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간관리능력이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우희순(Hee-Soon Woo),최유임(Yoo-Im Choi)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시간관리능력이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대상자는 J지역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213명이었다. 시간관리능력 및 심리사회적 요인(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측정은 시간관리척도, 자기효능감척도 및 학교생활만족도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간관리능력과 심리사회적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시간관리능력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모든 영역은 시간관리능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관리능력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는 시간관리능력 중 목표세우기 및 실행하기, 평가하기의 하위 영역이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 영역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능력은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지지를 위해 시간관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ime management skills on psychosocial factors in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213 high school students in a high school located in J area. The measurement of time management ability and psychosocial factors (self - 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using time management scale, self - efficacy sca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ability and psychosocial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time management ability and self-efficacy showed that all areas of general self-effica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ime management abilit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management ability an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sub - domain of goal setting, execution and evaluation of time management abi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ub -domain of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ime management abilit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plan and provide appropriate programs to improve time management ability for high school students psychosocial support.

      • KCI등재

        감각처리유형이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우희순(Hee-Soon Woo),최유임(Yoo-Im Choi)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감각처리유형이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대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감각처리유형은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고,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은 대인관계변화척도, 대학생활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감각처리유형과 대인관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감각찾기는 대인관계의 친근감과, 감각회피는 대인관계의 민감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나머지 감각처리유형과 대인관계 사이에서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감각처리유형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감각처리유형 중 감각찾기는 대학생활 적응의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대학환경 적응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의 감각처리유형 중 감각찾기와 감각회피가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환경에 대한 자극 추구 정도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건강을 위해서는 적절한 감각자극 추구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나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하는 것이 의미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ensory processing type on the psychosocial factors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170 college students,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of college students wer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sensory processing type used the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used the Interpersonal Change Scale, and the Student Adaptation College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sensory processing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nsory seek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affinity and sensory avoiding with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other types of sensory process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typ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ensory seeking was correlated with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college environment adaptation of college life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sory seeking and sensory avoiding among the sensory processing types of college students were related to the psychosocial factors(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respectively. Therefore, for the psychosoci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ider environment or education programs that can provide appropriate sensory stimulation pursuits.

      • KCI등재

        턱열기 운동과 저항성 턱 열기 운동 수행 시 목뿔위근과 목뿔아래근의 근 활성도 차이 비교

        윤영식(YeongSik Yun),우희순(HeeSoon Woo),심선화(SunHwa Sim),장기연(KiYeon Cha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muscle activation of suprahyoid muscle and infrahyoid muscle during jaw opening exercise and jaw opening against resistance exercise, and which exercise method could induce muscle activation. jaw opening exercise and jaw opening against resistance Exercise were performed in 48 healthy adults (19 males, 29 females) who were over 20 years old and were living in D City And the muscle activity of swallowing muscle was measured and analyzed by surface electromyography. As the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ation of suprahyoid muscle between two exercises(p=1.00), and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for infrahyoid muscle(p<.01). Also, both induced better muscle activation of suprahyoid muscle than infrahyoid muscle. This study confirmed that both jaw opening exercise and jaw opening against resistance exercise induce similar muscle activation of suprahyoid muscle and infrahyoid muscle, and that both exercises contributes to higher muscle activation of suprahyoid muscle than infrahyoid muscle. In addition, if comparative research of two exercise effect progresses for patients in the future, it may be more clear grounds. 본 연구에서는 턱 열기 운동과 저항성 턱 열기 운동 수행 시 목뿔위근과 목뿔아래근의 근 활성도를 확인하고 어느 운동 방법이 보다 많은 근 활성을 유도할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D 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 48명(남자 19명, 여자29명)을 대상으로 턱 열기 운동, 저항성 턱 열기 운동을 수행 시킨 후 표면 근전도를 통해 삼킴 근육의 근 활성도를 측정한 뒤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턱 열기 운동과 저항성 턱 열기 운동간 목뿔위근의 근 활성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p=1.00), 목뿔아래근의 경우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다(p<.01). 추가적으로 두 운동 모두 목뿔아래근 보다 목뿔위근의 근 활성도가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턱 열기 운동과 저항성 턱 열기운동 모두 유사한 수준의 목뿔위근과 목뿔아래근의 근 활성을 유도할 수 있으며 두 운동 모두 목뿔아래근보다 목뿔위근의 근 활성에 더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후 삼킴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일정기간동안 두 운동을 수행 시킨 후 그 차이를 비교한다면, 두 운동간의 효과차이를 비교하는데 있어 보다 명확한 이론적 근거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재활의료기관 시범사업에서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일상생활훈련 개선방안

