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고추 Dempsey와 재래종 고추 유월초의 재분화 조건 연구

        원강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고추 (Capsicum annuum)는 전세계적으로 소비되는 작물로 매운맛의 유무에 따라 매운 고추 (hot pepper)와 단고추 (bell pepper)로 구분된다. 고추는 조직배양 및 형질전환이 어려운 작물이기 때문에 주로 전통적인 교배육종으로 품종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 예로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에 내성인 품종인 CM334는 Yolo wonder와 같이 취약한 품종들과 교배육종하는 데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교배육종을 넘어 형질전환, 유전체 편집 등이 주목 받고 있는데, 이를 적용한 식물체를 얻기 위해서는 조직배양 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분화 조건이 보고되지 않은 품종들인 바이러스 저항성 단고추 Dempsey와 재래종 매운 고추 유월초의 재분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Dempsey의 경우, 첫 번째 잎과 자엽을 절편으로 사용하여 BAP (6-Benzylaminopurine) 8 mg/L, IAA (Indole-3-acetic acid) 6 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신초를 생성하였다. 첫 번째 잎 절편의 72% 신초가 생성되었고 11.3% 효율로 재분화에 성공하였다. 자엽 절편의 13.3% 신초가 생성되었고 0.8% 효율로 재분화에 성공하였다. 재분화체의 생식능력과 표현형의 이상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열매 및 종자 수확량 및 다음 세대의 표현형을 관찰하였다. 열매 및 씨앗의 형태는 대조군과 표현형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재분화체의 다음 세대 식물들은 결함 없이 발아하고 성장하였다.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확인한 Dempsey의 조직배양 조건은 고추 육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월초는 자엽과 하배축을 절편으로 사용하였고, BAP 5 mg/L, IAA 1 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신초를 생성하였다. 자엽 절편의 신초 생성률은 45.6%로 하배축 절편의 신초 생성률 28.5%보다 높았지만, 하배축에서 더 많은 재분화체를 얻을 수 있었다. 자엽 절편의 재분화율은 1%, 하배축 절편의 재분화율은 5.2%로 재분화 조건이 보고된 녹광 품종에 비해 낮았다. 유전자의 도입과 재분화가 동시에 성공해야만 형질전환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월초의 조직배양 조건은 개선하고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Pepper (Capsicum annuum), a crop consumed worldwide, is classified as either hot papper or bell pepper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spicy taste. Because pepper is known to regenerate recalcitrant species, many cultivars were developed by traditional breeding techniques. For example, CM334, a Phytophthora capsici -resistant cultivar, was previously crossed with susceptible cultivar such as Yolo wonder. Recently, techniques such as transformation and genome editing have become popular. The regeneration method is required obtain plants when applying these techniques. In the study, we used two cultivars, virus resistant bell pepper Dempsey and Korean hot pepper Yuwolcho for which suitable regeneration conditions have not been reported previously. Regarding the regeneration of Dempsey, the first leaves and cotyledons were used as explants and generated shoot buds in shoot induction medium containing BAP (6-Benzylaminopurine) 8 mg/L and IAA (Indole-3-acetic acid) 6 mg/L. Seventy-two percent of explants from first leaves generated shoot buds and 11.3% were regenerated successfully. In addition, Fruit/seed yield and phenotype of their progenies were observed for confirming fertility; however, no phenotypic difference could be observed. Progenies from a regenerant could germinate and growth without any defects. This sustainable regeneration method can be utilized to pepper breeding. For regeneration of Yuwolcho, the cotyledons and hypocotyls were used as explants and generated shoot buds in shoot induction medium containing BAP 5 mg/L and IAA 1 mg/L. The shooting rate of cotyledons (45.6%) is higher than shooting rate of hypocotyls (28.5%). However, more regenerants were obtained in hypocotyls. Regeneration rates of cotyledons and hypocotyls were 1% and 5.2% respectively. It is lower than the other reported cultivar, Nokkwang. Because transformation and regeneration should be achieved simultaneously to obtain transformants, this regeneration conditions need to be further improved and optimized.

