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부전 입원 환자의 자가관리 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옥종선,고일선,유규형,김성해,임서진,Ok, Jong Sun,Ko, Il Sun,Ryu, Kyu Hyung,Kim, Sung Hea,Lim, Seo Jin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13 중환자간호학회지 Vol.6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adherence to self-care behaviors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adherence behaviors among inpatients with heart failure. Methods: A total 94 hospitalized inpatients from three hospitals participated in a survey.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8, 2011 to March 31, 2013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core of adherence to self-care behaviors among inpatients with heart failure was $26.02({\pm}8.84)$. Factors related to the adherence to self-care behaviors were living with spouse (t=-2.47, p=.019), functional state (t=2.18, p=.034), heart failure knowledge (r=-.49, p<.001), social support (r=-.35, p<.001), self-control (r=-.25, p=.016), and self-care confidence (r=-.24, p=.019). The factors affecting adherence to self-care behaviors were heart failure knowledge, self-care confidence, and social support. These factors explained 32% of the variance in adherence to self-care behaviors. Conclusion: The adherence to self-care behaviors with heart failure can be improved if heart failure knowledge, self-care confidence, and social support are improved. Therefore, developing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patient with heart failure that is considered these factors leads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prevent readmission.

      • KCI등재

        택시 업종별 주관적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옥종선(Jong Sun Ok)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택시 업종별 택시기사들의 주관적인 안전의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서 활동 중인 30세 이상 법인 및 개인택시 기사이다. 전국 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와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의 협조를 얻어 자가 보고식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8년 8월 22일부터 9월 11일까지였다. 10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법인택시 기사 386명, 개인택시 기사 395명인 총 781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 법인과 개인택시 기사 모두의 안전의식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교통법규 위반이었다.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보인 항목은 법인택시 기사에서는 높은 사납금이었고 개인택시 기사에서는 집중력 및 인지 기능 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택시기사들의 안전의식을 고취하여 택시 기사들은 안전하게 오랫동안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고 국민들은 보다 안전한 도로 및 사회 환경에서 삶을 영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safety awareness of taxi driver by types of taxi.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orporate and private taxi drivers over the age of 30 who drive taxis in Seoul.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cooperation of the Korea National Federation of Private Taxi Transportation Association, and Korea National Federation of Democratic Taxi Workers’ Union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22, 2018 to September 11. Of the 1,000 copies of the survey, a total of 781 people, 386 corporate taxi drivers and 395 private taxi drivers,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raffic violation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s a safety awareness for both corporate and private taxi drivers. The item with the next highest ratio was high base payment to operate taxi for corporate taxi drivers, and decreased concentration and cognitive impairment for private taxi drivers. By encouraging safety awareness of taxi drivers, it is expected that taxi drivers will be able to conduct economic activities safely for a long time, and people will be able to lead their lives in a safer road and social environment.

      • KCI등재

        대사증후군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를 위한 자가간호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옥종선(Ok, Jong Sun)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1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고혈압과 대사증후군은 심혈관계 질환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히 단순 만성질환에 비해서 복합 만성질환에서의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에 복합 만성질환 관리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대상자의 자가간호 역량을 최대로 이끌어 내기 위한 병원 중심 간호사 주도의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된 자가간호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에 의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1개 대학 병원에 내원하고 있는 대사증후군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중재 제공 및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3월 2일부터 2015년 11월 23일까지였다. 본 연구결과 실험군의 자가간호 행위 중 신체활동과 약물 이행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가간호 역량과 간호사-환자 상호작용 점수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모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리적 지표 중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맥박, 체중, 복부둘레, 체질량 지수의 감소는 중재 제공 3개월 시점에 대조군에 비해 실험 군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본 중재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신체 활동 지속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타 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지며 이를 통해 대상자의 일상생활 능력을 최대로 유지하고자 한다. 그리고 약물 이행도 증가는 장기적으로 심혈관계 질환 합병증 예방과 이로 인한 의료비용 지출감소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병원을 토대로 한 간호사 중심의 중재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생활양식 변화를 지속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국가차원에서의 보건의료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Hypertension (HTN) and metabolic syndrome (MetS), which are representative chronic diseases, are known to increa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In particular, the risk of CVD in complex chronic disease is expected to increased more than that of simple chronic disease. Accordingly, a hospital-centered nurse-led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maximize the self-care capacity of the subject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complex chronic disease management. This study is a quasi experimental study based on the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previously developed self-care capacity building program. It was conducted for hypertensive patients with MetS who visited one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do.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2, 2015 to November 23, 2015. As a result of the study, physical activity and medication adherence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are capacity and nurse-patient interaction in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Among the physiological indexes,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pulse, body weight, abdomen circumference, and body mass index decreased more clear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t 3 months of intervention. This intervention program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enhances the subjects’continuity of physical activity, and through this, the subject’s activity of daily living is to be maintained to the maximum. In addition, the increase in medication adherence may lead to a long-term effect of preventing CVD complications and thereby reducing medical expenses. It is expected that a hospital-based nurse-led intervention program will not only help the subject’s lifestyle changes, but also enable efficient use of health care resources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임상의사의 삶의 만족도 자가평가 수준과 관련 요인

