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 Schumann의 연가곡 「Frauenliebe und Leben, Op.42」 연구

        유성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Robert Schumann (1810 -1856)의 연가곡인 「Frauenliebe und Leben, Op.42」(여인의 사랑과 생애)에 관한 연구이다. 작곡가 슈만의 생애를 먼저 살펴본 후, 19세기의 가곡, 그리고 슈만 가곡의 특징을 알아본다. 슈만은 19세기 낭만파 작곡가 중 대표적 인물로 음악 분야와 문학 분야 모두에서 재능을 겸비한 음악 시인이었다. 그는 특히 시의 대한 이해의 폭이 남달랐고, 그것은 곧 시와 음악을 결합하는 역할로 이어졌다. 슈만의「여인의 사랑과 생애」는‘가곡의 해’라고 불리우는 1840년도에 작곡된 작품으로, 낭만파를 대표하는 시인 중 하나인 샤미소(Adelbert Von Chamisso, 1781-1838)의 시에 음악을 붙인 연가곡이며 다음의 내용들을 담고 있다. 한 여인의 삶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사랑하는 남자와의 첫 만남, 사랑의 결실을 맺는 결혼, 출산과 양육을 통해 행복한 삶을 살지만 남편과 사별하게 된 것, 이별에 대한 아픔을 겪고 노년을 맞이하는 이야기로 구성된다. 슈만은 가사에서 시어의 의미를 음악에 반영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슈만은시어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특정 형태의 리듬을 사용하거나, 반음계적 화성진행, 전조 등을 사용하였다. This thesis examenes Robert Schumann's (1810-1856) song cycle,「Frauenliebe und Leben Op.42」, This thesis aims to and reveal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lyrics) and music in order to help performers better understand this song cycle. Schumann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the Romantic composers of the 19th century, he is a significant composer following or succeeding Schubert and in the field of art song. Schumann's 「Frauenliebe und Leben, Op.42」was composed in 1840, which is called the "Year of Songs" And, ware this is a collection of love songs with music added to the poems of Adelbert Von Chamisso (1781-1838), one of the poets representing the Romantic period. Schumann selected eight of Chamisso's nine poems. As a talented musical poet in both music and literary fields, Schuman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mbination of poetry and music. This song cycle expresses the following stories: a woman encounter with a beloved man from the perspective of a woman's life, a marriage that bears the fruit of love, a happy life through childbirth and raising, but the bereavement of her husband, and the pain. Schumann expresses the meaning of the lyrics through his music in various ways. He repeatedly uses certain patterns of rhythms to emphasize the meaning of poetic lyrics and highlights the expression of the songs using a chromatic harmonic progression & modulations.

      • 집단프로그램을 통한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심리적증후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유성애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이 구타로 인해 겪게되는 피해양상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이들이 겪는 심리적 증후 중 학습된 무기력으로 인한 우울증은 낮은 자아존중감을 유발시키고 피해여성이 점점 수동적이고 비활동적이 됨으로 인해 자기를 비난하게 됨과 동시에 상실감과 죄책감으로 인한 양육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심리적 증후가 지속될 경우 개인의 정신건강을 위협하고 정상적인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데 장애를 가져올 수 있음으로 심리적 증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이를 감소시킬 적절한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청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의 가정폭력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폭력을 당한 아내들의 심리적 증후 중에서 학습된 무기력에 의한 우울감과 일상 스트레스 중에서 특히 어린 아동기 자녀들에 대한 양육스트레스, 낮은자아존중감등의 회복을 위한 집단정신치료극과 집단미술치료를 내용으로 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인천가정폭력상담소의 내담자 6명의 사례 분석)을 통해 구타당한 아내들의 심리적 증후를 변화시키기 위한 집단프로그램을 적용 총 6회에 걸쳐 실시하고 사전 사후검사를 통해 의미있는 변화를 일으키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우울증을 측정하는 양적 도구로 Back의 "Back Depression Inventory(BDI)" 자아존중감에 관한 검사도구로는 1979년 Rosenberg에 의해 고안된 Self-esteem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검사도구로는 서혜영이 번안한 Abid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PSI)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 회기마다 변화양상을 관찰하여 주요변화를 기록하고 사전검사와 1, 2차 사후 검사를 통해 효과성의 지속여부를 WinKs 4.6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정신치료극이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자신의 상황을 직시하고 해결되지 않은 욕망을 말하고 연기해보며 무의식속의 분노감정을 표출시켜 감에 따라 자신을 객관화된 모습으로 새롭게 지각할 수 있게되고 집단원 간에 역동으로 자가치료가 되는 이점을 가져와서 프로그램실시전과 비교하여 우울감 점수는 사전검사 24.5점에서 1차 사후검사에서 18.3, 2차 사후감사에서는 16,6점으로 유의미한 수준(P<.001)으로 감소하였다. 