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기업 이동통신 제조업 종사자의 ESG 관점에서의 경영 우선순위 분석

        임상욱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중소기업 이동통신제조업 종사자의 ESG 관점에서의 경영 우선순위 분석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AI기술경영학과 임 상 욱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사태,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원자재 수급에 불 균형을 이루며 공급망을 강타하여, 글로벌 경제위기가 발생했다. 예측할 수 없는 불 확실한 상황에서도 기업의 생존을 위해 지속가능경영의 목적으로 ESG 경영은 선택 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기업에 대한 환경적, 사회적 책임과 정부의 요구도 늘어 나는 추세이고, 관련 규제 강화 및 공급망 ESG 관리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중 소기업은 자원 및 역량 부족으로 인해 ESG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실천 방안 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한다. 중소기업은 생존이 최우선이며, 여기에 ESG 실천까지 해야 하는 힘든 현실이다. 본 연구는 ESG 평가 시 E(환경)요 소가 주목받아 기업 의 관심과 학계 연구는 여기에 집중되었으나, 저탄소 산업군에 속하는 ICT 기업군 중 규모가 큰 기업은 G(지배구조) 항목을, 작은 규모인 중소기업은 S(사회)를 E(환 경)와 G(지배구조) 요소보다 우선하여 관리해야 함을 밝혔다. 중소기업 ESG 항목 별 세부 우선순위로 E(환경)는 생산공정, S(사회)는 근로조건 그리고, G(지배구조) 는 투명성을 우선 관리해야 하고, 동시에 헌신적 리더십과 함께, 내부 인적자원관리, 노사관계 등 S(사회)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ESG 경영, 중소기업 ESG, 이동통신 ESG, 지속가능경영, ICT ESG

      • 농산물 산지유통센터 운영 실태와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발전방안

        이광우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 요약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효과적인 정책 대안 마련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농산물 유통환경은 도매시장 중심의 유통체계에서 소비지 유통업체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국민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농산물 소비의 고급화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선별, 저장, 가공 등 엄격한 품질 관리 과정을 거친 상품의 유통과 농산물의 부가가치 창출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농업농촌 인구의 고령화, 농업경영비 상승, 자본·기술집약적 생산구조 등 현대 농업생산여건의 변화와 농산물 유통의 3대과제인 높은 유통비용, 가격의 변동성, 가격의 비대칭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는 1992년부터 산지유통센터(APC :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를 건립·지원하였다. 산지유통센터는 산지에서부터 선별, 포장, 유통, 판매까지의 전 과정을 수행하는 유통기구로서 급변하는 유통환경 속에서 표준 규격화된 농산물의 생산유통과 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농가 수취가격 제고 등을 도모하는 핵심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산지유통센터의 시설 활용도 저조, 산지유통에 대한 전문성 부족, 사업장의 경영능력 부족 등의 문제점에 대한 정확한 운영실태 파악이 미흡한 실정이다. 농협이 주체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산지유통센터의 경우에는 농협의 자체적인 운영실태 조사등 일부 선행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농업법인을 주체로 한 운영실태에 대한 연구는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산지유통센터의 정책적 변화과정, 농협과 농업법인간의 운영 및 경영 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등을 통해 산지유통센터의 문제점을 도출한 후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한 산지 유통센터는 ‘12년 기준 667개소이나 그중 선별 및 저온저장시설이 각각 100평 이상인 규모 있는 시설은 420개소이며 정부지원 APC는 ’13년 기준으로 총 409개로서 일반 APC가 365개소, 과수거점산지유통센터(거점APC)가 21개소, 원예브랜드육성사업을 통해 건립된 원예브랜드APC는 23개소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농산물 상품화를 위한 적정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시설로 폐업이나 미운영, 건립 중에 있는 APC는 제외한 341개소(일반APC 299개소, 거점APC 20개소, 원예브랜드APC 22개소)중 농업법인이 운영하고 있는 산지유통센터 155개소(농협은 186개소)로 써 일반APC 127개소, 거점APC 10개소, 원예브랜드APC 18개소로 조사되었다. 농업법인은 지역별로는 농업생산이 큰 전남의 APC가 45개소로 가장 많으며, 농업법인은 마늘, 양파의 취급물량이 많고, 농협의 경우 과일류의 취급물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규모면에서 농업법인이 자본력은 낮지만 투자규모는 오히려 높으며, 매취비율도 70.4%으로 농협의 40.2%에 비해 매우 높으나, 농협은 계통출하에 중점을 두고 있어 공동계산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농협은 신용사업이 크므로, 자금조달등 재무적으로는 매우 유리한 편이나 농가의 결속력이나 영업력, 마케팅부분에는 농업법인 보다는 약한 편으로 나타났다 산지유통센터 운영상의 문제점 및 애로사항은 첫째, 산지유통센타의 난립과 취급품목의 계절적 편중에 따른 원물 확보경쟁으로 가동율 하락. 둘째, 산지유통센터의 영세성으로 산지 조직화가 미흡하고 시설 노후화 등 경영의 불안정. 셋째, 전문성 및 마케팅 대응력 부족 등 산지유통시설로서의 역할과 기능이 미흡. 