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후견국의 동맹 관리 딜레마 - 중국이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지 못한 원인에 대한 연구 -

        부리원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후견국으로서 중국의 대북한 동맹 관리를 분석하였고, 중국이 북한 비핵화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원인을 중국의 낮은 협상력에서 찾았다. 동맹과 핵확산의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북중동맹의 사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는 이론기반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이를 고찰하였다. 동맹 관리와 핵비확산 간의 관계를 다룬 이론에서 얻은 통찰력으로 본 논문은 북한의 대중국 군사적 의존도를 하나의 변수로 놓고, 중국의 대북한 이익 공약의 강도를 또 다른 하나의 변수로 간주하여 그 변수들간 결합이 중국의 대북한 협상력을 결정한다는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동맹 관리의 결과는 동맹국 간 상대적 협상력에 따라 결정한다. 이러한 틀 속에서 중국이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지 못한 원인을 설명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북한의 낮은 대중국 군사 의존도와 중국의 대북한 강한 이익 공약으로 인해 중국의 대북한 협상력이 약화될 때, 중국은 북한 비핵화를 비롯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정책을 추구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중국의 북핵 관리 사례에서, 소련이라는 안보 후견국을 잃은 북한은 중국으로 발길을 돌리지 않고 미국과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북한은 핵무기 개발을 통해 내적 균형을 추구함으로써 자력으로 안보를 강화함과 동시에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완화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안보보장 철회의 위협 혹은 강화의 약속 등과 같은 북한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이 없었던 중국은 북한을 다자회담의 장으로 유인하고 협상의 방법으로 북한의 비핵화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중국은 국제사회에서 대북한 제재 강화로 인해 중국이 연루될 위험을 경계하고, 북중관계의 악화로 인해 중국의 대북한 영향력 상실 등 불확실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대화를 통해 북핵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미국과 협력해서 북한을 제재하는 강압적 수단을 거부하였다. 이와 동시에, 북한은 핵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중국의 전략적 이익을 재확인하고, 중국의 ‘비호’를 활용하여 핵개발을 계속 추진했다. 본 연구는 동맹 관리의 시각에서 북중동맹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동맹과 핵확산의 관계를 연구하고 미국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기존 피후견국의 핵무기 개발 저지 연구의 범위를 넓히는 데에 의미를 지닌다.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processes of China's alliance management vis-a-vis North Korea, arguing that China has failed to achieve its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goals due to its comparatively weak bargaining power despite being a patron state for the North Korea.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regarding alliances and nuclear prolifer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hina-North Korea alliance by utilizing a theory-guided case study methodology to test its hypothesis. The thesis presents an analytical framework that draws on insights from the alliance management and nuclear nonproliferation literature. The developed framework regards North Korea's military dependence on China as one variable and China's commitment to North Korea based on strategic interests as another, with the combination of these variables determining China's bargaining power. The outcome of alliance management is determined by the relative bargaining power of the allies. Within this framework, the paper seeks to explain why China has been unable to prevent North Korea from developing nuclear weapons. This paper argues that North Korea’s low level of military reliance on China combines with China’s strong ‘commitment-by-interest’ towards North Korea means that when China’s bargaining power vis-a-vis North Korea is weak, China cannot pursue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or other policies that it prefers. North Korea did not turn to China after the collapse of its security patron, the Soviet Union, but sought to improve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In then seeking internal balancing through nuclear weapons development, North Korea aimed to enhance its security while reducing its dependence on China. Lacking the leverage to control North Korea by providing or withdrawing security guarantees, China attempted to achieve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by engaging the North Korea in multilateral talks. China is concerned that imposing stricter sanctions on North Korea might result in entrapment for China. China pursues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rough dialogue and rejects coercive measures to sanction North Korea in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so as to avoid a deterioration in China-North Korean relations that could lead to uncertain consequences such as the loss of China's influence in North Korea. At the same time, North Korea has utilized nuclear crises to reaffirm China's commitment-by-interest and continued to develop its nuclear program under China's ‘protection’. This dissertation is significant for adding empirically to researc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lliances and nuclear prolif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patron's processes of alliance management. In that it examines the case of China with regards to North Korea, it expands on existing research that has primarily focused on the United States.

      • 북한의 ‘사실상’ 핵보유국 되기 전략

        김영환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2017년 국가 핵무력 완성을 선언한 북한은 왜 핵무력 강화를 지속하고 있는가? 이 질문에 본 연구는 북한의 ‘사실상’(de facto) 핵보유국 되기 전략이 그 기저에 자리잡고 있었다고 답한다. 핵무력 완성 선언까지 북한은 미완의 핵능력과 NPT 탈퇴라는 수단을 이용한 억제와 강제를 통하여 핵능력 무력화 공격을 회피하면서, 경제적 실리를 획득하고, 나아가 은밀하게 핵능력을 완성하는데 주력하였다. 미국과의 제네바 합의는 북한의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 추구로 파기되었다. 이어진 6자회담은 북한의 우라늄 농축 권리 확보를 통한 북한 특유의 ‘사실상’ 핵보유국 되기 전략과 미국의 CVID로 일컬어지는 모든 핵 프로그램의 불가역적 폐기 원칙이 대립하는 갈등의 장이었다. 북한은 주권국가의 권리이자, 평화적 핵이용이라는 명분 아래 지속적으로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을 용인받고자 노력하였다. 이것은 핵무력 완성 선언 이후에도 북미 정상회담을 거치면서 지속되었다. 하노이에서 영변 핵시설과 우라늄 농축의 교환 시도가 실패하자, 북한은 북한식의 핵보유국 조건 갖추기를 통한 기정사실화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군사 과학기술의 발전과 미국의 대군사표적 타격 능력의 발전은 북한의 제2격 능력의 확보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현실적으로 미국에 대한 억제력의 실현이 불가능함에도 북한은 새로운 형태로 미국에 대한 억제와 강제를 추구하고 있다. 미국의 세계전략과 북미관계의 변화 속에서 정치적 타협이 전제되지 않고는 달성되기 불가능함에도 북한은 특유의 ‘사실상’ 핵보유국 지위를 용인받기 위한 행보를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Why does North Korea keep intensifying its nuclear capability even after declaring the completion of state nuclear force in 2017? This study provides the answer by revealing North Korea’s unique strategy to become a ‘de-facto’ nuclear weapon state was at the foundation. Until the declaration of the completion of its nuclear force, North Korea focused on acquiring economic benefits and secretly completing its nuclear capabilities while avoiding counterforce targeting through deterrence and compellence using incomplete nuclear capabilities and withdrawal from the NPT. The Agreed Framework was abolished by North Korea's pursuit of a uranium enrichment program. The ensuing Six-party talks were a place of conflict between North Korea's unique strategy of becoming a 'de facto' nuclear weapon state through securing North Korea's right to enrich uranium and the principle of irreversible disposal of all nuclear programs referred to as the U.S. CVID. North Korea has continuously tried to be accepted as sovereign state having a uranium enrichment program in the name of peaceful nuclear use. This continued through the North Korea-U.S. Summit even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completion of the nuclear force. When attempts to exchange Yongbyon nuclear facilities and the uranium enrichment program failed in Hanoi, North Korea has been pursuing a policy of making it a fait accompli by meeting the conditions for a North Korean-style nuclear power. Advances in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and developments in the U.S. counterforce targeting capability, make it more difficult for North Korea to secure a second-strike capability. North Korea has been pursuing a new type of deterrence and compellence against the United States despite the impossibility of realizing deterrence in reality.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achieve without political compromise amid changes in U.S. global strategy and U.S.-North Korea relations, North Korea continues to take steps to be accepted as a unique 'de facto' nuclear weapon state.

