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정식과 브루스 커밍스 저술에 대한 대위법(對位法)적 독해

        옥창준 ( Ok Chang Joon ),최규진 ( Choi Kyu-jin ) 수선사학회 2020 史林 Vol.0 No.74

        This article compares the perception of modern Korean history shown in the early writings of Chong-Sik Lee(1931~) and Bruce Cumings(1943~) who are the founding fathers of Korean studies in the US academia. Their works began with an understanding of Korean nationalism in the framework of Asian Studies. Chong-Sik Lee’s work describes the historical root of the Korean communist movement combined with Korean nationalism, proving the factional nature of the Korean communist movement. It was Chong-Sik Lee’s conclusion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could have been established only through Soviet sponsorship and intervention. In comparison, Cumings tried to show the status of Korean nationalism and the independent origin of the left-wing movement on the Korean people while tracing the origin of the Korean war in his doctoral thesis. Cumings’ key argument was that the U.S. military government played a ‘counterrevolutionary’ role in crushing the poplar base of Korean people’s movement. In this sense, Cumings saw the Korean war in 1950 as a result of the growing contradictions of colonial Korea through the U.S. military regime. This article suggests that contrapuntal reading offers us new understanding of studying Korean Studies that focuses on our intertwined and overlapping histories.

      • KCI등재

        경합하는 ‘태평양’ 구상 : 1949년 태평양 ‘동맹’의 재해석

        옥창준(OK, Chang Joon) 역사학연구소 2021 역사연구 Vol.- No.40

        이 글은 아시아 냉전사의 맥락과 관점에서 1949년 태평양동맹 구상을 독해한다. 태평양동맹을 다룬 기존의 연구들은 태평양동맹 구상에 적극적으로 동참한 이승만 정권의 의도를 분석하거나, 유럽의 북대서양조약기구와 비교하여 태평양동맹이 왜 실패했는지를 따지면서 미국의 무관심한 대 아시아 정책을 지적했다. 이 둘은 각각 태평양동맹의 원인과 결과를 따진다는 차이점이 있지만, 모두 한국과 미국이라는 일국적인 시야에서 태평양동맹 구상을 분석하고 있다는 약점을 공유한다. 이 글은 태평양동맹 구상을 아시아 냉전의 맥락을 반영한 전략 구상의 관점에서 포착하고자 한다. 각국의 태평양동맹 구상은 각국이 생각하는 ‘냉전’에 대한 인식의 반영이다. 1949년의 시점의 냉전 아시아에서는 크게 세 가지 흐름이 각축을 벌이고 있었다. 먼저 1947년 독립 이후부터 냉전 질서를 비판하고 아시아의 탈식민 국가를 결속하는 ‘비동맹’ 노선을 추구한 인도가 있었다. 다른 한편 국공내전을 겪고 있던 국민당 정권과 남북이 분단된 한국의 이승만 정권은 ‘동맹’ 노선을 주창했다. 그리고 ‘비동맹’ 인도와 ‘동맹’의 대만, 한국 사이에서 ‘연맹’ 노선을 고심하던 필리핀도 존재했다. 이 세 국가의 각축과 경쟁은 아시아 냉전의 복합성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아시아에서 냉전 구도가 공고해지는 한국전쟁 이후의 상황에도 다시금 반복된다는 점에서 1949년의 태평양동맹 구상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는 일은 의의를 지닌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1949 Pacific alliance(union) from the context of the Asian Cold War. Previous studies on the Pacific Alliance analyzed the intentions of the Syngman Rhee regime, or pointed out the U.S.’ indifferent policy toward Asia. These two share the weakness that they are analyzing the idea of the Pacific allianc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 and the U.S. This article seeks to capture the idea of the Pacific Alli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plomatic initiative, which emerged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in Asia. At the time of 1949, there were three major trends in Cold War Asia. First, since independence in 1947, India has criticized the Cold War and pursued a “non-aligned” foreign policy. Meanwhile, in the context of the Chinese civil war and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the KMT regime of China and South Korea’s Syngman Rhee advocated an “alliance” foreign policy. And there was the union foreign policy of Philippines, which was competing with the trends of India, China(Taiwan), and Korea.