2차 사후 검사 결과에서는 개인차이가 많이 있었으나 우울증 감소에 약간의 지속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대인관계를 기피하고 자아 속에 갇혀져서 우울하고 불안감에 휩싸여 있는 피해여성들에게는 전화상담이나 면접상담의 개인케이스웍도 필요하지만 집단안에서 함께 공유하고 있는 문제를 열어 드러내보고 자신들의 무의식 속에 있는 욕망과 내면화된 의식을 쉽게 표출해 낼 수 있는 미술치료나 집단정신치료기법은 자아존중감 점수에 유의미한 효과를 가져왔다. 사전검사점수 36.0 1차 사후검사 44.0, 2차 사후검사 46.7로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기술 자기표현기술 자녀관계기술등을 배울 수 있으며 자아존중감을 높여갈 수 있는 효과를 가져와 남편과의 사이에서도 자신의 감정과 의사를 적절하게 표현하게 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집단정신치료극과 미술치료프로그램은 자녀를 기르고 있는 피해 여성들이 이혼을 생각하면서 갖게 되는 양육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었으며 사전검사 63.3 1차 사후검사 57.8, 2차 사후검사 결과 53.8로 감소 경향을 약간 가지고 있어 그 효과는 약간 지속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를 일반화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집단의 규모가 작아서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 집단원들의 환경적인 요인이 개인별로 많은 차이가 있어서 전체적인 변화가 반드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로 인정하기에 어렵다는 점이다. 셋째, 집단원들의 상황이 개별적으로 위급하였기 때문에 그 문제를 처리하기에 급급하여서 집단프로그램에 몰입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 피해여성들이 자신의 우울감을 해소하며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기술 자기표현기술 자녀관계기술등을 배울 수 있으며 그로인해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자아존중감을 높여갈 수 있는 효과를 가져와 남편과의 사이에서도 자신의 감정과 의사를 적절하게 표현하게 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심리적인 문제들은 결혼생활을 계속하는 한 쉽게 나아지거나 치료될 수 있는 증상은 아니다. 그러나 집단프로그램에 참여도록하여 자신을 새롭게 생각해 보며 가정폭력에 당당히 맞대응을 할 수 있는 자아강도를 길러가고, 사회적 지지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자조집단을 형성해서 원만하게 인간관계를 형성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자주 갖도록 하여 피해여성이 갖고 있는 심리적인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론과 연구의 제한점에 근거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정신치료극과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우울감, 양육스트레스, 낮은 자아존중감이외에 정신건강의 문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켜 나갈 수 있는 다양한 집단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고 상담기관에서 연구집단을 통해 효과를 검증해 볼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가정폭력피해여성들과 피해아동이 함께 참여하는 모자집단프로그램과 부부가 함께하는 집단프로그램, 가족집단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여성주의 입장의 가정폭력이해와 정신건강, 대인관계증진, 독립성증진, 자녀교육 등 통합프로그램을 워밍업부분에 넣어 토론식으로 실시하엿는데 앞으로 집단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다각적인 방법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damage aspects that battered women face due to home violence ranges widely in mental, physical, and social terms. Among the mental symptoms, depression through learned helplessness causes low self-esteem. Battered women of domestic violence are more passive and inactive. They suffer from stress due to the birth and rearing of babies. When such mental symptoms continue, they may threaten personal mental health and may bring disorder in carrying out normal social functions,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programs that can reduce such stress by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physical symptoms.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sider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programs that included group therapy and group art therapy. The therapy aims to eradicate the learned helplessness, depression, and stress from bearing and rearing children, especially, the little ones, as well the damaged self esteem that make up a large portion of mental symptoms of the suffering wives due to domestic violence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applied and carried out group programs to change the mental symptoms of battered wives (case analysis of 6 interviewees who visited the Inchon Home Violence Counsel), and examined whether we could figure out any meaningful changes through pretesting and posttesting.