      • 북한 유일 지배 체제 형성과 교육의 변화 : 1956〜1975년 출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김서경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education revealed in the process of forming Kim Il-sung's monolithic governance system after 1967. This paper compared the descriptions of education-related materials and asked when the change was applied in the field of education. Furthermore, I studied the dynamics between education and politics by analyzing not only how education was influenced by politics, but also how education affects politics. Existing studies argue that there have been major political changes in North Korea after 1967 depending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of North Korea. In particular, Kim Il-sung's May 25 Statement, released after the 4th 15th Party Congress in 1967, is assumed to be the starting point for the formation of Kim Il-sung's unitary governance system.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scriptions covered in the Rodong Sinmu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eap forward to assume the May 25 Statement as a starting point. Accordingly, this paper compared the description of education by period by synthesizing the educational policy and the Kim Il-sung Statement,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and social/historical textbooks from the late 1950s to the mid-1970s, which were actually used in schools. By comparing descriptions such as changes in the use of textbook words, changes in descriptions on the same subject, and additional or excluded items compared to before, rather than macro analysis that only looked at changes in policy aspects, this paper analyzed how Kim Il-sung consolidated his monolithic system through education at the ti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extbooks before 1967 focused more on the struggles of the working class and the people than on the individual Kim Il-sung. They are depicted as voluntarily fighting against imperialism to ideal socialist state. Based on these narratives, all the people and countries fighting for the socialist state were assumed as us, forming a national identity that assumed the imperial countries they fought for as enemies. However, since 1967, these narratives have been thoroughly focused on individual Kim Il-sung, and the people are depicted passively loyal to the revolutionary mission under the absolute guidelines of Kim Il-sung in order to create a socialist state unique to North Korea. Unlike before 1967, only the people loyal to Kim Il-sung are depicted as us, centering on Kim Il-sung. Furthermore, the enemy description of the imperial countries that were previously assumed as enemies was strengthened and the sectarian and the groups that were not loyal to Kim Il-sung are newly included as a enemy. Along with changes in education according to politics, the educational content changed in 1967 reinforced the legitimacy of Kim Il-sung's domination by reproducing the culture of conflict.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nflict, public education reinforces the culture of conflict through its characteristics such as continuity, long-term, duty, and collectivity. In North Korea, group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were formed differently than before through the description of textbooks that were changed around 1967, and the existing culture of conflict was reinforced and reproduced by changing people's collective memories, social beliefs, and collective emotions. In other words, education played a role in allowing people to accept Kim Il-sung's unity governance system without a sense of difference as a way to strengthen and reproduce the culture of conflict. 본 논문은 1967년 전후 김일성의 유일 지배 체제 형성 과정에서 드러난 교육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 관련된 자료들의 서술을 비교하여 1967년을 계기로 큰 변화를 보였던 정치 흐름이 교육 분야에서는 언제부터 그 변화가 적용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나아가 교육이 정치에 영향을 받은 것뿐만 아니라 교육은 정치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여 교육과 정치가 서로 어떤 역학 관계를 보이는지 연구했다. 기존 연구들은 1967년 전후 북한의 대내적, 대외적 상황에 따라 북한에 정치적인 큰 변화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특히, 1967년 제4기 15차 당 대회 이후 발표된 김일성의 5월 25일 담화문은 김일성의 유일 지배 체제 형성의 시작점으로 상정된다. 그러나 노동 신문에서 다뤄진 서술을 분석해 본 결과 5월 25일 담화문을 시작점으로 상정하기에는 비약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학교에서 실제로 사용된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국어와 사회/역사 교과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 정책과 김일성 담화문을 종합하여 시기별 교육의 서술 양상을 비교했다. 정책적인 측면에서의 변화만을 살펴보는 거시적인 분석이 아닌 교과서 단어 사용의 변화, 같은 주제 상에서의 서술의 변화, 이전과 비교하여 추가되었거나 제외된 사항 등의 서술을 비교하여 당시 북한 정권이 교육을 통해 김일성이 유일 체제를 어떻게 공고히 했는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1967년 이전 시기 교과서에서는 김일성 개인에 대한 초점보다 노동 계급, 인민의 투쟁에 더 초점이 맞춰졌다. 이들은 이상적인 사회주의 국가를 실현하기 위해 제국주의에 대항하여 자발적으로 투쟁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서술을 바탕으로 사회주의 국가를 위해 투쟁하는 모든 인민과 국가들을 ‘우리’로 구성하고 이들이 투쟁하는 제국주의 국가들을 ‘적’으로 상정하는 국가 정체성을 형성했다. 하지만 이러한 서술은 1967년 이후 시기부터 철저하게 김일성 개인에 초점이 맞춰지고 인민들은 북한만의 사회주의 국가를 위해 김일성의 절대적인 지침에 따른 혁명 임무를 수동적으로 충성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1967년 이전과 달리 김일성을 중심으로 김일성에 충성하는 인민들만이 우리로 구성된다. 나아가 기존에 적으로 상정했던 제국주의 국가들에 대한 적 서술을 강화하고 종파분자 및 김일성에 충성하지 않은 무리를 ‘적’으로 포함하여 국가 정체성을 변화시켰다. 정치에 따라 교육이 변화한 것과 더불어 1967년을 계기로 변화한 교육 내용은 갈등 문화를 재생산하여 김일성의 지배 정당성을 강화했다. 갈등 이론에 따르면 국가 주도로 진행되는 공교육은 지속성, 장기성, 의무성, 집단성 등의 특성들을 통해 갈등 문화를 강화한다. 북한에서도 1967년 전후로 달라진 교과서 서술을 통해 집단 정체성과 국가 정체성을 이전과 다르게 형성했고 사람들의 집단적 기억, 사회적 신념, 집단 정서를 변화시켜 기존의 갈등 문화를 강화하고 재생산했다. 즉, 교육은 갈등 문화를 강화하고 재생산하는 방법으로 사람들이 김일성의 유일 지배 체제를 이질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역할을 한 것이다.

      • 북한 기후변화 외교 연구, 1992-2022

        최소망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이 논문의 목적은 북한이 지난 30여 년간 왜 기후변화 외교를 수행했는지, 어떤 방식으로 외교를 수행했는지 밝히는 것이다.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를 기점으로 기후변화 외교를 시작한 북한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원이 부각된 교토체제에서 탄소중립이 강조된 신(新)기후체제까지 국제기후변화 체제에 적극 가담했다. 1990년대 대내외적 어려움에 직면한 북한은 국가 생존과 위신을 우선으로 하는 국가정체성을 기후변화 외교정책 결정 과정에 개입시켰다. 교토체제와 신기후체제를 마주하면서 국가정체성은 재생산되어 국가이익을 재조정했고, 상징적인 이득보단 재정‧기술‧에너지적 차원의 물리적인 이득에 중점을 둔 외교를 구사했다. 기후변화 체제 변화에 달라진 외교정책 결정 동인과 외교 적극성을 기준으로 시기를 UNCED부터 교토의정서 채택 전까지 발생기(1992-1996), 교토의정서 채택부터 신기후체제 설립 결정까지 성장기(1997-2011), 신기후체제 협상부터 현재까지 도약기(2012-2022)로 구분했다. 외교 수행 기관과 인물도 달라졌다. 1992년 UNCED엔 강희원 정무원부총리와 외교부‧당 국제부 인물이 참가하고, 1997년 교토의정서가 채택된 유엔기후변화협약 제3회 당사국총회엔 참가자가 없었으며, 2015년 파리협정 채택 땐 리수용 외무상과 국가환경조정위원회 인물이 참가했다.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why and how North Korea has practiced climate change diplomacy over the past three decades. North Korea began its climate diplomacy at the 1992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UNCED) in Rio de Janeiro, Brazil, and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international regimes on climate change, including the Kyoto Protocol and the New Climate regime. The Kyoto Protocol emphasized support for developing countries, while the New Climate Regime emphasized the definition of carbon zero. Fac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in the 1990s, North Korea's national identity, which prioritized national survival and national prestige, was incorporated into its decision-making process for foreign policy on climate change. Later, in the face of the Kyoto regime and the new climate regime, national identity was reproduced to recalibrate national interests. After Kyoto regime, North Korea’s diplomacy focused on physical benefits to developing countries in the form of financial, technological, and energy benefits rather than symbolic gains. The history of climate diplomacy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based on the drivers of North Korean foreign policy decisions that varied with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regime. I categorized the period from the UNCED to the adoption of the Kyoto Protocol as the Emergence period(1992-1996), the Growth Period(1997-2011) from the adoption of the Kyoto Protocol to the decision to establish a new climate regime, and the Leap Period(2012-2022) from the negotiation of the new climate regime to the present. The institutions and personalities conducting diplomacy have also changed. A delegation led by Vice Prime Minister Kang Hee-won that also included officials from the international department the ruling Workers’ Party’s and foreign ministry attended UNCED in 1992. No one attended the third Conference of the Parties(COP)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UNFCCC), where the Kyoto Protocol was adopted in 1997. In 2015, officials from the North’s National Coordination Committee for Environment(NCCE), including Foreign Minister Ri Su-yong, attended the 21st COP, where the Paris Agreement was signed.

