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플란트 시술환자에 대한 관리 교육이 자가관리 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유고은 호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 연구는 임플란트 시술환자의 대한 관리 교육이 임플란트 자가관리 인식 및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치과병원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분들을 집락무선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여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 조사하였고, 최종 123명을 연구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임플란트 시술 환자들 대부분은 임플란트의 수명에 대해 관리정도에 따라 다르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정기검진 및 스켈링에 대해서는 낮은 인식을 나타내었다. 구강위생보조용품으로 치간 칫솔을 가장 선호하였고, 사용 동기는 치과 교육을 통해서였으며, 자가관리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치과에서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서였다.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방법과 효과 및 체계적인 관리를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교육받은 경험이 적었고, 임플란트의 가장 큰 불편요인은 음식물 끼임이었다. 임플란트 수명연장을 위해 올바른 칫솔질을 가장 선호하였고, 임플란트 자가관리를 위하여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빈도는 높았지만 필요성에 대해서는 보조적으로만 생각하였다. 임플란트를 관리하지 않는 이유로는 관리하기 귀찮아서였고 임플란트 구강관리교육의 시행여부에 대해서 80.5%는 시행되지 않는다고 인식하였으며, 필요성에 대해서 97.6%는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관계 : 애착 안정성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유고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기 개념에 대한 과거의 연구들이 자기 개념의 내용적이고 평가적 측면에 관심을 기울였던 반면 최근에는 자기 개념의 구조적 측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자기 개념이 명확하고 일관됨을 의미하는 자기 개념 명확성(Self-Concept Clarity)은 자기 개념의 구조적 측면 중의 하나로 삶에서 적응적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자기 개념 명확성의 발달을 예측하는 요인들에 대한 의문점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개인 내적인 변인과 함께 환경적인 변인을 함께 고려하여 자기개념 명확성의 형성을 보다 폭넓게 설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선행연구에서 자기 개념 명확성을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된 지각된 모의 양육 행동을 독립변인(independent variable)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모의 양육 행동과 자기 개념 명확성의 관계를 모에 대한 애착 안정성과 거부 민감성이 매개한다는 모델을 가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본 연구에서 탐색하는 모든 변수들에서 성차가 비일관적으로 확인되었으므로, 각 변수들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확인함에 더불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적 모형에 있어서도 남녀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먼저 지각된 모의 양육 행동의 하위 차원인 돌봄과 과보호 사이에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돌봄은 애착 안정성 및 자기 개념 명확성과는 정적 관계, 거부 민감성과는 부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과보호는 애착 안정성 및 자기개념 명확성과 부적 관계를 나타낸 반면 거부 민감성과는 정적 관계가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거부 민감성과 자기 개념 명확성은 부적인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 모에 대한 애착 안정성, 거부 민감성 및 자기개념 명확성에 있어 성차를 검증한 결과 거부 민감성에서 성차가 발견되어, 남성에 비해 여성의 거부민감성이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나머지 변수들에서는 남녀 간에 차이가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 모에 대한 애착 안정성, 거부 민감성 및 자기개념 명확성 사이에 어떠한 구조적 관계가 존재하는지 살펴본 결과, 지각된 모의 양육 행동의 하위 차원 중 과보호는 자기개념 명확성을 직접적으로 예측하는 경로를 가졌다. 동시에 지각된 모의 양육 행동의 하위 차원인 돌봄과 과보호 모두는 모에 대한 애착 안정성과 거부 민감성을 매개로 하여 자기 개념 명확성을 설명하는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이 성별에 따라 모형 및 경로계수에 대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연구 모형이 남녀 모두에게 적합하며 경로 계수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 애착 안정성, 거부 민감성 및 자기 개념 명확성의 인과 관계를 설정한 본 연구 모형이 성별에 따른 차이 없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 모에 대한 애착 안정성 및 거부 민감성이 어떠한 경로로 자기 개념 명확성을 예측하는지 확인 할 수 있었다. 먼저, 지각된 모의 양육 행동에서 하위 차원인 과보호는 자기 개념 명확성에 대해 직접적인 설명력을 가지지만 또 다른 하위 차원인 돌봄은 직접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돌봄과 과보호는 모두 애착 안정성으로 직접적인 경로를 가지며 애착 안정성은 다시 거부 민감성을 매개하여 자기 개념 명확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모델은 남녀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어린 시절 모의 양육행동이 비수용적이고 통제적이었을 수록 모에 대한 애착 안정성이 낮아진다. 이렇게 형성된 낮은 애착 안정성은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지각을 가지게 하여 다른 사람이 자신을 거부할 것에 대해 불안해하고 거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거부 민감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거부 민감성이 높은 사람은 타인의 반응에 지나치게 중요성을 부과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에 접촉되기 어렵고, 외부의 부정적 피드백을 받을 경우 자기 개념이 더 크게 혼란을 겪게 되는 바, 거부 민감성이 높은 사람은 결국 명확한 자기개념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While past studies on Self-concept were focused on content and evaluative aspects of Self-concept, recentl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structural aspect of Self-concept. Self-Concept Clarity, meaning a clear and consistent self-concept, is one of the structural aspects and it i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of playing adaptive role in life. As a result, questions arose on factors of predicting development of Self-Concept Clarity, and this thesis is focusing on such aspects. Considering personal inner variable together with environmental