        송영진(Song, Young-Jin),우희순(Woo, Hee-Soo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8 재활치료과학 Vol.7 No.3

        목적 : ‘재활의료기관 지정운영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관 내 작업치료사 및 환자들에 대한 설 문을 통하여, 시범사업 안에서의 작업치료가 환자들의 가정 및 사회로의 복귀를 위한 적절한 지원 체계를 확립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시범사업을 운영 중인 전국 13개 기관의 작업치료사 293명, 환자군의 응답을 허가한 8개 기관 의 환자 296명의 응답지를 대상으로 설문분석 하였다. 치료사용 설문에는 일상생활활동 관련 평가 도구 및 적용하는 중재에 관한 항목들로 구성되었으며, 환자용 설문에는 퇴원 후 직업복귀 여부 및 이를 위한 희망 중재 활동을 묻는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 ‘재활운영 지정운영 시범사업’이 환자들의 빠른 사회복귀를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음에도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수가이며 치료적 목표인 일상생활활동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의료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건강보험 수가를 본 시범 사업에서도 그대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적인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및 직업재활을 위한 평가 및 중재의 기반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시범사업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대상자들의 조기 사회복귀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불 필요한 사회적 지출 감소를 위한 실제적인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Questionnaires comple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atients in institutions conducting a “Pilot Project of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s”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occupational therapy was able to establish appropriate patient support systems for return to home and community. Methods :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93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13 institutions conducting pilot projects and 296 patients from 8 institutions who were able to respond. Results : Although the Pilot Project of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s is being implemented to enable early return of patients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most important therapeutic goal is not efficiently applied. In addition, since the health insurance systems utilized in medical institutions are applied as in the pilot project, there is no basis for evaluation and mediation of practical daily activiti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actual return to the community. Conclusion : Through a detailed review of the pilot project,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arly return of patients to social activity, and to make practical improvements to reduce unnecessary societal expenditures.

      • KCI등재

        행동관찰 기반 치매 식이 평가 도구의 한국판 개발

        서상민(Seo, Sang-Min),우희순(Woo, Hee-Soo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1

