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 근해에 출현하는 어류 자치어 분포 특성

        최희찬,정해근,조정현,윤석현,오현주 한국어류학회 2022 韓國魚類學會誌 Vol.34 No.3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arval assemblages in the East Sea, Korea, larvae were collected at 13 stations every other month from February to December 2018. Fish larvae were identified through DNA barcoding along with morphological methods, and as the result, a total of 104 taxonomic groups appeared during the survey. Among these, Engraulis japonicus, which accounted for 76.2% of the total population,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followed by Maurolicus japonicus, which accounted for 15.0%. In addition, Ammodytes personatus, Champsodon snyderi, Scomber japonicus and Echelus uropterus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other taxa. The above six species accounted for 93.2% of the total catch. The number of taxa and the amount of larvae collected in the survey area were higher during the high water temperature periods (June to October) than during the low water temperature periods (February, April and December). Analysis of similarity (ANOSI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nthly larval assemblages. The results of the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show that the distributions of larval community were mainly affected by sea surface temperature during low water temperature periods, an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alinity, dry weight of zooplankton, and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s during high water temperature periods. 동해 근해에 출현하는 어류 자치어의 분포특성을 밝히기 위해 2018년 2월부터 12월까지 격월로 RN80 네트를 이용하여 자치어를 채집하였고, 해양 환경과 자치어 분포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온, 염분 등 물리적 요인과 영양염, 엽록소-a 및 동물플랑크톤 현존량과 같은 화확 및 생물학적 요인 들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2018년 동해 근해에 출현한 자치어는 49개과 104개 분류군, 총 7,644.3개체/1,000 m3가 출현하였다. 이중 멸치가 전체 출현량의 76.2% 우점하였고, 앨퉁이가 15.0%로 그 뒤를 이었다. 그 외 까나리, 악어치가 각각 0.8% 와 0.5%로 비교적 많은 출현량을 보였고, 고등어와 날붕장어가 0.3% 이상으로 위 6개 분류군이 전체 출현량의 93.2%를 차지하였다. 조사 해역의 월별 자치어 출현양상을 보면, 출현 분류군수는 2월에 10개로 가장 적었고, 10월에 33개로 가장 다양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출현량은 4월에 76.3개체/1,000 m3가 출현하여 연중 가장 적었고, 8월에 4,585.8개체/1,000 m3 로 가장 많은 출현량을 보였으며, 월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출현 자치어의 월별 공간 분포는 저수온기보다 고수온기에 연안 가까이에서 많이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출현 분류군 중 전체 출현량의 91.3%를 차지한 멸치와 앨퉁이의 월별 공간 분포와 유사하였다. 한편 자치어 전체 출현량과 해양 환경과의 상관관계는 2월에 수온 및 염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용존무기질소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월에는 용존무기질소와 음의 상관관계, 12월에는 엽록소-a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최우점종인 멸치는 4월에 염분, 6월에 엽록소-a 8월에 용존무기질소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ANOSIM 분석 결과, 자치어의 월별 종조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 월별 dissimilarity는 주로 멸치와 앨퉁이의 출현량 변동에 의해 결정되었으나, 그 외 우점 분류군들의 종조성과 출현량 변화가 조사 시기별로 유의한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 정준대응분석 결과 자치어 군집의 분포가 저수온기에는 주로 수온, 고수온기에는 염분, 동물플랑크톤 건중량 및 영양 염류 농도 등 비교적 다양한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 KCI등재

