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발생한 슬와부 혈관 임박 파열과 동반된 대퇴골 Cross-Pin 파손

        왕립(Lih Wang),김경택(Kyung Taek Kim),박원석(Won Seok Park),정성윤(Sung Yoon Jung),정영훈(Young Hun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4

        슬와부 혈관 임박 파열과 동반된 대퇴골 cross-pin 파손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중 대퇴골 터널 형성 시 발생할 수 있는 매우 드문 합병증이다. 저자들은 1차 재건술 후 16일만에 cross-pin의 파손과 함께 슬와부 혈관의 임박 파열이 발생한 1예를 경험하였다. 슬와부 혈관 임박 파열은 cross-pin의 파손과 함께 초음파를 통해 진단되었으며 이는 슬와부의 불편함과 이물감을 유발하였다. Cross-pin과 기존의 전방십자인대 이식물 및 간섭 나사의 제거 및 새로운 이식물과 간섭 나사를 이용한 전방십자인대의 재건술 시행 후 환자는 만족스러운 결과와 증세의 호전을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위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Breakage of the femoral cross-pin with impending rupture of the popliteal vessels is a rare complication for femoral tunneling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The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impending rupture of the popliteal vessels following breakage of the cross-pin 16 days after primary ACL reconstruction. Impending rupture of the popliteal vessels was detected with ultrasonography following breakage of the cross-pins which caused popliteal discomfort and irritation. After removal of the broken cross-pins, previous ACL graft and interference screw with subsequent re-reconstruction of the ACL using a new allograft and interference screw, the patient showed satisfactory results and resolution of symptoms. Therefore we report on this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역행성 대퇴부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슬관절 고정술 : 술기 보고

        왕립(Lih Wang),김선효(Sun Hy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2

        슬관절 고정술은 슬관절이 손상되어 재건술을 시행할 수 없는 환자에서 안정적이고 통증이 없는 슬관절을 얻을 수 있는 마지막 선택사항 중 하나이다. 슬관절 고정술에는 외고정 장치,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 조립형 금속정 또는 이상와로부터 삽입하는 전향적 금속정을 이용한 내고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다른 선택사항으로 Neff 정, Wichita 정, 또는 Huckstep 정과 같은 짧은 금속정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현재 사용 가능한 상용화된 짧은 금속정이 없다. 이에 저자들은 역행성 대퇴부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슬관절 고정술을 보고하고자 한다. Arthrodesis is one of the last options available to obtain a stable, painless knee in patients who are unable to undergo reconstructive surgery due to a damaged knee joint. A variety of techniques have been used, including external fixation, internal fixation by compression plates, intramedullary fixation through the knee with a modular nail, and antegrade nailing through the piriformis fossa. Another option is the use of a short nail such as the Neff nail, the Wichita nail, or the Huckstep nail, but there are no commercial short nails available for use in Korea. This technical report describes a technique for knee arthrodesis using a retrograde femoral intramedullary nail.

      • KCI등재

        후방 골편 유무에 따른 불안정 전자간부 골절의 분류 및 치료 -예비 보고-

        왕립 ( Lih Wang ),손성근 ( Sung Keun Shon ),이규열 ( Kyu Yeol Lee ),김철홍 ( Chul Hong Kim ),이명진 ( Myung Jin Lee ),이철원 ( Chul Won Lee ),김성수 ( Sung Soo Kim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2

        목적: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 치료에서 골절의 양상 및 안정성을 예측하기 위해 술 전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불안정 골절에 대해 추가 분류하였고 후방 골편 고정의 중요성 및 중간 치료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0월부터 2007년 8월까지 후방 골편이 있는 불안정 골절로 진단 받고 금속정을 이용하여 치료 한 후 최소 3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5예에서 후방 골편에 대해 경피적 도관나사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실험군), 나머지 10예는 시행하지 않았다 (대조군). 술 후 추시 방사선 평가를 통해 수술 직후와 추시 대퇴 경간각의 변화, 골절부 감입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으며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대퇴 경간각은 후방 골편 고정군에 있어서 평균 3.8도, 고정을 하지 않는 군에서는 평균 7.5도의 내반 변화를 보였다. 골절부 감입은 고정군에 있어서 평균 1.6 ㎜, 고정하지 않는 군에서는 평균 6.6 ㎜의 변화를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고정하지 않는 군에서는 경부나사의 전자부 외측 돌출, 지연나사의 관절 내 돌출 및 지나친 전위로 인한 Z-현상이 각각 1예가 있었다. 결론: 대퇴 전자간부 불안정 골절에 있어서 후방 골편의 인지 및 고정은 정복 소설을 막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되나 보다 많은 증례 및 장기간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predict the feature and stability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ith posterior fragment using preoperative 3D computed tomography an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the posterior fragment in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15 cases of unstable fractures with posterior fragment which were treated with nail only between October 2006 to August 2007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study group (5 cases with cannulated screw fixation of posterior fragment) and control group (10 cases without cannulated screw fixation). The average difference of neck-shaft angle, neck screw sliding distance and the complications i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retrospectively after a follow up of at least 3 months. Results: The average difference of neck-shaft angle in study and control group was 3.8 and 7.5 degree (p>0.05), respectively. The average difference of neck screw sliding distance was 1.6 and 6.6 ㎜ (p<0.05), respectively. Complication which required reoperation was not noted in study group and complications of 3 cases about neck screw lateral protrusion, proximal migration and Z-effect phenomenon were noted in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cognition and fixation of the posterior wall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predictive factor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treatment.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삽입물 주위 골절의 치료