넷째, 산지유통센터 운영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미흡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유통센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발전방안으로 첫째, 산지 조직화, 규모화를 통한 운영활성화 도모 등 산지유통의 체계적 시스템 구축. 둘째, 마케팅능력 향상 및 전문성 확대등 을 통한 경영활성화 방안 마련. 셋째, 전처리시설 및 물류혁신 등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한 기능과 역할 확대. 넷째, 산지유통센터에 대한 지속적 지원 확대 및 산지유통시설의 효율적 배치 등 종합적 지원체계 구축. 마지막으로 가동률 등 운영관리기준 정비 및 운영실태 조사등 산지유통센터의 효율적 운영 관리기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산물 산지유통센터가 우리나라 농산물 산지유통 의 핵심적인 역할과 기능을 다하여 농식품 유통구조 개선에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무도도장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만족과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경택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초록 무도도장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만족과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스포츠경영전공 김 경 택 본 연구는 무도도장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만족과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도도장 이용 고객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위해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인천 지역 6곳의 무도도장 이용 고객 중 27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분석 가능한 260부의 자료에 대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α=.05에서 검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무도도장의 서비스스케이프 하위요인이 고객만족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서비스스케이프 하위요인 중 공조환경성, 청결성, 편리성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심미성은 가장 강하게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도도장의 고객만족은 고객시민행동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도도장의 서비스스케이프 하위요인이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심미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조환경성, 편리성, 청결성은 고객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도출된 결과는 무도도장의 서비스스케이프 하위요인들이 고객 만족 및 고객시민행동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밝혀졌고, 고객만족도 고객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도도장 경영자 측면에서 서비스스케이프 요인들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를 통해 고객만족과 고객시민행동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고객만족이 고객시민행동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므로 고객만족의 제고를 통한 고객시민행동을 이끌어 내는 전략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리조트 산업이나 카지노 사업과 같은 접근이 쉽지 않은 환경으로 연구 되어져 왔던 서비스스케이프의 이론을 다소 접근성이 용이한 무도도장에 처음 도입 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에서 검증 되었던 서비스스케이프, 고객만족, 고객시민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최근 새롭게 나타난 무도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기존의 학문적 토대에 새로운 지식을 추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The Impact of Servicescap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in Martial Art Settings Kim Kyung Taek Major in Sports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and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ervicescap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in martial art settings. Toward this end, a total of 270 customers using 6 martial art gyms in Incheon area was selected utiliz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and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260 usable data were analyzed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ly, the ambient condition, cleanliness, and convenience subdimension of the servicescape had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ly, custo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Thirdly, only the conveneince subdimens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Additionally, practical implications of findings and suggestions of future research opportunities were discussed.

