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 상사신뢰를 매개로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 A그룹사를 중심으로

        이희은(Heeeun Lee),오현규(Hyungyu Oh),리상섭(Sangseub Lee)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1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 상사신뢰를 매개로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 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A 중소기업 및 1개 그룹사의 전체 임직원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여 확보된 201명의 응답 데이터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과 상사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직무만족과 상사신뢰는 정서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정서적 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과 상사신뢰는 각각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몰입 사이의 관계를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을 갖춘 A 중 소기업 및 1개 그룹사 종사자들이 조직에 지속적인 정서적 몰입을 할 수 있도록 직 무만족과 상사신뢰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인사전략을 구상하고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In this conducted a survey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affective commit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leader trust,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The response data of 201 people obtained by conducting a survey of 370 executives and employees of A SMEs and one group company were u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rust in the leader. Second, job satisfaction and leader trus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Thir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did not directly ha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Fourth, job satisfaction and leader trust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ffective commitment,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implications for devising and establishing an effective personnel strategy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trust in the leader so that workers of A SMEs and one group company with self-efficacy can continue to engage in the organization.

      • KCI등재후보

        여성 청년창업가의 셀프리더십 개발을 위한 역량 우선순위 분석 : The Locus for Focus 모형 중심으로

        양지희(Jihee Yang),리상섭(Sangseub Lee)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1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5 No.2

        청년실업의 대안으로 청년창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는 민간, 대학 등 유관기관과의 창업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다양한 창업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창업지원 정책을 기반으로 창업 시도가 늘어나는 만큼 실패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청년창업의 문제점으로 일반창업보다 낮은 청년창업의 생존율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청년창업의 생존 능력을 제고해 창업지속률을 높일 수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청년창업을 분석한 결과, 남성 청년창업에 비해 여성 청년창업은 시도는 늘고 있지만 창업지속률은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창업지속률을 높이기 위한 교육 대상으로 여성 청년창업가를 주목해야 함을 의미한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창업지속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역량으로 셀프리더십을 도출할 수 있었다. 셀프리더십은 목표달성을 위한 영향력의 방향이 외적인 대상에서 자신에게 국한된 개념으로 특히 창업지속력의 중요 요소인 창업의지와 사회적 자본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셀프리더십은 창업가 개인의 역량을 개발해야하는 창업교육에서 중요한 요소이나 그 중요도에 비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역량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창업지원기관에서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셀프리더십 역량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첫째, 여성 청년창업가의 셀프리더십 역량 현재 보유도 및 미래 필요도와 둘째, 여성 청년창업가의 셀프리더십 역량 교육요구도, 셋째, 여성 청년창업가 중 실제 청년창업가와 예비 청년창업가의 셀프리더십 역량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The importance of startups is increasing as an alternative to youth unemployment, and the government is promoting various startup support policies by forming a startup network with related institutions such as the private sector and universities. However, as the number of startup attempts is increasing based on the startup support policy, there are also cases of failure. The survival rate of young startups, which is lower than that of general startups, is emerging as a major problem. This suggests that a support policy is needed to improve the survival of young entrepreneurs and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entrepreneurship. As a result of prior research analysis, I was able to derive self-leadership with individuals ability to positively influence the startup sustainability rate. Self-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will to start business and secure social capital, which are important elements of sustainability, as the direction of influence to achieve the goal is limited to oneself from external targets. Self-leadership is an important factor in startup education, which requires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capabilities of founders, but research is lacking in comparison to its import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lf-leadership ability education requirements for female young founders and to derive self-leadership ability that should be developed first by startup support organizations. First, the self-leadership education requirements of young female founders, second, the self-leadership education requirements of young female founders, and third, the self-leadership education requirements of young female founders and reserve youth founders.

      • KCI등재후보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혜신(Hyeshin Yoon),윤우제(Wooje Yoon),리상섭(Sangseub Lee)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1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5 No.4

        인적자원개발은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 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 가치, 태도 등의 역량발현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과정이다. 특히, 각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급격한 디지털화의 환경변화에 따라 인적자원개발은 성과창출의 핵심 키워드가 되고 있다. 한편, 공무원 조직은 유연성과 창조성이 민간기업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공직사회도 MZ 세대의 등장을 비롯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유연한 근무형태 등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이에, 성과 창출을 위한 공무원 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그간 전략적 파트너로서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 인식에 따라 관련분야의 선행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 반면, 인적자원개발 활동을 조직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실행하였을 때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관계만 실증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공직사회의 내․외부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자율성을 가진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매개변수로 인적자원개발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정부교육훈련기관 승진자 기본교육과정에 참여한 320명 중 283부를 회수하고 최종 유효설문지 280부를 SPSS를 사용하여 통계처리하고 분석하였다. 통계 방법으로는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표본 통계를 분류하고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연구모형 검증, 가설의 검증과 결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인적자원개발, 프로티언경력태도, 혁신행동 간에 인과관계가 존재하며 인적자원개발과 혁신행동 사이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Human resource development is ultimately a system construction process that supports the expression of competencies such as knowledge, values, and attitudes held by members to achie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goals. In particular, human resource development is becoming a key keyword in performance creation due to the rapid changes in the digitization environment faced by each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known that public officials organizations have relatively low flexibility and creativity compared to private companies. However, in recent years, the environment of public officials is rapidly changing, including the emergence of the MZ generation and flexible working types due to COVID-19.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ind a new way to develop human resources for public officials to create performance. Prior research in related fields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a strategic partner. On the other hand, since only the causal relationship that human resource development activitie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was demonstrat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protean career attitude with autonomy as a parameter. The survey of this study collected 283 copies of the 320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basic curriculum for promotion to government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and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280 copies of the final valid questionnaire using SPSS. As a statistical method, sample statistic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research model verification, hypothesis verification, and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tean career attitude, and innovatio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