variable, the purpose is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Self-Concept Clarity much more widely;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hich is verified as predicting Self-Concept Clarity from a precedent study, is set as In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suppose that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have direct effect on Self-Concept Clarity. At the same tim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Self-Concept Clarity is mediated by attachment security to the mother and rejection sensitivity. There were also inconsistent gender differences from all variables that this study investigates, therefore, acknowledging the gender differences shown in each variable an examination was attempted on whether gender difference occurs in the structural model this study established. These ar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ly, after analysing relations of major variables, between subordinate levels care and overprotection a negative relationship was shown in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lso, car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ttachment security and Self-Concept Clarity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rejection sensitivity. Overprotection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ttachment security and Self- Concept Clarity but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jection sensitivity. Lastly,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Concept Clarity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Secondly, after verifying gender differences in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ttachment security to the mother,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Concept Clarity, a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rea of rejection sensitivity: Female's rejection sensi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On the other hand, gender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maining variables. Thirdly, after examining whether any structur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ttachment security to the mother,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Concept Clarity, subordinate levels of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verprotection, have a direct effect on Self-concept clarity. At the same tim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levels of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care and overprotection, and Self-concept clarity is mediated by attachment security to the mother and rejection sensitivity. However, care, the subordinate level of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as not significant as a direct path to predicting Self-Concept Clarity. Lastly, after investigating whether the model this study established had gender differences on the model and Path Coefficient, the study model was shown to be suitable both to male and femal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ath Coefficient. Therefore, the study model that set up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ttachment security,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Concept Clarity, was applied equally without gender differences. From the study result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rough what paths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ttachment security to the mother and rejection sensitivity predict Self-Concept Clarity. First, overprotection, one of the subordinate levels of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is able to directly explain Self-Concept Clarity, but care, the other subordinate level, was found not to be meaningful in direct effect. Care and overprotection both have direct paths as attachment security, and attachment security again mediates rejection sensitivity and explains Self-Concept Clarity. This kind of model also applied equally to male and female. The results shown above have the following meaning. The more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ere unreceptive and controlling during childhood, the lower the attachment security to the mother gets; low attachment security gives negative perception towards other people and forms a rejection sensitivity that results in being insecure about other people rejecting you and sensitively reacting towards rejection. Because a person with high rejection sensitivity puts excessive importance on other people's response, he or she relatively becomes difficult to connect with his or her own emotions and thoughts, and when getting a negative feedback from the outside, a bigger confusion on Self-concept will occur. After all, the result suggests the a person with high rejection sensitivity can have difficulties in forming clear Self-concept.