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program, we used "Back Depression Inventory (BDI)" as the quantitative tool of measuring depression, and used the self-esteem measures developed by Rosenberg in 1979 for examining self-respect. To measure the festering stress in mothers, we used the Parenting Stress Index (PSI) of Abiding (1990) that was translated by Seo Hye-young. Also, we observed the changing aspects of each term and recorded important changes and analyzed the continuance of the effectiveness with pretests and primary and secondary posttests. Main study results are stat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face their current situation accurately with group therapy or group art therapy programs and recognized themselves in a more objective way by expressing their unconscious anger by speaking aloud and voicing their unsolved desires. Self-treatment was possible by the dynamics among the members, so the depression rates were significantly low compared to the prior state of the program. In the secondary posttests, we figured out many personal changes but it had little continuity effect in reducing the depression. Second, art therapy and group therapy methods were provided for the victims who avoid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or those who were depressed and felt nervous by locking themselves into their egos. Phone interviews and interview consultations are needed to open up the problem so that everyone can share within the group, express their desires and internalize consciousness. This brought about significant effects in self-reliance and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elf-expression and mothering skills, so it had positive effects in improving their self-respect, enabling them to have a better relationship with the husband. Third, group therapy and group art therapy were effectively able to lessen the stress from rearing children that victims who raise their children face as they think of divorce. Further, considering the secondary test results, which had a slightly reducing trend, we could conclude that there were continuous results. However, there are restrictions in generalizing this study. First,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group, it was hard to generalize the results. Second, as there was much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members of the group, it was hard to perceive an overall change as the effect of the group program. Third, because the individual situation of the members were all very urgent.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concentrate on the group program. Despite such limitations, the study determined that battered women were able to rid themselves of their depression and learned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s well as self-expression and maternal skills. Consequently, they were able to reduce stress and promote self-respect. It brought about positive effects for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husbands, enabling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intentions appropriately. The mental problems that battered women of domestic violence suffer are not easy to overcome or to improve as long as they continue their marriages. However, we need to enable the suffering women to be able to manage their mental problems effectively by inducing them to participate in group programs and to think afresh about themselves, as well as promoting strength against home violence. Moreover, they learned that they could utilize social support and this allowed them to create self-reliance groups themselves, enabling them to create peaceful 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conclusions stated above and the restrictions of the study, we suggest the following point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matter.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group programs and verify their effects in consultation institutions. The program should include methods that can alleviate depression, turning stress and low self-reliance into positive desirable directions through group therapy and group art therapy.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group programs in which the mothers of domestic abuse and their children participate, or the battered women and the husbands participate together. Third,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integrated program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 group programs, such as understanding of home violence in the feminists view as well as mental heal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children's education, etc. in debate form.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ek more versatile methodological way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programs.