      • 기독교 조직문화, 조직문화,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경로분석

        조가히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이 연구는 대한민국에서 기독교적인 조직문화가 조직문화 유형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그리하여 기독교 조직에 속한 구성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위해 지향할, 또는 지양할 기독교적 조직문화의 방향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독교적인 조직문화가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경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기독교 조직문화가 반영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조직 내 모든 구성원을 대상으로 구글에서 작성한 설문지 링크를 메시지와 SNS로 전달하여 206명의 응답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기독교적 조직문화의 두 가지 하위요인인 제도적 요인과 비제도적 요인 모두가 조직문화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제도적 요인의 경우 집단문화, 혁신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의 네 가지 요인 중 합리문화에만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나머지 세 가지의 조직문화 유형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비제도적 요인은 합리문화에만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나머지 세 가지 문화 유형인 집단문화, 혁신문화, 위계문화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조직문화 유형 중 집단문화, 혁신문화, 위계문화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합리문화의 경우에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위해 취해야 할 기독교적 조직문화의 요인은 비제도적인 부분이며, 기독교적 조직문화에 있어서 제도적 요인을 강화하는 것은 오히려 조직문화에 부(-)의 영향을 미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seeks to find out what kind of influence Christian organizational culture has on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nd job satisfaction &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Korea. Thereby offering aid in choosing the direction of a Christian organizational culture, i.e.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member part of a Christian organization. For this, the channels of influence of a Christian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ulture, such culture’s impact on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s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nalyzed. This research utilized a linked survey via Google and SNS of 206 members part of an organization thought to be under Christian organizational culture.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utiliz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Research results showed two sub factors – institutional factors and noninstitutional factors – influencing a Christian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stitutional factors, out of group culture, innovative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nly rational culture gave a positive effect, whereas the remaining three negatively impacted organizational culture. Concerning noninstitutional factors, only rational culture saw negative influence, while the remaining three culture types of group, innovative and hierarchical gave positive influence. Also, amongst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group, innovative and hierarchical culture types gave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However, rational culture was discovered not to give any impact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give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se results, noninstitutional factors influencing Christian organizational culture for positive job satisfaction & organizational commitment, strengthening institutional factors in a Christian organizational culture leading to rather nega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ulture (including job satisfaction &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confirmed.

      • 공동주택 건설현장의 화재안전 문제점 분석 및 대응방안