      • KCI등재

        윌리엄 스툭의 국제전 접근법과 한국전쟁 연구

        옥창준 ( Chang Joon Ok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6 미국학 Vol.39 No.1

        This thesis aims to reevaluate William Whitney Stueck’s study, who is well known for The Korean War: An International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ography. Stueck’s study which emphasizes the international aspect of Korean War has been introduced to Korean academia as an opposing view to that of Bruce Cumings. However, the main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the whole picture of Stueck’s study cannot be fully understood with the existing frame of Traditionalism and Revisionism. This study focuses on Stueck’s critical approach on the policy of United States toward Korea just before the outbreak of Korean War as his biggest academic contribution. Stueck reviewed the policy of Unites States toward Korea generally, and examined several conditions of the outbreak of Korean War. Through this work, he was able to newly discover the third issue group which would exceed Traditionalism and Revisionism.

      • KCI등재

        냉전기 북한의 상상 지리와 ‘평양 선언'

        옥창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0 통일과 평화 Vol.12 No.1

        The Cold War is generally understood to be a period of geopolitical struggl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nd their respective allies, the Western Bloc and the Eastern Bloc. According to this understanding of the Cold War, the Cold War ends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Such a ‘temporal’ understanding of the Cold War narrows ou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issu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 Asian issues. This study aims to broaden our narrow understanding of the Cold War by interpreting the Cold War as a newly opened ‘space’ post-World War II. The Cold War is a period of various interventions between the Blocs and also across the Blocs. Focusing on ‘Across the Blocs’ relation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yongyang Declaration” adopted during the 1964 and 1981 Pyongyang conferences and analyzes the context of the Pyongyang Declaration and the Weltanschauung of North Korea during the Cold War. 냉전은 미국이 이끄는 자유 진영과 소련이 이끄는 공산 진영의 대립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냉전은 시간적 차원에서 1991년 소련의 해체로 종식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전의시간적 이해는 냉전적 잔재가 여전히 작동하고 있는 현재의 한반도 문제뿐 아니라 일련의 동아시아 문제를 제대로 포착할 수 없게 한다. 본 연구는 냉전에 대한 이해지평을 확장하기 위한 시도로서, 냉전을 닫힌 해석의 공간이 아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새롭게 열린 공간으로서 바라보자고 제안한다. 공간적 관점을 통해서 본다면 냉전은 진영을 넘나드는 다양한 개입이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했다. 본 연구는 이를 포착하기 위해 1964년과1981년에 채택된 ‘평양 선언’의 맥락과 북한의 자기 정당화 서사에 주목하며, 냉전을 바라보는 북한의 상상 지리의 변화를 추적한다.