      • 대북 경수로 지원사업은 왜 실패했는가? -고비용 신호 분석을 중심으로-

        김영준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Why did KEDO’s light-water reactor supply project to North Korea fail?” and aimed to find the reasons for the failure through the analysis of costly signals and literature re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er the political interests and implications of both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surrounding the failure of the light-water reactor project by distinguishing between signals sent by the United States to North Korea regarding the commitment problem under the Geneva Agreed Framework. Distinguishing through ‘costly signals’, the United States sent signal providing heavy oil to resolve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North Korea responded by promising to remain in the NPT system and freeze its nuclear weapons. Meanwhile, when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emerged, the United States immediately implemented the cessation of heavy oil supply, and in response, North Korea declared the release of the nuclear freeze and its withdrawal from the NPT. The provision of heavy oil was a ‘costly signal’ that resulted in ‘sunk cost’ for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provision of light-water reactors was not a costly signal for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States did not bear the cost of the light-water reactor project and the initial construction schedule was not followed. Additionally, North Korea showed no willingness to accept IAEA nuclear inspections, which were required before the core components of the light-water reactors were delivered. Consequently, the light-water reactor project was halted, concluded, and liquidated. In addi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analyzed weaknesses and contradictions in documents signe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and between KEDO and North Korea.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impact of the ‘costly signals’ on the Geneva Agreed Framework and the light-water reactor project. The Geneva Agreed Framework was a political agreement that was not legally binding under international law, and a political agreement was a form that could be easily destroyed the moment trust in the implementation of promises was broken. Additionally, the goals of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for the Geneva Agreed Framework were different. The United States attempted to maintain the NPT regime by freezing North Korea's current nuclear program, and North Korea sought to take advantage of the economic benefits of energy support while receiving regime guarantees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 light-water reactor project did not have a binding force that could force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to fulfill their commitments due to issues with the role and limitation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called KEDO. In conclusion, the heavy oil supply signal from the United States was considered costly signal, resulting in a high level of trust from North Korea regarding commitment problem. Therefore, North Korea adhered to the nuclear facility freeze commitment for eight years or its equivalent. However, the light-water reactor supply signal from the United States was not costly signal, leading to low trust from North Korea, and no follow-up measures were taken to receive the light-water reactors. When starting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or economic support discussions with North Korea in the future, we mus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costly signals’ such as ‘tying hands’ signals and ‘sunk cost’ signals sent to each other. Rather than relying on non-binding trust, we can increase the likelihood of achieving our goals by exchanging ‘costly signals’ that force us to keep our commitm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artially supplemented the existing research that the cause of the failure of KEDO's light-water reactor project was non-compliance and collapse of the Geneva Agreed Framework through analysis of ‘costly signal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more useful if research is conducted to analyze the conditions classified as ‘costly signals’ and the range of reliable intervals in relation to the commitment problem. 본 논문은 ‘KEDO의 대북 경수로 지원사업은 왜 실패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했으며, ‘고비용 신호’ 분석과 문헌연구를 통하여 그 원인을 찾고자 했다. 제네바합의에 따른 약속이행의 문제와 관련하여 미국이 북한에 보낸 신호들을 구분함으로써 경수로사업 실패를 둘러싼 미·북 양측의 정치적 이해와 함의가 무엇이었는지를 유추해내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고비용 신호’를 구분해 보면 1차 북핵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은 중유제공 신호를 보냈고, 북한도 NPT 체제 잔류 및 핵동결 약속으로 호응했다. 한편 2차 북핵위기가 발발하자 미국은 즉각적인 중유제공 중단 조치를 단행했고, 이에 맞서 북한 역시 핵동결 해제 및 NPT 재탈퇴 선언으로 미국이 보낸 신호에 화답했다. 중유제공은 미국의 ‘매몰비용’이 발생하는 ‘고비용 신호’였다. 그러나 경수로제공은 미국의 ‘매몰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신호였다. 미국은 경수로사업에 비용을 부담하지 않았으며, 최초 공사일정을 지키지 않았다. 북한 또한 경수로 핵심부품이 인도되기 전에 이행해야 하는 IAEA의 핵사찰을 수용할 의지가 없었으며, 그 결과 경수로사업은 중단, 종료 후 청산되고 말았다. 또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미국-북한 간, KEDO-북한 간 체결한 문서의 취약점과 모순을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고비용 신호’가 제네바합의와 경수로사업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제네바합의는 국제법상 법적 구속력이 없는 정치적 합의였으며, 정치적 합의는 약속이행에 대한 신뢰가 깨지는 순간, 쉽게 파기할 수 있는 형식이었다. 또한 제네바합의에 대한 미국과 북한의 목표가 달랐다. 미국은 북한의 현재핵 동결을 통하여 NPT 레짐을 유지하려 했고, 북한은 미국으로부터 체제보장을 받으면서 에너지 지원이라는 경제적 실익을 취하고자 했다. 그리고 경수로사업은 KEDO라는 국제기구의 역할과 한계 문제 때문에 미국과 북한의 약속이행을 강제할 수 있는 구속력을 가지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미국의 중유제공 신호는 ‘고비용 신호’였기 때문에 약속이행에 대한 북한의 신뢰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8년 동안이나 이에 상응하는 핵시설 동결 약속을 준수했다. 하지만 미국의 경수로제공 신호는 ‘고비용 신호’가 아니었기 때문에 약속이행에 대한 북한의 신뢰도는 낮았으며, 경수로를 제공받기 위한 후속조치를 진행하지 않았다. 향후 북한과 비핵화 협상 또는 경제지원 논의를 시작할 때 서로에게 보내는 ‘자기구속’ 신호와 ‘매몰비용’ 신호 등 ‘고비용 신호’를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구속력 없는 신뢰에 의지하지 않고, 약속을 이행할 수밖에 없는 ‘고비용 신호’를 교환해야 목표 달성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KEDO의 경수로사업 실패원인이 제네바합의 불이행과 붕괴에 있다는 기존 연구를 ‘고비용 신호’ 분석 방법으로 일부 보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약속이행의 문제와 관련하여 ‘고비용 신호’로 구분되는 조건과 신뢰할 수 있는 구간 범위를 분석하는 연구가 이뤄진다면 더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 김정은 시기 북한 군부 위상 변화 연구