        오영택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Problem Analysis and Response of Securing Fire Protection of Apartment Building Projects Oh, Young Taek Dept.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Won, Seo Kyung Fire accidents in site industrial disaster during construction works are caused by finishing works such as waterproof work, coating work, heating and insulation work, welding and cutting work, heating and heater use during winter season, short circuit and of electricity. While fire accident in the construction site has less occurrence rate than other risk factors such as dropping, falling and electric shock, it has severity rate of injury once fire accident takes place. Fire disaster at the construction site are caused by water proof, coating, piping, welding, heating and insulating, heating and heater use of winter season, and short circuit of electricity. While its frequency is not high at the construction site, it causes huge social issues due to accompanying large accident such as injury and death and damage of structure. As many workers progress many process at the same time in the construction site, it is hard to make key safety management to prevent fire accident due to overlap of risk works such as handling ignite, and use of inflammable and combustible materials with other processes. Before the work, fire prevention and safety education must be performed and workers should observe it at the site. Bonfire and smoking in the site can be cause of fire. Thus, such must be strictly prohibited. Temporary office, warehouse and hazardous materials such as fuel and gas must b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welding, cutting, coating and urethane forming works must be strictly controlled and inflammable, combustible and igniting materials must be removed, isolated and blocked. Sufficient ventilation facilities must be operated to release oil mist. Emergency evacuation training for workers must be performed regularly and exit sign, fire escape and broadcasting facilities to announce fire must be installed. Sufficient number of fire extinguishers and fire water must be equipped and water pipe and hydrant must be operated to prevent fire. To prevent fire, it is important not to place 3 factors of fire such as flammable, oxygen and ignition source at the same place. If welding and cutting work are carried out in the construction work, strict access control must be performed for introducing, application, management, storage, isolation and advanced permission of inflammable and combustible material. To minimize welding and cutting works which are the most frequent works, it is necessary to change construction method to reduce risk of fire to the full extent. Fire safety education must be performed repeatedly and continuously. Most construction sites have no statement of fire prevention on legal contents during safety education. So, workers begin to work without having knowledge on fire prevention measure, countermeasure in event of emergency, instruction of use of fire equipment and evacuation method. While education text book and video on high frequency disasters such as falling, drop and electric shock for foreign workers whose number continues to increase, the fire prevention textbook for foreign workers by the fire station and safety institutions are still elementary level.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fire disaster factors of 7 major industries and to establish a preventive meas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apartment building project. For this purpose, countermeasure was planned by analyzing disaster cases and preventive measure was suggested by figuring out progression of work, risk factors of fire by industrial type and inflammable and combustible material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used to improve fire prevention education during safety education to workers and to improve policy direction to meet educational needs and expectation by examining the status of inflammable and combustible material use by industrial type, fire risk factors per proces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fire risk factors by work process and preventive measures. 國文抄錄 공동주택 건설현장의 화재안전 문제점 분석 및 대응 방안 Problem Analysis and Response of Securing Fire Protection of Apartment Building Projects 오 영 택 慶熙大學校 테크노經營大學院 建設安全經營學科 指導敎授 元 瑞 卿 건설공사중의 현장 산업재해 중 화재에 의한 재해는 대부분 방수작업, 도장작업, 보온 및 단열작업등의 마감작업에서의 용접 및 용단 작업, 동절기 난방 및 전열기구 사용, 전기의 누전 및 합선에 의해 발생되고 있다.