        낙동강 하구역에 출현하는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자치어의 식성

        최희찬,조정현,허성회,박주면 한국어류학회 2019 韓國魚類學會誌 Vol.31 No.3

        We examined the food habits of larval Acanthogobius flavimanus using 260 specimens collected from February to April 2011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We found that larval A. flavimanus are carnivorous, feeding mainly on copepods and tintinnids. Their diet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larval polychaetes, macrostomids, larval bivalves, rotifers, barnacles, diatoms and unidentified materials. To assess ontogenetic changes in diet composition, the larvae were separated into three developmental stages: preflexion (<7 mmNL), flexion (7~9 mmNL), and postflexion (>9 mmNL). The preflexion group frequently preyed on tintinnids. But as the larvae of A. flavimanus grew, the consumption of copepods for flexion group, and polychaetes for postflexion group, increased respectively. The larvae of A. flavimanus showed one peak for feeding incidence at dusk, but the mean number of preys per individual was high until midnight. 낙동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문절망둑 자치어의 식성을 밝히기 위해 2011년 2월부터 4월까지 RN80 네트를 이용하여 채집하였고, 그 중 260개체를 해부현미경을 이용하여 장내용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문절망둑 자치어는 요각류와 유종섬모충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그 외에도 갯지렁이 유생, 거구목 (편형동물), 이매패류 유생, 윤충류, 따개비 유생, 규조류 등을 섭식하였다. 문절망둑 자치어는 시간대별로 다른 섭식강도를 보였는데, 18~19시 사이에 가장 높은 섭식참여율 보였고, 개체당 먹이생물 개체수는 18~01시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성장에 따른 문절망둑 자치어의 식성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발생단계 (3단계: 전기, 중기, 후기자어) 별로 먹이생물을 분석한 결과, 전기자어 시기에는 유종섬모충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중기자어기에는 요각류, 후기자어 시기에는 갯지렁이 유생을 주로 섭식하였다. 문절망둑 자치어의 먹이생물의 평균크기는 성장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개체당 평균먹이생물 평균 개체수와 평균 부피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먹이생물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먹이 섭식 폭 지수는 중기자어 시기까지는 증가하다가 후기자어에 들어 급격히 감소하였다.

      • 정함수공간의 보노로지 성질에 관하여

        최희찬 慶熙大學校 1992 論文集 Vol.21 No.-

        V.Iyer(1948.1950) has studied the space Y of entire functions over the complex field C. He introduced a real-valued map on Y and proved that this map defines a metric on Y.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study the bornological aspect of some of his results on the space Y. For definitions and fundamental concepts in bornology we are directed to Hogbe-Niend(1971).

      • 整函數들의 어떤 線型距離空間(Y,d)에 관하여

        崔喜燦 慶熙大學校 1991 論文集 Vol.20 No.-

        Throughout this paper, f(z)=?? a_nz^n anf g(z)=?? b_nz^n. Let X denote the set of entire functions. Define Y={f∈X|?? n^1/r, |a_n|^1/n=0}with r a fixed positive number. a metric d is defined on Y by d(f,g)=sup{|a_0-b_0|,n^1/r |a_n-b_n|^1/n, n≥1}.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study the followings: ⑴ The metric space(Y,d)is complete, linear, separable and nonnormable. ⑵ A characterization of the continuous linear functionals on(Y,d)will be given in Theorem 3.2. ⑶ We characterize the continuous linear functionals on Y preserving multiplication in Theorem 3.3. ⑷ The linear functionals on Y satisfying a Lipschitz condition of order δ. δ any positive real number, are characterized in Theorem 3.4.

      • 중뇌동맥영역뇌경색환자의FLAIR영상에서보이는동맥내고신호

        최희찬 대한뇌졸중학회 2004 Journal of stroke Vol.6 No.1

        Background & Purpose: Arterial occlusion is the major cause of ischemic stroke, and abnormal high signalintensity of the cerebral arteries is frequently seen in ischemic lesion with FLAIR sequences. We attempted toasses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intra-arterial high signal on FLAIR images (IHS-FLAIR). M e t h o d s: IHS-FLAIR was defined as the signal of arterial contour showing high intensity relative to gray matter on FLAIR. Werecruited twenty five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in middle cerebral artery territory, who showed IHS-FLAIR. Magnetic resonance images were done within 48 hours after symptom onset and were reviewed in rela-tion to available vascular flow studies, such as MR angiography, conventional angiography, transcranial Ddoppleror SPECT. In addition, we 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IHS-FLAIR and the clinical out-come. Results: All cases with IHS-FLAIR were associated with proximal large vessel occlusion or severe steno-sis. Vascular flow studies revealed perfusion defect on the area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IHS-FLAIR. The areaof IHS-FLAIR distribution is larger than that of infarct lesion on FLAIR or DWI in 13 (52%) patients. 9 (69%)among those 13 patients experienced progression of neurologic symptoms within 48 hours after identification ofIHS-FLAIR. Conclusion: IHS-FLAIR represents distal slow flow due to proximal large vessel occlusion or steno-sis or inadequacy of collateral circulation. It is helpful to predict the area at risk of ischemic injury when the areaof IHS-FLAIR distribution mismatches with that of infarct lesion. 대한뇌졸중학회지제6권제1호2004년5월