      • 권고적 주주제안에 관한 연구

        유고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국내외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주주총회에서 기후변화 리스크 등 다양한 이슈를 논의할 수 있도록 권고적 주주제안이 허용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의 저변에는 구속력이 발생하는 주주총회 권한사항을 벗어나는 주주제안은 위법하다는 해석이 깔려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의식과 달리 주주총회 실무례에서는 이사회를 구속하지 않는 권고적 효력의 주주제안들이 종종 확인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괴리를 해소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권고적 주주제안의 실태 및 현행법 해석으로 권고적 주주제안이 가능한지를 밝히고, 주주총회 상정권한이 없는 권고적 주주제안의 제도권 편입 방안을 모색하였다. 권고적 주주제안이 명문화되어 있지 않은 상법에서 권고적 주주제안이 도출될 수 있는 이유는, 주주총회에서 상법과 정관이 정하는 사항(상법 제361조) 이외의 사항, 즉 ‘주주총회 권한사항 외의 사항’에 대해 결의할 경우 이를 무효의 결의로 단정하지 않고, 구속력이 없는 권고적 결의로 인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주주총회 안건의 일종인 주주제안 또한 상법 제361조의 적용을 받기는 하지만, 권고적 주주제안과 같이 ‘협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결의’의 내용상 범위를 한정하는 상법 제361조를 직접 위반하였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주주총회 실무례에서 확인되는 권고적 주주제안의 유형 중에는 정관을 통해 제안의 근거를 마련하거나, 합병 주주제안과 같이 상법 제363조의2에 근거하면서도 사실상 이사회에 대한 권고에 그치는 유형, 즉 상법을 통해 주주총회 상정 권한까지 인정되는 권고적 주주제안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례는 법이나 정관을 통해 제안의 근거를 마련하지 않은 채, 이사회 업무집행에 관한 사항, 주주총회 절차, 제안의 내용 자체가 결의가 아닌 제안, 환경(E) 또는 사회(S) 관련 주제 등 ‘주주총회 권한사항 외의 사항’에 대해 제안한 경우이다. 주주총회 권한사항 외의 사항에 대한 주주제안은 제도권 밖에서 활성화된 제안이기는 하나 행사요건과 이사회 조치를 분리하고, 주주제안권이 행사된다면 최대한 주주총회에서 다룰 수 있도록 규정한 상법 제363조의2의 구조상, 주주제안권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였다고 해석하기는 어렵다. 다만 주주총회 상정권한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이사회는 권고적 주주제안의 주주총회 상정을 거부할 수 있으며, 설령 주주총회에서 권고적 주주제안이 가결되더라도 총회의 결과를 따를 의무가 없다. 그러나 권고적 주주제안이 향후 구속적 주주제안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극히 낮은 미국과 독일의 입법례와 달리, 정관을 통해 주주총회 권한사항을 확대할 수 있는 한국 상법체계상 이사회가 합리적인 근거 없이 주주의 권고적 주주제안을 무시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나아가 상법 해석상 권고적 주주제안을 허용할 수 있음에도, 주주총회 권한사항 외의 사항에 대한 안건상정가처분을 기각하는 실무례의 축적 등 실무와 해석상의 혼란이 있다. 이를 정리하기 위해서라도 상법상 권고적 주주제안에 근거조문을 두어, 정관에 근거를 두지 않고 행사되고 있는 권고적 주주제안까지 제도권으로 편입시키는 방안을 고려해보아야 한다. Along with the explosive growth in the interest in ESG, some experts argue that advisory shareholder proposal should be actively available to allow shareholders to engage in constructive discussions on various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risks. The implication lies under this argument is that, due to the structure of the Korean legal system, presenting shareholder proposal other than the matters under the authority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s illegal. However, contrary to this implication, advisory shareholder proposal that do not bind the board have been brought out at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n real-world practice. To propose a solution to reconcile this disparity, this paper first discusses the actual practice of the advisory shareholder proposal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presenting an advisory shareholder proposal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Also, the solutions to merge the advisory shareholder proposal that has no authority to submit to shareholders’ meetings into the current regulatory system are discussed. It is possible to reason out the advisory shareholder proposal from Commercial Act even without a stipulation because if the matters other than those prescribed by the Commercial Act and the articles of association (Article 361 of the Commercial Act) – the matters under the authority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 – are resolved, it can be interpreted as an advisory resolution not binding on the board and not as a nullity of a resolution. Shareholder proposals, which are one of the agenda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are also subject to Article 361 of the Commercial Act, which limits the scope of ‘resolutions', of course. However ‘Discussion’ at a meeting of shareholders, such as an advisory shareholder proposal, would be difficult to interpret in violation of Commercial Act Article 361. The real-world cases of advisory shareholder proposals identified in the practice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nclude the one amending the articles of association, and the one that ended up with an advisory proposal to the board of directors based on the Commercial Act Article 363-2 like shareholder proposal on M&A. Those two proposals are based on the law or articles of association. However, in most cases, the proposals deal with the procedures for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shareholder proposals that are not a resolution itself, or shareholder proposals on social(S) and environmental(E) issues. This type is not related to the authority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and the basis is not based on the law or articles of association. Although shareholder proposal on ‘matters not under the authority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takes place outside of the legal system, it is not reasonable to interpret that they do not qualify for the requirements for shareholder proposal. This is because the structure of Commercial Act Article 363-2 separates the exercise requirements from the rights and duties of the board, and prescribes the best-effort to introduce it to the shareholders meeting once the shareholder’s right to propose is exercised. Since the authority to present to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s not guaranteed, the board of directors may refuse to present the recommended shareholder proposal to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Moreover, even if the recommended shareholder proposal is resolved at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here is no obligation to comply. Nevertheless, unlike legislation practices i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where recommended shareholder proposals are extremely unlikely to be converted to binding shareholder proposals, it will be difficult for the board of directors to ignore the non-binding advisory shareholder proposals without a reasonable basis under the Korean commercial law system where the expansion of the authority of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hrough the articles of association is allowed. Furthermore, although an advisory shareholder proposal is allowed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Commercial Act, there is still confusion between the legal practice and interpretation, such as the practice of dismissing the injunction of agenda presenting on matters other than the authority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o settle this confus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plan to incorporate the advisory shareholder proposal under the Commercial Act so that the advisory shareholder proposal is exercised without being based on the articles of association.

