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축성 전자패키징용 강성도 국부변환 polydimethylsiloxane 기판의 탄성계수

        오현아,박동현,한기선,오태성,Oh, Hyun-Ah,Park, Donghyeun,Han, Kee-Sun,Oh, Tae Sung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5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2 No.4

        In order to apply to stretchable electronics packaging, locally stiffness-variant stretchable substrates consisting of island structure were fabricated by combining two polydimethylsiloxane elastomers of different stiffnesses and their elastic moduli were characterized as a function of the width of the high-stiffness island. The low-stiffness substrate matrix and the embedded high-stiffness island of the stretchable substrate were formed by using Dragon Skin 10 of the elastic modulus of 0.09 MPa and Sylgard 184 of the elastic modulus of 2.15 MPa, respectively. A stretchable substrate was fabricated to be a configuration of 6.5-cm length, 0.4-cm thickness, and 2.5-cm width, in which a high-stiffness Sylgard 184 island, of 4-cm length, 0.2-cm thickness, and 0.5~1.5-cm width, was embedded. The elastic modulus of a stretchable substrate was increased from 0.09 MPa to 0.16 MPa by incorporating the Sylgard 184 island of 0.5-cm width to Dragon Skin 10 substrate matrix. The elastic modulus was further improved to 0.18 MPa and 0.2 MPa with increasing the Sylgard 184 island width to 1.0 cm and 1.5 cm, which were in good agreement with values estimated by combining the Voigt structure of isostrain and the Reuss structure of isostress. 신축성 전자패키징에 응용하기 위해 강성도가 서로 다른 polydimethylsiloxane 탄성고분자인 Sylgard 184와 Dragon Skin 10을 사용하여 섬(island) 구조가 삽입된 강성도 국부변환 신축성 기판을 형성한 후, 강성도 국부변환부의 폭에 따른 기판의 탄성계수를 분석하였다. 기판 기지로는 탄성계수가 0.09 MPa인 Dragon Skin 10을 사용하였으며, 기판 기지 내에 삽입되는 강성도 국부변환부는 탄성계수가 2.15 MPa인 Sylgard 184로 형성하였다. 신축성 기판의 형상은 길이 6.5 cm, 두께 0.4 cm, 폭 2.5 cm이었으며, 중앙부에 길이 4 cm, 두께 0.2 cm, 폭 0.5~1.5 cm인 강성도 국부변환부를 삽입하였다. 폭 0.5 cm의 Sylgard 184를 Dragon Skin 10에 삽입함에 따라 기판의 탄성계수가 0.09 MPa에서 0.16 MPa로 증가하였다. Sylgard 184의 폭을 1.0 cm 및 1.5 cm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기판의 탄성계수가 0.18 MPa와 0.2 MPa로 증가하였으며, Sylgard 184 강성도 국부변환부의 폭에 따른 기판 탄성계수의 변화는 등변형률의 Voigt 구조와 등응력의 Reuss 구조를 조합하여 예측한 값과 잘 일치하였다.

      • KCI등재

        섬(Island) 구조로 이루어진 강성도 국부변환 신축성 기판의 변형 거동

        오현아,박동현,신수진,오태성,Oh, Hyun-Ah,Park, Donghyeun,Shin, Soo Jin,Oh, Tae Sung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5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2 No.4