      •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원강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선행연구 결과를 통해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부모교육 프로그램 중 STEP 프로그램은 부모와 자녀 관계에서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부모들로 하여금 자신을 정확하게 통찰하여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만드는 프로그램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STEP 프로그램을 G시에 있는 D유치원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들의 양육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가? 둘째,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들의 양육 효능감을 증진시키는가? 셋째,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자녀의 자아 존중감을 증진시키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위치한 D유치원으로 유치원에 다니는 자녀를 둔 어머니 26명이며 9주 동안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13명의 실험집단과 원에서 제공하는 가정통신문에 기재된 부모교육 알림글만을 제공한 13명의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어머니의 양육 태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최유경(1998)이 재수정한 MBRI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양육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숙재(1997)가 수정, 번안하여 제작한 PSOC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아 존중감 측정은 김영숙(1997)이 수정, 보완한 유아용 자아지각 척도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14.0에 코딩한 후 t 검증 하였고 실험 후 참가자들이 작성한 소감문에서 프로그램 효과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들의 양육 태도는 비교집단의 어머니들보다 통제적인 태도를 감소시켜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실험 후 작성한 소감문 내용도 자율적이고 애정적인 양육태도를 보였다. 둘째,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들의 양육 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부모로서의 불안감과 좌절을 줄이는데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소감문에서도 부모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많아지고 부모로서의 불안과 좌절이 감소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들의 자녀의 자아 존중감은 하위 영역 중 학문적인 자아가 증진되었다. 부모자신의 변화를 거쳐 자녀의 자아 존중감을 변화시키기에는 9주간의 기간으로 부족하였으며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Of the various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have been found to be effective in previous studies, the STEP Parent Education Program has been singled out for providing effective solutions to the various problems that emerge in conjunction with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It has also been hailed for helping parents to gain profound insight into themselves and to solve their own problem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STEP program on parents of children in D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To this end,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osed. First, Does the STEP Parent Education Program make the nursing attitudes of parents more positive? Second, Does the STEP Parent Education Program improve the parenting efficacy of parents? Third, Does the STEP Parent Education Program improve the self-esteem of children? 26 mothers who had children attending D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nine weeks. The group was separat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3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EP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a comparative group of 13 mothers who only received notices sent home. In terms of the pre- and post-tests, the MBRI test modified by Choi Yu-gyeong (1998) was used to measure the change in mother's parenting attitudes. Meanwhile, Shin Suk-jae (1997)'s modified and adapted version of the PSOC test was employed to measure parenting efficacy. In addition, a modified and supplemented version of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developed by Kim Yeong-suk (1997), was employed to measure the self-esteem of children. The SPSS 14.0 program was used for coding and a t-test was applied for data analysis. The contents related to program effects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journals of observations written by the parent participants after the experiment.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enting attitudes of the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EP Parent Education Program became more positive as they learned to decrease their controlling tendencies more than the mothers from the comparative group. The mother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lso exhibited more autonomous and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in the journals of observations written after the experiment. Second, the STEP Parent Education Program positively helped parents to mitigate their anxiety and frustration, which was one of the sub-factors of parenting efficacy. The participants also reported in their journals of observations that their interest in parenting roles had increased while their anxiety and frustration as parents decreased. Third, as far as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whose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TEP Parent Education Program is concerned, the study revealed improvements in the academic ego, which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Improvements in the overall self-esteem of children based on changes in the parents could not be achieved over a nine-week period. In this regard, continuous efforts and longer-term period of time are required.

      • 부모와 유아의 행복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PERMAS를 중심으로

