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행정실장의 리더십유형과 직원들의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 -인천광역시 서부교육청 소속 초․중학교를 중심으로-

        이해경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요약〕 행정실장의 리더십유형과 직원들의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 인천광역시 서부교육청 소속 초․중학교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일반행정학과 이해경 본 연구는 행정실장의 리더십유형과 직원들의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리더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Bass의 변혁적 리더십과 Burns의 거래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러한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자료의 수집은 인천광역시 서부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행정실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 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리더십 유형과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t검정(t-test)과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리더십유형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인 ‘인구 통계학적 변수에 따라 직원이 느끼는 리더십유형은 유의적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현 근무처 및 현 근무교의 학급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수준을 나타내었다. 현 근무처에서는 거래적 리더십 수준 전체와 상황적 보상에서 초등학교가 중학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 근무교의 학급 수에 따라서는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학급수가 41~50학급일 때 리더십 수준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2인 ‘인구 통계학적 변수에 따라 직원이 느끼는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성별, 총 근무 경력, 현 근무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수준을 나타내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가, 특히 근무조건의 인식수준이 평균 3.46으로 나타나며,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근무조건 및 직무몰입에서 유의한 인식수준을, 현 근무처에 따라서는 중학교에 비하여 초등학교일 때 직무몰입도가 높았다. 셋째, 가설3인 ‘리더십 유형(변혁적/거래적)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정도가 클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행정실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잘 발휘될수록 직원들의 직무 만족 전체가 높아지며 거래적 리더십 보다는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 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실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잘 발휘될수록 직원들의 근무조건 및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거래적 리더십이 잘 발휘될수록 직원들의 직무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행정실장의 리더십유형과 직원들의 직무만족도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변혁적 리더십에서는 근무조건 및 인간관계 만족이, 거래적 리더십에서는 직무몰입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공무원사회에서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거래적 리더십의 상황적 보상과 예외적관리가 필요한 요소라는 것이다. 행정실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원들의 내재된 능력을 개발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앞으로는 행정실장의 변혁적 리더십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계속적인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Chief's Leadership Type and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 school - Centering on Elementary & Middle Schools Belonging to Incheon Metropolitan Seobu Office of Education- Lee Hae-gyeong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Incheon Incheo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chief's leadership type and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 school. The aim is to verify theoretical validity centering on Bass'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Burns's transactional leadership from the perspective as saying of properl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a leader required by modern society, and to examine which influence this leadership has upon organizational members' job satisfaction. As for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staff for administrative office at elementary & middle schools belonging to Incheon Metropolitan Seobu Office of Education.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tilizing SPS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o grasp difference between leadership typ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closely examined. Finally, in order to examine influence of leadership type upon job satisfac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Given synthesizing the results of research and analysis, those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s a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1. The difference in leadership type was felt by staff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result according to class number of the current working school and according to the current working place. The administrative section chief for elementary school was indicated to be higher than the administrative section chief for middle school in the whole of the transactional-leadership level and in the situational compensation. As for the result according to class number of the current working school,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bo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level was indicated to be highest, especially when the class number was 41~50.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2 as saying tha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of being felt by staff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awareness level was shown in gender, total working career, and the current working place. According to gender, especially the awareness level of working condition was indicated to be the averagely 3.46. The more working career led to the more significant awareness level in the working condition and job commitment. According to the current working place, the job commitment was higher in elementary school than middle school.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3 as saying that 'leadership type(transformational/transactional) will have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and the influential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ll be bigger,' the more the administrative section chief displays well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the higher staff's whole job satisfaction gets higher. The influential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indicated to be bigger than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The more the administrative section chief displays well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higher the staff's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 and human relations got higher. The more being well displayed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shown to lead to getting higher in staff's job commitment. Given synthesizing,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ministrative section chief's leadership type and staff's job satisfaction. Bo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can be known to have influence. However, i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condition and human relations was indicated significantly. In transactional leadership, the job commitment was indicated significantly. This implies that the situational compensation and exceptional management of transactional leadership is necessary element for performing task in public-official society. The administrative section chief'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important element in developing ability immanent in staff. Thus, it will be said to be important more than anything in the future in developing program for reinforcing administrative section chief'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for continuous education.