        목적 : 본 연구는 치매로 인한 이상행동으로 인하여 음식물의 섭취에 영향을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행동관찰에 기반하여 식이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국외의 체계화된 평가 도구들을 소개하고, 전문가 집단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한국화 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 : 폭넓은 관련 문헌 검색에 기초한 수차례의 회의를 통하여 최종으로 한국판으로 개발할 평가 도구 3종(Eating Behavior Scale; EBS, Edinburgh Feeding Evaluation in Dementia Scale; EdFED, Feeding Difficulty Index; FDI)을 선택하였다. 수정된 평가 도구 3종은 연구진들에 의하여 1차 번역되었으며, 9인으로 구성된 전문가팀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검증 하였다. 결과 : EBS 내용타당도 산출 결과 6개의 질문 항목 및 1개의 응답 항목 모두에서 CVI가 0.9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항목의 수정 없이 모든 항목을 한국판 EBS에 수록하였다. EdFED 내용타당도 산출 결과 11개의 질문 항목 모두에서 CVI값 0.9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항목의 수정 없이 모든 항목을 한국판 EdFED에수록하였다. FDI의 내용타당도 산출 결과 19개의 질문 항목 모두에서 CVI값 0.8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항목의 수정 없이 모든 항목을 한국판 FDI에 수록하였다. 결론 : 국외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치매 환자 대상의 행동 관찰기반 식이 평가도구 인 EBS, EdFED, FDI의 한국판을 개발하였다. 관찰기반의 한국판 평가 도구를 통하여 치매 환자들의 식이 관련 문제점들을 조기에 판단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은 환자의 영양섭취 강화와 보호자의 부담 저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introduces domestic and overseas systematic assessment tools that can identify eating problems of dementia patients based on abnormal behavior observations and turns them into Korean through the verification of content placement by expert groups. Methods : Three types of assessment tools were selected for final development in Korean version through several meetings based on a wide range of relevant literature searches. The 3 selected assessment tools were first translated by the researchers, and a 9-person expert team was us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Index. Results : The EBS content equivalence calculation shows that all 6 questions and 1 response item had a CVI value 0.9, and all items were included in Korean EBS without modification. The EdFED content equivalence calculation showed that all 11 questions had CVI value 0.9, which was included in the Korean edition of EdFED without modification. The content equivalence calculation of the FDI showed that all 19 questions had a CVI of 0.8 or higher, and all items were included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FDI without modification of the item. Conclusion : Korean versions of the EBS, EdFED and FDI, which are based on behavioral observation and diet tools for people with dementia, have been developed. Early determination of problems related to diet in dementia patients and providing proper intervention through observational Korean version assessment tools is vital in terms of strengthening patient nutrition and reducing caregivers burden.

      • KCI등재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낙상예방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장기연(Ki-Yeon Chang),우희순(Hee-Soon Woo)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3

        지역사회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노인들의 낙상 예방을 위한 작업치료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립보행이 가능하고 균형에 영향을 주는 약물 복용을 하지 않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험군 13명, 대조군 13명으로 분류하여 낙상 예방을 위한 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6주 간의 작업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균형 능력 평가는 Berg 균형척도와 Tetrax 낙상지수가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Berg 균형척도는 6주간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48.38에서 50.69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p=.017). 실험군의 Tetrax 낙상지수 또한 6주간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46.77에서 35.54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었다(p=.000).대조군의 Berg 균형척도와 Tetrax 낙상지수는 모두에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낙상예방 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낙상예방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6주 간의 적용이 노인의 균형 능력증진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았으며, 추후 낙상 예방 교육의 효과만을 다룬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effectiveness of fall-preventive occupational therapy of elderly by clarifying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therapy applied to female elderly in the community upon balance ability. A 6-week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including both training and exercise for prevention of fall down was applied by dividing into 13 persons of experimental group and 13 persons of control group for female elderly aged more than 65 years who were capable of independence gait and have not taken any drug to adversely affect balance. For balance ability assessment, the Berg balance scale and the Tetrax fall index were used. The Berg balance scale in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to be 48.38 to 50.69 through the 6-week program, indicating changes in significance level(p=.017). The Tetrax fall index in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to be 46.77 to 35.54 through the 6-week program(p=.000). Changes in significance level were not found for both the Berg balance scale and the Tetrax fall index in control group. As see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6-week application of the fall-preventiv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including fall prevention training and exercise was effective for promotion of elderly's balance ability, and further studies just on the effect of fall prevention training are required to be made.

      • KCI등재

        실행증의 작업치료

        이희령(Hee-Ryoung Lee),우희순(Hee-Soon Woo) 대한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2 No.1