        In order to develop stretchable substrate technology for stretchable devices, locally stiffness-variant stretchable substrates were processed with two polydimethylsiloxane elastomers of different stiffnesses and their deformation behavior was characterized. Low-stiffness substrate matrix and embedded high-stiffness island of the stretchable substrate were formed by using Dragon Skin 10 of the elastic modulus of 0.09 MPa and Sylgard 184 of the elastic modulus of 2.15 MPa, respectively. A stretchable substrate was fabricated to a configuration of 6.5 cm length, 0.4 cm thickness, and 2.5 cm width. The elastic modulus of a stretchable substrate was increased from 0.09 MPa to 0.13~0.33 MPa by embedding a Sylgard 184 island of 1 cm width and 1~6 cm length into the center part of the Dragon Skin 10 substrate matrix. The elastic modulus of a stretchable substrate was improved to 0.16~0.2 MPa by embedding a Sylgard 184 island of 4 cm length and 0.5~1.5 cm width and to 0.1421~0.154 MPa by embedding a Sylgard 184 island of 2 cm length and 0.5~1.5 cm width. With increasing the tensile strain of a stretchable substrate, deformation restriction of the locally stiffness-variant Sylgard 184 island was further enhanced due to substantial increase in the strength difference between Sylgard 184 and Dragon 10 at large strain. 신축성 디바이스용 강성도 국부변환 기판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강성도가 서로 다른 두 polydimethylsiloxane 탄성고분자를 사용하여 섬(island) 구조로 이루어진 강성도 국부변환 신축성 기판을 형성하고 변형 거동을 분석하였다. 기판 기지로는 탄성계수가 0.09 MPa인 Dragon Skin 10을 사용하였으며, 섬 구조의 강성도 국부변환부는 탄성계수가 2.15 MPa인 Sylgard 184를 사용하였다. 신축성 기판의 형상은 길이 6.5 cm, 두께 0.4 cm, 폭 2.5 cm 이었다. Dragon Skin 10 기지에 폭 1 cm, 길이 1~6 cm인 Sylgard 184의 삽입에 의해 신축성 기판의 탄성계수가 0.09 MPa에서 0.13~0.33 MPa로 증가하였다. 길이 4 cm, 폭 0.5~1.5 cm인 Sylgard 184 강성도 국부변환부를 내재시킴에 따라 신축성 기판의 탄성계수가 0.16~0.2 MPa로 증가하였으며, 길이 2 cm, 폭 0.5~1.5 cm인 강성도 국부변환부를 내재시킴에 따라 탄성계수가 0.142~0.154 MPa로 증가하였다. 신축성 기판의 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Sylgard 184와 Dragon Skin 10의 강도 차이가 현저히 증가하는데 기인하여 강성도 국부변환부의 변형억제 효과가 향상되었다.

      • KCI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의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에 대한 시론

        오현아 ( Hyeon Ah Oh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까지 미군정 당시에 이루어진 국어과 교육 중 문법 교육에 한정하여 검인정을 통해 발행되었던 문법 교과서를 사(史)적으로 고찰하여 교과서에 서술된 문법 지식의 체계를 구조화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광복 이후 국어과 교육은 일본어 보급과 조선어과 위축 및 폐지라는 일제강점기의 교육의 영향 아래 교육과정, 학제, 교과서, 교수법 등의 제반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광복 이후의 국어 교과서 연구는 국어 교과의 확립 및 국어 교육의 기틀 확립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시기 국어과 교육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 1)국어교육사의 (1)종적인 차원에서는 ①국어 교과의 형성 및 교과 성격 획득 과정 관련한 연구(박영목·민현식·김종철 외, 2005; 윤여탁 외, 2006; 오현아, 2011), ②국어 교과서의 수록 제재 변천 양상에 관한 연구(조희정, 2005a; 조희정, 2005b; 조희정, 2005c; 서명희·조희정, 2006a; 조희정·서명희, 2006b; 이명찬, 2008), ③교과서 서지사항 및 단원 체계 및 내용 변천에 관한 연구(조희정, 2011), 국어과의 개별 내용 영역 변천에 대한 연구(유옥순, 1995; 고영근, 2001; 최호철 편, 2008)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그리고 (2)횡적인 차원에서는 미군정기에 한정한 검인정교과서의 소설 제재를 다룬 연구로는 최현섭(1990), 미군정기부터 1차 교육과정 고시(1956년) 전까지인 건국기에 한정한 중등 국어 교과서분석에 관한 연구로는 허재영(2005), 교수요목기를 중심으로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화의 유형과 양상을 다룬 정진헌(2005)가 있다. 이상을 통해 우리는 국어교육사에 대한 심화된 논의가 전반적으로 충분하지 않지만 그 중에서도 횡적인 차원에서의 국어교육사 논의가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광복 이후 국어 교과서 연구가 이후 정부 주도의 교육과정 아래 이루어진 국어 교과 정체성 및 기틀 확립에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는 문제의식 아래 국어교육사의 횡적인 차원에서 미군정기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까지로 시기를 한정해 문법 교과서에 기술된 문법 지식의 체계를 구조화하는 연구를 본격화하기 전에 시론으로서 이러한 연구가 국어교육 그리고 문법교육 안에서 어떠한 지정학적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문법 지식 체계의 구조화는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할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historically grammar textbooks published through authorization by the government and to show the necessity for research to structure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presented in textbooks, focusing on grammatic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under the rule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an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Liberation, it was difficult to solve at once all problems relat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school system, textbooks, teaching methods, etc. establishe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which had promoted the spread of the Japanese language and the shrinkage and removal of the Korean language. Accordingly, research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after the Libera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fundamental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evious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is pe국어교육학연구45_riod can be divided into the longitudinal dimension and the horizontal dime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Studies in the longitudinal dimension include: ①studies o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its curricular characteristics(Park Yeong mok, Min Hyeon sik, Kim Jong cheol et al., 2005; Yoon Yeo tak et al., 2006; Oh Hyeon ah, 2011); ② studies on changes in material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Jo Hee jeong, 2005a; Jo Hee jeong, 2005b; Jo Hee jeong, 2005c; Seo Myeong hee & Jo Hee jeong, 2006a; Jo Hee jeong & Seo Myeong hee, 2006b; Lee Myeong chan, 2008) and ③studies on changes in the bibliography, unit system and contents of textbooks(Jo Hee jeong, 2011) and on changes in the content areas of the Korean language(Yoo Ok soon, 1995; Ko Yeong geun, 2001; Choi Ho cheol, 2008). Among studies in the horizontal dimension, Choi Hyeon seop(1990) analyzed the materials of novels in textbooks authorized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Heo Jae yeong(2005) analyzed second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until the announcement of the 1st National Curriculum in 1956, and Jeong Jin heon(2005) studied the types and patterns of traditional fairytales in elementary textbooks focusing on the period of syllabus.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advanced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not been sufficient and,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horizontal dimension have been quite insufficient. Thus, recognizing the problem that studie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since the Liberation became crucial foundation for the es국어교육학연구45_tablishment of the identity and framework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under the government l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s preliminary research before full scale studies to restructure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described in grammar textbooks, limited the scope of research to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until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horizontal dime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and discussed the geopolitical position of such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grammatical education and how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can be structured.