        왕립 ( Lih Wang ),이규열 ( Kyu Yeol Lee ),김철홍 ( Chul Hong Kim ),이명진 ( Myung Jin Lee ),강민수 ( Min Soo Kang ),황진수 ( Jin Soo Hwang ),김선효 ( Sun Hyo Kim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1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삽입물 주위 골절에서 2가지 최소 침습적 술식에 따른 치료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1년 1월까지 동아대학교의료원에서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삽입물 주위 골절 36예(남자 5명, 여자 31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68.9세(범위, 43-81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41개월 (범위, 18-72개월)이었다. 전체 36예 중 잠김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9예를 I군,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17예를 II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두 군 간의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성공적인 골유합이 이루어졌고 평균 골유합 기간은 I군에서 3.7개월, II군에서 4.2개월이었다. 평균 수술 시간 및 평균 실혈량에 있어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임상적 평가에 있어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방사선적 평가에 있어서 II군에서 보다 외반 변형을 보였고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삽입물 주위 골절에 대한 2가지 최소 침습적 방법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모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잠김 금속판 고정술이 방사선적 정렬에 있어서 보다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reatment results of fracture fixations by using two minimal invasive techniques for patients with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s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36 patients (5 males, 31 females) of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s whom were treated surgically between January 2005 and January 2011. Mean patient age was 68.9 years (range, 43 to 81 years) old and the follow-up period averaged 41 months (range, 18 to 72 months). Nine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minimal invasive locking plate fixations (group I) and 17 patients with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group II).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in each group were comparatively analyzed. Results: Successful bone unions occurred in all patients and the mean time to bone union was 3.7 months in group I and 4.2 months in group II.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mean operative time and mean intraoperative blood loss. There were also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clinical outcomes but the valgus deformity was apparent in group II and radiological outcom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For the treatment of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wo minimal invasive techniques have shown good clinical results. However, the minimal invasive plate fixation showed better results in the radiological alignments.

      • 거골 골연골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골연골성형술

        이명진,김성수,왕립,이철원,유성곤,황진수,Lee, Myung Jin,Kim, Sung Soo,Wang, Lih,Lee, Chul Won,You, Sung Gon,Hwang, Jin Soo 대한관절경학회 201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6 No.2

        목적: 거골의 골연골 병변 환자에서 관절경적 골연골성형술의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07년까지 거골의 골연골 병변으로 관절경적 골연골성형술을 시행한 48예 중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환자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8(38-108)개월이었고 남자가 22예, 여자가 10예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34(20-56)세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고 Berndt와 Harty의 방법으로 분류하였으며 전 예에서 관절경적 변연절제술 또는 미세골절술을 시행하였다. 미국정형외과족부족관절학회의 족관절-후족부 점수(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ale)와 Kaikkonen의 주관적 및 기능적 점수(subjective and functional score)를 이용해 족관절의 기능을 평가하였고, 관절경적 미세골절술을 시행한 22예와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10예를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족관절-후족부 점수는 술 전 53(${\pm}7$)점에서 최종 추시 84(${\pm}8$)점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0.001) 평균 주관적 및 기능적 점수도 술 전 55(${\pm}8$)점에서 최종 추시 88(${\pm}8$)점으로 술 전에 비해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01). 병변의 심한 정도와 술 후 족관절의 기능 점수와의 연관성은 없었으며(P>0.05) 관절경적 미세골절술을 시행한 군과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군간의 결과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거골의 골연골 병변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골연골성형술은 환자의 만족도와 기능적인 면에서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변연절제술과 미세골절술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o report the treatment results of arthroscopic osteochondroplasty in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2 patients who had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treated with arthroscopic osteochondroplasty and were able to be followed up over 3 years from 1999 to 2007.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48 (38-108) months, and 22 male patients and 10 fe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34 (20-56) years were included. Locations of lesion were evaluated with simple X-ra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severities of lesions were classified by Berndt and Harty classification. All cases were treated by arthroscopic debridement or microfracture. The treatment results were assessed by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ale and subjective and functional score of Kailkkonen. The group treated by arthroscopic microfracture was compared with the group treated by arthroscopic debridement. Results: The mean AOFAS ankle-hindfoot scale was significantly improved 53 (${\pm}7$) points preoperatively to 84 (${\pm}8$) points postoperatively (P<0.001). The mean subjective and functional score was also improved 55 (${\pm}8$) points preoperatively to 88 (${\pm}8$) points postoperative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t (P<0.001). There were no relations between the severity of lesions and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score of ankle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esults between the group treated with arthroscopic microfracture and the group treated with arthroscopic debridement (P>0.05). Conclusion: Arthroscopic osteochondroplasty of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shows excellent result in terms of patients' satisfa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esults between arthroscopic microfracture group and debridement group.