      • 성과상여금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교육행정직공무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김혜숙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The Effects of Justice Perception with regard to Performance Bonus System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im, Hye Suk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Incheon How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organization in an era of global competition today as one of the members have a rewarding and passion for high attachment to the organization to perform their duties. In this regard, recently the private sector, as well as members of improving performance through competition in the public sector in order to induce a lot of effort being made. As part of these efforts, introduced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and productivity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ve civil servants several management strategie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echniques performance bonus system can be. To this effect in the education sector is operating during the introduction of the performance bonus system but, issues raised by various institutions operating in the course of performance bonuses. After all, the reason these continued problems is that unfairly due of the performance bonus. In other words, fair paid bonuses is able to on the job satisfaction and flow of organization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ve civil serva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that effect of performance bonuse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fair perception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low, of variabl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ducation administrative civil servants. This study, was that about performance bonuses the education administrative civil servants' distributive fairness and procedural fairnes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flow. And sixth grade or less' the education administrative civil servants of Siheung city made it through empirical statistical analysis by the survey. Research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cedural fairness is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at hypothesis was set. Analysis result, for enhance of an individual's job satisfaction was that about the performance bonuses fair recognition of procedures that job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ve civil servants was increased. This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In other words, payment to performance bonuses is that procedural fairness of work performance evaluation is more important than what is expected. Second, procedural fairness is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flow that hypothesis was se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n the previous study found that the impact of procedural fairness about organizational flow, but in this study, the opposite phenomenon was observed. Third, distributive fairness is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at hypothesis was set. Very important point is that fairness also is in the effect of the distribution of performance bonuses. This problem, the distribution of performance bonuses are paid at a fairness rate in accordance with fair procedures, and the education administrative civil servants will that focus on increase of job satisfaction about distribution fairness of performance bonuses. As well as, procedural fairness and distributive fairness is suggests have a major impa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distributive fairness is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flow that hypothesis was set. Performance bonuses' distribution was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at organizational flow. If servant think that is received adequate compensation from organization, are likely to be more faithful to their duties. Therefore, organizational flow through job fair distribution of performance bonuses to be able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is consider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try ensure a fair distribution of clear, objective and measurable performance standards and the individual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ve civil servants. At least when a summary of findings, the education administrative civil servants' performance bonuses is paid for being treated fairly compensated, an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at decisions are made about the fairness perceptions i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low for positive influence showed. < 국 문 초 록 > 성과상여금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교육행정직공무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 인천대학교행정대학원 행정학과 김 혜 숙 오늘날과 같이 글로벌 경쟁시대에 조직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법중의 하나는 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해 높은 애착을 가지고 보람과 열정으로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 최근 민간부문 뿐만 아니라 공공부문에서도 경쟁을 통한 구성원들의 성과향상을 유도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육행정직공무원의 경쟁력과 생산성 제고를 위해 도입한 여러 가지 관리전략 중 대표적인 인사관리 기법이 바로 성과상여금제도라 할 수 있다. 교육계에서도 이러한 취지로 성과상여금제도가 도입되어 운영 중이나 성과상여금제도 운영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점들이 제기된 바 있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들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성과상여금이 공정하게 분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인 것이다. 