      • KCI등재

        이론의 종속과 종속의 이론 - 1970년대 중반~1980년대 한국 사회과학 학계와 종속이론

        옥창준 역사문제연구소 2019 역사문제연구 Vol.23 No.1

        흔히 1980년대는 ‘혁명의 시대’로 호명되고 기억된다. 1980년대를 지성사적 차원에서 분석하는 연구들 역시 이 시기를 주로 혁명론의 관점에서 정리해왔다. 문제는 혁명론이라는 한정된 역할에서만 보면 당대의 이론을 역사화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지성사를 역사화하기 위한 일종의 우회로로서 1980년대 지성사의 한 축을 담당했던 종속이론이 확산될 수 있었던 한국 사회과학 학계(學界)의 내적 맥락을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한국 사회과학 학계(주로 정치학계)의 작업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1970년대 중반부터 한국 사회과학 학계에서는 학문의 자아준거성을 두고 본격적인 문제제기가 이루어졌다. 이는 사회과학의 미국화를 둘러싼 비판적 성찰의 결과였다. ‘이론의 종속’이라는 문제의식을 지닌 일군의 학자들은 당대 미국 사회과학 학계에도 일정한 지분을 확보한 상태였던 종속이론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종속이론을 소개·수용한 한국 사회과학자들 앞에는 크게 2개의 전선이 놓여 있었다. 먼저 그들은 종속이론을 좌경사상으로 여기는 정부를 상대로, 종속이론의 마르크스주의적 성격을 탈각하고자 했다. 그리고 동시에 그들은 학생운동권을 의식하면서, 종속이론이 보편적 발전 이론이 아니라, 라틴아메리카라는 매우 특수한 공간의 경험을 반영한 이론이라는 점을 설득하고자 노력했다. 동시에 이들은 한국 사회에 종속이론을 일방적으로 적용할 수 없으며, 한국의 경우 라틴아메리카와는 다른 ‘종속적 발전’이라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에 주목했다. 결과적으로 본다면, 냉전이 종식되어가던 1980년대 말의 분위기 속에서 종속이론의 문제의식을 빌려 냉전기 한국의 발전 경험을 자아준거적으로 설명하고자 했던 문제의식은 잘 유지되지 못했다. 1980년대 한국이 명실상부한 중진국이 되었다는 감각이 한국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었으며, 한국과 제3세계의 심리적 거리도 점차 멀어졌다. 1980년대 종속이론을 수용했던 한국 사회과학자들은 한국의 경험을 빌려 마르크스주의적 종속이론을 일부 비판하는 데에는 성공했지만, 본래 초창기 문제의식이었던 ‘이론의 종속’ 탈피에는 실패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rnal conditions behind the proliferation the dependency theory tha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1980s by analyzing the activities of Korean social scientists from the mid-1970s to the 1980s. First,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text of the Korean academia that allowed for the active acceptance of the dependency theory. Since the mid-1970s, the Korean academia faced the question of how Korean social scientists will carry out independent or autonomous studies. This was a result of critical reflection surrounding the Americanization of the social sciences. Korean social scientists, who accepted the dependency theory, faced largely two frontlines. First, they aimed to rid of the Marxist characteristics of the dependency theory against the government that considered the dependency theory as radical or leftist thinking. Simultaneously, the Korean social scientists strived to convince student activists that the dependency theory was not a universal development theory but rather a theory that reflected the experiences of the unique region of Latin America. All the while, they could not unilaterally apply the dependency theory to Korean society and noticed the emergence of the “dependent development” phenomenon in Korea unlike that of Latin America. However, the critical mind that intended to explain self-referentially the development experience of Korea during the Cold War by borrowing the critical mind of the dependency theory was not maintained. By the late 1980s, the sense that Korea had become a developed country was spreading throughout Korean society and the psychological gap between Korea and third world countries was gradually increasing. Although the Korean social scientists of the 1980s succeeded in criticizing the “theory of dependency” through the Korean experience, they failed to cast off the “dependency of theory,” which was the initial, original critical mind.

      • KCI등재

        냉전기 한국 지식인의 아시아 아프리카 상상

        옥창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5 한국문화연구 Vol.28 No.-

        This research examines the Asian African imagination that appeared on newspapers and magazines between mid-1950s and late-1960s. The Asian African Conference, which was held in 1955 in Bandung, served as a pivotal moment for the issue of post-colonization to re-emerge after Korean War. Since then, as the Cold War tension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relaxed, Korean intellectuals’ perception of the world expanded to Asia and Africa. This paper is composed of two chapters excluding the introduction and the conclusion. In Chapter 2, I reviewed how the ‘Orient’(東洋) concept changes from cultural concept under the Cold War regime. During the mid and late-1950s, ‘Asia/Orient’ concept began to be recognized by the Korean intellectuals as a political concept to explain the modern Asian African nationalism rather than a cultural concept. During this phase, description of common experiences between Asian African countries and Korea started to appear. In Chapter 3, I reviewed how Asian African imagination, which began to change in late 1950s, was projected to the Asian African solidarity movement or African region. Even though the global horizon had been widened, Korean intellectuals attempted to interpret many trends of Asia Africa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interest. Even the critical intellectuals could not leap beyond the framework of national interest. Against the backdrop of international decline of Asian African solidarity movement since 1965, such perspective of Korean intellectuals was fortified. 냉전기 한국의 국제정치 지평은 흔히 양 진영론으로 이해된다. 양 진영론 의 시각을 취할 때, 냉전기 한국에서 나타난 아시아 아프리카 인식은 아시아 아프리 카로 대표되는 중립 진영의 동태가 공산 진영과 자유 진영의 역학 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국한된다. 하지만 냉전기 한국 지성계에서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들의 동태는 줄곧 탈식민의 문제의식과 결합되면서, 과거의 식민주의를 환기시 키고, 냉전이라는 세계질서에 대한 비판을 이끌어내는 촉매 역할을 했다. 본 연구는 전후 아시아의 복합적인 상황 속에서 한국 지식인들의 세계인식이 양 진영론에만 머무르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특히 이 글은 반둥 회의 이후 1950년대 중후반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신문 지면과 당대 잡지에 나타난 한국의 아시아 아프리카 상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존의 연구들이 아시아 아프리카 상상이 반공주의론으로 귀결되는 양상이나 일부 진보적 지식인들의 비판적 아시아 아프리카 상상에만 주목해왔다면, 본 논문은 아시아 아프리카 단결운동의 추이에 따라 변동한 한국 지식인들의 아시아 아프리 카 상상의 실상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려고 했다. 본 연구는 서론과 결론을 제외하면 총 두 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제2장에서는 문화론적 개념이었던 '동양' 개념이 냉전 체제 하에서 어떤 변용을 겪는지를 우선적으로 검토했다. 연구에 따르면, 1950년대 중후반 한국 지성계에서 '동양'은 현대 아시아 아프리카 민족주의를 설명하는 정치적인 개념으로 변모했다. 이 과정에서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와 한국 의 공통적인 경험을 서술하는 흐름이 등장했다. 제3장에서는 1950년대 후반부터 변형되기 시작한 아시아 아프리카 상상이 당대의 국제정치를 인식하는 데 어떤 식으로 투사되었는지를 살폈다. 한국 지식인들은 세계의 지평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아프리카의 여러 동향을 아시아 아프리카의 단결보다는 국가이익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했다. 1965년 이후 아시아 아프리카 단결운동이 국제적으로 퇴조하는 맥락에서, 한국 지식인들의 이러한 관점은 강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냉전 초기 한국의 지정학 서사 —숙명의 지정학에서 운명의 지정학으로—