        옥종선(Jong Sun Ok),김형수(Hyeongsu Kim)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23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8 No.1

        본 연구에서는 2016년 KPS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임상의사의 삶의 만족도 자가 평가 수준과 이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였다. KPS는 우리나라 전체 의사를 대상으로 근무 현황 및 환경, 보건의료체계·정책 인식 및 평가수준, 보건의료정보시스템 가용 현황 및 활용 정도, 직업 및 직무만족도, 활동 계획 및 진로,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 특정 직역(개원의, 은퇴자) 문항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E-mail을 통해 발송되었고 최종 응답자는 8,564명으로 응답률은 13.8%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환자를 직접 진료하고 있는 임상의사 중에서 수련의와 공보의를 제외한 총 7,22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임상의사의 삶의 만족도는 만족 36.1%(2,609명), 보통 42.8%(3,095명), 불만족 21.1%(1,524명)이었다. 임상의사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신체적 요인으로는 60대이며, 여성이고, 평소 건강상태를 좋다고 평가하는 경우였다. 심리적 요인으로는 스트레스가 적었다. 사회적 요인으로는 가족과 함께 거주하며, 가족과 보낼 수 있는 시간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로서 받게 되는 사회적인 존경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다. 조직적 요인은 교수이며, 16년 이상 근무 경력을 가진 경우였다. 직업적 요인으로는 근무시간 및 업무량, 의료자원 지원, 동료 및 직원과의 관계에 만족하는 경우였다. 경제적 요인으로는 소득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건강행태 요인으로는 현재 흡연을 하지 않으며, 음주횟수는 한 달에 1번 미만이었다. 임상의사의 삶의 만족도는 단순히 개인의 삶을 떠나 의사를 만나는 환자의 진료행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감안할 때 임상의사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통해 임상의사들은 우리 사회 구성원 중 하나로 균형 있는 삶을 영위하고, 나아가 우리 사회 구성원들에게 보다 질 높은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 of self-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and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physicians.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2016 Korean physician survey Korean Physician Survey(KPS) data collected by the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The member database(DB)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was used for sampling and the target population was formed and surveyed by using stratified quota sampling. A questionnaire was sent by E-mail as an online survey method and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7 weeks from November 21, 2016 to January 8, 2017. The final number of respondents was 8,564 (response rate 13.8%). In this study, a total of 7,228 physicians, excluding residents and public health doctors who are currently treating patients directly, were studied.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physicians were analyzed using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hysical factors positively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physicians were those who were in their 60s, female, and thought they had good health status. As for psychological factors, stress was low. As for economic factors, satisfaction with income was high. As for social factors, the physicians lived with their families and were satisfied with the time they could spend with them. Also, the physicians were satisfied with the social respect they received as a docto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a multifaceted approach is needed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physicians.

