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봉사동기와 조절초점 성향의 상호작용 : 공무원 심층 인터뷰를 통한 탐색적 연구

        오현규(Oh Hyungy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조절초점이론의 관점에서 공공봉사동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적 맥락에서 공무원의 동기를 폭넓게 이해하는 것이다. 공공봉사동기는 정부 조직에 유효한 인적자원관리 전략을 이끌어 주는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공공부문을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개념이지만, 그동안 많은 연구들이 공공봉사동기와 다른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접근에 주로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사회 및 공동체 친화적 행동만을 단순히 강조해왔던 한국정부의 인사 관리자 중심의 권위적인 접근과 해석을 피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 공직사회의 특수성에 대한 고려 없이 일률적 관점으로부터 도출되는 집단화된 함의를 넘어설 필요성을 제기한다. 특히, 본 연구는 동일한 수준의 공공봉사동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다른 행동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공무원 심층 인터뷰를 통해 공무원들의 공공봉사동기가 태도와 행동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심층 인터뷰 결과, 본 연구는 개인의 향상초점 성향이 강한 공무원들의 경우 좋은 결과의 달성으로 인해 느끼게 되는 성취나 보람이 공공봉사동기의 발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개인의 예방초점 성향이 강한 공무원들의 경우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적은 범위에서만 행동하게 되므로 공공봉사동기의 발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성향과 정합성이 높은 일을 할 경우 공직 업무에 대한 즐거움이 공공봉사동기와 긍정적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본 연구는 정부조직이라는 특수한 환경 속에서 한국 공무원의 동기를 개인 성향과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기여도를 발견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술적으로 갖는 이론적 기여와 향후 체계적 동기부여 전략에 대한 정책적 함의들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thorough understanding the motives of public servants in the Korean context by examin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ulatory focus theory. Although public service motivation, which serves as a means to guide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in government organizations, is an important concept among scholars studying the public sector, most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ther variables. By contrast, the present study aims to avoid the authoritative approach and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s human resources manager-centered approach, which has only emphasized pro-social and pro-community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argues for the need to go beyond the uniform implications derived from a one-size-fits-all point of view without considering the peculiarities of the Korean public sector. In particular, this study seeks to reveal that, even if people have the same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strategies to guide actions may vary across different individuals. This study aims to confirm in detail the process by which public service motives of public servants are connected to attitudes and behavio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ublic servants.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analysis show that, in the case of public servants with a strong promotion focus, the achievement or reward felt by the achievement of good result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pression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Furthermore, public servants with a strong prevention focus are found to tend to act positively only in the range where problems are less likely to occur, and thus could negatively interact with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 results also confirm that the enjoyment of public service can positively interact with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if the job is well suited to one s own regulatory focus. A particula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considers the motivations of Korean public servants in the special environment of a government organization and undertakes a thorough analysis of previous theoretical contributions, providing meaningful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systematic motivational strategies.

      • KCI등재

        조직 내 노동 문제 및 근로 환경에 관한 청년의 시선

        오현규(Hyungyu Oh)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오늘날 조직 내 노동 문제와 정책 이슈에 대해서 청년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 시각을 이해하여 이들이 직면한 문제와 교육적·제도적 수요를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미래 노동 문제를 체계적으로 예방하고 더 나은 조직 문화와 사회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직·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노동 문제에 관한 청년 대학생들의 시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간의행동과 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다양한 시각을 분류하도록 돕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조직 내 노동 문제와 정책 이슈에 대한 청년 대학생들의 시각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 대학생들은 ‘근로기준과 적정한 노동조건’에 관심이 많은 집단, ‘건강한 조직 문화와 존중받는근로자 권리’에 관심이 많은 집단, ‘노동법과 사회적 안전망’에 관심이 많은 집단, ‘근로 보상과 휴가 정책’에 관심이 많은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 내 노동 문제와 정책 이슈에 대한 개선을 위해 조직적·교육적·정책적 함의와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 청년의 시각에서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In today's organizations, understanding how young people perceive labor challenges and policy issues is essential for taking a strategic approach to systematically address future labor concerns and contribute to creating better organizational cultures and social communit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young undergraduate students on various labor issues experienced directly and indirectly within organizations. By utilizing Q methodology, which helps understand human behaviors, experiences, cultural phenomena, and categorize diverse perspectives systematically, this study classifies and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groups of young undergraduate students in terms of their views on labor challenges and policy issues within organizations. The analysis reveals four distinct groups: those highly interested in 'labor standards and appropriate working conditions,' those prioritizing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and respectful workers' rights,' those concerned with 'labor laws and social safety nets,' and those focused on 'labor compensation and vacation policies.' Drawing insights from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organizational, educa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ddressing labor problems and improving the perspectives of the youth.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 상사신뢰를 매개로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 A그룹사를 중심으로