        이지호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김정은 시기 북한 군부 위상의 변화를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식별하고, 북한 군부의 위상을 밝혀낼 수 있는 연구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부 위상은 전문직업으로 민간으로부터 존경과 직업으로서 사회적 평가 및 지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반면 사회주의 국가에서 군부 위상은 당군관계 하에서 군 권력 집단의 정치적 영향력이 중요한 결정요인이다. 북한에서 군부 위상 역시 군의 본래 역할인 국방 분야에서의 평가와 위치보다 당의 지도 및 통제 하에서 군 권력 집단이 가지는 정치적 영향력과 역할을 의미한다. 김정일 시기 '선군정치'의 시행은 북한 군부의 경제적 역할을 확대하였고, 군은 모범을 보여 사회를 이끄는 역할을 부여받아 정치, 사회 분야에서 군의 역할이 확대되었으며 북한 군부의 위상은 강화되었다. 김정일 시기 확대된 군부의 역할과 위상의 강화는 김정은 시기에도 들어서도 일시적으로 유지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현재 북한 군부의 역할은 축소된 모습을 보이고 있고 위상도 이전에 비해 약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김정은 시기 북한 군부 위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김정은이 집권한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사용할 수 있는 지표를 분석하고 정량화하였다. 정량화된 지표는 연도별로 정리 후 AHP 방식을 통해 가중치를 부여하고 연도별 위상값을 산출하여 연도별 변화 결과를 산정했다. 연구 결과, 김정은 시기 북한 군부 위상은 7차 당대회가 개최된 2016년을 기준으로 이전 시기에는 강화되었으나 이후 시기에는 약화되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해 명확하게 위상 변화의 원인을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7차 당대회 시기를 기준으로 북한 군부 위상 변화의 추세가 바뀐 건 7차 당대회가 북한 군부 위상의 변화에 끼친 영향이 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김정은 시기 북한 군부 위상값의 변화는 밝혀냈지만, 김정은 시기 북한 군부 위상 변화의 원인과 변화가 체제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내지 못했으며 7차 당대회가 군부 위상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밝혀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7차 당대회가 북한 군부 위상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위상의 변화와 체제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ilitary status during Kim Jong Un era with quantitative method and to develop a research model that can shed light on the North Korea military status. In general, military status is a measure of respect from civilian, a social evaluation and position for a profession in society. In socialist countries, on the other hand, military status is determined by the political influence of the military power group under party-military relations. In North Korea, military status also refers to the political influence and role of the military power group under the leadership and control of the party, rather than the evaluation and position of the military in the field of national defense, which is the original role of the military. In Kim Jong Il era, military’s economic role was expanded and military was given the role of leading society. So military’s role was expanded and it makes enhanced the military status. Expanded role and enhanced military status in Kim Jong Il era seemed to be temporarily maintained in Kim Jong Un era. However, nowdays, the military’s role has been decreased and military status is weeker than before. To measure the change of military status in the Kim Jong Un era, this study analyzed and quantifies available indicators from 2012~2021. The quantified indicators were organized by year and then weighted using the AHP method to calculate the phase value for each year, and the results of the change by year were calculated.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North Korea military status during Kim Jong Un era was enhanced in the previous period but weakened in the later period, as of 2016, when the 7th party congress was held. The study did not identify a clear cause of the change of status. But change of North Korea military status trend around 7th Party congress means 7th Party congress became a pivot point of military status change. This study has limited by the fact that while it identifies changes in the value of the North Korea military status in Kim Jong Un era. It does not clearly identify the causes of the changes of North Korea military status in Kim Jong Un era and the impact on the system. It does not identify how the 7th Party Congress affected the military status.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how the 7th Party Congress affected the status of the North Korean military and how it relates to the regime.