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재사고는 추락, 낙하, 감전 등 다른 위험요소에 비하여 발생비율은 매우 적지만 만일의 화재사고시 다수의 중대재해가 발생하여 강도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건설현장의 화재에 의한 재해는 공정 작업상 대부분 방수작업, 도장작업, 설비배관 용접작업, 보온 및 단열작업, 동절기의 난방 및 전열기구사용, 전기의 누전 및 합선에 의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설현장에서의 화재로 인한 재해는 그 빈도수는 높지 않지만 많은 인명피해 및 구조물의 손상을 동반하는 대형재해로 연결되는 등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킨다. 건설현장은 많은 건설근로자가 동일 장소에서 동시에 여러 공정을 진행하고 있으므로 화재 발생을 일으킬 수 있는 점화원을 취급하거나, 인화성, 가연성물질을 사용하는 위험작업과 타 공정간 중복으로 화재예방을 위한 중점 안전관리가 어렵다. 작업개시 전 화재예방 및 안전교육을 실시 후 작업자는 반드시 이를 준수해야 하며 현장 내에서는 모닥불 점화 및 흡연 등 화재원인이 될 수 있는 행위를 일체 금해야 한다. 가설 사무실, 창고 및 유류, 가스 등 위험물질은 반드시 지상에 설치 관리한다. 또한 작업장 내 인접장소에서 용접 및 용단 작업과 도장 및 우레탄 발포 등을 동시에 작업하는 행위를 엄격히 통제하여 인화성, 발화성, 가연물질을 제거·격리·차단하고 유증기 배출을 위한 충분한 환기시설을 설치 운영한다. 근로자들이 비상사태대비 대피를 위한 훈련을 연중 실시하며 유도등, 대피로, 화재를 전파할 수 있는 방송시설을 설치하며 적정한 소화기와 방화수를 비치, 연결송수관 및 소화전을 조기설치 운영하여 화재예방에 힘을 써야 한다. 화재발생을 원천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화재발생 3요소인 가연물, 산소, 점화원이 공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건설공사의 특성상 용접 및 용단작업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 인화성, 가연성 물질 반입 신청 및 관리, 보관, 격리와 사전 작업허가제를 통한 엄격한 통제를 실시하여야 한다. 설비 작업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접, 용단 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법변경 등을 통하여 이를 최소화함으로써 화재위험요소를 최대한 경감시킬 수 있다. 소방안전교육은 반복적,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는데 대부분의 건설현장은 각종 안전교육 시 법규상의 내용 중 화재예방에 대한 언급이 없어 화재예방대책 ,비상사태 시 대처능력, 소화장비 사용 방법, 대피방법 등에 대해 소방안전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근로자들이 투입 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건설현장에서 점차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한 추락, 낙하, 감전 등 발생빈도가 높은 산업재해에 대한 교육용 교재 및 동영상 등은 많이 개발·보급되고 있지만 소방관서 및 안전관계기관 등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화재예방 교재는 아직 초보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동주택 건설현장을 중심으로 7개 주요 공종별 화재위험요인 및 예방대책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재해사례 분석을 통하여 대책을 마련하였으며, 공사진척도 및 공종별 화재발생 위험요소, 인화성 및 가연성 물질을 파악하고 예방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사장의 공종별 인화성·가연성 물질의 사용 현황 파악과 시공공정에 따른 공정별 화재위험 요소파악, 작업공정별 화재위험요인 및 예방대책을 마련하여 근로자들에 대한 안전교육 과정 중 화재예방교육을 개선함으로써 다양한 교육적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정책 개선방향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밀폐공간 안전교육에 따른 근로자의 안전인식과 실천정도에 미치는 영향

        황용희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밀폐공간 안전교육에 따른 근로자의 안전인식과 실천정도에 미치는 영향 황용희 지도교수 김 만 기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건설안전경영학과 본 연구는 기술적 측면이 아닌 인적자원으로 접근하여 밀폐공간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를 감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교육 실시 여부에 따라 근로자의 안전인식과 실천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현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안전교육 유무에 따라 안전인식과 실천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1년간 받은 안전교육 횟수, 안전교육 내용의 인식에 따른 안전사고 경험 여부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년 간 받은 안전 교육 횟수, 적절한 안전교육 간격에 대한 인식,안전교육이 작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안전교육 내용의 인식에 따른 업무 위험 인지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절한 안전교육 간격에 대한 인식, 안전교육이 작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안전교육 내용의 인식에 따른 안전에 대한 인식 변화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안전교육이 작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안전교육 내용의 인식에 따른 안전에 대한 실천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안전교육이 작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안전교육 내용의 인식에 따른 안전규정 준수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수강한 안전교육 방식에 따른 안전규정 준수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근로자 및 안전관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입장에 따라 안전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조사하여 분석한다면 더 풍부한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기초안전교육 실태분석과 안전교육의 실효성 제고방안 연구