      • 상·하악 제1대구치의 근관치료 실패 원인에 대한 치과의사의 견해 조사

        유고은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근관치료 된 상하악 제1대구치의 치근단 방사선 투과성을 보이는 사진을 통해 상악 제1대구치 근심협측 치근과 하악 제1대구치 근심 치근에서의 실패율이 더 높은지에 대한 원인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이번 연구는 전남대학교 치과병원에 2012년 06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내원한 환자 중 근관치료 된 #16, #26, #36, #46 치근단 부위에 방사선 투과상이 있는 방사선 사진 5개를 선별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총 36명의 보존과 전문의, 수련의이거나 근관치료 경험이 많은 일반 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상악 제1대구치 근관치료 실패의 원인을 조사한 결과, 근관 성형의 어려움이 71명(16.7%), 하악 제1대구치에서도 근관 성형의 어려움이 56명(18.4%)으로 가장 많았다. 대구치 근관 치료 시 접근이 잘 안 되는 경우 극복 방안에서는 29명(42%)이 파일을 미리 구부린다고 하였고, 21명(30%)이 유연한 file이나 NiTi 엔진을 사용한다 하였으며, 15명(22%)이 손과 file이 예각이 되게 해서 insertion한다고 하였다. 결론 : 이번 연구에서 많은 치과의사들이 상하악 제1대구치에서 근관 성형의 어려움이 근관치료 실패 원인이라고 생각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으며, 이를 극복해서 근관치료의 실패를 줄이고자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도서지역 아동의 창의적 표현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유고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용은 신체라는 매체를 통하여 인간의 감정과 느낌을 전달하는 것이다. 성장기 아동들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신체로 표현하는 무용을 통해서 근육을 발달시키고, 리듬감과 유연성을 기르는 등 신체적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내적인 감정을 외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정서적인 발달을 기를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타인을 배려하고 소통하는 관계성 유지를 위한 사회성을 발달시킬 수 있다. 개인의 다양한 재능을 중시하는 오늘날과 같은 지식기반사회에서 개인의 욕구, 흥미, 재능 등의 특성을 발달시키는 것은 성장기 아동들의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현재의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도 무용교육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Howard Gardner는 IQ와 같은 전통적 지능의 개념과는 달리 공간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언어적 지능, 음악적 지능, 자기이해 지능, 자연 탐구 지능을 지적 능력에 포함시키면서 인간의 지능을 새롭게 해석하였다. 개개인의 생김새가 모두 다르듯이 인간은 각자 다양한 지능을 지니고 있고, 각각의 지능은 개인마다 다른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Gardner가 제시간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은 총체적으로 인간의 지적 능력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아동 개개인의 특성을 존중하는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하여 도서지역 아동들의 창의적 표현능력 향상을 위해 신체표현활동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이를 구안․적용하고자 한다.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을 통해 창의적 표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고, 이를 즐거운 생활 수업에 적용하여, 대상자의 창의적 표현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도서지역과 인근 지역의 초등학교 20명씩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연구 기간을 설정하였고, 실제 수업 적용은 11월 한 달간 8차시 수업을 적용하였다.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신체표현을 적용하기 전 창의적 표현능력에 관한 처치 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신체표현활동이 종료 후 동일한 평가로 처치 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 활동지 분석을 통한 조사를 실시하여 양적 조사의 미흡한 점을 심층적 분석을 통해 보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을 기반으로 한 즐거운 생활 수업은 아동의 창의적 표현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처치 전의 학생은 표현능력이 미흡하였으나, 처치 후 학생들은 자신감을 갖고 음악이나 소품을 활용하여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게 되었다. 둘째, 신체표현활동을 기반으로 한 학생의 흥미도와 태도가 향상되었다. 이는 신체표현활동은 재미없고 힘들다고 생각했 던 아동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흥미를 느끼고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셋째, 신체표현활동을 기반으로 한 수업은 학생의 자존감과 협동심 등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그룹 활동을 기반으로 한 신체표현활동은 아동들에게 협동심을 길러주고, 또래 아동과 함께 문제를 해결함으로 여러 사회적 기술을 체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은 해당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창의적 표현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는 아동에게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학년을 대상으로 신체표현 활동을 접목시킨 수업을 연구 및 지도한다면, 창의적 표현능력 향상과 신체표현활동에 대한 흥미도 발달 및 바람직한 태도 형성, 사회성 발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미술활동의 정체’ 극복을 위한 감상지도 방안 연구