      • KCI등재

        호스피스 병동에서 시행되는 말기 암 환자의 DNR (Do-Not-Resuscitate) 동의

        심병용,홍석인,박진민,조홍주,옥종선,김선영,한선애,이옥경,김훈교,Shim, Byoung-Yong,Hong, Seok-In,Park, Jin-Min,Cho, Hong-Joo,Ok, Jong-Sun,Kim, Seon-Young,Han, Sun-Ae,Lee, Ok-Kyung,Kim, Hoon-Ky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7 No.2

        배경: 보편적으로 호스피스 병동에서 말기 암 환자에 있어서, DNR 동의가 흔하게 취득되고 있다. 그러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현황과 실태 분석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드문 현실이다. 최근 저자 등은 보호자가 DNR 동의를 거부하여 심폐소생술 후 인공호흡기 치료를 시행하여 2개월 간 중환자실에서 치료 후 사망한 환자를 경험하면서 지금 까지 진행된 DNR 동의의 현 실태와 앞으로 시행될 DNR 동의의 보완점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 동안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과 DNR 동의서를 조사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나이, 성별,진단명, DNR 동의 시간, 사망까지의 시간, DNR 동의에 참여한 보호자, DNR 결정 당시 환자 상태, 사망장소, DNR 결정 당시의 치료와 DNR 결정 전후 치료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치료 단계는 3단계로 분류하였다. 결과: 중앙 연령은 66세($31{\sim}93$세) 였고 남자가 31명, 여자가 29명이었다. 폐암 12명, 위암 12명, 담낭암 및 담도암 7명, 대장암 6명, 췌장암 4명, 기타 19명이었다. DNR 동의서에 서명한 사람은 아들이 22명, 배우자가 19명, 딸이 16명, 기타가 3명이었다. 이 중 환자가 DNR 동의서에 동의한 경우는 한 명도 없었다. 60명 중 30명이 입원 시에, 30명은 입원 기간 중에 DNR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입원 기간 중에는 증상의 악화 19명, 활력 증후 변화 4명, 다기관 기능부전 3명, 기타 상태 4명 등으로 DNR이 결정 되었다. DNR 동의 후 사망까지의 시간은 13명이 5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사망 장소는 60명 중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본원이었다. DNR이 시행되었을 당시 치료 단계는 2명을 제외하고 1단계였고 2단계와 3단계가 각각 1명씩이었다. 결론: 환자의 존엄성과 권리라는 측면에서 DNR 동의의 환자 참여가 국내에서도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하겠다. 또 이를 위해 DNR 동의의 의미, 경과, 동의 철회 등의 사항이 포함된 문서화된 동의서에 의해서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되어야 하겠다. Purpose: DNR order is generally accepted for cancer patients near the end of life at Hospice Ward. It means not only no CPR when cardiopulmonary arrest develops but no aggressive meaningless medical interventions. Usually on admission, we discuss with the patients' family about DNR order at the Hospice Ward. Recently, we experienced a terminal lung cancer patient who had been on the ventilator for two months after pulmonary arrest. CPR and artificial ventilation were performed because patient's family refused DNR order. There is no consensus when, who, and how DNR order could be written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in Korea, yet. Methods: Hospice charts of 60 patients who admitted between Jan and Jun 2003 to Hospice Ward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median age was 66(range $31{\sim}93$) and there were 31 males and 29 females. Their underlying cancers were lung (12), stomach (12), biliary tract (7), colon (6), pancreas (4) and others (19). The persons who signed DNR order were son (22), spouse(19), daughter (16) and others (3). But, there was no patients who signed DNR order by oneself. Thirty families of 60 patients signed on day of admission and 30 signed during hospitalization when there were symptom aggravation (19), vital sign change (4), organ failure (3) and others (4). There were 13 patients who died within 5 days after DNR order. Most of patients died at our hospice ward, except in 1 patient. The level of care was mostly 1, except in 2 patients. (We set level of care as 3 categories. Level 1 is general medical care: 2 is general nursing care: 3 is terminal care.) Conclusion: We have to consider carefully discussing DNR order with terminal cancer patients in the future & values on withholding futile interven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