      • KCI등재

        통합 교과 교육 관점의 학교 평화 통일 교육 활성화 방안-‘사회,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오현아(Oh, Hyeon-Ah),김명정(Kim, Myung-Jung),이관희(Lee, Kwan-Hee),최선희(Choi, Sun-Hee),송영훈(Song, Young-H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5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 교과 교육 관점에서 사회 및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학교 평화통일의 학교급별 지향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두 교과에서 평화 통일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을 ‘문화간 이해 교육, 인성 교육, 문식성 교육’과 ‘평화교육, 인권교육, 민주시민교육’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전환기, 초등, 중등 전환기, 중등, 성인 전환기’의 다섯 단계에서 두 교과가 통합적 평화 통일 교육을 전개하기 위하여 무엇을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하는지를 모색하였다. 이 연구는 평화 통일 교육이 특별한 맥락 내에서 탈교과적으로 다루어져서는 안 된다는 관점 아래, 사회 및 국어 교과의 동질적 지향성을 바탕으로 통합적으로 전개되어야 함을 주장하며 통합적 통일교육의 내용 구성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at factors should be taken seriously i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focusing on social studies and Korean language sub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ed curriculum education. What perspectives these two subjects have had on peace and unification are under examination in a framework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and literac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Korean study as well as a framework of peace education, human rights education, and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The third section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convergence between the programs of the two subjects on where the emphasis should be placed at each stage of school system, such as primary-transition, primary, middle-transition, middle, and adult-transition, for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not only that two subjects should not deal with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each distinguished context but also that they should develop an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program through a heuristic approach.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신세대 여성의 패션 이미지에 따른 가방 착용 스타일 분석에 관한 연구