        유고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 많은 아동들은 미술활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상실한다. 이는 아동들이 청소년, 성인으로 자라면서 이해나 표현의 수단으로서의 미술활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런 현상은 미술과 교육과정 교육목표와 표현활동의 근본취지와 상반되는 것으로 미술학습을 통한 서로간의 이해는 불가능해지고 미술을 통한 다양한 경험 축적과 삶에 대한 이해, 공감대 형성 등은 더욱 힘들게 된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미술교육에서는 이 시기의 아동들이 흔히 겪는 정체 현상을 극복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활동의 정체의 원인을 밝히고 그 원인을 해결하는 감상 교육의 방향 모색과 함께 그 방안을 논의하여 감상 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Ⅱ장 ‘미술활동의 정체’에 대한 이해에서는 연구의 기본이 되는 미술활동의 정체에 대한 개념과 특성, 그리고 원인과 극복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특히, 원인 부분에서 미술활동의 정체 현상은 아동 내·외적으로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발생하여 실제적인 학습활동이 형성되지 않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여러 원인 중 아동의 사실주의적 고정관념과 미술에 대한 낮은 인식과 같은 미술에 대한 편협한 사고가 자신감과 흥미를 잃게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원인에 근거하여 Ⅲ장에서는 미술활동의 정체 극복을 위한 감상지도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색한 감상교육은 사고력 확장에 중점을 둔 감상교육이다. 이런 감상교육은 아동들이 흔히 갖는 미술에 대한 편협한 생각을 확장시켜 사실성에 압도당하지 않고 미술을 주변교과로 인식하지 않게 도와준다. 그리고 감상교육의 지도 방향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미술 개념 학습과 가치 학습을 통해 감상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둘째, 사고력 신장을 위해 토론 활동을 조장한다. 셋째, 이해·표현·감상 영역의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사고 확장을 위한 감상 지도가 지니는 의의와 지도 방향을 기본으로 Ⅳ장에서는 그 방안을 모색하고 실제 적용하였다. 미술의 근본 인식과 관련된 미술 개념과 가치에 대한 학습의 의미를 살펴보고 개념과 가치를 학습할 수 있는 단계를 마련하였다. 프로그램의 지도 결과, 미술에 대한 단편적인 측면만을 인지하던 학생들의 관점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는데 이것은 학생들의 미술에 대한 생각들이 확장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미술활동의 정체 극복을 위해서는 이런 생각이 지적인 측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재화된 이해가 되기야 하기에 장기적인 학습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가구 환경의 차이와 기혼 여성의 노동 참여 결정의 차이

        유고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study the effect of household circumstances on labor market participation decision of the women with children. For each of 2011 and 2018, we calculate the marginal contribution of four circumstance variables o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decision, and examine whether there is significant change in patterns between the two years. As labor market participation variables, we consider probability of labor participation and working hours. The circumstance variables considered are age of the youngest child, household income, a dummy variable regarding spouse's job security, and a dummy variable for living in Seoul. We employ the Shapley value decomposition method to calculate the marginal contributions of those four circumstance variables to each of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variables. We use the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Our sample consists of the women with children aged between 20 and 50. Regarding inequality of labor participation probability, the four circumstance variables are found to account for about 30% and 20% of the inequality in 2011 and 2018, respectively. The influence of household circumstance is reduced by about 10%p over the seven years. Regarding inequality of labor hours, the four circumstance variables are found to account for 23.5% and 21% of the inequality in 2011 and 2018, respectively. There has been a decrease of 2.5%p over the seven years. In the case of 2018, 23.5% is further decomposed as follows: 12.6% is explained by age of the youngest child, 3.4% is explained by household income, 2.5% is explained by spouse's job security, and 2.4% is explained by living in Seoul.