      • KCI등재

        한국 남해안(여수, 남해, 통영) 연안해역 춘·하계 어류 자치어 분포 특성

        최희찬,유만호,윤석현,오현주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3 No.6

        한국 남해 연안에 출현하는 춘·하계 어류 자치어 군집의 조성과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남해 의 세 해역(여수, 남해, 통영)에서 RN80 네트를 이용해 매월 1회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50개 분류군의 자치어가 채집되었고, 이 중 멸치가 전체 출현 개체수의 56.8 %로 가장 우점하였으며, 청보리멸, 청베도라치, 망둑어과 타입A, 청베도라치과, 앞동갈베도라치 등이 각각 2% 이상의 개체수비를 보여 우점하였으며, 이상 6개 분류군이 전체 출현 자치어의 87.5%를 차지하였다. ANOSIM 결과 해역 간에 자치어 조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시기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준대응분석 결과 이러한 자치어 군집의 시기적 변동은 주로 수온 변화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monthly samples were taken using an RN80 net which was towed horizontally in three different regions (Yeosu, Namhae and Tongyoung) between May to September 2016. A total of fifty taxa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Among these, Engraulis japonicus, which accounted for 56.8 % of the total population,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followed by Sillago japonicus, Parablennius yatabei, Gobiidae Type A, Parablennidae sp., and Omobranchus elegans as dominant taxa, that accounted for 87.5%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OSIM results revealed that regional groups were not separated, but seasonal groups were clearly divid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se differences were caused mainly by water temperature variations identified by canonical analysis.

      • 지혜 깊어지는 건강_활기찬 실버 세대: 유행처럼 번지는 노인성 우울증 가족의 따뜻한 관심으로 예방

        최희찬,Choe, Hui-Chan 한국건강관리협회 2011 건강소식 Vol.35 No.8

        대한민국은 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있을 정도로 노인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이것은 개인뿐 아니라 가족과 사회에 커다란 고통과 부담을 주고 있다. 그중에서도 우울증은 노인정신 질환 중에 가장 흔하며 노인자살의 원인이 되는 등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 KCI등재

        여름철 낙동강 하구역 해빈 쇄파대에서 출현하는 누치(Hemibarbus labeo) 미성어의 위내용물

        최희찬,박주면,백근욱,허성회,Choi, Hee Chan,Park, Joo Myun,Baeck, Gun Wook,Huh, Sung Hoi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2 No.6

        본 연구는 여름철 낙동강 하구역 해빈 쇄파대에서 누치 유어의 출현양상, 위내용물 조성, 체장과 주야간 위내용물 조성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시료는 2014년 주야간에 낙동강 하구역 해빈 쇄파대의 2개 정점에서 지인망으로 8월에 채집된 67개체를 이용하였다. 여기서 채집된 개체의 체장은 5.1에서 9.7 cm의 범위를 보였다. 누치는 단각류를 주로 섭식하는 육식성으로 어류였으며, 그 외 어류와 갯지렁이류 그리고 새우류 등을 부가적으로 섭식하였다. 누치는 크기에 따라 식성변화를 보여, 가장 작은 크기군(< 6.4 cm SL)의 개체들은 단각류를 주로 섭식하였던 반면, 체장이 증가할수록 단각류 대신 어류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주야에 따라서는 주간에는 단각류와 갯지렁이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야간에는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The composition of the diet of juvenile barbel steeds, Hemibarbus labeo was studied using 67 specimens collected in August, 2004 from the surf zone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The fish examined ranged from 5.1 to 9.7 cm in standard length (SL). Hemibarbus labeo was found to be carnivorous and consumed mainly amphipods, with teleosts, polychaetes, and shrimps following. They showed size-related changes in diet. Small individuals (< 6.4 cm SL) mainly consumed amphipods. As fish size increased, the portion of amphipods consumed decreased, while a reverse trend was evident for teleosts. It was also observed that Hemibarbus labeo consumed more amphipods and polychaetes during the day, while fish served as their main prey during the night.

      • KCI등재후보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과 생체지표유전자를 이용한 서해안 갯벌 건강도 평가

        최희찬,최윤석,강한승,이윤,Choi, Hee Chan,Choi, Yoon Seok,Kang, Han Seung,Lee, Yoon 한국해양생명과학회 2018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Vol.3 No.2

        갯벌의 건강 수준에 대한 평가는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생체지표유전자의 발현 분석을 통하여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heat shock protein 70 (Hsp70), heat shock protein 90 (Hsp90),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 및 thioredoxin (TRX)과 같은 생체지표유전자를 이용하여 서해안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들 유전자는 스트레스, 면역 및 항산화 관련한 유전자들로서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생물의 건강 정도를 관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의 8개 정점에서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을 수집했다. 유전자의 발현은 RT-qPC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들의 발현이 8개 정점에서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Hsp90 및 GST의 발현 또는 Hsp70 및 TRX의 발현은 유사하였다. 이것은 각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화학적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분석에 적합한 유전자를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결과는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는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기 위한 생체지표유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