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선조대 남북 분당과 내암 정인홍

        우인수(Woo, In Soo) 부산경남사학회 2011 역사와 경계 Vol.81 No.-

        남북분당의 과정을 남북 갈등의 조짐, 갈등의 심화로 인한 분당, 대립의 고착이라는 세 단계를 설정하여 각 단계별로 분석하면서 파악하였다. 남북분당기에 발생한 사안에 관한 서로 다른 견해에 대해 그 의미를 검토하고 음미하는 방법을 통해 남북분당 과정을 재구성하면서 종합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특히 단계별 남북분당의 과정에서 보인 정인홍의 역할에 주목하여 이를 통해 그의 영향과 위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먼저 동인 내부의 남북 갈등의 조짐이 있었던 시기는 선조 13년으로부터 선조 22년 기축옥사가 일어나기 전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하였다. 이 시기 갈등의 조짐이 된 사건들에는 여러 사람이 상호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이발과 우성전, 정인홍과 우성전, 이경중과 정여립, 정인홍과 이경중을 둘러싼 여러 가지 갈등이 그러한 예였다. 하지만 이러한 갈등은 분당으로까지 치달을 정도로 심각한 단계는 아니었다고 생각된다. 이 시기의 정인홍도 다소 경직된 면은 있었지만 공무를 강직하게 수행한다는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는 활동을 한 시기로 볼 수 있다. 선조 22년의 기축옥사는 동인을 남북으로 분당시키는 지경으로까지 치닫게 하였다. 정여립의 모역사건을 계기로 만연된 옥사는 동인과 서인 뿐아니라 선조까지 깊숙이 개입하면서 후일 북인으로 분류되는 많은 사람들이 억울하게 처형되는 참혹한 화로 확산되었다. 이 과정에서 화를 주로 입은 측의 인사들은 옥사를 만연한 상대당인 서인은 물론이거니와 이를 적극적으로 구원하지 않고 관망하는 자세를 보였던 같은 동인의 일부에 대해서도 점차 반감을 가지게 되었다. 정인홍과 류성룡, 이산해와 류성룡, 이경전과 정경세 간의 갈등으로 심화되면서 동인이 결국 남인과 북인으로 나뉘게 되었다. 임진왜란이 거의 극복되어갈 무렵인 선조 31년 북인들이 대대적으로 남인의 우두머리 영의정 류성룡을 집중 공격하여 실각시키면서 대립 양상은 절정에 달하게 되었다. 북인들은 명에 보내는 변무 사행에 류성룡이 자청하지 않은 점을 거론하여 체직을 시킨 다음 남북분당의 책임, 임난 때의 주화론 주창 등의 책임을 집중 공격하여 관작을 삭탈케 하는데 성공하였다. 그 외의 남인 인사들이 함께 조정에서 몰려났음은 물론이었으며, 임난 중 의병 활동을 하다가 과로사한 우성전의 관작까지 삭탈시켰다. 정인홍은 이러한 남인의 공격에 직접 나서거나 또는 문인을 통하여 공격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일익을 담당하였다. I analyze the process of the split between Namin and Bukin party in three phases: signs of the conflict between Namin and Bukin party, party split caused by increased conflict, and settlement of opposition. I value to reconstruct the process of the split party by investigating the issues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the split.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Jeong, In-Hong’s role throughout the stages of the split. First, I define the period which shows the signs of the conflict between Namin and Bukin as King Seonjo’s thirteenth year to twenty-second year. I analyze the various conflicts between Lee, Bal and Woo, Sung-Jeon, Jeong, In-Hong and Woo, Sung-Jeon, Lee, Kyung-Jung and Chung, Yeo-Rip, and Jeong, In-Hong and Lee, Kyung-Jung. During this period, Jeong, In-Hong performs his official duties with integrity although he has the tendency to be a bit inflexible. The conspiracy to treason in the King Seonjo’s twenty-second year resulted in the party split in Dongin party. The incident spread by Chung, Yeo-Rip’s treason sacrifice the many innocent people of the Bukin party. In this process, the most victimized Bukin party gradually begins to feel hostile towards some Dongin party who takes a wait-and-see attitude, not to mention Seoin party who are the main reason of the spread of the incident. After all, Dongin party is divided into Namin and Bukin party after the deepened conflicts between Jeong, In-Hong and Ryu, Sung-Ryong, Lee, San-Hae and Ryu, Sung-Ryong, and Lee, Kyung-Jeon and Chung, Kyung-Se. In the last stages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King Seonjo’s thirty-first year, the sentiments of opposition reach an extreme when Bukin party extensively overthrows the prime minister Ryu, Sung-Ryong, the head of Namin party. Bukin party succeeds in removing Ryu, Sung-Ryong from the government by intensively bashing Ryu’s responsibilities of Pacifism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and the party split between Namin and Bukin party. Naturally, Namin party is expelled from the Court as well. Jeong, In-Ho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attacking Namin party by directly involving himself or by indirectly attacking through disciples. The Party Split between Namin and Bukin party is established by undergoing above process. And Jeong, In-Hong is the key force in the course, which proves his historical status in the split.