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variable accounts for the largest proportion in both years, and its size was almost constant between the two years. 본 연구는 협조적 게임이론의 균형개념 중 하나인 샤플리값을 사용하여 기혼 여성 간 노동참여 확률과 노동시간 격차를 가구 환경의 차이로 인한 부분과 그 외의 차이로 인한 부분으로 분해한다. 표본은 재정패널 자료 중 2011년과 2018년 자녀가 있는 만 20세~50세 여성을 대상으로 한다. 우리는 측정 가능한 가구 환경변수 중에서 막내 자녀 나이, 본인 외 가구소득, 배우자 직장의 안정성, 서울 거주 여부를 고려하여 각 가구 환경변수가 노동참여 확률 및 노동시간의 격차에 기여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선형확률모형(Linear Probability Model)으로 추정한 노동참여 확률의 격차 중에서 가구 환경으로 설명되는 부분은 2011년과 2018년에 각각 약 30%, 20%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노동참여 여부 결정에 미치는 가구 환경의 영향은 7년 사이에 약 10%p 감소하였다. Heckman 모형을 통해 추정한 노동시간의 격차 중에서 가구 환경으로 설명되는 부분은 2011년과 2018년에 각각 23.5%, 21%로, 7년 동안 크게 변하지 않았다. 이는 노동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문제에서 여성들은 7년 사이 가구 환경으로부터 더 자유로워졌지만, 노동에 참여하기로 한 여성들이 노동시간을 결정할 때에는 가구 환경의 영향을 7년 전과 비슷하게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노동시간 격차에 대한 원천별 기여도를 살펴보면, 2018년 기준 Heckman 모형을 통해 추정한 여성의 노동시간 격차 중에서 막내 자녀의 나이는 12.6%, 본인 외 가구소득은 3.4%, 배우자 직장의 안정성은 2.5%, 서울 거주 여부는 2.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막내 자녀의 나이” 변수는 2011년과 2018년 모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7년 동안 그 크기가 거의 일정했다.

      •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 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고은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대가 변하면서 데이트폭력을 심각한 사회문제로 보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그 심각성에 비해 데이트폭력에 대한 법적ㆍ정책적 해결책은 여전히 미진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이론 및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가정폭력 피해경험(부모로부터의 학대, 부모 간 폭력 목격)이 데이트폭력(행동통제, 심리적 폭력, 신체적 폭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했다. 그리고 둘의 관계에 관계만족도를 투입했을 때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정폭력 피해경험은 데이트폭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는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데이트폭력의 관계에서 정적관계를 보였고, 부모 간 폭력 목격과 데이트폭력의 관계에서는 부적관계를 나타냈다.

      • Effects of cell death-inducing DFF45-like effector B on meat quality traits in Berkshire

        유고은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Cell death-inducing DFF45-like effector (CIDE) B is a member of the CIDE family of apoptosis-inducing factors. In the present study, I detected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c.414G>A, which corresponds to the synonymous SNP 120Arg, in CIDE-B in the Berkshire pigs. I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IDE-B SNP and various meat quality traits. The SN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st-mortem pH24h, water-holding capacity (WHC), fat content, protein content, drip loss, post-mortem temperature at 12 h (T12) and 24 h (T24) in a co-dominant model (P < 0.05).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detected between the SNP and post-mortem pH24h, fat content, protein content, drip loss, shear force, and T24 in gilts; and color parameter b*, WHC, and T24 in barrows (P < 0.05). The SNP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at content, and CIDE-B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during the early stage of adipogenesis, suggesting that CIDE-B may contribute towards initiation of adipogenesis (P < 0.05). Furthermore, CIDE-B mRNA was strongly expressed in the liver, kidney, large intestine, and small intestine, and weakly expressed in the stomach, lung, spleen, and white adipose tissu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IDE-B SNP is closely associated with meat quality traits and may be a useful DNA marker for improving pork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