즉, 성과상여금에 대한 공정한 지급이 교육행정직공무원들에게 직무에 대한 만족과 조직에 대한 몰입이 더욱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행정직공무원 성과상여금에 대하여 공무원들의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인식이 조직유효성 변수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우선 성과상여금에 대한 교육행정직공무원들의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인식 정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조직유효성 변수로서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2가지 변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시흥시 관내 6급 이하 교육행정직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통한 실증적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절차공정성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개인의 직무만족 제고를 위해 성과상여금에 대한 절차가 공정한 것으로 인식할수록 교육행정직공무원들의 직무만족은 높아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즉, 성과상여금 지급에 있어 공정한 평가가 가능하도록 성과상여금 지급을 위한 토대인 근무성적평정의 객관적인 평가기준 및 지표를 마련하여 절차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절차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선행연구에서는 절차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에서는 반대의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분배공정성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성과상여금의 분배에 있어서도 공정성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과상여금의 배분이 공정한 절차에 따라 공정한 비율로 지급되느냐의 문제이며, 교육행정직공무원의 경우 성과상여금 배분의 공정성에 좀 더 초점을 기울여 직무만족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절차공정성 뿐만 아니라 분배공정성도 직무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 넷째, 분배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성과상여금의 분배는 직무만족과 마찬가지로 조직몰입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자신은 조직으로부터 적절한 보상을 받고 있다고 판단된다면, 공무원은 자신의 직무에 더욱 충실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성과상여금의 공정한 분배로 조직몰입을 통한 직무의 효과성을 제고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육행정직공무원의 개인별 업무성과를 명확하고 객관적이고 측정 가능한 성과기준을 밝히고 공정한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상으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육행정직공무원들은 성과상여금을 지급 받음에 있어서 자신들이 공정하게 대우받는 보상결과 뿐만 아니라 결정이 이루어지는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공정성 인식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인천시 예산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인천대학교 특별회계를 중심으로

        정형섭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인천시예산결정과정을 인천대학교의 예산결정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대학의 자율성 확대와 교육수요의 증대에 따른 재원배 분의 합리성 추구, 예산제도 및 운영의 현실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은 인천광역시 예산결정에 관한 첫 번째 심층적 사례 분석으로서 여타 특별회계뿐 아니라 인천광역시 일반회계 예산결정 과정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아울러 이 논문은 공공기관의 예산결정과정의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우선적으로 본 연구를 위해 인천대학교의 재정현황과 실태에 대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인천시로부터 지원되는 전입금의 결정과 특별회계제도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해 분석 틀을 정립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대학교 예산의 일반현황과 조직 및 기구, 대학의 의사결정의 특징과 3개 년도에 걸친 예산결정과정을 기초로 분석하였다. 인천대학교의 예산결정과정은 우리나라의 다른 공공기관 예산결정과정과 같이 점증주의적 특성을 보인다 할 수 있다. 대학의 의사결정은 하향적인 의사결정의 형태로 우선 행정자치부의 지침이 인천시, 인천대학교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과 예산요구에 대한 사정의 과정 속에 나타났다. 상향적 의사결정 형태로서의 예산결정과정은 단과대학 및 행정부서의 요구가 기획 예산과에서 조정되어 인천시에 전달되고 있음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인천대학교의 재정규모는 특별회계의 비중이 67%, 기성회계의 비중이 33%로 특별회계 예산이 대학 재정의 2/3를 점하고 있다. 특이할 사항은 특별회계 예산 중 시로부터 지원되는 전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대학교의 예산중 전입금의 결정은 곧바로 특별회계 예산의 편성 및 결정으로 이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입금의 결정은 대학의 자율성과 총장의 재량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제도적으로 인천대학교의 특별회계는 대학 예산운영의 자율성 확보와 재원확보 면에서 타 국·공립 대학과 같이 일반회계로의 운영으로의 검토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인천대학교의 예산은 예측이 가능한 예산으로 편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대학의 경쟁력 신장을 위해 시의 관심과 대학의 자구노력이 필요한 점과 대학예산 구조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며 대학내부의 의사결정 구조를 정비하여야 함도 아울러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로서 분석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는 제약이 있으며 자료수집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오류가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인천대학교 예산결정과정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 연구라는 데 큰 의의를 찾고자 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udgetary process of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with a case study on the special account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which is an affiliate of the city. With its expanding autonomy and an increasing demand for college education in the region, the university is required to rationalize its resource allocation process and to improve both the system and operation of its budget-making.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is an attempt to find a right direction to that end and to address policy implications. This is perhaps the first in-depth research on the city's budgetary process and is expected to shed light on the complicated process of budget formulation not only in special accounts but also in the general account of the city. Also, it will serve as a basic data source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rationalizing the budgetary process of public organizations.