      • 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애니메이션 "구름빵"을 중심으로

        유성애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Starting from K-pop, Korean drama, movie, and even entertainment have been consistently leading Korean wave. Then, the trend that neighbors in China, Japan, Thailand, vietnam and East Asia want to learn Korean are is keep growing and they put more and more interest in Korean education. Until now, handouts, tape, CD, and DVD are typical class materials when they learn Korean language. Because this learning materials are simple and fragmentary, it is true that these materials has lacked in interest and attention to Korean language learners. Today, however, there are picturers and various sounds and voices that entertain the students' ears and eyes. Also, teachers use interesting story animation as Korean language class material to optimize learning effect and that would help verbal communication in real daily life. This study proposes learning method by analyzing TV animation series Cloud Bread’targeting beginners. As teaching-learning method, it was classified in to 3 stages, ‘Before Watching’, ‘Watching’ and ‘After Watching’. Animation is very effective learning material that easily opens the students' senses and brings interest and expectation without repulsion. By enhancing advantage of animation, I expect that animation is used in a variety of ways in education field and help in learning language.

      • 노자의 『도덕경』과 로저스의 인간 중심 상담 이론의 비교

        유성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자의 『도덕경』과 로저스의 인간 중심 상담 이론을 비교하여 어떤 유사점들과 차이점들이 있는지 연구함으로서 노자의 사상과 로저스의 인간 중심 상담 이론을 접목할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런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노자와 로저스의 인간관을 비교 연구하였는데 두 사람의 인간관을 살펴보기 위해 인간의 기본 동기, 인간의 문제와 그 근본 원인, 성숙의 과정, 성숙한 인간 등 네 가지 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노자와 로저스가 인간의 성장 발달을 위해 제시한 조건들을 비교 연구하였는데 구체적으로 노자의 무지(無知)와 로저스의 공감적 이해, 노자와 로저스의 수용, 노자의 무욕(無欲)과 로저스의 진실성 등 세 가지 면에서 살펴보았다. 세 번째 부분은 종합적 논의로서 노자의 사상과 로저스의 인간 중심 상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이런 유사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노자와 로저스 이론의 접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자와 로저스의 인간관은 대체적으로 유사하다. 노자와 로저스는 모두 인간의 내면에 기본적인 동기가 내재되어 있다고 보았다. 이 내적 동기를 노자는 복귀 지향성으로 보았고, 로저스는 실현 경향성으로 보았다. 이 내적 동기로 인해 인간은 일정한 조건 하에서 긍정적이고 자주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존재가 된다. 인간의 문제를 야기하는 근본 원인에 대해 노자와 로저스는 약간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노자에게 있어 인간의 문제를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인은 내욕(內欲)과 외곤(外困), 즉 인간의 내면에 있는 욕망과 외부의 간섭이다. 노자는 이 두 가지 요인 중에서 내욕(內欲)을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 보았다. 반면 로저스에게 있어 인간의 문제를 야기하는 근본 원인은 외부적 요인으로서, 유기체의 가치 조건을 발달시키는 중요한 타인들의 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이다. 노자와 로저스는 모두 인간이 성숙해 가는 과정에 분명한 단계가 있는데 이 단계를 무시하거나 건너뛸 수 없다고 보았다. 그들은 또한 성숙의 과정을 끊임없이 지속되는 하나의 과정으로 보았다. 성숙한 인간을 노자와 로저스는 각각 덕을 온전히 보전하는 인간과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으로 보았다. 이런 성숙한 인간은 자신을 신뢰할 수 있고, 자기 지도적이고, 자율적이고, 조화를 이루고, 경직되거나 고착된 삶을 떠나 항상 유동적인 삶 속에서 살아간다. 둘째, 인간의 성장 발달을 위한 조건에 대해 노자와 로저스는 약간의 견해 차이를 보이고 있다. 노자는 인간의 문제를 야기하는 근본적인 요인을 내욕(內欲)과 외곤(外困)으로 보았다. 따라서 인간의 성장 발달을 위한 조건에는 개인의 욕망을 줄이는 것과 외부의 간섭을 제거하는 것 두 가지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개인의 욕망을 줄이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노자는 허정(虛靜)과 질박(質朴)함과 지족(知足)하는 마음을 제시하였다. 외부의 간섭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그는 지도자가 무위(無爲)의 태도를 취할 것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지도자가 취해야 할 태도는 무위의 구체적 표현인 무지(無知)와 수용과 무욕(無欲)의 태도이다. 반면, 로저스는 치료의 효과가 어떤 기법이나 지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 관계, 특히 상담자의 태도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인간의 성장 발달을 위한 필요 충분 조건으로 상담자의 진실성, 수용, 공감적 이해를 제시하였다. 