        김창한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내 건설현장에서는 매년 23,000여명의 재해자 및 500~6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로인한 경제적인 손실액은 6조원을 넘어서고 있다. OECD가입국으로써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사망만인율이 2~4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에서도 그동안 건설현장의 재해예방을 위하여 각종 제도 도입 및 재해예방 활동을 펼쳐 왔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 건설업 재해율은 0.7%, 사망만인율은 1.69? 이후 지속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건설현장의 안전관리도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대기업 중심의 대형건설현장은 경영주가 안전을 경영의 필수요소로 인식하기 시작하여 안전에 대한 조직과 예산을 확대하고 중대사고 발생시 현장소장에게 안전관리 책임을 묻고 있으나, 중소규모 건설현장은 사업주의 안전에 대한 관심부족과 투자소홀로 안전시설투자 기피, 개인보호구 미지급, 안전교육 미실시 또는 형식적 실시와 근로자의 안전의식 결여 등으로 안전관리 사각지대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가운데 전체 건설업 재해의 88%이상, 사망자수의 70%이상이 공사금액 120억미만 중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에서는 공사기간이 짧고 이동이 빈번한 건설일용근로자의 신규채용시 안전교육의 대체수단으로 호주, 싱가폴 등 이미 선진국에서 운영 중인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이수제도를 도입하여 2009년~2011년간의 시범운영을 거쳐 2012.6.1.일부터 공사금액 1,000억원이상 현장부터 단계적으로 확대 시행하여 2014.12.1.일부터 국내 모든 건설현장에서 적용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제도가 공사금액 120억미만으로 확대시행 되면서 현장 공사관계자의 관심부족 및 안전관리자 미선임 등으로 미이수 근로자가 30%이상, 교육 이수비용 근로자 본인 부담이 50%이상 되고 현장 법정안전교육도 형식적으로 운영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미이수 근로자에 대한 정부의 제재 미흡과 기초안전교육 대상 근로자수가 감소하면서 기초안전교육기관의 경영수지 악화에 따른 부실운영 등으로 외부 언론(mbn뉴스/2015.6.27.)으로부터 하나마나한 안전교육이라는 지적을 받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에서는 기초안전교육이수 후 법정 안전교육(정기안전교육 및 특별안전교육)이 형식적으로 운영되거나 단절되는 등 근로자 안전의식 제고 문제가 지속발생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안전관리가 열악한 공사금액 3억~120억미만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기초안전교육 실태 분석 및 실효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 공사관계자 및 근로자를 대상으로 현장 방문 설문조사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효성 있는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기초안전교육 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근로자가 부담하도록 하되환급제도 도입을 통하여 근로자 교육비용 부담문제 해결. 둘째, 건설업 기초안전교육기관 등록제도 및 평가 강화를 통하여 부실운영 문제가 해결되고 교육기관의 수준관리가 가능. 셋째, 실습위주의 교육과정 개설 및 교육 후 근로자 평가방법을 통하여 근로자 안전의식 및 교육성과 제고. 넷째, 근로자 직종별, 경력별 체계적인 건설기능인 안전교육프로그램 도입을 통하여 2~3년마다 재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건설기능인으로써의 안전전문역량 배양. 다섯째, 지속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의 재해예방을 위하여 외국인강사 인력풀 구성지원 및 교육이수자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한 동종 재해예방 활용. 여섯째,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현장 안전교육의 재해예방지도기관 대행을 통하여 법정 안전교육의 효율성 제고 등을 통하여 중소규모 건설업체 및 현장에 도움이 되고 취약계층에 있는 일용건설근로자의 안전의식 제고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어 전체 88%이상의 재해를 점유하고 있는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감소로 이어져 전체 건설업 재해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콘택트렌즈에 대한 고지의무 강화 법률 개정이 안경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홍성철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작금의 경영환경은 더욱 글로벌화 되어가고 있다.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robot) 등으로 무장한 4차 산업혁명의 파고는 더욱 거세게 밀려오고 있다. 하지만, 무인 자율주행자동차가 사고 없이 최상의 안전성을 갖추고 운행 될 때 사람들은 믿고 탈 것이다. 이처럼 기업이 안전을 무시하고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할 때 소비자는 등을 돌릴 것이고 회사는 위기가 찾아오고 문을 닫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조물의 결함에 대한 방지와 판매자의 주의 사항에 대한 설명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제조물책임법(PL법; Product Liability Law)은 안전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기에 민법상의 소비자 보호, 보상과 더불어 2002년 7월 1일부터 우리나라에도 법률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제조물책임법이 시행 된 지가 15년에 가까이 되었지만, 새로운 제품의 출현과 그에 따른 지식 함양의 노고가 요구됨에 따라 안전에 대한 문제는 끊임없이 제기 되고 있다. 많은 대·중·소기업들과 소상공인자영사업자들까지도 소비자 불만과 사후처리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이러한 산업구조와 더불어 안경산업의 수출입이 증가하고,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강화되는 환경 속에서 안경업계도 안경테, 안경렌즈, 콘택트렌즈, 선글라스 등 결함과 안전에 대한 대처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안경산업에서 콘택트렌즈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제조물책임법인식과 제조물책임법실천 그리고 고지의무가 인식도, 안경원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개설 안경사를 대상으로 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조물책임법인식은 제조물책임법실천에, 제조물책임법실천은 인식도에, 고지의무는 인식도에, 제조물책임법인식은 안경원성과에, 고지의무는 안경원성과에 긍정적인 직접적 영향을 주었다. 반면, 제조물책임법인식은 인식도에, 제조물책임법실천은 안경원성과에, 인식도는 안경원성과에 간접적 영향을 주었다. 연구결과 제조물책임법인식, 제조물책임법실천, 고지의무, 인식도, 안경원성과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차이를 인지하고 극복하여 경영의 위기를 관리하여야 안정적인 안경원 운영이 되리라 생각한다.