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a frame of analysis which mainly comprises: a) current financial status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the organizations involved in budget preparation, and the many weaknesses and problems therein; b)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city's transfer to the university; and c) the need for and the method of changing the budget account typ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data analysis, and interviews. Financial data were collected for the past three years, from 1999 to 2001, and a series of interviews were designed to provide qualitative information.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ity's budget is its incremental nature, which can be found in almost all public organizations in this country. Budgetary decision-making process has both downward and upward aspects. The downward features are found in delivering the guidelines of budget-preparation issued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in the examination of the submitted budget by the city's budget officials. On the other hand, the demands of college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usually move in an upward fashion from lower echelons of the university all the way to the city council. Another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ity's budget is that the proportion of the special account has steadily grown in recent years, and the ratio of special account to the own-source account is approximately two to one as of 2001.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city's. transfer out of the total size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Special Account has become substantially large. Indeed, over the years, the decision of transfer amount has constituted the core of the university's budget preparation. The way how the transfer is determined, in turn, has implied enormous effects on the degree of the university's autonomy as well as on the president's discretionary power. The most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erefore, a shift from a special account into the general account as is now adopted by other public universities in the nation; the alteration of the account type is believed to strengthen the university's autonomy, the possibility of securing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and particularly, the predictability of the city's transfer amount. This study also addresses a few additional policy implications: a> the city's attention and care should be echoed by the university's revenue-raising effort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y; b) the structure of the university budget should be modified; and c> the process of the internal decision-making is to be improved in such a direction as to expand economic rationality.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for being a case study, a possible lack of external validity or some methodological errors i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Despite these possible constraints, the study has generated a number of important findings which could be very useful to researchers as well as to practitioners.

      • 地方議會를 통한 住民의 行政參與 活性化 方案 : 仁川廣域市를 中心으로

        김동인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지방자치의 발전은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장과의 상호견제·협력관계의 정도와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의사형성과 의사결정, 집행단계에 지역 주민이 주민의식을 가지고 얼마나 참여하느냐에 따라 지방자치의 성패가 달려있다고 하겠다. 우리나라도 1952년 ∼ 1961년까지 9년 동안 제대로 된 지방자치를 경험하였으나 지난 30년 동안 중단되었다가 1991년 다시 부활되어 8년이 지난 현재 17년의 지방자치 경험을 갖게 되었다. 여기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것은 지난 30년 동안 지방의회가 구성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주민의 행정참여가 집행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이다. 지방의회는 주민의 대표기관으로 주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지방행정의 의사형성에 반영할 책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의회를 통한 주민의 행정참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즉,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통로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논문에서는 지방의회의 기능과 주민참여의 중요성 등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주민의 참여의식을 알기 위하여 인천시의회와 주민의 참여실태의 분석과 주민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지방자치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①지역주민과 공무원 그리고 지방의원의 참여적 태도의 형성 ②주민의 대표기관인 지방의회를 통하여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통로의 확충 ③지역주민의 지방자치의식과 참여의식 고양 ④주민참여의 제고를 위하여 의회활동 상황과 운영계획 홍보 ⑤주민이 의회에 제출하는 각종 민원의 성실하고 심도 있는 심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므로 지방의회를 통한 주민의 행정참여 방안으로 제도적·비제도적 참여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 제도적 방안으로 ⅰ) 청원·진정민원 참여와 행정정보의 공개 및 제공 ⅱ) 주민직접투표제 확대와 조례제정, 개폐청구제도 ⅲ)주민감사 및 소송제도와 의회제정조례 입법예고제 도입 ⅳ) 의회자문위원회제도 도입과 의회옴브즈맨제 운영 ⅴ) 공청회 참여와 둘째 : 비제도적 방안으로 ⅰ) 의회 민원상담실운영과 순회간담회 및 교육 ⅱ) 의회 홈페이지의 참여유도와 의정도우미 활용 ⅲ) 시민운동단체의 활동지원과 신축성 있는 의회운영 ⅳ) 의회 소속지 발간에 참여와 의회의 설문조사 참여 ⅴ) 의회 회의장 방청 등을 제시하였다.