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강화도 장화리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계절적 분포 및 일차 생산력

        유만호,최중기,Yoo, Man-Ho,Choi, Joong-Ki 한국해양학회 2005 바다 Vol.10 No.1

        강화도 장화리 펄 조간대 지역에서 2002년 5월-2004년 4월까지 저서미세조류의 계절분포를 조사하였으며, 저서미세조류의 일차생산력 측정과 HPLC를 이용한 색소분석 방법으로 저서미세조류의 생산능력 및 분류군별 분포를 파악하였다. 강화도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는 조간대 중부에서 많은 현존량을 보였다 강화도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계절별 현존량 변동은 $2.3-140.9{\times}10^5\;cells\;cm^{-2}$의 범위로 하계와 동계에 낮은 현존량을 보였고 2003년 2월에서 4월까지 저서미세조류의 대증식 헌상이 나타났다. 저서미세조류는 대부분 저서성 돌말류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고, 특히 연중 Paralia sulcata가 전 정점에서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그외에 Cylindrotheca closterium과 Nitzschia sp.가 2월과춘계에 크게 우점하였다. HPLC 색소분석을 통한 저서미세조류 군집조성은 돌말류를 포함하여 유그레나류, 남조세균, 녹조류, 은편모조류, 황갈조류, 와편모조류 등 다양한 종류가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l a의 함량은 1.18-34.25 mg $m^{-2}$의 범위로 평균 7.60 mg $m^{-2}$을 보였다. Fuco/Chl a는 평균 0.7로 나타나 연구기간동안 돌말류가 전체 저서미세조류 생물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Chl b/Chl a는 평균 0.17로 유그레나류와 녹조류가 일정 시기에 서로 공존하여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일차생산력의 화는 4.2-113.0 mgC $m^{-2}\;hr^{-1}$비 범위로 평균 33.9 mgC $m^{-2}\;hr^{-1}$로 나타났고, 초기기울기 $(\alpha)$의 변화범위는 0.002-0.005$(mgC\;mgchl-a^{-1}\;hr^{-1}){\cdot}({\mu}E\;m^{-2}\;s^{-1})^{-1}$로 측정되었다. 동화계수(Pm)는 0.50-1.32 mgC $mgchl-a^{-1}\;hr^{-1}$의 변화범위를 보였고, 일일 일차생산력은 20.9-678.1 mgC $m^{-2}\;d^{-1}$ 범위로 평균 206.7 mgC $m^{-2}\;d^{-1}$을 보여 일반적인 갯벌에서의 생산력 범위를 보였다. We studied seasonal distribution of the microphytobenthos and their primary production with $C^{14}$ method and carried out pigment analysis with HPLC in an estuarine mudflat of the Ganghwa Island, Korea from May 2002 to April 2004. The abundances of microphytobenthos were higher at the middle than upper part and lower part of intertidal flat. Abundances of microphytobenthos ranged from $2.3{\times}10^5\;cells\;cm^{-2}$ to $140.9{\times}10^5\;cells cm^{-2}$. The bloom of microphytobenthos was observed in the early spring and then it decreased from spring to summer and autumn. The pennate diatom was a predominated group among the microphytobenthos in this area.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alia sulcata, Cylindrotheca closterium and Nitzschia sp.. Nitzschia sp. and Cylindrotheca closterium were predominant in February. The results of pigment analysis suggest the presence of diatoms, euglenophytes, chlorophytes, cyanobacteria, cryptophytes, chrysophytes, prymnesiophytes, dinoflagellates and prasinophytes. The biomass of microphytobenthos ranged from 1.18 to 34.25 mg chl-a $m^{-2}$, with a mean of 7.60 mg chl-a $m^{-2}$. The mean ratio of Fuco/Chl a was 0.7 which indicates that most of biomasses of microphytobenthos were due to diatoms. The ratios of Chl b/Chl a ranged from 0 to 0.82(with a mean of 0.17), implying that euglenophytes and chlorophytes lived together in special period seasonally. Temporal variation of primary production ranged from 4.2 to 113.0 $mgC{\cdot}m^{-2}{\cdot}hr^{-1}$(mean value was 33.9 $mgC{\cdot}m^{-2}{\cdot}hr^{-1}$ and initial slope$({\alpha})$ was measured from 0.002-0.005$(mgC\;mgchl-a^{-1}\;hr^{-1}){\cdot}({\mu}E\;m^{-2}\;s^{-1})^{-1}$. Assimilation number$(P_m)$ was in the range of 0.50-1.32 $mgC{\cdot}mgChl-a{\cdot}hr^{-1}$ and daily primary production ranged from 20.9 to 678.1 $mgC{\cdot}m^{-2}{\cdot}d^{-1}$(mean value was 206.72 $mgC{\cdot}m^{-2}{\cdot}^{-1}$).