지도자 또는 상담자가 지녀야 할 태도에 대해 노자와 로저스는 모두 수용과 공감적 이해(노자에게 있어서는 無知)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지도자가 우선적으로 지녀야 할 중요한 태도에 대해 두 사람은 일정한 견해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노자는 지도자가 우선적으로 지녀야 할 중요한 태도로 무욕(無欲)을 제시하였고, 로저스는 상담자가 첫 번째로 지녀야 할 중요한 태도로 진실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무욕(無欲)과 진실성은 서로 연관된 개념으로서 무욕(無欲)의 태도를 지닌 사람은 진실하고, 진실성을 지닌 사람은 무욕(無欲)하다. 따라서 무욕(無欲)과 진실성을 모두 지도자 또는 상담자가 지녀야 할 중요한 태도로 볼 수 있다. 셋째, 노자와 로저스의 이론에는 유사한 점도 있고 차이점도 있지만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은 매우 유사하다. 인간관은 상담 이론의 출발점으로서 유사한 인간관에 기초한 상담 이론은 서로 유사하다. 따라서 인간에 대한 유사한 관점을 지닌 노자와 로저스의 이론에서 도출해낸 상담의 목표, 상담의 과정, 상담자의 태도 등 상담의 제반 이론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 이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자와 로저스의 이론을 접목시킨 상담의 목표는 ① 내담자의 기본 동기가 충분히 실현되도록 하는 것, ②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 자신을 신뢰하고 자기 지도적인 인간이 되게 하는 것, ③ 내담자로 하여금 조화롭고 질서 있는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것, ④ 내담자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과정 중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노자와 로저스의 이론을 접목시킨 상담의 과정은 내담자가 변화를 단계적으로 경험하는 과정으로서 이 단계를 무시하거나 뛰어넘을 수 없다. 내담자는 상담자의 충분한 수용과 자기 각성에 대한 가르침을 받아야 이 과정에 들어갈 수 있고, 이 과정에 들어간 후에도 상담자의 지속적인 수용 속에서 스스로 자기 수련의 과정을 통해 상담의 목표로 나아갈 수 있다. 노자와 로저스의 이론을 접목시킨 상담에서 상담자의 태도는 ① 내담자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것, ② 내담자의 입장에서 내담자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것, ③ 무욕(無欲)의 태도와 진실성을 가지고 상담에 임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the union between Lao Tzu's theory and Person-Centered Counseling Theory of Carl Rogers. To achieve the goal, I have tried a comparative study on these two theories in view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in order to attain the object. The first part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ew of human being between Lao Tzu and Carl Rogers, focusing on the four factors such as human being's basic motive, human being's problem and its fundamental cause, the process of maturity, and mature human being. The second part is a comparative study on Lao Tzu's view of the human being's growth condition with that of Carl Rogers', focusing on following three aspects: Lao Tzu's ignorance and Rogers' empathic understanding, Lao Tzu and Rogers' acceptance, and Lao Tzu's non-greed and Rogers' realness. The third, comprehensive part, I have discussed ab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ories, and based on them, questioned the possibility of grafting the two theori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Lao Tzu and Rogers' view of human being are similar to each other. Both Lao Tzu and Rogers think that the basic motive exists within human being. Lao Tzu regards the inner motive as reverting intention, while Rogers actualizing tendency. This inner motive enables human being to be positive, autonomous, and trustworthy under specific condition. On the fundamental cause which creates human being's problems, however, the two theories have slightly different point of view. In Lao Tzu's Thought, the radical cause of human being's problem is the inside greed and the outside interference, and the more radical one is the inside greed. On the other hand, Rogers thinks the fundamental cause is the outside factor, which can be explained as significant others' conditional positive regard that develops organism's conditions of worth. Both Lao Tzu and Rogers believe that there were obvious steps in the process of human maturity, which cannot be ignored or skipped. They also consider the process of maturity as a limitlessly continuous one. Lao Tzu and Rogers conceive that mature hubeing is someone who keeps the Tao(virtue) as it is and who is the fully functioning person, respectively. Such a mature human being can trust himself, be self-directive, autonomous and harmonious, and always lives in a free and active life, breaking off the fixed and restricted one. Secondly, Lao Tzu and Rogers have a slightly different point of view on the condition of human being's growth. Lao Tzu thinks the radical causes of human being's problem are the inside greed and the outside