      • KCI등재

        당뇨발 절단에 있어 원인 감염균과 치료 결과와의 관계

        이명진,이규열,김성수,김철홍,왕립,김현준,김기웅,Lee, Myoung Jin,Lee, Kyu Yeol,Kim, Sung Soo,Kim, Chul Hong,Wang, Lih,Kim, Hyeon Jun,Kim, Ki Woo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3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7 No.3

        Purpose: To evaluate correlation between the clinical results and causative bacteria in diabetic foot patients with lower extremity amputation.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twenty nine patients(131 feet) of diabetic foot amputations were followed for more than one year. Wound cultures were done by deep tissue or bone debris at first visit to our clinics.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hart review and interview with the patients. Depending on the culture result, level of amputation, reinfection, duration of treatment, death rate, patient satisfaction and admission dates were evaluated. Results: Microorganisms were confirmed in 114 cases. In the other 17 cases, there were no cultured microorganisms. In bacterial growth group,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and accounted for 34 cases. As other common pathogens, there wer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24 cases) and mixed infection(14 cases). Mortality is no difference in each infected group. Mixed bacterial infected patients have higher reinfection, longer hospital day and duration of treatment,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patients satisfaction and pain at last follow up. Conclusion: The most common pathogen in diabetic foot patients with lower extremity amputation was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ixed bacterial infected patients have higher reinfection rate, longer admission date and duration of treatment than other bacterial infected patients.

      • KCI등재

        닭의 굴곡 건 봉합 후 양막 이식이 조직 유착에 미치는 영향

        김성후(Sung Hoo Kim),왕립(Lih Wang),이명진(Myung Jin Lee),김성수(Sung Soo Kim),노미숙(Mee Sook R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6

        목적: 닭의 굴곡 건 파열의 봉합 시에 단순 봉합한 군과 양막을 이식한 봉합군, 방사선 처리된 양막을 이식한 봉합군을 비교 분석하여 각각이 조직 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아홉 마리의 닭을 대상으로 하여 양측하지의 제2 굴곡 건을 절반 절단한 후 단순 봉합한 것을 A군, 봉합 후 단순 처리된 양막을 이식한 것을 B군, 동결 건조 및 25 kGy 방사선 처리된 양막을 이식한 것을 C군으로 하였다. 수술 후 3주, 6주, 9주에 각 군마다 1마리씩 희생시켜 조직 유착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해 일반적인 조직학적 변화와 염증세포의 침윤정도, 섬유화 등을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모든 시기에 A군과 B군에 비해 C군에서 염증세포 침윤과 섬유화가 낮았다. 결론: 닭의 굴곡 건 파열의 봉합 시에 방사선 처리된 양막 이식이 염증 및 조직 유착 감소에 효과적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role of the amniotic membrane with or without radiation was investigated with regard to preventing adhesion after flexor tenorrhaphy of chicken. Materials and Methods: Nine chick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second flexor tendon of the chicken was operated on. In group A, the flexor tendon was excised and one half and the tendon was repaired. In group B, the repaired tendon was covered with an amniotic membrane. In group C, the repaired tendon was covered with a lyophilised and 25 k㏉ irradiated amniotic membrane. The gross and histology findings on the level of inflammation and fibrosis of the repaired tendon were evaluated at 3, 6 and 9 weeks after surgery. Results: Group C had the least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fibroblast proliferation at any time. Conclusion: The use of radiated amniotic membrane was effective in preventing inflammation and adhesion after flexor tenorrhaphy in chickens.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May–Thurner 증후군

        심창헌(Chang Heon Shim),박진우(Jin Woo Park),왕립(Lih 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3