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depands on cooperation & competitiveness between its council and government and participation of its residence. We have experienced local autonomy for 9 years from 1952 to 1961 but it was stopped for 30 years ever since. So it is the second experience of local autonomy which started in 1991 again. The reason why the first attempt ended up with failure is city council didn't exist at that time so that it was impossible for residence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on. Although City Council is the right way for residence to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on, however, their participation is hardly made still now. This is because they cannot find any ways to do it. In this situation, I surveyed to be aware of thoughts of residence about their participation in the administration, and took a close look at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function of council and importance of the residence participati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following : for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① positive attitude of residence, civil servants and council men for participation, ② various ways for residence to participate through council ③ enhancement of their understanding for local autonomy and intention of participation ④ promotion of council planning & activities ⑤ efficient handling with residencial problems In accordance with results mentioned above, I suggest institutional and uninstitutional methods to participate through local council. Institutionally ① Participate in public administration though petition or appeal or to open and provide administrative information ② Extend residence direct vote system and set a regulations, request system of make and break a rule ③ Adopt residence's inspection, lawsuit system and legislation-notice system ④ Adopt council advisory committee and Ombudsman system ⑤ Participate in a public hearing Uninstitutionally ① operate advice office of civil affairs in council and make councilor's round-social gathering and education ② Induce citizen's participation in council home page and make a good use of council-supporter ③ Give a support to civil movement group's activity and operate council flexibly ④ Citizen's participation in publishing council newspaper and answering questions ⑤ Attend a council conference

      • 정보기술을 활용한 업무과정 개선방안 : 인천광역시교육청을 중심으로

        김유신희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의 정부는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21세기 정보화, 세계화 시대에 행정환경의 급격한 변화속에서 민간부문뿐 아니라 공공부문에가지 행정업무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저비용·고효율에 입각한 작고 효율적인 기업적인정부, 전자정부, 고객지향적, 성과지향적 정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곧 국가경쟁력 향상에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을 위시한 선진각국들은 이미 행정개혁과 정보기술 활용으로 나름대로의 그 비전과 철학을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 국가경쟁력에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정부에서도 몇 차례의 정부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행정개혁과 행정정보화 사업을 추진한바 있으나, 그 성과는 단위업무 전산화를 통한 업무처리속도의 향상만 시켰을 뿐 적극적인 정보기술의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기술적인 투자만 이루어져 정작 달성해야할 실질적인 정보인프라구축은 미흡하여 실질적인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달성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교육행정기관인 인천광역시교육청을 대상으로 행정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조직의 환경대응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민간부문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과정중심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정보기술을 활용한 교육행정의 업무과정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글의 주요골자는 인천광역시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단위업무를 외부고객(교육수요자, 사회교육기관, 일반시민)과 내부고객으로 나누어 각각의 업무중 4가지 관점에서 중심적이고 의미 있다고 생각되는 업무를 선정하여, 각각의 업무의 특성과 내용, 업무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법·제도·업무처리과정측면에서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업무과정 개선방안을 논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하여 교육행정기관의 단위 업무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나름대로의 업무과정상 나타나는 문제점을 지적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노력하였고, 아울러 정보기술을 활용한 업무과정 개선방안에 대하여 보다 많은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informational communication skills in the rapid changes of administrative circumstances, the current government is required to have new paradigms in order to improv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with low-cost and high-efficiency for both non-governmental and governmental areas. This new paradigm is said to be the core element for international competence. Many highly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try to make every effort to take the leadership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s, with administrative innovations and informational technologies. Similarly,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tried administrative innovations and information to improve governmental productivity, but it only resulted working-speed improvement by use of unit-working electron computation Because of mere technical investment without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al technologies and also lacking practical information-infra, the Korean government has not achieved substantial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n connection with thi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the ways to improve educational administration with the use of process-oriented approach method to meet the needs of organizational correspondence. This paper also explains working-process improvement using informational technologies by dividing unit works into external and internal customers, based on the analysis of each work's characteristics, content, current status, and the point at issue. This study tried to point out working-process problems proved by the practical analysi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unit work and to suggest many ways to get over the problems mentioned above.Therefore, further studies utilizing informational technologies to improve working-process are needed.