      •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안의 비판적 검토 : 남북한특수관계론을 중심으로

        김시향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남한의 해석에 따르면, 1991년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이하 "남북기본합의서"이라 한다)의 체결 이후 남북한관계는 '대내적 1민족 1국가, 대외적 1민족 2국가'라는 이원적 법구조를 지니게 되었다. 2011년 1월 11일 법무부는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안 원안(이하 "제정안 원안"이라 함)을 입법예고 하였다. 그러나 이로부터 약 8개월 만인 2011년 8월 18일 법무부는 동법 제정안 수정안(이하 "제정안 수정안"이라 함)을 입법예고 하였다. 제정안 원안 및 수정안(이하 "양 제정안")은 제2조(법 적용의 기본원칙)에 "이 법을 해석·적용할 때에는 남한과 북한의 관계가 국가 사이의 관계가 아닌 평화적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잠정적으로 형성되는 특수관계임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하여 법 적용의 기본원칙으로서의 특수관계를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남북한특수관계론은 현재 법 적용의 기본원칙이 될 수 있을 만큼 그 개념이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남북한특수관계론이 양 제정안에 대하여 법 적용의 기본원칙으로 적용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거나, 남북한특수관계론에 대한 자의적인 해석 결과 심각한 혼란이 야기될 수 있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양 제정안의 내용 전반에 남북한특수관계론의 기본원칙이 관철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특수관계론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양 제정안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남북한특수관계론의 내용 이해 단계에서는, 남북기본합의서의 기본원칙을 바탕으로, 통일부의 해석이론, 제 학자의 주장이론, 헌법재판소와 법원의 판결문의 내용을 분석하였고, 남북한특수관계에 대한 북한의 해석이론도 살펴보았다. 남북한특수관계론의 개념 정의 단계에서는, 남북한관계론에 관한 기존의 이론을 바탕으로 남북한관계를 이해하는 3개 유형 이론을 도출한 후, 남북한특수관계론은 '남북한관계론 제3유형에 의한 남북한특수관계론'에 따라 일관성 있게 해석·적용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이끌어내었다. 남북한관계를 민족 내부의 특수관계로 상정하는 '남북한관계론 제3유형에 의한 남북한특수관계론'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의 해석에 의하면 남북한특수관계론은 남북한관계를 '대내적 1민족 1국가, 대외적 1민족 2국가'로 상정한다. 둘째, 헌법재판소와 법원의 판결에 의하면 북한 안에는 "교류·협력의 동반자성"과 "반국가단체성"이라는 모순된 이중적 성격이 내재되어 있으나, 셋째, 남북한특수관계론은 북한의 반국가단체성 논리를 포함하지 않는다. '남북한관계론 제3유형에 의한 남북한특수관계론'을 바탕으로 양 제정안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제정안 원안은 남한 내 상속재산에 대한 북한주민의 상속권을 인정하되 그 반출 범위를 '소유자 또는 친족의 생계에 필요한 개인적 소비, 질병치료를 위한 경우' 등 극소의 범위로 한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불허 사유로서 "반출이 대한민국의 국가안전보장, 질서유지 및 공공복리를 저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와 같이 추상적이고 광범위한 내용을 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주민의 상속권은 사실상 박탈된 결과가 되었다. 다음으로 제정안 수정안은, 법무부가 밝힌 첫 번째 수정이유와 같이, 북한이 반국가단체이기 때문에 그의 법 또한 불법적인 요소를 갖고 있다고 판단한 결과 일정한 경우 북한의 재판관할, 북한법 및 북한판결의 효력을 인정하였던 제정안 원안 상의 내용을 삭제하였는데, 이는 '남북한관계론 제3유형에 의한 남북한특수관계론'에 부합하지 않고, 남북한관계론 제1유형으로 후퇴한 결과를 낳았다. 또한 수정안은 "북한의 법률은 대부분 시대에 뒤떨어졌고, 법률 규정의 포괄성, 불명확성 등의 문제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북한법의 효력을 부정하였는데, 이보다 남한은 i) 가족관계 및 상속에 관한 남한법과 북한법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ii) 양법의 차이점의 해소 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iii) 남한의 발달된 법제도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함으로써 북한의 법제도 발전에 기여하고, iv) 남북주민 간 가족관계 및 상속 관련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뿐만 아니라, v) 남북한 간 화해협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여 vi) 궁극적으로는 통일에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 법무부는, "북한의 현실상 북한 주민은 북한보위부 등 북한 당국의 지시를 거부하기 어려워 사실상 북한주민의 자율적인 의사가 존재하기" 어렵고, "북한주민이 재산관리인을 선임하도록 하면 그 과정에 브로커의 개입이 예상되며, 일정한 보상을 대가로 처벌을 감수하고 불법행위를 하는 재산관리인이 선정될 수가 있어 북한주민 재산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북한주민 재산관리인을 법원이 선임하도록 일원화 하는 내용으로 제정안 원안 상 관련 조항을 수정하였다고 밝히었다. 그러나 '남북한관계론 제3유형에 의한 남북한특수관계론'에 의하면 남북한특수관계론은 북한의 반국가단체성 논리를 포함하지 않는 바, 법무부가 북한의 반국가단체성 논리를 이유로 들어 제정안 제2조의 남북한특수관계론과 배치되는 내용을 규정함은 하나의 법 내에서도 명백한 논리적 모순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양 제정안 모두 북한을 반국가단체로 규정하고 있어 남북한관계론 제1유형을 따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남북한관계론의 발전적인 방향성은 '남북한관계론 제3유형에 의한 남북한특수관계론'으로 나아가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제1유형 → 제2유형 → 제3유형), 제정안 원안에서 수정안으로 변경된 것은 남북한관계론 제1유형으로 후퇴한 것을 나타낸다. 첫째, 원안에서 인정되었던 재판관할, 준거법, 북한판결의 효력이 수정안에서 삭제되었다. 둘째, 북한주민이 선임한 재산관리인이 상속·유증재산 등으로 "남한 내의 토지, 건물, 기타 부동산 등"에 해당하는 재산을 사전에 법무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처분 또는 취득할 수 있게 정한 원안 상 내용이 수정안에서 삭제되었다. 셋째, 원안에 의하면 북한주민은 상속·유증 등을 원인으로 남한 내 재산에 관한 권리를 취득한 경우 재산관리인을 선임할 수 있었는데, 수정안에서는 재산관리인 선임의 권한을 법원에게만 귀속시킴으로써 상속인으로서의 북한주민의 권리를 제한하였다. 결론적으로, 제정안 원안은 제정안의 법 적용의 기본원칙인 '남북한관계론 제3유형에 의한 남북한특수관계론'의 형식적 측면은 지켰으나 그 내용 상 중요한 부분은 남북한관계론 제1유형을 따르고 있다고 볼 수 있고, 제정안 수정안은 형식적·내용적 측면 모두 남북한특수관계론에 반한다고 볼 수 있다. Since the conclusion of the Agreement on Reconciliation, Non-aggression,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ereinafter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South Korea, the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reflected a dual legal system of 'internally one nation with one state' and 'externally one nation with two states'. On 11 January, 2011, the Ministry of Justice gave notice of the proposed legislation of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Family Relations, Inheritance, etc. between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hereinafter the "original proposed legislation"). However, about 8 months after the proposal, on 18 August, 2011, the Ministry of Justice announced the amended proposed legislation (hereinafter the "amended proposed legislation"). The original proposed legislation and the amended proposed legislation (hereinafter the "two proposed legislations") mentioned the special relation as the "basic principle of application of the law" in Article 2, stipulating that "For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is law, it shall be considered that the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not a relation between two states, but a special relation temporarily formed in aiming for peaceful unification." However, the concept of the theory of this special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ereinafter the "Special Relation Theory") has not been specifically and precisely defined enough to be a basic principle of application of the law. Therefore, the Special Relation Theory cannot be actually applied to the two proposed legislations as the basic principle of application of the law, and arbitrary interpretation of it can cause serious confusion. Besides, the basic principle of the Special Relation Theory was not complied through the contents of the two proposed legis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Special Relation Theory, and to critically analyze the two proposed legislations accordingly. In the phase of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the Special Relation Theory,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principle of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the interpretation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he theories of scholars, the sentenc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etc. were studied. In the phase of conceptualization of the Special Relation Theory, based on the existing theories of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theory of the three-type in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as deducted, and then the conclusion that the Special Relation Theory shall be interpreted and applied consistently according to the 'Special Relation Theory by the Third Type in the theory of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theory was drawn. Three aspects could be explained according to the 'Special Relation Theory by the Third Type in the theory of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hich defines the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a special relation within one nationality. Firstly,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South Korea, the Special Relation Theory defines the relation as 'internally one nationality with one state and externally one nationality with two states.' Secondly, inside North Korea, there are two contradictory ambivalent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 as the partner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and the 'characteristic as the antinational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sentenc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However, thirdly, the antinational organization logic about North Korea is not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Special Relation Theory. After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two proposed legislations according to the 'Special Relation Theory by the Third Type in the theory of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und. The original proposed legislation recognized North Koreans' rights of inheritance in regard to properties located in South Korea, but at the same time limited the range of the inherited assets that can be taken out of South Korea to 'in case for the personal expense needed for living or for curing sicknesses of the owner or his/her relatives.' Authorization for the removal of assets is provided for by the abstract and broad exceptive clause: "when the removal of assets menaces national security, the maintenance of order and the public weal of the Republic of Korea". As a result, the North Koreans' rights of inheritance were actually deprived. The Ministry of Justice removed the legal provisions recognizing the jurisdiction, law and sentencing of North Korea from the original proposed legislation, and then reflected in the amended proposed legislation accordingly, giving as a reason that, "There was criticism that the laws of North Korea are illegal because North Korea is an anti-state organization.", which is inconsistent with the 'Special Relation Theory by the Third Type in the theory of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Ministry of Justice said it denied the effectiveness of laws of North Korea in the amended proposed legislation because there was criticism saying that "laws of North Korea are in general behind the times, and they have problems of abstractness, unclearness, etc." Far from denying the effectiveness of laws of North Korea, South Korea shall i) compare and analyze the laws of South and North Korea concerning family relations and inheritance, ii) try to find the solution of closing the gap between the two laws, iii) share the know-how of the developed legal system of South Korea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legal system of North Korea, iv) solve the problem related to family relations and inheritance reasonably, v) be of help to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v) eventually contribute to unification. The Ministry of Justice said that it amended the original proposed legislation to recognize the authority to appoint custodians of assets for the North Koreans of the court only, denying that of North Koreans, in view of the problems i) that North Koreans cannot give their independent opinion because they can hardly refuse the order of their authorities, ii) that brokers are likely to intervene in the process of appointing custodians of property, and iii) that the property of North Koreans can hardly be managed effectively, for people who accept to violate the law in return for a certain compensation can be appointed as custodians of assets. However, according to the 'Special Relation Theory by the Third Type in the theory of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t is an obvious logical contradiction for the Ministry of Justice to stipulate the clauses going against the Special Relation Theory of the Article 2 by reason of the characteristic as the anti-state organization. The two proposed legislations are based on the First Type in the theory of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r North Korea is interpreted in them as an anti-state organization. The progressive changes in the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ould be achieved when the directivity heads for the Third Type in the theory of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First Type → the Second Type → the Third Type), however, the progress of amending from the original proposed legislation to the amended proposed legislation marked a retreat to the First Type in the theory of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irstly, the effectiveness of the jurisdiction, law and sentencing of North Korea which had been recognized in the original proposed legislation was denied in the amended proposed legislation. Secondly, the article in the original proposed legislation recognizing that custodians of property appointed by North Koreans can dispose or acquire the property of "land, buildings, other real estate, etc. in South Korea" as property of inheritance, bequeath, etc. conditioned on the prior approval of the Minister of Justice was removed in the amended proposed legislation. Thirdly, according to the original proposed legislation, North Koreans could appoint custodians of property when they acquired the right to assets in South Korea by reason of inheritance, bequeathal, etc., however, the amended proposed legislation curtailed the right of North Koreans as legal heirs by vesting the authority of appointment of custodians of property in the Courts only. In conclusion, the original proposed legislation is in formal accordance with the 'Special Relation Theory by the Third Type in the theory of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ut in effect, integral parts of it followed the First Type of the theory of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amended proposed legislation, on the other hand, was contradictory to the Special Relation Theory in both form and substance.