      • 전문대학생의 취업교육프로그램이 구직효능감과 취업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철원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전문대학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이 구직효능감과 취업 준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 되었다. 청년실업문제가 사회적으로 문 제가 대두 되고 정부에서 취업을 위한 지원정책을 실시하여 각 대학에서도 예전에는 입학에 대한 고민에서 취업에 대한 고민으로 인하여 취업지원프로 그램에 많은 예산을 편성하여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아직까지 전문대학 교의 학생들에게 미치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이 구직효능감과 취업준비에 대한 보고나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참여 실태를 탐색하고자 한다. 2,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구직효능감 및 취업준비의 차이의 관계를 밝혀내고자 한다. 2-1,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구직효능감은 관계가 있다. 2-2,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취업준비는 관계가 있다. 3, 취업지원프로그램과 구직효능감 및 취업준비간의 상관관계의 차이의 관계를 밝혀내고자 한다. 3-1-1,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여부와 구직효능감간의 상관관계가 있다. 3-1-2,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횟수와 구직효능감간의 상관관계가 있다. 3-1-3,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만족도와 구직효능감간의 상관관계가 있다. 3-2-1,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여부와 취업준비간의 상관관계가 있다. 3-2-2,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횟수와 취업준비간의 상관관계가 있다. 3-2-3,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만족도와 취업준비간의 상관관계가 있다. 등을 연구문제로 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취업지원프로 그램을 개발∙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인천의 전문대학교에 재학생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288명의 자료 중 유효표본 240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자 110부, 취업지원프로그램 비참여자 13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 되었다. 본 연 구는 조이슬(2012), 정태욱 등(2004)이 개발하여 사용한 구직효능감 측정도구를 수집∙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PASW Statistic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 계 처리하였으며,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 하였다. 변수들의 타당도(validity)와 신뢰도(reliability)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 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 조사대 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산출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취업 지원프로그램 참여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test)를 실시, 취업지 원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구직효능감 및 취업준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을 실시, 취업지원프로그램과 구직 효능감 및 취업준비간의 관련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을 실시하여 변인 간 상관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차이를 살펴본 결 과, 성별과 전공계열에 따라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구직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구직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구직강도, 구직기술이 비참여자보다 더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취업준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의 취업준비가 비참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여부와 구직목표 간의 상관관계를 제외한 나머 지 취업지원프로그램과 구직효능감 및 취업준비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참여여부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 인 변수는 취업준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구직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구직기술, 구직강도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구직효능감과 취업준 비를 높이기 위해서는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권장과 홍보가 필 요하며, 대학생이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대학생의 만족도를 높 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부족한 부분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통합된 형 태로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 사회적기업의 기술혁신이 경제적 성과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SROI측정을 중심으로

        이유미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욕구와 사회 문제 해결하고 긍정적인 사회 변혁과 혁신을 추구하면서 지역사회의 발전을 추구해 나가는 조직이다. 사회적기업이 특징은 각 나라의 복지국가의 상황과 문화와 역사에 따라 다양하다(Defourney, 2001). 사회혁신이란 새롭고 창의적이며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양극화, 불평등, 환경, 보건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사회적기업가를 사회혁신가로 보는 연구가 다양하다(Unceta, A. et al, 2016). 기업의 기술혁신은 장기적 성장과 기업 생태계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기업 내·외부 환경이 급변하고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이재식, 2012). 사회적기업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사회적기업의 기술혁신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의 기술혁신이 경제적·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둘째, 기술혁신요소가 사회적기업의 정부지원금 및 기부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과 정부지원금 및 기부금이 경제적·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밝히고자 한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넷째, 사회적기업의 기술혁신과 사회적 성과 그리고 정부지원금 및 기부금이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혁신과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정부지원금 및 기부금이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CDM 모형을 이용해서 연구하였다. 