        오현아(Oh, Hyun A),배수정(Bae, Soo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시장의 경쟁 속에서 중국 신세대 여성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가방 디자인을 개발하도록 마케팅 전략의 기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중국시장 내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 있다. 현재 중국 내수 시장의 특징은 크게 젊은 세대와 여성 소비자가 시장을 지배하기에 이들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중국 가방 산업의 주요 소비 계층으로 신세대, 주링허우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중국 패션 소비시장을 이끌어 가고 있다. 본 연구의 경우 단순히 가방이라는 특정 아이템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보다는 가방의 착용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인 의복과의 연관성을 깊이 있게 살펴봄으로써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각종 문헌자료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의복과 가방의 형태를 분류한 후 정의된 의복과 가방 아이템 착용현황을 베이징 도시 여성 소비자의 중심지인 싼리툰, 왕징, 왕푸징에서 촬영된 사진 중심으로 하였다. 특히 삼성패션연구소에서 제시하는 유행을 선도하는 스트리트 패션 그룹의 사진 중에서 패션 아이템의 코디가 토털 코디네이션 된 사진만을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연도별 구분하고, 스트리트 촬영기관의 분류기준에 따라 구분한 후 무작위 추출법으로 각 75장씩 추출후 총 1,500장을 이미지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3년 봄부터 2017년 겨울까지 총 5년 동안 선호되는 패션 이미지는 액티브/스포티브 이미지가 높은 빈도로 선호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페미닌/로맨틱, 클래식, 매니쉬, 아방가르드, 에스닉, 기타의 순을 보였다. 다음으로 의복의 상의 색상에 있어서는 black의 민무늬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하의 색상에 있어서는 상의 색상과 같이 black의 민무늬가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수치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그 비중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원피스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복과 가방과의 배색 부분에 있어서는 이색유채색이 높게 빈도로 코디네이션 되었고, 가방 종류에 있어서는 2013년 봄부터 2014년 겨울까지는 숄더백이 주로 착용되었다면, 2015년 봄부터 2017년 겨울까지 점차 크로스백으로 선호 경향을 변화하고 있음을 높은 착용률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가방의 색상과 패턴은 의복과 동일하게 black, 민무늬로 높은 착용률을 보였다. 이를 통해 의복의 유행색이 가방의 유행색과 무관하지 않음을 생각할 수 있었다. 패션 이미지별로 살펴보면 페미닌/로맨틱 이미지의 경우 가방이 의복과의 배색에 있어 이색 유채색에 숄더백, black, 민무늬가 코디네이션 되고 있었고, 이는 아방가르드 이미지에서도 이색유채색, 숄더백, black, 민무늬 패턴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액티브/스포츠 이미지의 경우에는 이색유채색에 black, 민무늬는 동일하나 가방의 종류에 있어 크로스백을 착용함으로써 보다 활동성이 있는 아이템과 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매니쉬 이미지의 경우에는 동색무채색, 숄더백, black, 민무늬가 코디되고 있었고, 클래식의 경우는 이색유채색, 크로스, black, 민무늬가 매치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 소비시장 내에서 가방 아이템에 주력하고 있는 한국 패션기업에게 베이징 도시 여성을 위한 디자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to develop preferred bag designs by chinese new generation and to help obtain competitiveness in Chinese market.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young generation and women in China as they are the dominant consumers in the domestic market. They are called by various names such as young generations, Ju ling hou They are the main consumers of the Chinese bag industry and also leads the fashion industry. The study focuses not just on the bag as a specific item but also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es and bags. As for research methods, clothes and the shapes of the bags are classifi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the actual wearing conditions are mostly from photos taken from Sanlitun, Wangjing and Wangfujing. Street photos of total coordination with fashion items provided by Samsung fashion research centers were classified by year from 2013 to 2017. After the year classification, 75 photos from classification standards from Samsung Design Net were randomly selected making a total of 1,500 photo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The most frequent fashion images from spring 2013 to winter 2017 is active/sportive images followed by feminine/romantic images, classic images, mannish images, avant-garde images, ethnic images and others. Next, the most frequent color of top clothes is black with plain pattern and that of bottoms is the same. However, the frequency of bottoms is twice higher than that of top. The results of one-piece also showed similar tendency. The most frequent color arrangement of clothes and bags is different chromatic colors. While the most frequent bag type was shoulder bags from spring 2013 to winter 2014, there is an increasing preference of cross bags from spring 2015. The most frequent color and pattern of bags are black with plain patter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red colors of clothes and bags. According to fashion images, the most frequent coordination of clothes and bags in feminine/romantic images is shoulder bags of different chromatic colors and black with plain pattern. Avant-garde images also show the same coordination. In case of active/sportive images, the coordination of different chromatic colors and black with plain pattern is the same except for bag types, cross bags, which makes it more active. In case of mannish images, shoulder bags with same achromatic colors and black with plain patterns is the most frequent coordination. In case of classic images, cross bags with different chromatic colors and black with plain patterns is coordinated the most. This study gives basic inform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to Korean fashion companies focusing on bags in China and contribut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m.

      • 작문 교육 방법에 대한 대안적 모색

        오현아(Oh, Hyeon-Ah)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2014 語文學報 Vol.34 No.-

        Traditional writing education methods in Korea have been reading centered, idea creation centered and elaboration centered, and in such a situation sufficient consideration has not been given to the contents and methods of writing education that reflect individual learners’ writing skill level, actual writing process, etc. Recognizing these problems and as an effort to develop writer centered writing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purposed to propose: 1) expression centered writing education method; and 2) idea arrangement centered writing education metho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methodologies applicable to writer centered writing education methods including conceptual structure diagramming method that can contribute to the internal unity of texts, and Francis Christensen method that can contribute to the external consistence of texts.