      • KCI등재

        진해만 서부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유만호,송태윤,김은수,최중기,Yoo, Man-Ho,Song, Tae-Yoon,Kim, Eeu-Soo,Choi, Joong-Ki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4

        We studied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the phytoplankton and their relationships to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western Jinhae Bay, Korea from November 2003 to August 2004. In most cases,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homogeneous distribution.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composed of mainly diatoms and dinoflagellates, and their standing crops ranged from $16{\times}10^3\;cells\;l^{-1}\;to\;5,845{\times}10^3\;cells\;l^{-1}$ (with a mean value of $555{\times}10^3\;cells\;l^{-1}$). The bloom of phytoplankton was observed in Gohyun Port in the summer.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was higher in winter and summer than in spring and autumn. The dominant species were Skeletonema costatum, Akashiwo sanguinea, Pseudo-nitzschia pungens, Dactyliosolen sp., Leptocylindrus danicus, cryptomonads and etc. Especially, S. costatum was predominant in the summer and A. sanguinea (spring and autumn), Pseudo-nitzschia sp. (summer), Guinardia striata (spring), unidentified flagellates (summer) and cryptomonads (spring) appeared to be an opportunistic species. Concentrations of Chl a ranged from $0.6{\mu}g{\cdot}l^{-1}\;to\;16.7{\mu}g{\cdot}l^{-1}$ (with a mean value of $3.4{\mu}g{\cdot}l^{-1}$). The results of the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implies the study area was grouped into the 2 water masses (inner and outer waters of Gohyun Port) and inner waters had higher abundance and Chl a concentration than outer waters. Also, phytoplankton sanding crops were related with temperature, DO and nutrients ($SiO^2$, TN, TP and etc.) in inner waters. Inner water-mass of Gohyun Port expanded between Gacho Is. and Chilchon Is. during the winter. 남해 진해만 서부해역에서 2003년 11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식물플랑크톤의 시 공간 분포특성 및 해양환경요인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해양환경요인은 균일한 공간분포를 보였고, 식물플랑크톤 종조성은 돌말류와 와편모류가 주를 이루었으며 개체수는 연간 $16{\times}10^3\;cells\;l^{-1}{\sim}5,845{\times}10^3\;cells\;l^{-1}$(평균 $555{\times}10^3\;cells\;l^{-1})의 범위로 변화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은 고현항 내측수역에서 하계에 발생하였다. 계절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월(동계)과 8월(하계)에 높고, 5월(춘계)과 11월(추계)에 낮았다. 연구기간동안 Skeletonema costatum, Akashiwo sanguinea, Pseudo-nitzschia pungens, Dactyliosolen sp., Leptocylindrus danicus, cryptomonads 등이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특히, S. costatum은 하계에 극우점하여 출현하였으며, A. sanguinea(추계와 춘계), Pseudo-nitzschia sp.(하계), Guinardia striata(춘계), 미동정 편모류(하계), cryptomonads(춘계) 등은 특정시기에 높은 우점률을 보였다. Chl a 농도는 연간 $0.6{\mu}g{\cdot}l^{-1}{\sim}16.7{\mu}g{\cdot}l^{-1}$(평균 $3.4{\mu}g{\cdot}l^{-1}$)로 나타났다. 정준대응분석 결과 진해만 서부해역은 크게 두 개의 수역(고현항 내측과 외측)으로 나눠지며, 높은 밀도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 a 농도를 보인 고현항 내측의 경우 수온, 용존산소, 영양염류($SiO^2$, TN, TP and etc.) 등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환경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현항 내측수괴는 동계에 가조도와 칠천도 사이의 중앙 수역까지 확장되어 나타났다.