        장골정맥 눌림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는 May–Thurner 증후군은 May와 Thurner에 의해 1957년 처음으로 기술되었다. 좌측 하지에서 침습적인 처치 없이 심부 정맥 혈전증의 증상이 나타날 때 May–Thurner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저자들은 우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좌측 하지의 급작스러운 통증, 부종 및 피부색 변화를 보여 컴퓨터 단층촬영 정맥 조영술 시행 후 May–Thurner 증후군을 진단 받은 중년 여성 환자의 흥미로운 증례를 경험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서 우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간과할 수 있는 좌측 하지 May–Thurner 증후군을 조기에 진단하여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본다.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Iliac vein compression syndrome, which results in thrombosis of the left iliac veins, was first described by May and Thurner in 1957. May–Thurner syndrom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ep vein thrombosis-like symptoms appear, especially in the left lower extremities without an invasive procedure. The authors encountered an interesting case of a middle-aged female patient, who presented with sudden pain, swelling and skin color changes to the left lower extremity after right total knee arthroplasty and was diagnosed May–Thurner syndrome by computed tomography venography. This case is of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the early diagnosis of May–Thurner syndrome in the left lower extremity was made, which might have been overlooked after right total knee arthroplasty. This case is reported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간세포암의 흔치 않은 반막양근 전이

        김선효(Sun Hyo Kim),김민우(Min Woo Kim),김정호(Jung Ho Kim),왕립(Lih 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3

        간세포암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악성 종양 중의 하나로, 간세포암의 간 외 전이는 주로 폐, 림프절, 뼈, 부신 등에 발생한다. 하지만 간세포암의 골격근 전이는 매우 드물고, 보고된 문헌도 흔치 않다. 42세 여성 환자가 우측 대퇴부에 압통이 동반된 연부조직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7년 전 간세포암과 폐전이가 진단되어 치료를 받은 기록이 있었으며 영상학적 검사 및 혈액 검사 결과 등에서 간세포암의 반막양근 내 전이가 의심되어 절개 생검술을 시행하였고 전이성 간세포암으로 밝혀져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여 치료하였다.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Hepatocellular carcin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cancers worldwide. Extrahepatic metastasis commonly occur in the lung, lymph, nodes, bone, and adrenal glands. On the other hand, a metasta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to the skeletal muscle is rare. A 42-year-old woman presented for evaluation of a palpable mass with tenderness in her right thigh area. She has been diagnosed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pulmonary metastasis seven years ago and has received treatment. We performed incisional biopsy with suspic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metastasis from imaging studies and blood test results. The patient was finally diagnosed with metasta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the semimembranosus muscle and treated by extensive resection.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슬관절 인공 삽입물 주위 골절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 치료의 중기 추시 결과

        김경택 ( Kyung Taek Kim ),강진헌 ( Jin Hun Kang ),왕립 ( Lih Wang ),황재성 ( Jae Sung Hwang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4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인공 삽입물 주위 골절에서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치료를 시행하고 이를 중기 추시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에서 2004년 1월까지 인공 삽입물 주위에 골절이 발생한 11명 환자, 11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2개월 (범위, 30~86개월), 연령의 분포는 평균 66세 (범위, 57~79세)였으며, 남자가 2예, 여자가 9예였다. 전 예에서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치료를 시행하였다. 평균 관절운동범위,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의 knee rating score, 대퇴 경골각을 조사하였으며, 최종 추시까지 인공 삽입물의 해리 소견, 금속 실패 등의 합병증의 병발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 술 후 평균 관절운동범위는 103.6˚였고, HSS의 knee rating score는 평균 83.5점이었으며, 대퇴 경골각은 외반 6.3˚, 골유합시기는 평균 4개월이었다. 1예에서 수술 중에 골절의 근위부에 새로운 골절이 발생하였으나, 경과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최종 추시까지 인공 삽입물의 재치환이 필요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인공 삽입물 주위 골절에서 인공 삽입물이 안정한 경우,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치료는 적은 합병증을 가지는 신뢰할만한 수술 방법이며, 저자들의 경우 중기 추시까지 인공 삽입물의 재치환이 필요한 경우는 없었다. Purpose: To analyze the midterm results of the treatment with a retrograde nail for periprosthetic fractures of the femur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 1998 and Jan 2004, 11 cases in 11 patients were treated for the periprosthetic fractures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The mean follow-up was 42.0 (30~98) months and the mean age was 66.0 (57~79) years old. 2 were males and 9 patients were females. In all cases, retrograde nailing was done for the periprosthetic fractures.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HSS knee rating score, femorotibial angle, the time required for union,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Results: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was 103.6˚ degrees on an average, HSS knee rating score was 83.5 points on an average at the last follow up. The mean angulation on radiograph was valgus 6.3˚. The mean time required for union was 4 months. One had a newly fracture line at proximal part of supracondylar fractur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 clinical course. There was no prostheses required revision. Conclusion: It appears that retrograde nail is a reliable surgical technique for periprosthetic fractures of the femur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with low complication rate. The midterm results in our study showed that none of the prostheses required re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