        옥창준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3 개념과 소통 Vol.- No.32

        이 글은 냉전 초기 한반도의 공간적 지위를 해석한 지식 체계로 ‘지정학(地政學)’을 다루면서 그 상상력의 계보를 추적한다. 흔히 지정학은 강대국 중심의 지식 체계로서강대국의세계전략을뒷받침한다고이해되어왔다.이글은냉전초기약소국이었던한국의 지식인들이 지정학 지식을 활용해 한국의 위치를 어떻게 설명하고자 했는지를 분석한다. 식민지 시기 제국 일본의 지식 체계를 통해 학습한 일본/독일 지정학을전유하면서 한국 지식인들은 냉전이라는 새로운 세계 질서 속 한국의 위치를 설명하고자했다. 여기에서강조된것은바로환경결정론이라는 ‘숙명’의극복이었다.숙명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국제적으로는 지정학적 위치를적절하게활용하는방안이었고,다른하나는국내적으로숙명을극복할수있는새로운 정신문화의 계발이었다. 이는 조선의 ‘운명’ 개척으로 표현된다. 이와 같은 냉전초기한국의지정학서사는영국과미국의정치지리학이수용되는 1960년대에도그대로적용되었다.정치지리학을통해서한국지식인들은한국의위치가고정된것이아니며,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재차 강조했다. 이들의 사례는 고정된공간적 지위를 비판하면서, 중심부의 지식 체계인 지정학을 ‘한국화’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traces the origins and application of geopolitics as a system of knowledge used to interpret the spatial pos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Cold War. Geopolitics can be understood as a knowledge system deployed by the great powers to determine their global strategies. This article analyzes how intellectuals in South Korea, a weak state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Cold War, sought to use geopolitical knowledge to characterize its ontological position. By appropriating Japanese and German geopolitics learn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Korean intellectuals sought to explain Korea’s place in the Cold War. The emphasis here was on overcoming the ‘fate’(宿命) implied by environmental determinism. Two main ways to overcome this fate were proposed: to properly utilize Korea’s geopolitical position internationally, and to develop Korea’s culture domestically. This was summarized in the phrase “pioneering the ‘destiny’(運命) of Korea.” This narrative of Korean geopolitics, which originated in the early Cold War period, continued into the 1960s, when the country embraced British and American political geography. Through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geography, Korean intellectuals emphasized the fact that Korea’s position was not solely determined by geography, but could change according to the variable configurations of power relations. These cases illustrate the ‘Koreanization’ of geopolitics, by critiquing its fixed spatial pos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reat pow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