      • KCI등재

        2016년 한국 수산자원보호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및 해역별 분포

        유만호,박경우,오현주,구준호,권정노,윤석현 해양환경안전학회 2018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sonal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Fisheries Resources Protection Area of Korea (FRPA). We investigated the phytoplankton composition, abundance and dominant species collected from five different regions (Cheonsu, Tongyeong-I, Tongyeong-II, Hansan, and Jindong) in 2016. According to the results, most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and nutri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easonal differences. Suspended particulate material (SPM) onl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 The mean abundance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13 to 4,062 cells·ml-1, with large spatio-temporal fluctuations. In particular, the bloom of phytoplankton (>103 cells·ml-1) in Cheonsu Bay occurred in April and October with Skeletonema spp. and Chaetoceros socialis being the dominant species during these two seasons,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in the FRPA were diatoms (Pseudo-nitzschia spp., Skeletonema spp., and Chaetoceros pseudocriniuts) and dinoflagellates (Scrippsiella trochoidea and Tripos furca).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show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waters, i.e., that diatoms usually dominated in winter and autumn, while dinoflagellates tended to dominate in spring and summer. Meanwhile, the dominance rate of diatoms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Cheonsu Bay, which is located in a high-turbidity region, was 9~27% greater than that of diatoms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found in the south coastal waters, which is a low turbidity region. 수산자원보호해역의 계절 및 해역별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6년 천수만, 통영(I, II), 한산만, 진동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 현존량 및 우점종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대부분의 환경요인(수온, 염분, 영양염류)은 계절적인 변화가 뚜렷한 반면 부유물질은 해역별 차이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평균 13~4,062cells·ml-1의 범위로 조사시기 및 해역에 따라 큰 변동범위를 보였다. 특히 천수만은 4월과 10월에 식물플랑크톤 대량증식(>103cells·ml-1)이 발생하였고, 우점종인 Skeletonema spp.(4월)와 Chaetoceros socialis(10월)가 시기적인 차이를 보였다. 조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은 Pseudo-nitzschia spp., Skeletonema spp., Chaetoceros pseudocriniuts 등의 돌말류와 와편모류인 Scrippsiella trochoidea, Tripos furca 등이 출현하였다. 계절적으로는 돌말류가 동·추계에 우점하는 반면 와편모류가 춘·하계에 우점하는 일반적인 연안특성을 보였다. 단, 지역적으로는 고탁도 해역인 서해에 위치한 천수만이 남해 해역보다 돌말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9~27%가 높았다.

      • KCI등재

        태안반도주변에서 춘계 황사 전·후 식물플랑크톤 반응특성과 황사분진 영향평가

        유만호,윤석현,오현주,최중기 해양환경안전학회 2018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4 No.7

        황사가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황사가 발생한 2006년 4월 22 ~ 26일까지 태안반도 인근해역에서 현장조사 및 생리실험을 수행하였다. 황사발생동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26~290×10³cells·L⁻¹의 범위로 다소 낮은 현존량과 주요 분류군인 돌말류의 증가, 특히 혼합해역의 대표종인 Paralia sulcata와 같은 저서성 돌말류의 증가가 뚜렷하였다. 또한 황사발생 후의 Chl-a 농도는 황사발생 전의 조석에 따른 Chl-a 농도변화범위를 초과하였다. 황사투여실험에서는 황사투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일차생산력은 점차 감소하였고, 최대 탄소 동화계수 역시 같은 경향을 보였다. 48시간 배양실험에서는 황사투여 초기(T0)에 실험구(test)가 대조구(control)에 비해 낮은 일차생산력을 보였으나, 48시간 후(T48)에는 실험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일차생산력을 보였다. 특히 실험구는 초기보다 48시간 후의 일차생산력이 약 321%로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중국과 인접한 조사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은 황사와 함께 수반되는 강한 물리적 환경이 발생초기에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일시적으로 저해시킬 수 있으나, 이후 안정적인 수괴가 지속될 경우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잠재적인 요인으로도 파악되었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yellow dust on phytoplankton, a field survey and physiolog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waters near Taean Peninsula from April 22 to 26, 2006, when yellow dust occurred. Phytoplankton populations during the yellow dust period were in the range of 26~290×10³cells·L⁻¹, a somewhat low standing crop. An increase in diatoms (a main taxonomic group), especially benthic diatoms such as Paralia sulcate, a typical species for active mixed sea water areas, was also remarkable. In addition, the Chl-a concentration after yellow dust exceeded the Chl-a concentration change range according to the tide before yellow dust. As the concentration of yellow sand increased in a yellow sand treatment experiment, primary productivity decreased, and the maximum assimilation number showed the same tendency. In the 48h culture experiment, primary productivity of the test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the early stage (T0) of yellow sand treatment, but after 48 hours (T48), the test group showed higher primary produc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the primary productivity of the tes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o 321% after 48 hours. Therefore, strong physical environment accompanied by yellow dust may temporarily inhibit the growth of phytoplankton in the waters adjacent to China in the early stage of yellow dust, but the formation of stable water mass has also been identified as a potential factor promoting the growth of phytoplankton.