      • 훈수(塤수) 정만양(鄭萬陽)(1664~1730)의 토지제도 개혁론(土地制度改革論)

        우인수 ( In Soo Woo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5 No.-

        본고는 정만양이 제시한 토지제도 개혁안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토지제도를 면밀히 검토한 위에서 자신의 토지제도 개혁안을 주장하였다. 그가 주장한 토지제도 개혁안은 토지 소유의 상한선을 제한하는 한전제였다. 그는 한대 동중서에 의해 제기된 한전제에서 그 이념을 가져왔으며, 중국의 여러 토지제도 개혁안을 참고하여 조선후기의 실정에 맞게 변용하였다. 이는 국가 차원의 토지 지급이 불가능한 현실을 고려한 방안이었다. 그만큼 가능성이 희박한 이상에 치우친 주장이 아니라 현실을 충분히 감안한 상태에서 실현 가능성을 높인 주장인 것이다.그의 토지 개혁 구상의 핵심 내용은 개인의 소유권을 극도로 축소시키고, 국가의 토지에 대한 관리 권한을 대폭 강화하는 것이었다. 그가 한전제를 통해 실현하고자한 것은 분배를 감안한 평준화된 서민들의 생활, 사족의 특권이 인정되는 사회, 토지에 대한 통제력이 강한 국가 등이었다.한전제는 토지개혁을 구상한 많은 당시의 학자들이 제기한 것이었는데, 그의 주장은 다른 학자들에 비해 상당히 빠른 시기에 나온 것이어서 선구적인 의미가 있었다. 그리고 그의 개혁안은 어느 다른 학자의 한전제보다도 자세하고 구체적이었던 점에 의의가 있었다. 그리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실현 가능성을 중시하면서 점진적이지만 확실한 방안을 제시한 점도 큰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아울러 그가 영남 지역의 남인이었다는 점에서 그동안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였던 영남 남인의 개혁성향을 살피는 데도 도움이 된다. 영남 남인 학자 가운데서 토지제도에 대한 개혁안을 지식인이 가져야할 관심사로 삼아 깊이 연구한 점은 높이 평가할 부분이라 하겠다. This thesis studied on Jeong Mahn-yang(鄭萬陽)'s land reform bill. He asserted his reform bill after he mad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China's land system and Korea's. His reform bill was called 'Hanjeonjae'(限田制) which limited the maximum of land possessions. His theory was based on Han dynasty's reform bill, Hanjeonjae introduced by Dong Jung-seo. He readjusted the theory into late Joseon dynasty's realistic situation. His reform bill was not ideal but realistic. The heart of his reform bill was to minimize one's land possessions and to maximize the right of the country on land. He wanted to make common people's equalized life, a society which authorized the privilege of the literati and a country which has a strong management about land. There were many scholars who insisted Hanjeonjae at that time. But it is meaningful that he was the man who insisted Hanjeonjae earlier than any other person and that his reform bill was more concrete and detailed than that of other scholars. He was one of scholars of the Youngnam Namin(嶺南 南人) scholastic mantle which could not noticed at that time. So we can understand the point of the inclination for reform bill of the Youngnam Namin scholastic mantle through his reform bill. Also his reform bill and study on the land system deserved to be praised in some ways which he studied and concerned about the land system as one of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 KCI등재
      • KCI등재