        서론: 실행증이란 운동 및 감각 저하, 이해력의 손상, 협응의 문제가 없음에도 이전의 친숙한 과제나 학습된 행동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광범위한 신경학적 증상을 말한다. 이러한 실행증은 클라이언트의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능력, 사회 참여 및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에 부정적 영향을 유발하기 때문에 작업치료의 대상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증 클라이언트의 효과적인 작업치료 시행을 위해 실행증과 관련된 포괄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론: 실행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지시에 따라 흉내 내기, 흉내 내는 것 보고 모방하기, 다단계 작업 완료하기 등 임상 관찰을 통한 평가와 Test of Upper Limb Apraxia (TULIA) 및 Apraxia Screen of TULIA (AST)와 같은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실행증을 위한 대표적인 근거 기반 중재로는 제스처 훈련과 전략 훈련이 있고, 아직까지 근거는 부족하나 가상현실이나 거울을 이용한 중재도 실행증 치료에 도입되고 있다. 최근 작업치료의 인지재활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기능적 인지 개념을 이용한 중재 역시 실행증의 치료로 적용할 수 있다. 기능적 인지 중재로는 작업수행기반의 실행증 평가와 과제/습관 훈련, 전략 훈련, 보호자 교육 및 활동/환경 수정과 같은 간접 중재 등이 있다. 결론: 실행증은 의도적인 움직임을 수행하려고 할 때 어려움을 유발하여 클라이언트의 기능적 활동 수행능력을 저하시킨다. 이에 실행증이 있는 클라이언트의 개별 중상에 맞춘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정보는 실행증에 대한 근거 기반 작업치료 시행에 의미있게 사용되길 기대한다. Purpose: Apraxia is a target of occupational therapy because it negatively affects a person ability and independence in performing basic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person’s social participation. We aimed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related to apraxia to effectively provide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apraxia. Subjects: Diagnosis of apraxia involves evaluation through clinical observation, such as the ability to pantomime, imitate, and complete multi-step tasks, and standardized evaluation tools, such as the Test of Upper Limb Apraxia (TULIA) and the Apraxia Screen of TULIA (AST).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apraxia include gesture and strategy training. Although evidence is still lacking, interventions using virtual reality or mirrors are also being introduced to treat apraxia. Interventions based on functional cognition concepts can also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apraxia. Functional cognitive interventions include tasks/habits and strategies and indirect interventions. Conclusion: Apraxia can cause difficulties when attempting to perform intentional movements, thereby reducing a participant's ability to perform functional activities. Accordingly, implementing pat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tailored to the special needs of patients with apraxia is necessary.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for the implementation of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apraxia.

      • KCI등재

        발렌버그 증후군(Wallenberg’s Syndrome) 환자에게 적용한 구강운동촉진기술(OMFT)과 신경근전기자극치료(Neuromuscl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효과

        손영수(Yeong-Soo Son),민경철(Kyoung Chul Min),우희순(Hee-Soon Woo)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2 재활치료과학 Vol.11 No.4

        목적 : 본 연구는 발렌버그 증후군 환자에게 적용한 구강운동촉진기술(OMFT) 프로토콜과 신경근전기자극치료(NMES)의 임상 적용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발렌버그 증후군 환자 1명을 대상으로 OMFT와 NMES를 4주 동안 주 5일, 1일 2회로 각각40회씩 적용하였다. 중재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포괄적 구강안면기능척도(COFFS), 한국판Mann 삼킴 능력 평가(K-MASA), 침습-흡인 척도(PA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중재 전·후의점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중재 전․후로 구강안면기능과 삼킴능력이 향상되었다. 구강운동기능 중 혀 운동에 비교적 많은 기능적 호전이 나타났으며, 인두기 삼킴이 가능해지는 정도로 평가되었고, VFSS를 통한 PAS 평가에서도 5점으로 증상의 개선이 관찰되었다. 결론 : 체계적인 OMFT와 운동강도의 NMES를 적용한 초기 연하재활치료는 구강 운동 기능과 연하장애개선에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OMFT와 NMES를 적용한 중재의 효과에 대한 보완 연구가 필요할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the clinical application of 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 protocol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in patients with Wallenberg syndrome. Methods : One patient with Wallenberg syndrome was treated with OMFT and NMES applied 40 times each, 5 days a week, twice a day for 4 weeks. The Comprehensive Oral-Facial Function Scale (COFFS), Korean-Mann Swallowing Ability Assessment (K-MASA), and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S) were used to compare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Data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scor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 Orofacial function and swallowing ability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individual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oral motor functions, relatively greater functional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ongue movement compared to other functions, which was evaluated to the extent that pharyngeal swallowing was possible. Conclusions : Early swallowing rehabilitation using systematic OMFT and NMES of exercise intensit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oral motor function and dysphagia. In the future, complementary studies on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applying the OMFT and NMES will be needed.