      • KCI등재

        낙동강 하구역에서 2013-2015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분포 특성

        유만호,윤석현,박경우,김아람,윤상철,서영상,Yoo, Man-Ho,Youn, Seok-Hyun,Park, Kyung-Woo,Kim, A-Ram,Yoon, Sang-Chol,Suh, Young-Sa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2 No.6

        낙동강 상류지역 건설사업 이후, 식물플랑크톤의 시 공간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2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낙동강 하구둑에서 가덕도 동편에 이르는 수역에서 격월로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을 조사하였다. 환경요인은 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 하부수역 및 계절적 차이가 나타났다. 상부수역은 돌말류, 녹조류, 남조류가 하부수역보다 높았고, 특히 담수돌말류와 남조류가 우점하였다. 반면 하부수역은 와편모류가 주로 출현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상부수역은 Stephanodiscus spp., Asterionellopsis formosa, Microcystis spp.가 주로 담수방류에 의한 인위적인 유입과 관련성이 나타났다. 우점종과 상관관계가 나타난 환경요인은 수온, 풍속, DIP, DIN 등으로 나타났다. 하부수역에서 상위종으로 출현한 와편모류는 대부분 영양염류 및 바람과 상관성이 나타났다. 특히 하부수역에서 Prorocentrum donghaiense은 DIN, 풍속, 강풍발생 일수와 음의 상관성이 나타났고, 하계시기에 집중적으로 출현한다. 유사도와 PCA분석에서도 상부수역은 시기적인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반면 하부수역에서는 계절적인 차이가 발생하였다. 하부수역은 2014년 일부시기를 제외하고, 크게 와편모류가 증가하는 6-8월과 돌말류가 우점하는 10-4월로 구분되었다. 이는 지리적 특성에 의한 담수 방류의 영향범위 차이가 담수종과 영양염류의 유입을 변화시켜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after barrage construction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his study investigated relevant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status based on bi-monthly samples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itself from February 2013 to December 2015. Environmental parameter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ross these years but did vary between zones and seas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upper zone was dominated by fresh-water diatoms, green algae, and blue-green algae, whereas the lower zone was mostly dominated by dinoflagellates. The presence of Stephanodiscus spp., Asterionellopsis formosa, and Microcystis spp. in the upper zone was related to the inflow of freshwater discharge by artificial control of dyke gates. The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in this zone were dependent on temperature, wind speed, DIP, and DIN, while those in the lower zone were mostly dependent on nutrients and wind speed. In addition, at the lower zon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rorocentrum donghaiense, DIN, and wind speed, with its abundance being higher during the summer than other seasons. Analysis of temporal variations did not indic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pper zone but did reveal variations among seasons at the lower zone. Except in 2014, the lower zone could be divided into periods dominated by diatoms (October-April) and dinoflagellates (June-Augu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inflow of freshwater species and nutrients given the difference in the range affected by freshwater discharge.