        원강희 경남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 유아의 행복증진을 위해 먼저 부모를 대상으로 행복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기술과 방법을 습득하게 한 후, 가정에서 유아기 자녀와 함께 하는 활동에 적용하여 어머니와 유아의 행복한 삶을 지원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을 고찰하고, 만 4, 5세 유아 96명을 대상으로 그림그리기와 면담을 통해 행복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어머니 10명과 유아교육전문가 60명의 요구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 시안을 작성하였다. 프로그램 시안의 현장적용 적합성과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경상남도 C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원아의 어머니 11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시안을 적용하였다. 매 회기 부모의 만족도와 평가, 진행 팀의 평가를 종합하여 다음 회기에 피드백 하였으며,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후에 어머니와 유아의 행복도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효과와 만족도를 알아보았고, 종료 한 달 후 추후평가를 통해 효과의 지속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부모와 유아의 행복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유아의 행복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인식과 요구도 조사에서 먼저 만 4, 5세 96명의 유아들은 행복을 주는 사람은 부모와 친구이며, 행복을 주고 행복을 느끼는 장소는 놀이터와 집이라고 하였다. 또한 놀이를 통해 행복을 느낀다고 하였다. 어머니 및 교육전문가들은 어머니와 자녀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자녀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부모가 자녀의 행복교육을 실행하는 것이 적절하며 이를 위해 가정과 연계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행복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긍정적 정서와 긍정적 관계, 성격강점과 같은 행복교육이 필요하며 일상생활에서 놀이중심, 유아중심, 행복활동 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둘째, 행복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 고찰, 어머니 면담조사, 1, 2차 전문가 요구도 조사와 5인으로 구성된 전문가협의회를 통하여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다. 긍정심리학의 PERMAS 즉, 긍정적 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 성격강점으로 내용을 구성하였고, 전문가 요구도 조사에서 내용의 적절성이 가장 높은 자아 존중감을 추가하였다. 또한 관계와 성격강점은 전문가협의회에서 부모 자녀관계에 미치는 중요도를 고려하여 부모와 자녀로 구분하여 추가 구성하였다. 이로 인해 10회기 주제에 따른 30가지 세부내용, 20가지 부모활동과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11가지 실천과제를 활동 중심, 소집단 형태로 구성하였다. 셋째, 부모와 자녀의 행복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시안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C어린이집 어머니 11명을 대상으로 오전, 오후 두 팀으로 나누어 총 10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참여 어머니와 자녀의 사전 사후 행복척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각 회기마다 만족도 조사를 하였으며, 마지막 10회기에는 전체 프로그램 만족도조사를, 그리고 한 달 뒤 추후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다각적 검토를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반응과 회기별 만족도 평가 결과에 따라 그리고 매 회기마다 연구자 외 지도교수, 프로그램 진행자와 보조 진행자 4인으로 진행 팀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수정·보완하여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모든 회기는 도입, 전개, 마무리 형식으로 진행되었는데 도입부분에는 지난 시간 실천과제와 행복경험을 이야기 나누었고, 전개에서는 행복에 대한 주제 강의와 주제와 관련된 부모용, 자녀용 활동 중심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마무리 단계에서는 활동 평가와 소감을 나누며 자녀와 함께 할 실천과제에 대해 안내하는 시간을 가졌다. 프로그램 종결 시점에서 참여 어머니와 유아의 행복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회기별 만족도 평가와 어머니들의 형식적 · 비형식적 대화 및 관찰에서 어머니 반응을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학의 요소인 PERMAS가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프로그램 종료, 한 달 뒤 추후조사를 실시하였는데 11명의 응답자 중 10명은 프로그램 종결 후에도 행복수준이 같거나 더 높아졌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PERMAS를 기반으로 한 부모와 자녀의 행복 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최종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부모에게 먼저 행복교육을 경험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녀에게 실천과제를 통해 부모가 직접 행복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부모를 통해 자녀의 행복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자녀양육자로서의 성장을 통해 행복을 다시 확인하는 선순환을 기대한다. In this study, parents have first learned the concept of happiness, skills and practices, and then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happy life of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has been developed with activities that mothers and children play together at home. In order to develop this program, the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s have been reviewed, and 96 children aged 4 to 5 have been interviewed through making a drawing to find out their perception and needs for happiness. A detailed pilot program was prepared, based on the needs of 10 mothers interviewed and 60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surveyed. To review the suitability and likelihood of application of the pilot program on-sit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11 mothers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C child care center in Gyeongsangnamdo. Each session, the parents were asked about their satisfaction with and evaluation on the program, and the implementation team also assessed the program. The feedbacks were provided for the next sess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happiness of the mothers and children was explore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For a follow-up evaluation, the program effect was verified at a month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Based on these,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finalized to improve the happiness of parents and childre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awareness and need interview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and young children, 96 children aged 4 to 5 said, “The person who gives happiness is parents and friends, and the place where they give happiness and feel happy is playground and home." They also said that they feel happy when playing. Mothers and education specialists said that it is appropriate for parents who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their children to implement their children's happiness education and that a parent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e family is required to promote the well-being of their children. It was noted that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ng happiness should be focused on happiness education including positive emotions, positive relationships, and character strengths; and play-centered and child-centered activities for happiness in everyday life. Seco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ng happiness, a pilot program was mad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the interviews with mothers, two surveys on the request of educational specialists, and two council meetings with five experts on education. PERMAS of positive psychology, was composed of positive emotions, engagement, positive