        임란공신 金太虛의 행적과 후손들의 顯彰 노력

        우인수(Woo, In-So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7 No.-

        김태허는 임진왜란기 내내 울산군수로 재임하면서 외적을 격퇴하고 국토를 수호하는 데 힘을 쏟은 장군이었다. 그는 울산 군민들과 함께 혼신의 힘을 다해 나라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김태허가 이끄는 울산의 관군은 인근 경주 지역의 군대와 함께 전공을 가장 많이 세운 최강의 군대였다. 울산은 전쟁 기간 내내 일본군의 침략에 노출된 지역이었고, 장기간동안 피아간의 공방이 벌어진 최전선이었다. 근래 역사학계에서는 의병에 대한 과도한 관심에서 벗어나 그동안 평가절하되었던 관군의 활동에 대해 정당한 평가를 하고자 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김태허와 같은 관군이 보여준 활동과 의미는 새롭게 조명될 여지가 크며, 그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임진왜란사의 이해의 폭을 넓히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김태허의 임진왜란시의 전공과 평가에 더하여 후손들에 의해 주도된 현창 사업의 실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임란 당시의 공적을 바탕으로 후손들은 19세기에 들어 약 60여년동안 현조인 김태허를 현양하는 사업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 현창의 노력을 誌狀의 찬술, 시호의 청원, 사우의 건립, 실기의 간행 등 4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살피면서 그 특징을 밝혔다. 이는 문중의 결속을 다지고 가문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후손들의 노력에 대한 이해이기도 하다. Kim Tae-heo devoted himself to defeating enemies and protecting the land as the head of Ulsan-gun and a general throughout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used all of his strength to protect the country along with the people of Ulsan. The government troops of Ulsan that were led by him were the strongest troops and had the most military merits along with the troops of nearby Gyeongju. As Ulsan, along with Gyeongju, was situated along an invasion route, it was exposed to the attacks from Japanese troops throughout the war and became a front line where battles against enemies took place for many years. Historical circles of South Korea have grown out of their excessive interest in the army raised for the cause of justice and have moved toward an increasingly greater trend of assessing the activities of the underestimated government troops in a fair and just manner. There is a huge possibility that they will shed new light on the activities and meanings of government troops like Kim Tae-heo, and full-blown research on them will hold significance by broadening the scope of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ctual state of the project led by his descendants to highlight his life and achievements in addition to his military merits during the war and his evaluations. Based on his military merits during the war, his descendants made continued effort to have him earn the fame he deserved for approximately 60 years in the 19th century. The investigator divided their effort into four stages: compiling his achievements, applying for his posthumous name, building a shrine for him, and publishing his actual records, examining them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each stage. They were also understood as efforts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and raise the status of their family.

      • 기획논문 : 계당(溪堂),민산(민山)의 학문(學問)과 사상(思想) : 계당(溪堂) 류주목(柳疇睦)과 민산(민山) 류도수(柳道洙)의 학통과 그 역사적 위상

        우인수 ( In Soo Woo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9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4 No.-