      • 인천광역시 교육재정의 건전성 분석

        고경희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An Analysis of Educational Finance for Incheon Metropolitan City Ko Kyung He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Incheon (Supervised by Professor Kim, Jae-You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oundness of financial management in the field of local education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 In so doing, it first reviews the concept of financial soundness, current status of it, and the many criteria to observe in pursuing the value, i. e. , financial soundness of local educational agencies. The analysis is conducted by comparing the efforts of the local educational agencies in view of the given criteria.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financial soundness in four aspects: a) revenue generating capacities, b) internal resource mobilization abilities, c) the capability for payment, and d) debt carrying capacities. This study has found several financial problems of Korean local educational agencies. Even if they are fiscally sound in general, most of them are suffering from the following weaknesses: a) high financial dependency on the central government, c) the gradually decreasing self-reliance ratio, c) a lack of flexibility in expenditures due to high rates of fixed costs, and d) the rising debt burdens.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general financial soundness has been in an improving trend in such aspects as intergovernmental transfers from both the central and municipal governments and in terms of own-source revenues, even though the educational agencies have a structural weakness of high dependency on external funds. However, most educational entities suffer from the lack of flexibility in expenditures due to substantial portion of fixed costs and the rising demands for expenditures. Debt burden seems not to be serious in most local educational agencies. Yet, some of them suffer from a growing pressure of debt burden as well as total debts which have been accumulated from the past. It seems to be important for local educational agencies to rearrange its financial system including intergovernmental financial relations. At the same time, they have to make special efforts to enhance 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in financial management. Detailed measures for the above are: a) restructure a transfer system which guarantees a stable funds from intergovernmental transfers, b) an increased level of financial responsibility on education of municipal governments, c) a tighter review and evaluation process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d) a variety of ways to curtail operating costs, such as reorganization, enhancement of professionalization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All in all, what is needed at first is deemed to be the expansion of direct investments on education by means of cutting indirect costs. In this study, I analyzed five-year financial data of local educational agencies from 2007 to 2011.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any analysis of financial soundness of local education. We hope that such analyses contribute not only to the development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but also to an improvement in educational environments. 논 문 요 약 인천광역시 교육재정의 건전성 분석 고 경 희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이론전공 (지도교수 김 재 영) 본 연구는 지방교육재정의 건전성을 추구함에 있어 지켜야할 준거를 설정해 보고 그 구현을 위한 노력이 어느 정도 경주되고 있는지 재정운용의 건전성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문제로 지방교육재정 건전성의 개념, 지방교육재정 건전성의 요소, 지방교육재정 건전성의 실태, 지방교육재정의 건전성 제고방안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방교육재정의 건전성을 수입능력, 내부자원 동원능력, 지불능력, 채무부담능력 수준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지방교육재정의 상태는 건전하지만 중앙과 지방자치단체 의존적인 재원구조를 가졌으며, 재정자립수준의 저하, 경상경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재정지출의 탄력성이 부족하고, 채무부담의 지출 압박 등 재정건전성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있다. 지방교육재정의 분석 결과 이용 가능한 외부자원인 중앙정부 이전수입과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수준과 이용 가능한 내부자원인 재정자립도면에서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점이 있지만 개선되는 추세에 있다. 재정지출의 탄력성 수준 측면에서는 재정지출구조의 경직성으로 현재의 지출압박이 크기 때문에 양호하지 못하다. 채무부담의 지출압박은 크지 않으나 몇몇 교육청은 과거 채무에 의한 재정의무이행으로 인해 채무부담의 지출압박이 가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지방교육재정의 건전성 유지를 위해서는 기반과 제도 등 체제가 조성되어야 하며 동시에 지방의 효율적이고 책임성 있는 재정운영이 중요하다. 지방교육재정의 건전성 제고를 위해서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안정적 교부체계 마련이 필요하고,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증대 시켜야 하며, 지방재정심사제도의 확대 시행 등 사업비의 효율적인 집행, 조직개편을 통해 작지만 능률적인 행정의 수행을 통하여 경상경비 수요경감, 교육의 질 개선과 교원의 전문성 확보 등 교육을 위한 간접비를 억제하고 학교교육비 직접 투자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5개년 동안 시․도 지방교육행정기관에서 운영한 지방교육재정의 건전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도 교육재정의 건전성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시․도 교육재정 분석제도가 지방교육행정기관의 행정수준을 제고하고 궁극적으로 학교교육 여건을 개선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 이 논문은 2013년 2월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행정학석사(행정이론)학위 논문임.