다섯째, 기술혁신과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 그리고 정부 지원금과 기부금이 Social Impact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2017년 사회적기업 자율경영 공시를 한 367개의 공시 데이터와 기업의 사이트를 통해서 기술혁신 변수를 구하고, 이를 통해서 사회적기업의 자율경영 공시에 나타난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의 변수를 통해서 연구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 프로그램은 STATA SE 12.0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혁신 요소 중 중소기업, R&D연구소와 지적재산권의 수, 시스템 인증은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기술혁신은 정부지원금 및 기부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정부 지원금에는 시스템 인증의 수가 유의한 영향을 주고, 기업 후원금에는 시스템 인증과 지적재산권의 유무가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정부 지원금 및 기부금은 경제적 성과에는 부정적이 영향을 주지만, 사회적 성과에는 유의미한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 중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사회적 성과인 자원 연계 및 이윤 분배와 사회적 목적 재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성과인 자원 연계 및 이윤 분배와 사회적 목적 재투자는 매출액, 1인당 매출액, 당기순이익, 영업이익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기업의 기술혁신과 경제적 성과, 정부 지원금 및 기부금이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술혁신 요소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보다 설명력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Social Impact 측정에는 R&D연구소와 자원 연계 및 이윤 분배와 사회적 목적 재투자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시사점으로는 사회적기업이 지닌 기술혁신 요소와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 변수와의 영향관계를 증명해 내었다. 그리고 정부 지원금 및 보조금에 미치는 영향력을 기술혁신의 변수로 분석하였다. 현재까지의 사회적기업의 성과 연구는 주요 변수들과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각각 분석하였지만, 본 연구는 기술혁신 변수와 경제적 성과, 정부 지원금 및 보조금 전체의 영향력과 사회적 성과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증명해 내었다. Social enterprises are organizations that pursue the development of communities while fulfilling social desires and social problems and pursuing positive social transformation and innovation. Social enterprise characteristics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culture and history of each country's welfare state (Defourney, 2001). Social innovation is the solution of social problems such as polarization, inequality, environment and health in new, creative and sustainable ways, and research into social entrepreneurs as social innovators varies (Unceta A, et al, 2016). Technology Innovation in a company plays an important role in long-term growth and the growth of the business ecosystem, and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rapidly. While research into social enterprises is underway activel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echnology innovation of social enterpri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I would like to clarify the technology innovation of social enterprises o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Second, I would like to clarify the impact of technology innovation on government subsidies and donations by social enterprises and the impact of government grants and donations o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Third, I inten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nd social achievements of social enterprises. Fourth, I would like to clarify technology innovation of social enterprise, social performance, government subsidies and contributions on economic performa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and of social enterprises, social performance, government grants and donations on social performance. Fifth, I measured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as well as government aid and donations on social impact. This research data came from public data of 367 social enterprises autonomous management announcement in 2017 and the variabl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the website of a company.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in the analysis is STATA SE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mong the elements of innovation, medium sized enterprises, R&D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system authentication responded positively to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Second,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innovation of social enterprises was affecting government subsidies and donation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system certificat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government subsidies, and the existence of system certificate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sponded positively to corporate funds. Government subsidies and donations have been shown to have negative effects on economic performance, but also on social performance. Third, sales and net income of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 social enterpris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 performance, the distribution of profits and the re-investment of the social purposes, and the sharing of social resources and profi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echnology innovation of social enterprise, economic performance, government subsidies and donations on social performance was more descriptive than when the factors of technology innovation of social enterprise were not taken into account. Fifth, the social impact measurement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R&D lab's resource alignment, profit distribution, and re-investment for social purpos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it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ology innovation elements of a social enterprise and the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variable s. The impact on government funding and subsidies was analyzed as variables in technology innovation. While until now,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studies have analyzed major variables and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separately,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nfluence and social impact of the overall innovation variables and economic performance, government subsidies and 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