      • 체제전환국 전력 산업 개발연구 - 베트남, 캄보디아, 미얀마 사례와 북한에 대한 함의 -

        김형주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analyzes and typifies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internal reforms revealed in the power sector development processes of Southeast Asian transition countries - Vietnam, Cambodia, and Myanmar - based on the power sector development model after the transition of the regime. The implications for North Korea are derived from this analysis. The development of the power sector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conomic development after the transition of the regime. The speed of power sector development in major transition countries varies externally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each country after the transition of the regime, the method and scale of specific procurement funds, and the degree of technology transfer. Internally, it changes through the release of existing monopoly areas through power regulations, the introduction of market mechanisms through power market reforms, and various forms of private participation in each value chain. After the transition of the regime, transition countries strive to secure funds through multiple methods such as multilateral ODA, bilateral ODA, and FDI and to utilize various technical supports in the process of normalizing foreign relations for power development. They also seek ways to respond to the demand for power quantity in a short period through project development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ivate participation and work to stabilize electricity rates. Vietnam secured funds for power sector development in the former way and Cambodia supplemented urgent funds and power quantity through the latter's expansion of private participation. Since the Doi Moi in 1986, Vietnam has been developing power under state leadership and initially selected Japan as a strategic ODA partner, receiving the necessary funds and technology for power development and actively induc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Through this, Vietnam successfully increased its power generation by carrying out phased project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the Phu My Power Plant. After the lifting of the U.S. embargo in 1992, Cambodia faced limitations in early international cooperation due to unstable political situations, such as the prohibition of U.S. aid again in 1997. This led to delays in drafting initial power development plans due to delayed financial support and power technology. Myanmar, following its regime transition in 1988, struggled to meet its rapidly increasing power demand within its poor social and economic foundation, but was limited in attracting ODA support in the power sector due to economic sanctions. Consequently, investments in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were delayed, failing to effectively improve the power situation. Transition countries, alongside international cooperation, also aim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ower development through internal reforms. They restructured existing monopoly state-owned power entities, reflecting market mechanisms in calculating electricity tariffs, and established power markets. These countries amended laws and regulations to facilitate private participation and carried out BOT contracts with Independent Power Producers (IPPs) to procure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unds needed to meet the rapidly increasing power demand. Vietnam, through continuous internal reforms, established power regulatory agencies and carried out vertical and horizontal restructuring, progressively reforming power transactions into single-buyer and retail-wholesale markets. It also identified private cooperation projects based on sustainable finances, steadily increasing power generation, achieving the highest per capita power usage among the three countries, applying appropriate electricity tariffs, and is regarded as the most successful power development case. In Cambodia, during the early stages of regime transition, a situation emerged where small-scale private independent power producers using imported diesel and heavy oil as self-generation materials proliferated without the central government establishing an integrated power grid. The state-owned power company did not restructure the production part of the power and still maintained a vertically integrated model. To respond to the power demand in rural areas and the outskirts of cities where national power grid supply was difficult, participation of small local power supply companies was encouraged. As a result, the fragmented power network by private power producers was substantially integrated, but the country still faces a national power shortage, and citizens bear very high electricity costs. Myanmar, since before the regime transition, restructured its monopolistic state-owned power enterprise and introduced a single-buyer model in the power market. However, without an independent regulatory agency and intentional reduction in electricity tariffs, it created a challenging situation for private power projects to secure profitability. Consequently, private participation projects were not actively developed, failing to achieve a cyclical increase in power generation, and the country still experiences a severe power shortage. It is generally predicted that North Korea's regime transition will follow the path of 'Vietnamese-style reform and opening up', and the power sector is also expected to follow the Vietnamese development model. However, according to the typification analysis of this study, it cannot be asserted that North Korea will necessarily achieve successful power development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internal reforms similar to Vietnam. Instea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ower development in North Korea may proceed in a manner similar to Cambodia or Myanmar, showing less notable results. Specifically, if a regime transition occurs, North Korea has the option of moving away from its current form of very limited cooperation with some countries, actively utilizing multilateral ODA, bilateral ODA, and establishing strategic bilateral ODA partnerships for financial and technical support through stable management of foreign relations. However, due to variables in foreign relations and regime instability,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power sector development may be delayed, and if this prolongation occurs, the progress of mid-to-long-term power development could be inevitably limited. The form of North Korea's power market has remained a monopoly model controlled by party agencies, and if the establishment of supervisory agencies is delayed or these agencies function only formally as in Myanmar, it cannot be asserted that they will function independently to maintain production costs in electricity tariffs. Additionally, in terms of reforming the power trading market after the regime transition, it is hard to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a limited vertical integration model, similar to Cambodia, will be maintained for a significant period to preserve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control over the power sector. North Korea is likely to supplement its current basic foreign investment laws and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regulations to address its initial power demand, aiming to expand power supply in a short period by inducing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in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imilar to Cambodia's case. Further, if cyclical power development is delayed due to uncertainties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internal reform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might transfer the obligation of power supply to local enterprise-style power operators or allow entrepreneurs with acquired rights to actively enter the power sector to meet the sudden demand. However, for such private participation to be sustainable, a power tariff system based on market mechanisms, rather than state-controlled power prices, needs to be established, and this will require significant time and the maturity of internal reforms mentioned earlier. In summary, the development of the power sector in North Korea is more likely to follow the Cambodian model, which relies on private participation due to limite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failure in active restructuring of the power sector and establishment of supervisory agencies, rather than the Vietnamese model with successful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yclical internal reforms. Moreover, if the establishment of a power tariff system based on market mechanisms is delayed in North Korea, active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may be lukewarm, leading to very low levels of power development achievements similar to Myanmar.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dentifies the options and reform paths for stakeholders in North Korea's power sector and derives various power sector cooperation issues under the premise of political agreement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rough the development and successful execution of pilot projects, the experience of joint power development can mature, leading to pragmatic outcom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Korean cooperation system and the advancement of economic cooperation. 본 연구에서는 체제전환 이후 전력산업개발 모델을 토대로 동남아 체제전환국인 베트남, 캄보디아, 미얀마의 전력산업개발 과정에서 드러난 국제협력과 내부개혁을 분석 및 유형화하여, 북한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전력산업의 개발은 체제전환 이후의 경제 발전에도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주요 체제전환국의 전력산업개발 속도는 외부적으로는 체제전환 이후의 각국과의 국제협력 방향, 구체적인 조달 재원 방법과 규모, 기술이전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내부적으로는 전력법규를 통한 기존 독점영역 해제, 전력거래시장 개혁을 통한 시장 메커니즘의 도입, 각 벨류체인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민간 참여 등을 통해 변화한다. 체제전환국은 체제전환 이후 대외관계 정상화 과정에서 전력개발을 위해 다자간 ODA, 양자간 ODA, FDI를 통해 복합적인 방법으로 재원을 확보하고 다양한 기술지원을 활용하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국내외의 민간 참여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개발을 통해 단기간에 전력량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모색하며, 전력요금을 안정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베트남은 전자의 방식으로 전력산업개발을 위한 재원을 확보했고, 캄보디아는 후자의 민간 참여 확대를 통해 긴급한 재원과 전력량을 보충했다. 베트남은 1986년 도이모이 이후 국가 주도하에 강력하게 전력을 개발시켜 왔으며, 처음부터 일본을 전략적 ODA 파트너로서 선정하여 전력개발 분야에 필요한 재원과 기술을 지원받고, 국제협력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이를 통해 푸미 발전소 건설 등 단계적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발전 전력량을 성공적으로 증가시켰다. 캄보디아는 1992년 미국에 의한 금수조치 해제 후, 1997년에 다시 미국의 원조가 금지되는 등의 불안한 정세로 재정지원과 전력기술의 지연으로 초기 전력개발계획 작성이 늦어지는 등 초기 국제협력에 한계가 있었다. 미얀마 역시 1988년 체제전환을 추진한 이후 열악한 사회, 경제적 기반 속에서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응하려 노력했지만, 경제제재로 인하여 전력분야 ODA 지원을 이끌어 내기에는 제한적인 상황이었다. 결국, 발전 및 송배전의 투자가 지연되어, 전력상황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지 못하였다. 체제전환국은 이러한 국제협력과 더불어, 내부개혁을 통해 전력개발의 효율성 증가를 도모한다. 기존 독점 국영 전력기관들을 구조조정하고, 시장 메커니즘을 반영해 전기요금을 산정하는 전력거래시장을 구축하였다. 이들 국가는 빠르게 증가하는 전력수요 대응에 필요한 인프라 건설재원을 조달하기 위해, 민간 참여를 촉진하는 법·제도를 정비하고, 독립발전사업자(IPP)의 BOT 계약 등을 진행하였다. 베트남은 지속적인 내부개혁을 통해 전력규제기관을 설치하고 수직, 수평적 구조조정을 실시하였으며, 전력거래를 단일구매자, 소매도매시장으로 순차적으로 개혁하였다. 또한 지속가능한 재정에 기반한 민간협력 프로젝트를 발굴해 전력량을 꾸준히 증가시켜, 3국 중 가장 높은 인당 전력사용량을 달성하고 적정한 전기세를 적용하여, 가장 성공적인 전력개발사례로 평가받는다. 캄보디아는 체제전환 초기에 중앙정부에 의한 통합전력망을 구축하지 못한 상황에서 수입 디젤 및 중유를 자체 발전 원료로 사용하는 소규모 민간 독립발전사업자들이 난립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영전력기업이 전력을 생산하는 부분을 구조조정을 하지 못하고, 여전히 수직 통합모델을 유지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영전력망을 통한 전력공급이 어려운 농촌 및 도시 주변 지역의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영세 전력공급기업들의 참여를 유도하였다. 결과적으로, 민간발전사업자들에 의해 파편화된 전력망을 상당 부분 통합하였으나, 여전히 국가적인 전력량 부족을 겪으며, 국민들은 매우 높은 전기료를 부담하고 있다. 미얀마는 체제전환 이전부터 독과점이었던 국영전력기업을 구조조정하고, 전력거래시장에 단일구매자 모델을 도입했다. 하지만 독립된 규제기관이 없는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전기세 절하를 진행하여, 민간 전력프로젝트들이 수익성을 확보하기 힘든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민간 참여 프로젝트들이 적극적으로 개발되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전력량의 선순환적인 증가를 달성하지 못해, 여전히 심각한 전력량을 겪고 있다. 일반적으로 북한의 체제전환은 ‘베트남식 개혁개방’의 경로를 따라갈 것이라고 예측되고, 전력산업 역시 베트남식 개발을 따를 것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유형화 분석 결과, 북한이 반드시 베트남과 유사한 경로의 국제협력과 내부개혁을 통해 성공적인 전력개발을 달성할 것이라고 단언할 수 없으며, 오히려 캄보디아 또는 미얀마식의 유형으로 전력개발이 진행되어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지 못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체제전환이 이뤄질 경우 북한은 기존에 일부 국가와 매우 제한적으로 협력하던 형태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대외관계 관리를 통해 다자간 ODA, 양자간 ODA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전략적 양자ODA 파트너쉽을 체결하여 금융지원 및 기술지원을 받을 수 있는 선택지가 있다. 하지만, 대외관계 변수와 체제 불안정성으로 인해 전력산업개발의 국제협업이 지연될 수 있으며, 이것이 장기화될 경우 불가피하게 중장기적인 전력개발의 진행이 제한될 수도 있다. 북한의 전력시장의 형태는 당기관에 의한 독점모델에 머물러 왔기에, 감독기관 설립이 지연되거나 설립 이후에도 미얀마와 같이 감독기관이 형식적인 기능만을 보유하게 된다면, 전력요금이 생산 원가보다 높게 책정된다고 단언할 수 없다. 또한 체제전환 이후 전력거래시장의 개혁 부분에서도 역시, 북한 정부의 전력산업에 대한 지배력 유지를 위해 캄보디아와 같은 제한적인 수직통합모델이 상당 기간 유지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북한은 초기의 전력수요 대응을 위해 현재의 기초적인 외국인 투자법과 민간 참여에 대한 제도를 보완하여, 캄보디아의 사례와 같이 발전 및 송배전에 민간 참여를 유도하여 단기간에 전력 보급 확대를 목표로 할 가능성이 농후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 나아가, 국제협력과 내부개혁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선순환적인 전력개발이 지연될 경우, 급격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북한 정부가 지역 기업소 형태의 전력사업자들에게 전력공급의 의무를 전가하거나, 사업권을 획득한 돈주가 전력산업에 적극적으로 진입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민간 참여가 지속가능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국영 전력 가격이 아닌,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전력요금 체계가 확립되어야 하며, 여기에는 상술한 내부개혁의 성숙과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분석을 요약하면, 북한의 전력산업개발은 성공적인 국제협력과 선순환적인 내부개혁을 이룩한 베트남식이 아닌, 제한적인 국제협력 상황에서 적극적인 전력산업의 구조조정과 감독기관의 설치에 실패하여, 민간 참여에 의존한 캄보디아식 전력산업개발이 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북한에서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전력요금 체제의 확립이 지연될 경우, 적극적인 민간 참여가 미온적일 수 밖에 없어 미얀마와 같이 매우 낮은 수준의 전력개발의 성과를 가지게 될 개연성이 높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북한의 전력산업의 이해관계자들의 선택지와 개혁과정의 경로를 발견하고, 남북 간 정치적 합의의 전제하에서 다양한 전력분야의 협력 사안을 도출하였다. 시범사업의 개발과 성공적인 수행을 통해 공동 전력개발의 경험은 성숙해질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한 남북 간 협력체계의 구축과 경협의 고도화라는 실용주의적 성과가 기대된다.