relationships, meaning, accomplishment, and character strengths. Self-esteem was added due to its high relevancy in the specialist survey. Positive relationships and character strengths were additionally organized by dividing them into parents and children in consideration of their importance to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recommended by the expert council. As a result, 30 contents in detail, 20 parent activities, and 11 activity-centered practical tasks that can be done with children were made in the form of small groups. Thir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pilot parent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happiness of parents and children, 11 mothers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C child care center were divided into two teams: one team in the morning and the other in the afternoon. A total of 10 sessions were implemented. A pre-post happiness scale was tested to the participating mothers and their children, and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at each session. In the last 10th session overall satisfaction survey for the whole program was done, a follow-up was surveyed a month later, and the program was finalized. Based on the responses of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assessment by session, four people of this researcher, advisor, program manager, and assistant was teamed to execute the program at each session, modify, and supplement the program, reflecting the various reviews and feedbacks. A session was consisted of three phases: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wrap-up. In the introduction phase, the practical tasks and happiness experiences over the past week were shared. In the development phase, a topic on happiness was lectured, and parent- and child-activities related to the topic were done. In the wrap-up phase, the activities were assessed, and feedbacks were shared, and practical tasks to be played with child were guided. At the termination of the program, the happiness level of participating mothers and childre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analysis of the mothers’ evaluation on satisfaction by session and observations on the formal and informal conversations among the mothers have showed that PERMAS, a component of positive psychology, had been enhanced. To check the persistence of program effects, a follow-up was conducted a month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en out of 11 respondents said they had the same or higher level of happiness even after the program terminated. On the ground of these findings, PERMAS-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finally developed to promote the happiness of parents and children.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llows parents to first experience happiness education, and based on the experience, parents can support their children directly through practical tasks. A virtuous cycle is expected through parents who can improve their children's happiness and, consequently, re-confirm their happiness through their growth as a child caregiver.

      • 초등학생용 무애상담프로그램 개발

        원강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논 문 요 약 초등학생용 무애상담프로그램 개발 원 강 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전공 (지도교수 : 임 진 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용 무애상담프로그램을 적절히 구안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해봄으로써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과 행복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용 무애상담프로그램을 타당하게 구안할 수 있는가?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과 행복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가? 이 연구에서는 박성희(2016)‘원효의 한마음과 무애상담’을 참고하여 김창대(2002) 개발 모형의 절차를 토대로 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정하고, 도입 1회기, 진행 8회기, 종결 1회기 세 단계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시간은 1회기 당 40분으로 설정하고, 1주일에 2회씩 5주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충청북도 S학교 6학년 학급을 동질성 검사를 하여 동질성이 확보된 두 학급을 선정, 한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검사도구로 자기조절력 검사를 위해 최단비(2015)가 개발한 초등학생용 자기조절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고영미(2010)의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애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자기조절력과 행복감 향상에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용 프로그램으로 구안되었다는 점에서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프로그램을 집단 또는 모둠활동으로 구성하여 아이들이 흥미를 갖고 쉽게 접근할 수 있었으며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무애상담프로그램은 자기조절력 향상을 통해 아이들의 교우관계와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무애상담프로그램은 행복감 향상을 통해 아이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여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다고 볼 수 있다. 다섯쨰, 무애상담의 목적은 모든 것을 포용하는 일심(一心) 즉 하나 된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화쟁사상이 일심사상에 그 뿌리를 두고 있음을 보았을 때, 무애상담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 인성 및 생활교육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10회기 분량의 내용으로 무애상담의 핵심내용을 온전히 전달하기에는 부족하다. 좀 더 개별화된 내용과 추가적인 학습자료와 함께 충분한 학습시간이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 운영 교사의 개인 특성, 학급의 환경적 특성, 프로그램 운영 교사와 학생들 간의 관계적 특성에 대한 통제에 한계가 있다. 셋째, 무애상담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에 대해서는 아직 밝히지 못했다. 프로그램 적용 직후 검증된 효과가 지속되기 위해서 어떠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넷째, 이 연구는 충청북도 청주라는 제한된 지역과 1개 학교의 6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추후 다양한 지역, 학교, 학년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섯째, 무애상담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에 있어서 양적 연구뿐만 아니라 질적연구에 대한 노력도 필요하다. 다양한 특성을 가진 소집단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경험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그 효과를 본질적으로 탐구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본 논문은 2019년 8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지방자치단체 안전관리역량 평가항목 연구