        계당 류주목과 민산 류도수는 조선조 말 영남의 유학자였다. 그들은 퇴계학통의 主脈을 서애 류성룡을 통해 이어받았다. 즉 류주목은 류성룡-정경세-류진-정도응 …… 정종로-류심춘으로 이어지는 학통을 이어받았고, 이를 류도수에게 전하였다. 퇴계학맥의 정통 줄기 중의 하나를 이어받았다는 점과 동시에 영남 학맥의 주맥을 소중히 이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있다. 이 학통의 특징으로는 家學으로 이어지는 점이 강하였다는 점, 류씨와 정씨를 교차하면서 학통이 전수되었다는 점, 사승관계에서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있다는 점, 안동을 중심으로 서남지역에 지역적으로 많이 분포한다는 점, 정승을 지낸 류성룡의 후손들이 많은 만큼 ‘世祿之臣’으로서의 현실대응자세를 견지한 점 등을 들 수 있었다. 한편 그들은 현실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면을 보였다. 먼저 류주목은 천주학과 서양세력에 대해 배척하는 의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천주교도 박해 문제로 프랑스함대의 공격을 받은 병인양요가 일어났을 때는 의병을 조직하는 대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 외 그는 성리학, 예학, 사학, 보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토대로 현실에 부응한 저술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류도수도 스승의 뜻을 이어받아 현실 문제에 소홀하지 않았다. ??상감박의??를 지어 올려 정승인 족조 류후조를 보좌하였고, 대원군이 실각하고 칩거함으로써 드러난 부자간 갈등의 해결을 촉구하기 위한 상소운동에 疏頭로 참여하기도 하였다. 요컨대 류주목과 류도수는 本源에 주력하여 원칙에 투철한 영남 퇴계학맥의 특징을 몸소 실현한 유학자였다. 그들이 보여준 학문하는 자세와 현실에 대응하는 의식, 그리고 의리를 중히 여기는 태도는 역사적으로 높이 평가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Ryu Jyu-mok and Ryu Doh-su were scholars of Southeastern doctrinal faction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They became the mainstreamers of Toegye(退溪) school through Ryu Seong-ryong. In other words Ryu Jyu-mok succeeded a scolastic mantle which had been inherited from Ryu Seong-ryong, Jeong Kyung-se, Ryu Jin, Jeong Doh-eung to Jeong Jong-ro, Ryu Sim-choon. And he was the one who imparted his knowledge to Ryu Doh-su. This is meaningful in two ways. One is that they succeeded a part of the orthodox Toegye school and the other is that they, at the same time, continued mainstream of Southeastern doctrinal faction. Now, here are some features of this doctrinal faction. It was, almost, succeeded to blood relation and was crossed two lineages, Ryu and Jeong. Region this sect was propagated was usually southwestern province around Ahndong. As there are many descendants of Ryu Seong-ryong who served as a senior minister, the sect adhered a point of view which is following the professional spirit as a hereditary occupation strictly. They also coped with political issues actively. For example, Ryu Ju-mok stood positively against Catholicism and the western power. When ByunginYangyo which was resulted from persecution toward Catholics broke out and French fleets came to attack, he raised an army in the cause of loyalty. In addition, he kept wielding the pen trying to meet the then social situation, on the basis of his knowledge about Sung Confucianism, courtesy, history and genealogy. Ryu Do-su, also, was very active at social issues just like his teacher did. He assisted Ryu Who-jo by writing ??Sangkampakui(相鑑博議)?? and presented memorial to the throne as a chief for resolving a conflict, between king Kojong and his father, which was arisen from overthrown of king Kojong's father and his seclusion. In short, Ryu Jyu-mok and Ryu Doh-su were confucianists who practiced a Youngnam Toegye scholastic mantle thoroughly. Their attitudes toward scholastic pursuit, social awareness and loyalty are really meaningful historically.

