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mall sized lung SBRT 치료시 폐 실질 조직에서의 계획선량 전달 정확성 평가

        오혜경,손상준,박장필,이제희,Oh, Hye Gyung,Son, Sang Jun,Park, Jang Pil,Lee, Je He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9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31 No.1

        목 적: 본 연구에서는 lung SBRT가 적용되는 작은 계획 표적 용적(PTV)에 처방 선량이 정확히 전달되는지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치료계획 시스템에서 계산된 선량분포와 실험을 통하여 필름에 측정된 선량분포를 비교 분석하여 정확성을 평가해보고, 폐 실질 조직 내에서 계획 표적 용적의 margin 유용성 평가를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CT 촬영으로 얻은 Rando phantom 3D 영상의 우측 폐에 직경 2, 3, 4, 5 cm인 가상의 구 표적을 만들어 계획 표적 용적에 처방선량의 95 %가 전달될 수 있도록 6MV-FFF VMAT Arc 2개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으며, Eclipse TPS와 동일한 위치에서 선량 비교하기 위해서, 필름을 가상 표적의 회전중심점에 횡단면 방향으로 삽입하고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Dose profile을 Eclipse에서 획득하고, 측정값과 계산값을 비교하기 위해 Center point에서의 절대 선량값을 계산하였으며, off-axis 선량 분포를 얻어 RMSE, Coverage ratio 등 비교 인자를 통해 상대 선량 및 선량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직경 2, 3, 4, 5 cm 크기별로 center point에서의 %difference 값은 직경 2 cm에서 -4.65 %로 가장 차이가 큰 값을 보였고, 직경 5 cm일 때 -1.46 %로 가장 차이가 작은 값을 보였다. RMSE값은 직경 2 cm일 때 3.43으로 가장 큰 값을 보였고. 직경 5 cm일 때 2.85로써 가장 작은 값을 보였다. 표적 커버리지를 비교하기 위해 처방선량 95 %가 들어가는 용적의 길이($D_{95}$)를 구하였고, 직경 2 cm일 때, TPS와 필름에서 각각 2.02 cm, 1.86 cm로 커버리지 비율이 92 %로 나타났고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계획 표적 용적 100% 이내에 들어가는 평균선량($D_{mean}$)을 비교했을 때, 직경 2 cm 인 경우 측정 평균선량이 95.72 %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작은 계획 표적 용적에 처방 선량이 충분히 전달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모든 비교 인자에서 직경 2 cm인 용적이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표적 용적 중심에서의 선량 감소가 주요인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선량계산 시스템에서 저밀도 조직 내의 작은 용적 치료 계획시 2 mm 이상의 마진(margin)을 더 두거나, 치료 계획 최적화(optimization)시 최대선량을 제한하지 않는 방법으로 표적 내 중심 선량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beam delivery accuracy for small sized lung SBRT through experiment. In order to assess the accuracy, Eclipse TPS(Treatment planning system) equipped Acuros XB and radiochromic film were used for the dose distribution. Comparing calculated and measured dose distribution, evaluated the margin for PTV(Planning target volume) in lung tissue. Materials and Methods : Acquiring CT images for Rando phantom, planned virtual target volume by size(diameter 2, 3, 4, 5 cm) in right lung. All plans were normalized to the target Volume=prescribed 95 % with 6MV FFF VMAT 2 Arc. To compare with calculated and measured dose distribution, film was inserted in rando phantom and irradiated in axial direction. The indexes of evaluation are percentage difference(%Diff) for absolute dose, RMSE(Root-mean-square-error) value for relative dose, coverage ratio and average dose in PTV. Results: The maximum difference at center point was -4.65 % in diameter 2 cm size. And the RMSE value between the calculated and measured off-axis dose distribution indicated that the measured dose distribution in diameter 2 cm was different from calculated and inaccurate compare to diameter 5 cm. In addition, Distance prescribed 95 % dose($D_{95}$) in diameter 2 cm was not covered in PTV and average dose value was lowest in all size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mall sized PTV was not enough covered with prescribed dose in low density lung tissue. All indexes of experimental results in diameter 2 cm were much different from other sizes. It is showed that minimized PTV is not accurate and affects the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It is considered that extended margin at small PTV in low density lung tissue for enhancing target center dose is necessary and don't need to constraint Maximum dose in optimization.

