score of Geomungo, Gayageum, Daegeum, Haegeum and Piri and found out that all the scores are notated with the same 南呂interval. The notes of all the instruments including Geomungo are notated in the same way, but only Geomungo sounds inharmonious. It seems that it is because some fingering of Utdodeuri Namryeo of Geomungo score is notated by Gyeongan method. The parts that Gyeongan method is notated on current Utdodeuri of Geomungo are the 6th beat of 1st gak(刻) in 3rd movement, the 4th and 5th beat of 1st gak in 5th movement, the 2nd and 3rd beat of 4th gak in 6th movement and the 2nd and 3rd beat of 4th gak in 7th movement. Therefore to grasp the accuracy of interval and fingering at this part, investigated are the sameness or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al and fingering of the Utdodeuri in current Geomungo score and those collected in many old scores since the Eoeunbo in 1700s. Investigation shows that all the notes of Utdodeuri in current Geomungo score and in many old scores since the Eoeunbo are notated with the same Namryeo, while fingering is different(Gyeongan method and Yeokan method) depending on each old score. Unlike the current score, the scores notated in Yeokan method are Eoeunbo, Yeokyangaun, Hyeongeumoeumtongron, Samjukgeumbo, Iwangjikaakbo and Aakbohyeongeumbo. There is a record in Geomungo Anbeopjo in Akhakgwebeom, "There are fixed Gwes. A novice should try to play a fixed Gwe(괘) as it is and once mastered, he can do Yeokan freely and may well make a sound of the next Gwe." It implies that once a player has mastered a function, he can cross the border of Gyeongan and Yeokan, expressing various techniques freely. Such cross-border and free expression of various techniques might be the reason why Namryeo interval notated in Utdodeuri Gyeongan method of current Geomungo score sounds inharmonious. The teacher of the researcher herself(Yun-Guk Gu, a professor emeritus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who studied in Korean Classical Musician Training School, maintained that old masters mostly relied on face to face lesson rather than notating the melody in handing over musical technique. That might be the cause of confusion that brings the mixture of two methods. Another reason might be that players just play the Namryeo interval of Utdodeuri, the part this study introduced, in the same way as in the old ten Gwe:Gyeongan method, never considering the size or structure of musical instruments that were changed as time passed by. For these reasons, the current Geomungo Utdodeuri sounds unique and imperfect in the ensemble. In conclusion, all the Gyeongan methods that are notated on the current Geomungo Utdodeuri should be replaced with Yeokan method or Jeongak and Sanjo instruments should clearly be divided as in case of Gayageum, Daegeum, Piri and Ajaeng, so as to escape the discord of interval as in the current Geomungo score Utdodeuri.

      • KCI등재

        손 기능훈련이 노인의 인지력향상과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연구

        유수연(Yoo, Su Yeon),황성걸(Hwang, Sung Gu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1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현대사회는 의료기술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었으며, 그에 따라 세계적으로 노령인구의 급증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노인의 돌봄, 건강관리, 상담 등 국민적 수요가 큰 유망사회 서비스 및 부처간 융 · 복합 서비스 연구와 발굴 및 확대 · 제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노인문제 중 ‘노인건강과 노인 조기인지장애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대하여 무엇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논의되어야 할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였다. 하지만 아직 노인건강과 노인의 인지장애에 대한 복합적인 대응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못한 실정이다. 노년의 건강한 삶과 역동적인 생활을 위한 두뇌 활성화에 대해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뇌 활성화를 통해 노인의 인지력 유지와 향상이 가능하다는 긍정적인 보고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활 속에서 즐기면서 훈련 가능한 Tool Kit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인지장애예방을 위한 실증적 검증을 통하여 노령화 사회의 노인성 질환에 대한 당면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극적 방법을 모색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인 노인의 인체특성에 대해서 이론적인 이해를 도모했다. 둘째, 뇌 활성화 향상을 위한 손 기능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손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조사하고 선행연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셋째, Tool Kit프로그램의 적용이 노인의 인지력향상과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Newell과 Rosenbloom(1981년)의 ‘손의 능숙도 훈련’과 산더 등이 1997년에 개발한 정서변화 측정도구 AER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넷째, 본 연구 결과에 대해 기술하고 Tool Kit프로그램의 향 후 지속 가능한 방안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and improvement in standards of living of modern society enable life extension and a consequential bulge in an aged population. So promising society service in great demand like caring, health management and counsel for the elderly and interdepartmental convergence service are researched, developed, enlarged and institutionalized. Korea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aged issu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related to health and early cognitive impairment for the aged. However we don’t have comprehensive measures for health and cognitive disorder of the elderly. Recently the brain activation for healthy and dynamic life of the aged has been at the center of attention. Moreover positive reports has been suggested saying possibility of keeping and improving cognitive ability of the aged through brain ac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suggest Tool Kit program that can train the elderly enjoying in everyday life and to find an active way to solve geriatric disorder in an aging society. For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body characteristics of the aged were promoted theoretically. Seco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hands were studied and preceding studies were researched to verify the effects of hand function training. Third, this study deduced results by using “the Competence Training of Hands” (Newell &Rosenbloom, 1981) and “Apparent Emotion Rating Instrument: ARE” (Sander et al, 1997) to verify the effects of Tool Kit Program on the cognitive enhancement and emotional change of the elderly. Finally, this study describ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ed sustainable measures of Tool Kit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