      • KCI등재

        한국 남해안(여수, 남해, 통영) 연안해역 춘·하계 어류 자치어 분포 특성

        최희찬,유만호,윤석현,오현주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3 No.6

        한국 남해 연안에 출현하는 춘·하계 어류 자치어 군집의 조성과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남해 의 세 해역(여수, 남해, 통영)에서 RN80 네트를 이용해 매월 1회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50개 분류군의 자치어가 채집되었고, 이 중 멸치가 전체 출현 개체수의 56.8 %로 가장 우점하였으며, 청보리멸, 청베도라치, 망둑어과 타입A, 청베도라치과, 앞동갈베도라치 등이 각각 2% 이상의 개체수비를 보여 우점하였으며, 이상 6개 분류군이 전체 출현 자치어의 87.5%를 차지하였다. ANOSIM 결과 해역 간에 자치어 조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시기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준대응분석 결과 이러한 자치어 군집의 시기적 변동은 주로 수온 변화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monthly samples were taken using an RN80 net which was towed horizontally in three different regions (Yeosu, Namhae and Tongyoung) between May to September 2016. A total of fifty taxa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Among these, Engraulis japonicus, which accounted for 56.8 % of the total population,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followed by Sillago japonicus, Parablennius yatabei, Gobiidae Type A, Parablennidae sp., and Omobranchus elegans as dominant taxa, that accounted for 87.5%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OSIM results revealed that regional groups were not separated, but seasonal groups were clearly divid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se differences were caused mainly by water temperature variations identified by canonical analysis.

      • KCI등재

        2016~2017년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초미소식물플랑크톤 분포 특성

        박경우,유만호,오현주,윤석현,권기영,문창호 한국환경생물학회 201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7 No.1

        To investigate the temporal-spatial distribution of picophytoplankton in relation to different water masse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CS), picophytoplankton abundance were investigated using flow cytometry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2016–2017.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flow cytometer data showed that Synechococcus appeared across all seasons, exhibiting its minimum abundance in winter and maximum abundance in summer. Furthermore, high abundance was detected in the surface mixed layer during spring and summer when vertical stratification occurs; in particular, Synechococcus exhibited maximum abundance in thermocline layer, indicating a close correlation to water temperature and thermocline formation. In addition, the abundance of Synechococcus indicated a decrease in the western seas in 2017 compared to 2016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CDW). This was determined by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CDW on the abundance of Synechococcus during summer in the northern waters of the ECS. In contrast, Prochlorococcus did not appear during winter and spring, and its distribution was limited during summer and autumn in the eastern se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Kuroshio current. The largest range of Prochlorococcus distribution was confirmed during autumn without the influence of the CDW. Thu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each picophytoplankton genus was found to be changing in accordance to the extension and reduction of sea current in different seasons and periods of time. This is anticipated to be a useful biological marker in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of sea currents and their influence in the northern waters of the ECS. Synechococcus 속은 전 계절에 출현하였으며, 저수온기에 현존량이 가장 낮았고, 고수온기에 서쪽해역에서 최대 현존량을 나타내었다.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서쪽해역에서 Synechococcus 속은 2017년에 비해 장강희석수의 유입량이 많았던 2016년에 현존량이 높게 나타나 고수온과 장강희석수를 통한 영양염 유입이 Synechococcus 속 성장에 밀접 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ynechococcus 속은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서쪽해역과 동쪽해역에서 서로 다른 계통군이 존재함을 기존 연구에서도 알 수 있었다(Choi 2012). Picoeukaryotes은 계절적으로 춘계에 현존량이 가장 높았고, 조사시기 동안 Synechococcus 속에 비해서는 현존량이 낮았다. 그러나 picoeukaryotes은 Synechococcus와 Prochlorococcus 속보다 크기가 크고 생체량이 높기 때문에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일차생산자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Prochlorococcus 속은 저수온기인 동계와 춘계에는 출현하지 않았으며, 하계와 추계에는 쿠로시오수의 영향을 받는 동쪽해역에서 제한적으로 분포하였고 수직적으로 유세포 분석기의 형광값 차이에 의해서 형광값이 낮았던 생태형 I과 형광값이 높았던 생태형 II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또한 Prochlorococcus 속은 쿠로시오수의 유입량이 많은 추계에 가장 넓은 범위에서 분포함에 따라 쿠로시오수의 유입량이 생장 및 분포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Synechococcus와 Prochlorococcus 속의 생장과 분포는 수괴의 영향에 따라 서로 다른 물리·화학적 환경에서 다양한 계통군이 출현하였다. 따라서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수괴의 구조를 파악하는데 초미소식물플랑크톤이 유용한 생물학적 지표가 될 수 있으며, 동중국해의 환경 특성 및 이에 연동되는 생태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분자생물학적 분석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