interference. As a result, in order for human being to grow, the necessary conditions should be both reducing personal greed and removing the outside interference. For essential conditions of reducing personal greed, Lao Tzu suggests being empty, being simple, and knowing satisfaction. He also suggests leader's non-doing attitude as the way of removing the outside interference. Therefore, leaders should take an attitude of ignorance, acceptance, and non-greed, which are specific expressions of non-doing. On the other hand, Rogers believes that the therapeutic effect depends on the relationship of counselor and client, specially the attitudinal qualities of counselor, not on certain techniques or knowledge. As a result, he suggests counselor's realness, acceptance, and empathic understanding for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human being's growth. Concerning the attitudinal qualities of leader or counselor, both Lao Tzu and Rogers insist that he should have acceptance and empathic understanding (ignorance for Lao Tzu's view). For the important attitude of leader, however, the two theories have somewhat different views. While Lao Tzu points out non-greed as the important, Rogers claims realness as the one. These apparently different two views are actu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Someone who has non-greedy attitude is real, and someone who is real is non-greedy. Therefore, both non-greed and realness are important attitudinal qualities for a leader or an counselor. Thirdly, though the two theories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t the same time, their basic views on human being closely resemble each other. As the view of the human nature is the starting point of counseling theory, counseling theories built on similar views are alike each other. As a result, coming from the similar views, the purpose of counseling, the process of counseling, and the attitude of counselor also have something in common. Let's have a close look at the theories. The purposes of counseling coming from the graft of the two theories are: ① fully realizing the client's basic motive; ② having the client trust and be self-directive; ③ letting the client live a harmonious and orderly life; and ④ making the client be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development. The clients experience systematic changes in the counseling process, any stages of which can never be ignored or skipped. The clients are able to enter the maturing process when they get counselors' full acceptance and teaching about self-awakening. After entering the process, they make steady progress toward the goal of counseling through self-training under the counselors' continuous acceptance. This new counseling theory insists that counselors' attitude should do as follows: ① accept clients as they are; ② put themselves in clients' place and try to understand them; and ③ give counseling with non-greedy attitude and realness.

      • 북한의 인구 재생산 담론 변화 연구 - 여성의 임신·출산을 중심으로

        유성애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김정은 정권을 비롯해 김일성-김정일 정권의 ‘인구 재생산’ 담론 변화, 즉 주민의 결혼과 임신, 출산 등에 대한 정권의 담론이 어떻게 바뀌는지 분석한다. 근대 권력은 구성원의 신체를 규율하고 통제하려 한다는 미셸 푸코의 이론에 기반해 1970년대부터 현재(2023)까지 북한 정권의 인식과 담론의 변화를 살핀다. 그 시기 발간된 신문과 잡지, 영화와 단행본 등 문헌자료를 통해 시대별 정권의 담론 양상이 50여 년 간 실제 어떻게 달라져왔는지 검토한다.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북한 최고지도자들은 그 시대 정권이 처한 사회경제적 위기와 필요에 따라 주민 신체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방식을 통해 인구를 통제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1948년 정권 수립 이래로 북한은 출산장려(1950년대-1960년대)→출산억제(1970년대-1990년대 중반)→출산장려(1990년대 후반-)정책을 펼쳐왔으며, 이는 정권 차원의 낙태(임신중지) 무료시술과 피임기구 보급 등을 통해 전개됐다. 연구 결과, 북한 정권은 출산을 억제할 때는 연애&#8231;결혼을 포기하는 여성인 ‘로력(노동)영웅’을 앞세우고, 반대로 장려할 때는 자녀를 많이 낳는 ‘모성영웅’을 모범으로 제시했다. 출산 억제 시기엔 ‘위험성 높은 임신’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위험하니 출산하지 말라고 했다가, 출산 장려 시기엔 고아를 돌보는 여성인 ‘처녀어머니’를 만들어 국가가 할 일을 떠넘겼다. 35세 이상 여성의 출산(노산), 임신 중지(낙태)에 대한 정권의 설명도 그 시기 필요에 따라 반대로 나타났다. 