      • KCI등재
      • KCI등재
      • 조선후기 도산서원 원자의 구성과 그 특징

        우인수 ( In Soo Woo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3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3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약 300년 용안의 도산서원 원장의 구성에 대한 운석올 통 해 그 특징올 살핀 것이다 도산서원 원장직은 서원을 대표하면서 서원과 관련한 모든 일에 대한 책임올 지는 자리였다 서원용 대표하는 존재이기에 학식과 덕망을 갖출 것이 요구되었고 일단 선출된 이후에는 그 권위를 인정받았다 도산서원의 원임안과 각종 고문서를 주 자료로 이용하고 그 외 사시와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선후기 30C년올 100년 단위로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영 특정을 분석할 수 있었다 총 463명의 원장을 대상으로 하에 분석한 경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정을 시기별로 밝힐 수 있었다. 먼저 원장의 수와 재임 기간의 변화를 살필 수 있었다 18,(1)기에는 원장의 수 가 급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17세기와 비교하면 약 3배 이상 증가한 규 모였다. 19세기에도 그러한 상황은 유지 확대되었다. 원장의 수에 반벼례하여 재임 기간은 짧아졌다 17세기에 2년 남짓이었던 원장의 평균 재임기간은 18세기와 19세기에는 각각 5.4개월파 5.3711월로 짧아졌다. 이러한 현상은 원장 수활 늘려서 우호세력을 확대하려는 의도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다음은 원장의 거주지 분포에서도 상당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7세기의 원장은 거의 모두 예안 지역 거주자였는데 18세기에는 그 비율이 56.6 %로 급격히 줄었다가 19세기에는 68%로 다시 늘어난 추세를 보였다. 18세기에 는 안동을 위시한 경상도 북부 여러 지역 출신을 원장에 임명하였기 때문이다. 19 세기에 예안 출신이 다시 약긴 중가한 것은 예안의 독점구조가 더 강화된 것이라 기보다 예안의 진성이씨 집안에서 맡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 반영된 것이었다. 원장의 성씨별 분포 비교도 의미 있는 변화의 양상을 설명해줄 수 있는 주요 한 잣대였다. 17세기 원장은 예안현의 유력 성씨인 광산김씨, 진성이씨, 봉화금씨 순으로 많았으며. 세 성씨의 합이 전체의 약 82%를 차지하고 있었다. 18세기 원 장 구성은 진성이씨와 광산김씨의 순으로 비중이 바뀌었으며. 세성씨의 합은 약 54%에 그쳐서 세 성씨의 독점 구조가 상당히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세 기의 경우는 진성이씨의 비중이 월등히 높아져서 약 64%뜰 차지하였다. 진성이씨 가 감당할 수밖에 없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원장 자리의 일부를 예안현의 수령이 감당한 것도 19세기에 나타난 특징이었다. 도산서원 원장에 취임할 당시의 경력에 대한 분석에서도 변화의 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17세기에는 전직 관료 출신 비중이 17세기에는 약 40%를 차지하였고. 18 세기에는 약 62%로 크게 늘었다가 19셰기에는 약 32%로 급격히 줄어든 모습을 보였다 상대적으로 유학의 비중은 세 시기에 각각 34%. 27%. 58%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주변 지역의 명망가를 원장으로 영입하여 세월을 유지하려한 18세기의 모습과 원장 선임에 어려움이 있었던 19세기의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도산서윈은 시대적 변화에 비교적 잘 대응하면서 운영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대용 과정의 어려움을 원장 구성의 분석을 통헤서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의 결과 나타난 여러 특정들은 바로 도산서원 역사의 생생한 모습인 것이다.

      • KCI등재

        프로배구구단의 유튜브 품질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우인수(Woo, In-Soo),임승재(Lim, Seung-Jae),박수근(Park, Soo-Keun) 한국체육과학회 202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 volleyball team’s YouTube quality using the IPA method.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viewers who watched YouTube videos of professional volleyball teams. A total of 283 valid samples excluding 17 questionnaires out of 300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as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aired t-test and IPA using SPSS 24.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 Quadrant provides sufficient communication opportunities with professional volleyball teams, provides information about professional volleyball teams quickly, communicates smoothly with professional volleyball teams, and the information of professional volleyball teams was included. Secondly For quadrant Ⅱ information about professional volleyball teams is valuable to me. Provides up-to-date information about professional volleyball teams, and provides opportunities to build relationships with other users. Thirdly Quadrant Ⅲ includes reliable professional volleyball club information, error-free professional volleyball team information, and mutual exchange of information. Lastly In the case of quadrant IV, professional volleyball team information is useful to me, professional volleyball team information is useful when choosing professional volleyball, YouTube is more useful than other media, professional volleyball team information is new, professional.