      • KCI등재후보

        한약 및 천연물의 항암 임상연구 방법론에 대한 고찰

        오혜경,이지영,류한성,윤성우,Oh, Hye Kyung,Lee, Jee Young,Ryu, Han Sung,Yoon, Seong Woo 대한암한의학회 2015 大韓癌韓醫學會誌 Vol.20 No.1

        Objectives : The cancer incidence and cancer burden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 use of botanical agents in cancer care is increasing. This article aims to review a research strategy for botanical agents. Methods : The clinical studies of anticancer botanical agents and the papers about clinical research methodology of botanical agents were reviewed. Results : In phase I study, safety confirmation, optimal dose determination and drug interaction study are important. Most botanical agents have low toxicity and some have non-monotone dose response. Therefore, dose-response curve must be evaluated separately from the dose-toxicity curve to determine optimal dose. Although anticancer botanical agents can't shrink tumor size rapidly, they do extend survival. So, in phase II study, response should be evaluated by the survival. Conclusions : Clinical research of botanical agents in cancer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anical agents and experimental mechanism is necessary in conducting botanical based clinical trials.

      • KCI등재

        한방병원에 입원한 노인암 환자의 치료 특성 분석

        오혜경,이지영,류한성,윤성우,Oh, Hye-kyung,Lee, Jee-young,Ryu, Han-sung,Yoon, Seong-woo 대한한방내과학회 2016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7 No.2

        Objective: Because the number of geriatric cancer patients is on the rise but information on treatments for this population is limite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reatment decisions among elderly cancer patients.Method: Data on elderly cancer patients (≥65 years of age) who were admitted to a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March 2014 to February 2016 were collected. We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verall survival rates of the chemotherapy group and the non-chemotherapy group.Results: Nineteen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Nine people received chemotherapy, and ten people did not receive chemotherapy due to concerns about quality of life. Ag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score, and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tatus all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median survival tim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Compared with chemotherapy alon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ombined with chemotherapy prolonged median survival times.Conclusion: Old age and low ECOG performance status and ADL scores appear to b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decision to undergo chemotherap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at these factors influence decisions about cancer treatment methods among geriatric cancer patients.

      • KCI등재

        최근 입주된 수도권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본 규모별 실 구성 요구 분석

        오혜경,함민정,Oh, Hye-Kyung,Ham, Min-Jung 한국주거학회 2008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optimum guidelines apartment rooms by conducing survey among residence whose apartment floor size is between $66-198m^2$ and whose apartment is less than 3 years old. The effective numbers of survey questionnaire turned in was 226 and the survey analysis has been made by using of SPSS WIN 12.0.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1) $66{\sim}98m^2$ :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2 and 3. The size of maser bedroom needs to be decreased whereas the size of living room be increased. (2) $99-131m^2$: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3 and 4. The size of maser bedroom and maser bathroom needs to be decreased whereas the size of living room, 2nd bedroom, kitchen and dining room needs to be increased. (3) $132-164m^2$: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3 and 4. The size of maser bedroom and bathroom needs to be decreased whereas the size of dress room, kitchen and dining room, and 2nd bedroom needs to be increased. (4) $165-197m^2$: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3 and 4. The size of maser bedroom and maser bathroom needs to be decreased and the size of dressroom and kitchen /dinning room needs to be increased. (5) $198m^2$ and above: the recommended numbers of bedroom is 3,4 and 5. The size of dressroom needs to be increased. It 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bedroom doesn't need to be increased as the size of apartment is increased. Larger space is required for the public space for the family and dressroom. And smaller space is required for the maser bedroom and master bathroom.

      • KCI등재

        영유아기 장애아동에 대한 조기개입에 있어 가족중심적 지원에 관한 고찰

        오혜경 ( Hea Kyung Oh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02 한국가족복지학 Vol.7 No.1

        This study emerges out of a work about human service programs in parents`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ajor support for family centered approach is derived from acceptance of the concept that the handicapping conditions is as much a part of the child as the child is a part of the family and the family a part of a larger community; that is habilitating the handicapping condition alone is viewed as inadequate. Complete habilitation, directed toward improving the handicapped child`s level of functioning in general, is considered possible only when the child as an individual is fully supported. This support is possible only when family members are assisted in developing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isabled child. Further, supporters of a family-centered approach recognize the tremendous impact that the child`s emotional state has on his or her total development. Therefore, work with the family is seen as mandatory if full development of the disabled child is to be facilitated.