정권은 시기별 필요에 따라 전략적으로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냈다. 여성을 ‘어머니’로 호명하며 정체성을 모성에 국한시키려고 하는 것도 70여 년 간 변하지 않는 모습이었다. ‘남녀평등권법’ 제정에서 볼 수 있듯 정권 수립 초기 진보적이었던 북한의 여성 정책은 수차례 굴절로 인해 후퇴했으며, 그 결과 여성은 어머니와 아내, 며느리와 노동자 등 4중 역할부담에 시달리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는 북한 정권이 시기별로 어떤 담론과 정책을 통해 주민들의 결혼과 출산을 조율했는지를 분석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1990년대 후반 식량난 ‘고난의 행군’ 시기 뒤 주요 행위자로 떠오른 북한 여성의 현실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를 통해 북한 사회 전반에 깔린 남성 가부장제 문화의 궤적을 살펴볼 수 있으며, 최근 북한에서 나타나는 북한의 저출산 추세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ing discourse of population reproduction (human reproduction) under Kim Jong-un and Kim Il-sung and Kim Jong-il, that is, how the regime’s discourse on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irth changes. Based on Michel Foucault’s theory that modern power tries to regulate and control the bodies of its members, the study examines the North Korean regime’s perception and discourse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2023). Through literature materials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movies, and books published publicly at that time, it examines how the DPRK regime’s discourse patterns have actually changed over the past 50 years. The study found that North Korea’s top leaders, from Kim Il-sung to Kim Jong-il to Kim Jong-un, have controlled the population through direct and indirect involvement in the bodies of its citizens, depending on the socioeconomic crisis and the regime‘s needs at the tim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me in 1948, North Korea has engaged in a policy of childbirth encouragement(∼1960s), birth control (1970s to mid-1990s), childbirth encouragement(late 1990s∼), which has included the regime’s direct provision of free abortions to the population and the active distribution of contraceptive devi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orth Korean regime promoted “labor heroes” - women who gave up relationships and marriage - when discouraging births, and “maternal(Mother) heroine” - women who gave birth to many children - when encouraging births. When births were discouraged, the concept of “risky pregnancy” was created to discourage births as much as possible, and when births were encouraged, “virgin mothers,” women who devoted themselves to care work and took care of orphans on behalf of the state, were created to take over the state’s work. The regime’s explanations for women over the age of 35 having children (late childbearing, advanced maternal age) and termination of pregnancy (abortion) also reversed, in accordance with the regime’s strategic objectives. Each time, the North Korean regime strategically created new concept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regime at that time, and through this, the regime tried to control the birth of its people. The regime’s attempt to limit its identity to motherhood by calling women only “mothers” has also remained unchanged for more than 70 years. North Korea’s women’s policies and rights were progressive at the beginning of the regime, 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enacting the ‘Equal Rights of Men and Women Act’. However, this was subsequently frustrated several times, and eventually retreated backward. As a result, women are found to be burdened with quadruple roles: mother, wife, daughter-in-law, and socialist work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s how the North Korean regime orchestrated marriage and childbearing through discourse and policy over time.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alities of North Korean women, who have emerged as key actors in the wake of the food shortage referred to as the ‘Arduous March’ in the late 1990s. The study sheds light on the trajectory of male patriarchal culture in North Korean society and helps us to understand the recent phenomenon of low fertility in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