      • 기획논문 : 인조반정(仁祖反正)과 남명학파(南冥學派) ; 인조반정 전후의 산림과 산림정치

        우인수 ( In Soo Woo ) 南冥學硏究院 2011 南冥學 Vol.16 No.-

        이 논문은 선조대 서인집권기의 성혼, 광해군대 대북집권기의 정인홍의 사례를 통해 산림정치가 구현되기 시작되고 확립된 과정을 살핀 것이다. 그리고 인조반정 뒤에도 산림정치가 계속 계승 지속되면서 붕당정치기의 특징적 요소 중의 하나로 모습을 갖추어 가는 과정을 살폈다. 아래와 같은 크게 네가지 점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먼저 산림정치를 붕당정치기의 특징적 요소로 지적하고, 그 용어의 자리매김을 위한 기초적인 작업을 하였다. 산림정치란 조선시대 붕당정치 하에서 붕당의 이념적 지도자인 산림이 각 붕당의 정책이나 논의 결정에 깊숙이 관여하여 영향력을 행사한 정치로 정의하였다. 산림정치가 나타난 시대적 배경으로는 학연이라는 핵심적인 요소에 기반한 붕당정치의 성립과 사림의 성장으로 인해 새롭게 요구된 왕권과 신권의 역학관계를 들어 설명하였다. 붕당의 우두머리로 추대된 산림은 조정과 향촌에 포진한 자신의 사우문생과 우호적인 일군의 관료를 바탕으로 때로는 막후에서 조정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였고, 때로는 전면에서 정국의 주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산림정치가 선조대 성혼에게서 그 단초가 열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는 선조대 산림으로서 특히 율곡 이이의 사후 서인의 정신적인 지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선조대 후반 상대당으로부터 집요한 공격을 받은 것도 그의 영향력이 상대당에게 그만큼 크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이는 산림정치의 조짐을 보였던 서인정권하의 성혼의 위상을 알려준다. 그리고 또한 산림정치는 광해군대 정인홍 단계에서 그 전형이 확립되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그 의미를 살폈다. 정인홍은 막후에서 북인 또는 대북에게 지지기반과 명분을 제공하면서 조정의 권한을 장악하였을 뿐 아니라, 필요할 때는 전면에 나서서 정국을 주도하는 등의 산림정치를 폈다. 광해군대만 하더라도 임해군건, 영창대군건, 폐모건 등의 굵직굵직한 사건에 적극 자신의 견해를 개진하면서 정책결정 과정에 깊숙이 관여하였다. 정인홍이 가지는 역사적 위상과 의미는 산림정치의 형성과 관련하여서도 부여할 수 있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인조반정 후에도 산림에 대한 우대 정책은 제도적 장치의 마련을 통해 체계화하면서 계승되어 이후 산림정치 구현의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인조대는 반정에 의해 수립된 정권이기는 하지만 단절보다는 계승하는 측면도 많았다. 후일 인조반정을 일으킨 서인 공신들도 정인홍을 비록 역적으로 처형하기는 하였지만, 그가 보여준 산림정치의 기능과 위력만큼은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산림을 숭용하는 정책은 그대로 계승하였던 것이다. 여기에 광해군대 북인정권이 전체 조선후기사에서 가지는 위치가 있으며, 정인홍의 산림정치가 가지는 역사적 위상과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This research coped with realization and setup process of the Sallim scholar politics, based on the analysis of central figures like Seong-Hohn in the reign of king Seonjo and Jeong In-hong in the reign of king Kwanghae-Kun. Furthermore this paper, also, addresses issues on the succession of the Sallim scholar`s power and its establishment as main political aspects, after undergoing enthronement of the king In-Jo. As below, the process could be specificated as four aspects. First, considering the Sallim scholar`s political power as a important factor of party politics, this study tried to define the power with precision. The Sallim scholar politics can be defined as political conditions leaded by Sallim`s preponderating influence in politics including policy arguments and disputes as a ideological leader. Also this research dealt with historical backdrops of The Sallim scholar`s political power and its key factor could be summarized as their school ties. It must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factor by studying the dynamics of political change between regal power and subjects as rising political force of Sallim. N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central figure, Seong Hohn, who opened the Sallim scholar politics as a new political prospect.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Seong Hohn was spiritual guide for Western faction, especially, after the death of Lee-Yi. Considering Western faction being confronted with tenacious attack from opposition parties, the great influence of Seong Hohn in the faction is evident in the factional strife in the late reign of king Seonjo and proves his strong position in the political arena. Also, the paper tried to deal with Jeong In-hong as the key figure who brought about stability of the Sallim scholar`s political power. Jeong In-hong seized political power by coming to the political forefront in case of need as well as by forming the bedrock of the Northern faction behind the scenes. He had a powerful influence on policy decision and actively offered his own suggestions on the weighty issues in the reign of king Kwanghae-Kun including the execution of prince Im-hae, the executions of Prince Young-chang, the deposition of empress dowager In-mok. His high political and historical status was deep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allim scholar`s political power. Lastly, the systematical preferential treatment to Sallim scholars provided institutional strategy and basis of establishment of their political power even after the enthronement of the king In-Jo. After dethronement of a king Kwanghae-Kun, though the Western faction executed Jeong In-hong as a traitors, they admitted the his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allim scholar`s political power and succeeded the preferential treatment. This transformation must be noticeable to find out the political leverage of Northern faction including Jeong In-hong`s contribution to the Sallim scholar`s political power throughout the lat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