      • 성인지적장애인의 주거형태에 따른 삶의 질

        오혜경 ( Oh Hea-kyung ),정한나 ( Jung Han-na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4 장애인복지연구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성인지적장애인의 일반사항, 성인지적장애인의 삶의 질에 대한 조사와 함께 성인지적장애인의 주거형태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주거형태에 따른 가족의 삶의 질 그리고 지적장애인의 주거형태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등에 관해 살펴보았다. 지적장애인의 주거형태에 따른 가족의 삶의 질의 차이는 모두 p<.1 수준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삶의 질과의 차이는 그룹홈, 원가정, 생활시설의 순이었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성인 지적장애인의 현재 주거형태는 원가정이 55.8%로 가장 많았으며, 미래 원하는 주거형태는 그룹홈이 52.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현재 원가정에 거주하는 경우 약 60%가 미래에 주거서비스를 이용하기를 원했으며, 주거서비스를 이용 중인 그룹홈 집단과 생활시설 집단에서는 두 집단 모두 90% 이상이 미래에도 주거서비스를 이용하기를 희망하였다. 둘째, 지적장애인의 주거형태에 따른 가족의 삶의 질의 차이는 모두 p<.1 수준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가족의 삶의 질과의 차이에서는 그룹홈 평균이 3.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원가정, 생활시설의 순이었다. 그리고 성인지적장애인의 주거형태는 가족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적장애인이 원가정에서 생활하든, 그룹홈이나 생활시설에서 생활하든 가족의 삶의 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주거형태에 따른 가족의 삶의 질의 차이에서는 p<.1 수준에서 그룹홈, 원가정, 생활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즉, 그룹홈에서 가족의 삶의 질은 가장 높았으며, 생활시설에서 삶의 질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itiated by finding out what influence the residential type of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has on the relation of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amilies of adults intelligent disabled We were able to collect data from 375 people from 92 facilities and utilized 321 copies of the survey results in my analysis. Methods of analysis utilized ar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 based on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families was 3.39 points,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average. In the sub-factors, nurturing activitie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amily interaction, disability-related support, physical well-being, and emotional well-being. Currently, the majority of the intellectual disabled adults are living with their original families at 55.8%. The residential type that the majority wishes to live in the future is group homes at 52.6%.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imed at finding out the control effect of residential types of intellectual disabled adults their quality of life, while residential types of the intellectual disabled adults had no effect. Furthermore, the interaction of residential type showed no significance, meaning the residential type of intellectual disabled adults had no control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시설노인의 일상생활능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오혜경 ( Hye Kyung Oh ),이수경 ( Su Kyung Lee ),석소현 ( Sohyune R Sok ),김귀분 ( Kwuy B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1