      • KCI등재

        스포츠 테이핑이 근 피로 유발에 따른 슬관절의 위치감각 및 자세동요에 미치는 영향

        이병권(Byoung Kwon Lee),천승철(Seung Chul Chon),우희순(Hee Soon Woo) 한국사회체육학회 2010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1

        This study purposes at applying knee joint taping to prevent muscle fatigue and maintain postural stability. Twenty six subjects were randomly sampled among healthy people. To cause muscle fatigue, isokinetic exercise, which is a repetition of flexion and extension knee joint to 180°/sec, was performed 50 times per person. Position sense and postural sway were measured at pre-fatigue, post-fatigue as well as during the taping application. Analysis has carried out by means of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α=0.05 to detect statistic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generation of lower extremity muscle fatigue significantly affects on position sense and postural sway(p<0.05). The application of taping to the knee joint significantly affects position sense and postural sway(p<0.05). Fatigue has negative influences on daily activities that people do such as playing sports, and it also limits the level of rehabilitation exercise therapy. People commonly get injured towards the end of sports games when they undergo muscle fatigue.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proper sports taping is crucial to keep game players and people from muscle fatigue.

      • KCI등재

        구강운동촉진기술: 2 부-개념적 위계 및 핵심 기법

        민경철(Min, Kyoung Chul),서상민(Seo, Sang Min),우희순(Woo, Hee-soo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1

        서론 : 구강운동촉진기술(OMFT)은 감각-운동, 운동 조절, 운동 학습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치료기법으로 주요 목표는 구강 운동 기능 증진이다. OMFT에서는 구강 운동 기능의 개념적 위계 및 발달 단계는 5단계이며, 1) 감각-운동 단계, 2) 운동요소 통합 단계, 3) 구조적 움직임 단계, 4) 기능적 구강 운동 단계, 5) 통합적 구강 운동 단계로 구분하였다. 본론 : OMFT는 총 3개의 기법, 10개 범주, 50개 하위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1) 준비기법: 감각 인식 및 적응, 치료 적응과 목의 움직임을 통한 준비 과정으로 2범주, 12하위 항목, 2) 핵심기법: 얼굴, 입술, 볼, 잇몸, 혀, 턱 등의 구강 구조물에 치료사의 직접적인 자극을 통한 구강 운동 기술 촉진과 씹기 기능 증진을 목적으로 7개 범주, 30개 하위 항목, 3) 응용기법: 음식 섭취와 삼킬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료적 접근법 1개 범주, 8개 하위 항목으로 구성된다. 결론 : 본 논문은 OMFT의 실제적 적용을 위한 구강 관련 구조물의 기능 증진을 목표로 하는 준비 기법과 핵심 기법 및 섭식을 포함한 구강 기능의 종합적인 접근을 고려한 응용 기법에 대하여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troduction : OMFT is a therapeutic technique based on sensorimotor, motor control and motor learning, and its major goal is to improve oral motor function. The oral motor conceptual hierarchical development is divided into 5 steps: 1) sensorimotor, 2) movement integration, 3) structural movement, 4) functional oral motor, and 5) comprehensive oral motor. Discussion : The OMFT consists of 3 techniques, 10 categories, and 50 sub-item. 1) Warming up technique: 2 categories, 12 sub-item, warming up by sensory awareness and adaptation, therapy situation adaptation, neck movement; 2) Key point technique: 7 categories, 30 sub-item, oral motor facilitation and increasing chewing skill by direct stroke of oral structures such as the face, lips, cheeks, gum, jaws, and tongue; 3) Application technique: 1 category, 8 sub-item, facilitate food intake and swallowing. Conclusion :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3 techniques, 50 sub-item of OMFT, as a comprehensive oral motor therapy method, for application to clients. This article provides information that will help oral motor specialists in treating clients with oral motor problems more effectively and professio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