      • 북한의 속도전식 대중운동 연구 (1974-2020) -정치전략과 경제전략의 배합-

        김진화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thesis studies the mechanism by which mass movements based on speed battles in North Korea developed due to specific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and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being forced to continue these mass movements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 result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mass movements based on speed battles in terms of a combinat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strategies. By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such mass movements and confirming the results, this study examines their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Unlike other socialist countries, North Korea has fostered loyalty and obedience to its leader based on its socialist construction method, called the speed battle, which produces the best results in the shortest time. This is because it is a North Korean-style political strategy based on the superiority of ideology and political work, as well as an economic strategy for improving the labor force as an economic construction method that prioritizes human ideology. Beginning with the 70-day battle in 1974, North Korea introduced the speed battle in various fields to achieve various business results and gain support from the people. In other words, North Korea's mass movements based on speed battles are not temporary movements of collective labor force mobilization, but have the positive function of inducing ideological sympathy for the maintenance of the regime. North Korea's mass movements based on speed battles can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regimes: Kim Il-sung (1974-1994), Kim Jong-il (1994-2011), and Kim Jong-un (2012-2020). First, mass movements based on speed battles during Kim Il-sung’s regime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the system by reaping great results in ideological reform and socialist construction, with the positive response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who agreed with the vision of the state and party. In contrast, speed battles during Kim Jong-il’s regime focused on control and re-socialization to maintain stability due to increasing concern about the future and difficulties faced by the people amid the crisis caused by the death of Kim Il-sung and isolation due to the collapse of the former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Mass movements based on speed battles during Kim Jong-un’s regime emphasize modernization and scientificization in order to build an image of a “loving people leader” who strives to develop the econom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By linking the achievements and ideologies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to the banner of his guiding ideology, Kim Jong-un internalized his legitimacy as a success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s mass movements based on speed battles unfold when internal factors such as economic difficulties, natural disasters, and systemic crises, or external factors such a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deterioration in inter-Korean relations occur. Second, the positive functions of improving productivity, enhancing national/collectivist sentiments, and strengthening loyalty to the leader occur, when mass movements based on speed battles unfold. Third, the negative functions of heightened antipathy and dissatisfaction among the residents caused by economic imbalance and labor exploitation through intensive collective labor occur, as limited resources and manpower are unreasonably invested in a specific field. Fourth,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goals of economic performance, internal solidarity, and strengthening of leadership are greater; therefore, mass movements based on speed battles will continue. Recently, North Korea continued to strengthen its regime’s solidarity by advocating a speed battle internally in response to high pressure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nsidering that speed battles continue to be emphasized through “Joseon speed” and “Mallima speed,” research on mass movements based on speed battles as a combinat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strategies is of great importance. 이 논문은 북한에서 속도전식 대중운동이 어떤 대내ㆍ대외적 배경에서 전개되고, 과정상 발생하는 순기능과 역기능은 무엇이며, 그 결과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대중운동을 지속할 수밖에 없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이 연구는 속도전식 대중운동을 정치전략과 경제전략이 배합된 측면으로 분석하고 있다. 북한이 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속도전식 대중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정치전략 및 경제전략의 도구로서 속도전식 대중운동의 효과성과 지속 가능성을 알아보려는 것이다. 북한은 여타 사회주의 국가들과 달리 최단기간 안에 최상의 성과를 내는 속도전이라고 불리는 고유의 사회주의 건설방식을 토대로 수령에 대한 충성심과 복종심을 고양시켜 왔다. 이는 속도전이 인간의 사상을 최우선적으로 동원하는 경제건설 방식으로 단지 노동력 제고를 위한 경제전략일 뿐만 아니라 사상의 우위, 정치사업의 우위에 입각한 북한식 정치전략이기 때문이다. 1974년 ‘70일전투’를 시작으로 북한은 대내․대외적 위기 상황에서 속도전식 대중운동을 전개하여 다양한 사업 성과를 이룩했으며, 이를 통해 주민들의 지지를 얻어 나갔다. 다시 말해 속도전식 대중운동은 집단적인 노동력 동원의 한시적 운동이 아니라 체제 유지에 대한 이념적 동조를 유도하는 순기능을 해왔다. 북한의 속도전식 대중운동은 시기별로 김일성 정권(1974~1994년), 김정일 정권(1994~2011년), 김정은 정권(2012~2020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김일성 정권의 속도전식 대중운동은 국가와 당이 제시한 비전에 동감한 주민들의 긍정적 호응과 참여로 주체사상 확립과 사회주의 건설에서 큰 성과를 거두며 체제 강화에 기여했다. 반면 김정일 정권의 속도전식 대중운동은 구소련과 동구권의 붕괴로 고립된 국제 환경과 김일성의 사망으로 인한 위기 상황 속에서 주민들의 생활고와 미래에 대한 불안 증가에 맞서 체제를 유지시키고자 유훈통치와 선군정치를 이용한 통제와 재사회화의 목적이 보다 강조되는 대중동원의 형태를 나타냈다. 그리고 김정은 정권의 속도전식 대중운동은 경제개발과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애쓰는 애민 지도자의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현대화와 과학화를 중점적으로 강조하고 김일성과 김정일의 업적과 사상을 연결해 지도사상이라는 기치로 내세워 후계자로서의 정통성과 정당성을 주민들에게 내면화시키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발견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속도전식 대중운동은 대내․대외적 요인에 의해 전개된다는 점이다. 둘째,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국가/집단주의 정서가 고양되고 지도자에 대한 충성심이 강화되는 순기능이 발생한다. 셋째, 한정된 자원과 인력을 특정 분야에만 투입하여 경제 불균형이 생기고 노동력 착취로 인해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된다는 역기능도 있다. 넷째,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성과와 정치적 목적 달성이 더 크기에 속도전식 대중운동을 지속 전개하게 된다는 것이다. 북한은 최근에도 국제사회의 고강도 압박에 대응하여 내부적으로 각종 분야에 속도전을 내세워 체제 결속을 지속 끌어올리고 있다. ‘조선속도’, ‘만리마속도’ 등을 주창하며 속도를 계속 강조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정치 및 경제전략의 배합인 속도전식 대중운동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하겠다.