      •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일반행정부서 경험을 통한 대학도서관 기여도 및 만족도 조사연구 : 국립대학교를 중심으로

        전영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립대학교에 재직중인 일반사서직원들은 대학 내의 인사발령에 의하여 일반행정부서에서 순환근무를 경험한다. 본 연구는 그 결과가 직․간접적으로 도서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일반설문과 심층면담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한 자료를 대상으로 SPSS로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국립대학 내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전문성을 고려하지 않는 순환근무제와 관련한 인사행정의 문제점을 밝히고 사서직에 대한 효율적 인사관리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먼저 대학은 민주적이며 합리적인 대학운영을 위해 국가공무원인 사서직의 전문성과 개인이 가지는 역량 등을 인정하여 인사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대상자인 사서들은 소극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일반행정부서 인사의 부당성을 제기하고 도서관 조직을 정보화 사회의 변화에 맞게 개선 및 활성화하여 대학의 중심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가일층 노력해야하며, 사서행정업무를 자동화하고 정보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문성을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해야 대학 내에서 사서의 위상 제고가 가능해질 것이고 대학조직 내에서 도서관의 위상 역시 높아질 것이며, 아울러 사서직에 대한 일반행정부서 인사에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대․내외적으로 대학이 효율적인 인사관리시스템을 확립하는 데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결과적으로 대학 내 구성원들에 대한 질적 서비스와 도서관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인천광역시 공무원의 전자결재 이용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은정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정보화 사회의 대두는 사회전반에 걸쳐 변화를 가져왔으며 하위체제인 행정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정보화의 실현을 위해서는 행정의 변화를 선행조건으로 볼 수 있으며 정보화와 행정은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전자정부의 추진은 정보화사회에 있어서 행정의 변화를 전제로 하는 것이며, 단순히 각 행정기관이 최신의 정보기술을 도입하고 그것을 목표로 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정보기술을 이용한 정보의 관리와 활용에 초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정부의 개념 하에서 볼 때 정보의 공동활용은 중요한 목표가 되며 정보의 공유가 상하계층간 혹은 조직간에 자유롭게 공유될 수 있어야 한다. 행정정보화는 행정 내부적으로는 최소의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창출하는 생산성 높은 정부를 실현하고 행정 외부적으로는 국민의 입장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둥 고객 지향적인 정부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에 정부는 11개의 전자정부사업을 선정하고 있다. 전자정부사업 중에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엄지만 전지정부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정보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그 근본이 되는 전자결재 및 전자문서유통 활성화 사업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전자정부가 정착되어 가고 있는 현재 전자정부특별위원회에서 발행한 전자정부백서 둥 전자정부와 관련된 자료에서는 전자결재율 상승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전자결재 사용자로서의 공무원의 만족도가 무시되고 전시행정효과만을 강조하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공무원들의 전자결재 이용 만족도를 연구해 보고자 했다. 전자결재 조기구현과 더불어 사용자로서의 공무원의 전자결재에 대한 만족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적으로 전자결재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으로서의 만족도를 고려하여 전자결재 시스템을 운영하여 전자정부로의 이행에 든든한 기반을 구축하도록 하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rise of information society has brought changes to all the segments of the society and is directly affecting one of its sub-systems, public administration. A change of administration is considered a prerequisite for the realization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d, by definition, administration and informatization is mutually supplemental. The promotion of an electronic governmen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change of administration accompanies the informatization of society. It does not simply mean that each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troduces the newest information technology or aims to do it. Rather, it focuses on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in a coordinated manner through an active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Under this electronic governmental concept, joint use of information becomes an important goal; information must be flowed freely and shared by all members at each level of an organization. Administrative informatization is, internally, to create public organizations of high productivity and to substantiate a customer-oriented government externally. The Korean government has selected eleven electronic government agendas for this purpose. Although all these programs are important, perhaps the electronic approval system and the circulation of electronic documents are the most important ones for the fulfillment of the electronic government objectives, because they provide fundamental grounds for an electronic government. The government white paper, which is issued by the Special Committee on Electronic Government, presents such data as the increasing use of electronic approval system as a token of the settlement of an electronic government. However, this fells short of explaining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approval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rate of government employees with the electronic approval system, which is believed to be a valid indicator of the success of the system. In this paper, I argue that a high satisfaction rat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n early success of the electronic approval system, and in this context it is highly desirable to operate the electronic approval system in a way to take the users' satisfaction into consider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serves as a threshold for future research in this direction.