        원강희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Health and Safety Executive (HSE) in the UK concluded that about 60% of accidents in construction sites stem from decisions made during pre-work planning and management. To address this, they've been fostering a cooperative safety management system led by the project owner, which has led to a reduction of around 70% in reportable accident rates over approximately 20 years starting from 1999. Therefore, mitigating accidents requires the project owner's responsibilities and roles, aligned with authority, to be fulfilled. To encourage these responsibilities and roles, a preliminary task involves assessing and diagnosing th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of the project owner.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evaluations on project owner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conducted under the current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and Guidelines for Performing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Works. It selected a local government with the highest number of evaluations and lowest scores for research. Reviewing th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evaluations of local government for the past six years revealed that the average scores were remarkably low, making it challenging to ascertain the effectiveness or significance of the current system. Verification of these problem recognitions, centered on the perceptions of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 resulted in, revealing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of project owner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emphasized criteria unattainable by local government and omitted the functional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 Consequently, it was analyzed that the current evaluation system does not expect practical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roles from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validation of these problem recognitions through the perceptions of officials within local government, an evaluation criteria has been formulated. Firstly, within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project owner's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all assessment indicator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safety specialized organizations i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were removed, and the remaining indicators were incorporated into other evaluation criteria. Secondly, it proposes restructuring the evaluation criteria focusing on the functional responsibilities related to the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of local government that actually provide causes to contractors. Thirdly, officials within local government recognize th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during the 'construction' phase as the top priority for enhancing on-site safety performance. To facilitate a shift in the mindset of the assessors and explore improvement points in each process more easily,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ecuring and Supporting Safe Construction Conditions' are separated. The formulation of an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the perceptions of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 holds significance in expecting the actual safety management roles of local government as project owner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indicators in the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However, there exists a limitation where the evaluation criteria alone cannot diagnose the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of local government. It is hoped that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 research on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evaluation indicators will accurately diagnose the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of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s acting as project owner. 영국의 안전보건청(HSE; Health and Safety Executive)은 건설현장의 안전사고의 약 60%가 작업 전의 계획과 경영관리의 결정에 기인한다고 결론짓고, 발주자 주도의 협력적 안전관리체제를 구축 및 운영하여 왔다. 그 결과 영국에서는 1999년부터 약 20년 동안 보고대상 안전사고율이 약 70% 정도 줄어든 성과를 보였다. 따라서, 안전사고 저감을 위해서는 권한에 부합하는 발주자의 책무와 역할이 이행되어야 하며, 이 같은 발주자의 책무와 역할을 유도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과제는 발주자의 안전관리 역량에 대한 실태분석과 진단이다. 이 같은 차원에서 본 연구는 현행 「건설기술 진흥법」 및 「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수행 지침」에 따라 시행되는 ‘건설공사 참여자 안전관리역량(수준) 평가’ 제도 중 발주청 안전관리역량(수준) 평가 결과를 분석해 발주청 중 평가 건수가 가장 많고 평가점수가 가장 낮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발주청 안전관리역량(수준) 평가의 최근 6개년 결과치를 분석해 볼 때, 지방자치단체 안전관리역량(수준)의 평균점수가 매우 낮아 현행 제도의 실효성이나 의미조차 찾기 힘들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검증한 결과, 발주청 안전관리역량(수준) 평가체계(모형)가 지방자치단체가 달성할 수 없는 평가항목을 포함하고, 지방자치단체 직무기능을 배제한 채 수립돼 발주자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실제적인 안전관리 활동과 역할을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같은 문제 인식에 대해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들의 인식을 통해 검증한 결과를 기반으로 평가항목을 제안하였다. 첫째, 발주청 안전관리역량(수준) 평가체계의 평가항목 ‘안전경영시스템’내 건설안전 전담조직과 관련한 평가지표는 모두 제외하고 나머지 지표는 다른 평가항목에 반영한다. 둘째, 실제적으로 수급인에게 원인을 제공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안전관리 역량과 관련된 직무기능 위주로 평가항목을 재편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들은 ‘시공’ 단계 안전관리 역량이 현장의 안전관리 성과를 높이기 위한 최우선 방안으로 인식하고 있어 피평가자의 의식 전환과 프로세스별 개선점 모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안전한 공사조건의 확보 및 지원’ 평가항목을 분개한다.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들의 인식을 기반으로 한 평가항목 제안은 발주자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실제적인 안전관리 역할을 기대할 수 있고, 안전관리 역량 평가체계의 지표개발에 초석을 다지는 의미가 있으나 평가항목만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안전관리 역량을 진단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지방자치단체 안전관리역량 평가지표가 개발돼 지방자치단체 조직의 발주자로서의 안전관리 역량을 올바로 진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