      • 북한의 인구 재생산 담론 변화 연구 - 여성의 임신·출산을 중심으로

        유성애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김정은 정권을 비롯해 김일성-김정일 정권의 ‘인구 재생산’ 담론 변화, 즉 주민의 결혼과 임신, 출산 등에 대한 정권의 담론이 어떻게 바뀌는지 분석한다. 근대 권력은 구성원의 신체를 규율하고 통제하려 한다는 미셸 푸코의 이론에 기반해 1970년대부터 현재(2023)까지 북한 정권의 인식과 담론의 변화를 살핀다. 그 시기 발간된 신문과 잡지, 영화와 단행본 등 문헌자료를 통해 시대별 정권의 담론 양상이 50여 년 간 실제 어떻게 달라져왔는지 검토한다.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북한 최고지도자들은 그 시대 정권이 처한 사회경제적 위기와 필요에 따라 주민 신체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방식을 통해 인구를 통제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1948년 정권 수립 이래로 북한은 출산장려(1950년대-1960년대)→출산억제(1970년대-1990년대 중반)→출산장려(1990년대 후반-)정책을 펼쳐왔으며, 이는 정권 차원의 낙태(임신중지) 무료시술과 피임기구 보급 등을 통해 전개됐다. 연구 결과, 북한 정권은 출산을 억제할 때는 연애‧결혼을 포기하는 여성인 ‘로력(노동)영웅’을 앞세우고, 반대로 장려할 때는 자녀를 많이 낳는 ‘모성영웅’을 모범으로 제시했다. 출산 억제 시기엔 ‘위험성 높은 임신’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위험하니 출산하지 말라고 했다가, 출산 장려 시기엔 고아를 돌보는 여성인 ‘처녀어머니’를 만들어 국가가 할 일을 떠넘겼다. 35세 이상 여성의 출산(노산), 임신 중지(낙태)에 대한 정권의 설명도 그 시기 필요에 따라 반대로 나타났다. 정권은 시기별 필요에 따라 전략적으로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냈다. 여성을 ‘어머니’로 호명하며 정체성을 모성에 국한시키려고 하는 것도 70여 년 간 변하지 않는 모습이었다. ‘남녀평등권법’ 제정에서 볼 수 있듯 정권 수립 초기 진보적이었던 북한의 여성 정책은 수차례 굴절로 인해 후퇴했으며, 그 결과 여성은 어머니와 아내, 며느리와 노동자 등 4중 역할부담에 시달리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는 북한 정권이 시기별로 어떤 담론과 정책을 통해 주민들의 결혼과 출산을 조율했는지를 분석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1990년대 후반 식량난 ‘고난의 행군’ 시기 뒤 주요 행위자로 떠오른 북한 여성의 현실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를 통해 북한 사회 전반에 깔린 남성 가부장제 문화의 궤적을 살펴볼 수 있으며, 최근 북한에서 나타나는 북한의 저출산 추세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ing discourse of population reproduction (human reproduction) under Kim Jong-un and Kim Il-sung and Kim Jong-il, that is, how the regime’s discourse on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irth changes. Based on Michel Foucault’s theory that modern power tries to regulate and control the bodies of its members, the study examines the North Korean regime’s perception and discourse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2023). Through literature materials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movies, and books published publicly at that time, it examines how the DPRK regime’s discourse patterns have actually changed over the past 50 years. The study found that North Korea’s top leaders, from Kim Il-sung to Kim Jong-il to Kim Jong-un, have controlled the population through direct and indirect involvement in the bodies of its citizens, depending on the socioeconomic crisis and the regime‘s needs at the tim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me in 1948, North Korea has engaged in a policy of childbirth encouragement(∼1960s), birth control (1970s to mid-1990s), childbirth encouragement(late 1990s∼), which has included the regime’s direct provision of free abortions to the population and the active distribution of contraceptive devi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orth Korean regime promoted “labor heroes” - women who gave up relationships and marriage - when discouraging births, and “maternal(Mother) heroine” - women who gave birth to many children - when encouraging births. When births were discouraged, the concept of “risky pregnancy” was created to discourage births as much as possible, and when births were encouraged, “virgin mothers,” women who devoted themselves to care work and took care of orphans on behalf of the state, were created to take over the state’s work. The regime’s explanations for women over the age of 35 having children (late childbearing, advanced maternal age) and termination of pregnancy (abortion) also reversed, in accordance with the regime’s strategic objectives. Each time, the North Korean regime strategically created new concept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regime at that time, and through this, the regime tried to control the birth of its people. The regime’s attempt to limit its identity to motherhood by calling women only “mothers” has also remained unchanged for more than 70 years. North Korea’s women’s policies and rights were progressive at the beginning of the regime, 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enacting the ‘Equal Rights of Men and Women Act’. However, this was subsequently frustrated several times, and eventually retreated backward. As a result, women are found to be burdened with quadruple roles: mother, wife, daughter-in-law, and socialist work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s how the North Korean regime orchestrated marriage and childbearing through discourse and policy over time.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alities of North Korean women, who have emerged as key actors in the wake of the food shortage referred to as the ‘Arduous March’ in the late 1990s. The study sheds light on the trajectory of male patriarchal culture in North Korean society and helps us to understand the recent phenomenon of low fertility in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