        이희은(Heeeun Lee),오현규(Hyungyu Oh),리상섭(Sangseub Lee)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1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 상사신뢰를 매개로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 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A 중소기업 및 1개 그룹사의 전체 임직원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여 확보된 201명의 응답 데이터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과 상사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직무만족과 상사신뢰는 정서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정서적 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과 상사신뢰는 각각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몰입 사이의 관계를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을 갖춘 A 중 소기업 및 1개 그룹사 종사자들이 조직에 지속적인 정서적 몰입을 할 수 있도록 직 무만족과 상사신뢰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인사전략을 구상하고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In this conducted a survey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affective commit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leader trust,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The response data of 201 people obtained by conducting a survey of 370 executives and employees of A SMEs and one group company were u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rust in the leader. Second, job satisfaction and leader trus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Thir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did not directly ha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Fourth, job satisfaction and leader trust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ffective commitment,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implications for devising and establishing an effective personnel strategy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trust in the leader so that workers of A SMEs and one group company with self-efficacy can continue to engage in the organ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교환이론을 통한 공공기관 상사신뢰의 영향력 탐색: 개인-조직 적합성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화연 ( <sub>h</sub>hwayeon Kim ),오현규 ( Hyungyu Oh ),이숙종 ( Sookjong Lee ),박성민 ( Sungmin Park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6 국정관리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2015년도에 실시된 『공공부문 기업가 정신에 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 공공기관 구성원들의 상사신뢰, 개인-조직 적합성,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기관 구성원들의 높은 상사신뢰는 개인-조직 적합성에, 그리고 조직몰입의 3가지 차원 중에 규범적 몰입에 직접적이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기관 구성원들의 높은 개인-조직 적합성은 정서적, 유지적, 규범적 몰입 모두에게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조직 적합성은 상사신뢰와 조직몰입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공공기관 내에 발생하는 관리적 현상들을 해석하고, 다양한 이론적·실무적 함의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distinctiv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supervisor, person-organization fi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rawing upon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Starting from a premise that positive exchange is a key antecedent condition for a trustful organizational relationship, this study explores how and to what extent employee`s trust in their supervisor affect person-organization fit and subsequently the three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Employing the 2015 Public Sector Entrepreneurship Survey in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determines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 the hypothesized mode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ore the employees are prone to trust their supervisor, the higher person-organization fit and normative commitment will be. Also, this study reveals that person-organization fit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trust in supervisor and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Considering the context of Korean public sector organization, implications for public management are elaborated in the concluding section where the study`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교양학 전공교육의 구현 방향과 가능모델 탐색 -J대학교 사례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박은진, 김주석, 서경화, 이영선, 오현규, 한우섭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2 대학교양교육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2010 년대 이후 본 격 적으로 시도된 교양학 전공교육의 현 황 을 점 검하여 한국에서 교양학 전공교육의 구현 방향을 모색하고 , 지방에 위치한 J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실제 가 능 모 델 을 탐색해 본 연구이다 . 대학의 위기 상 황 에서 새 로 운 대 안 으로 제시된 교양학 전공의 의의와 실현 방향을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시대의 변화 속 에서도 항 구성을 가진 본 질 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양학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교양학 전공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국내외에서 이 루 어 져왔 으나 . 그 결 과에 있어 실효성을 갖 는 방 안 이 제시되지는 못했 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들에 대한 고 찰 과 J 대학의 실제 상 황 에의 적용을 토대로 논의함으로써 보다 실 질 적인 교양학 전 공 교육 구현에 있어 참고할 수 있는 모 델 과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대학의 기 능 이 유 명 무 실해지고 ,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역할과 기 능 에 대한 회의와 문제제기가 지 속 적 으로 제기되는 오늘 날 , 교양학 전공 교육에 대한 논의는 기존 대학 교육의 한계를 극 복하고 새 로 운 대학 교육의 모습과 가 능 성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liberal arts major education that has been attempted since the 2000s, seeks the realization direction of liberal arts major education in Korea, and explores practical models focusing on the case of J University located in the provi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feasibility of the liberal arts major presented as a new alternative in the crisis situation of the university, focusing on actual cases. Attempts to realize liberal arts major education have been made at home and abroad, paying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liberal arts that can develop essential abilities with perseverance despite the changes of the times, but no effective plan has been proposed.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the actual situation of J University, I tried to come up with a more practical way of realizing liberal arts majo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