      • 사용자 중심의 문법 기술을 위한 문법 교육 내용 재구조화 방안 모색

        오현아(Oh, Hyeon-ah)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2016 語文學報 Vol.36 No.-

        Recognizing that the contents o f grammar education need to be restructured and described in a way o f supporting learners,and teachers’ understanding o f grammar, this study purposed to identify problems in the current description o f the contents o f grammar education and to suggest methods o f restructuring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for usercentered grammar description. For these purposes, Chapter II itemized problems in the existing description o f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into: 1) linear description from small linguistic units to large linguistic units; 2) description of grammatical contents focusing on concepts o f sub-classification; and 3) fragmentary presentation o f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In order to cope with these problems, Chapter III suggested methods o f usercentered restructuring o f the contents o f grammar education as follows: 1) recursive description centering on sentence units; 2) description o f grammatical contents centering on major grammatical concepts; and 3) consecutive presentation o f the contents o f grammar education. This discussion is a process for exploring the possibility to teach and learn grammatical concepts, which are on the boundary between morphology and syntax, consecutively centering on combinable major grammatical concepts, instead o f describing the contents o f grammar education centering on academic linguistic units o f morphology and syntax. This effort w ill be more meaningful in the process o f concretizing a combinable list o f major grammatical concepts that can be dealt with consecutive on the boundary between morphology and syntax, and relevant discussions may be made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

        상호 문화 문식성 관점의 통일시대 초등국어교육의 방향 탐색 ― 이북 소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오현아 ( Oh Hyeonah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1

        이 연구에서는 ‘학교 내 텍스트’에 한정해 ‘소학교’를 대상으로 ‘교육과정 차원, 교과서 차원, 교수 설계 차원’의 접근 가능한 확정적인 자료들을 대상으로 ‘이북의 어린이들은 어떠한 텍스트를 접하는가’의 문제를 ‘학교 내 문식성’의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 설계 차원에서 나타난 이북 초등 국어 교과서 텍스트에 나타난 주된 주제 의식은 ‘애국주의, 외세 배격, 노동 찬양’으로 귀결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남에서 접근 가능한 이북의 소학교 국어 1학년부터 3학년에서 제시된 전체 31개의 텍스트 중 일상적인 텍스트는 10개, 남북 공통으로 널리 알려진 텍스트는 5개로 그 비중이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만 기본적인 학교 교육을 통해 접하는 텍스트가 이리 확연히 다르다고 할 때, 이남과 이북의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서로의 문화적 문식성의 현실태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초등국어교육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현실태로서의 이남과 이북의 문화적 문식성의 차이, 그 간극이 통일시대의 잠재적 부담 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과연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깊은 탐색의 과정을 위한 예비 단계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elementary school-level “text in school” accessible definitive materials such as those at the to ascertain the types of texts children in North Korea encounter. from the perspective of “text in school.” These materials include those at the curriculum-, textbook-, and teaching-design-levels. The thematic analysis of terms in the North’s elementary school textbook, which appeared in curriculum, textbook, and teaching design, resulted in “patriotism, exclusion of foreign powers, and praise of labor.” In addition, of the total 31 texts presented from grades 1 to 3 of the North’s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hat are accessible in the South, there were 10 casual texts and 5 widely known texts appearing in material from both countries, indicating that the proportion was not high. When the text that is encountered through basic school education is so distinctly different, efforts need to be made to clearly identify and understand the other’s cultural literacy in order to live together.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preliminary step for an in-depth exploration of programs to ensure differences in cultural literacy between the two Koreas does not act as a potential burden in the unified era.

      • KCI등재

        일반 논문 :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오현아 ( Hyeon Ah Oh ) 한국어교육학회(구-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0 국어교육 Vol.0 No.133

        This study starts as a way of making efforts to crystallize the possibility of the interesting grammar education utilizing stories. We need an alternative that can break through the present conditions under which learners remember the grammar class as the most boring and painful experience of learning, and the persistence of the knowledge of grammar, seemingly unable to secure, learned through such painful courses. The critical points this study ha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wo statements. First, Since th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grammar have become unclearly showed as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contents of the grammar education concentrated on explanatory materials since the period of the 5th Curriculum was integrated into other areas when it came to the 7th Curriculum, its educational contents might be considered to be secondary. Second, even if the contents of the grammar education is exclusively presented, it is problematic that it still consists mainly of learning activities that provide a few explanations, examples and lead to repetitious exercise. Based on this critical point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for the grammar education utilizing stories to make difference from the delivery of fragmented knowledge to the delivery of contextualized knowledge through the cour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part-of-speech unit in accordance with the 2007 revised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