        본 연구결과의 일반적 특성에서 74세 미만의 대상자가 36명(30.0%)인데 비해 75-84세 대상자가 66명(55.0%), 85세 이상의 대상자 또한 18명(15.0%)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서도 남자(28.3%)보다 여자(71.7%)가 많으며 결혼 상태에 있어서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 보다 없는 경우가(85.0%)많았다. 이는 변영순과 윤희상(2004)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과로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남자보다 여자의 평균수명이 길어 여자가 오래 산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2005년 통계청의 고령자통계와 일치하는 부분으로 노인인구의 고령화 내지 여성노인의 문제점 등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학력에서 초등학교 이하가 전체 대상자의 82.5%로 나타난 결과는 과거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의 실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신의 건강상태를 대부분 나쁘다고 (54.1%) 생각하고 있는데, 이는 보건복지부(2004) 연구결과, 김은희(2004), 오경희(2002)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쁘다는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병원방문여부는 전혀 가지 않는 경우(46.7%)가 많았다. 이는 노인시설에서 비활동적인 생활로 인한 것으로 스스로를 불건강한 상태로 인지할 수도 있고, 또는 시설노인의 고령으로 인한 실제적인 불 건강 상태일 수도 있다. 특히 시설 특성상불 건강상태여도 치료를 위한 병원방문은 거의 비현실적임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시설노인 스스로자신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태도를 취할 수 있도록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도움대상에서는 가족 및 친척(57.5%)에 비해 이웃 및 기타(42.5%)또한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입소하여 생활하는 시설노인의 특성상 가족과 떨어져 지내게 되면서, 시설의 동료 및 직원으로부터 도움을 받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노인들의 활동특성에서는 종교활동(36.7%), 봉사활동(90.8%), 친구모임활동(84.2%), 노인학교, 노인정의 참여(91.7%)를 대부분의 노인들이 전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이것은 노인들의 신체적 내지 환경적 특성으로 거동이 불편하거나 혹은 이동수단의 문제로 시설에서 벗어난 외부적인 활동은 거의 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설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노인들의 경우 특별히 하는 일 없이 무료하게 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으로(서부덕, 2000; 장순자, 2001)이와 같은 생활의 무료함은 자존감 저하와 삶의 질을 떨어뜨려 일상생활능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노인들의 독립적이고 활동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쉽게 참여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여가활동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반면, 김은희(2004)의 노인대학을 다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봉사활동(42.98%), 친구모임(15.76%), 노인학교, 노인정(37.63%)으로 봉사활동을 제외한 대부분의 활동에서 참여를 하고 있었다. 이는 대상자 대부분 학력이 고졸로 교육수준이 높고, 친구나 외부자 원과의 접촉이 원할 함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일상생활능력정도는 평균 2.83(0.85)점으로 약간 높게 확인되었으나, 이는 서혜림 등(1998)의 평균 4.32(0.77)보다 낮은 점수이며, 서부덕(2000)의 평균2.01(1.32)보다는 높은 점수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대상자가 재가 노인이 아니라 시설노인이므로 일상적인 생활 외에 개인적인 여가활동이나 기타 활동이 없어 무료함의 표출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 자기효능감 정도는 평균 2.79(0.63)로 보통 정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김은희(2004)의 연구에서 평균 2.94 보다 낮은 점수이다. 노인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적 건강문제는 우울과 같은 심리적 변화를 초래하게 되며, 심리적 문제는 노인들이 갖게 되는 자기효능감 정도에 따라 차이난다. 따라서 자신의 집에서 부부나 아님 자녀들과 생활하지 못하고 시설에 혼자 외롭게 살아가야 하는 노인에게서 자기효능감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되며, 이를 상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연구결과 삶의 만족도 정도는 평균 1.81(0.42)로 이 역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이란 항상 선행요건으로 자기만족이 요구된다. 이는 자존감 및 자기효능감 등으로 자신을 유가치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때 비로소 만족한 삶을 인식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노인들은 일상생활능력이나 자기효능감에 높은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삶의 만족 또한 높게 인지하지 못함은 당연한 결과라 생각한다. 따라서 무료하게 일상을 살아가야 하는 노인들을 위한 적절한 여가활동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으로 이들의 삶에 활력소를 충원하여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감을 유도 할 수 있는 간호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상자의 일상생활능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일상생활능력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고, 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상생활능력이 좋은 노인이 신체적 자기효능감도 높다는 서혜림 등(1998)의 연구결과와 자기효능 증진 프로그램과 삶의 질 관계를 본 오복자, 아은옥, 태양숙과 엄동춘(1997)의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 졌다는 연구와 유사하다. 또한 시력저하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천의영(2005)의 일상생활수 행정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결과와 유사하여 본 연구를 지지해 주고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능력과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는 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 시설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인들 에게 일상생활능력과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모색이 요구된다. 노인들의 일반적 특성 및 활동특성 별 일상생활능력, 자기 효능감, 삶의 만족도의 차이검증에서 특징적으로, 건강상태와 활동특성 즉, 종교활동, 봉사활동, 친구모임활동이 일상생활 능력과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건강상태의 경우 일상생활능력과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시간의 무료함은 우울감과 자존감을 감소시켜 일상생활능력을 저하시키므로 대부분의 시간을 무료하게 보내는 시설노인(서부덕, 2000; 장순자, 2001)의 경우 잘 계획된 여가활동을 통해 일상생활능력을 향상시켜줌으로서, 노인들의 독립적이고 활동적인 생활영위가 가능하여 삶의 만족도 향상이 가능하리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노인 스스로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지하는 경우가 나쁘다고 인지하는 노인들에 비해 노인 자신의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일상생활에 자신감을 갖게 되어 일상생활능력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일상생활능력의 증가와 원활한 역할 수행은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며 더불어 삶의 만족도를 증가 시키는 계기가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활동특성 중 종교 활동의 참여는 따른 활동 즉, 봉사활동이나 친구모임, 노인학교 노인정의 참여율에 비해 높은 것으로 이 모두 일상생활능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것은 시설노인의 경우 대부분이 신체적 여건이 자유롭지 못하여 시설 밖의 활동보다 시설 내 활동을 참여하게 되는데 종교 활동의 경우 종교 단체에서 직접 방문하여 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노인시설 내노인 스스로 편안한 마음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및 여가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이 되어야 할 것이며, 노인이 참여할 수 있는 사회활동 또한 시설 안으로 끌어들이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봉사활동이나 친구 모임활동, 노인학교 노인정의 경우 사회적인 접촉이 필요로 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사회적인 활동의 참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족을 포함한 지역사회 구성원들과의 지지 자원과의 지속적인 교류가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설노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무엇보다도 그들의 잔존능력을 파악하고 유지시키면서 그들이 하고자하는 욕구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의 개발과 전문 인력에 의한 체계적인 관리와 운영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시설에서는 노인을 단순히 보호하는 것에서 벗어나 노후 생활을 즐기고 남은여생을 보람되고 유익하게 보낼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examine the levels of AD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and the relations among the factors.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elders aged over 65 at nursing homes in 9 areas throughout the country. Measures were the physical function scale,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and LSI·Z.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PC11.0. Result: First, the mean levels of ADL, self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were 2.83 (0.85), 2.79 (0.63), and 1.18 (0.42). Second, the relations among three factors we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Third, (1) The level of AD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 religious activity, volunteer activity, and friend meeting. (2) The level of self· 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 source of help, religious activity, volunteer activity, friend meeting, and elderly school & senior center. (3)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 source of help, religious activity, volunteer activity, friend meeting, and elderly school & senior center. Conclusion: Conclusively, it is required to enhance ADL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improve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