      • 지방자치단체 행정사무감사에 관한 의원과 공무원의 인식비교

        유한경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 문 요 약 행정사무감사는 복잡 다양한 현대행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장과 공무원의 시행착오와 과오를 비판하고 견제할 수 있는 중요한 권한이면서 의무이기도 하다. 행정의 합목적성을 보장함으로써 행정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높이고 건전한 행정풍토를 조성하여 주민의 복리증진을 위한 제도적 장치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적 또는 운영상의 문제점은 의회와 집행부간의 불필요한 갈등과 불신을 야기하여 감사의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감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각종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는 중복감사와 행정사무감사에 임하는 의원과 공무원의 여러 행태에 대해 두 집단간의 인식을 비교․분석했다. 의원과 공무원이 제반 문제점에 대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함으로써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인식을 전환함으로써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감사가 정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중복감사의 비판에 대해서는 계층제 감사 등 제도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둘째, 문제의 핵심을 지적하는데 그치지 않고 적절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치밀한 준비와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의원이 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면서도 집행부와 시민의 가교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시각으로 행정의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넷째, 행정사무감사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의원과 공무원 모두 공동의 노력이 요구되며, 특히 운영상의 문제점이 최소화될 때 감사의 효과가 배가될 것이다. 진정한 지방자치 실현을 위해서는 의원과 공무원이 주민복리를 위한 동반자로서 긴장과 협력의 관계가 유지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의원과 공무원의 인식을 비교하였으나, 제기되는 각종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은 추후 좀더 세밀한 연구를 통해 제도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dministrative audit is a responsibility and right of local councils that prevents public officials from committing errors or wrong-doings in this complicated and rapidly changing local governance environment. It's an arrangement making public administration to be in compliance with its objectives and to enhance trust and support from citizens. However, many problems of administrative audit have hitherto been reported, and its operation often causes conflicts and mistrusts between local councils and executive branches. In this study, I have examined the many problems of administrative audit, such as redundancy or operational mishaps, with the cas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particular, I've compared the views of local councilmen and public officials on the audit in an attempt to find differences between them. I believe that both councilmen and officials are able to broaden understanding and share perspectives by looking at these differences and changing their minds in a way to compromise, and that administrative audit becomes productive with such efforts.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a) a hierarchical order of audits--most preferably by a legal coordination-- is required to clear duplication problem. b) the audit should be capable of proposing alternatives, and, in so doing, it can motivate preparation of both parties and enhance professionalism. c) councilmen as representatives of citizens need to acquire a role of linking the executive branch and the citizens by maintaining an objective and rational perspective. d) co-efforts of the two parties are required to solve the many problems of audit, and its effectiveness will enhance with operational improvements. All in all, the study reveals that cooperation between councilmen and the executive is essential to improve administrative audit and to substantiate local autonomy. More future research on this field is warranted, and I hope this study serves a threshold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