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search flows and results of studie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 network analysis of articles in related international journals, 2002-2020

        오정심 국립민속박물관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16 No.1

        Next year is the 20th anniversary of the preparation and adoption of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 for the future beyond basic protective activities. Concerning thi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higher education and academic systems in ICH. Although it has been almost 20 years since the Convention was prepared and adopted, the results addressing this issue are insufficient. This study collects previous ICH research results and accumulates and investigates the main research subjects, topics and the change and flow of research through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based on big data analysis. Through this research,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ic system and status of ICH.

      • KCI등재

        고온기 CaCl<sub>2</sub> 엽면 살포가 파프리카 칼슘함량, 배꼽썩음과 발생과 경감에 미치는 영향

        오정심,이용범,배종향,나종국,최기영,Oh, Jeong Sim,Lee, Yong-Beom,Bae, Jong Hyang,Na, Jong Kuk,Choi, Ki Young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0 No.4

        본 실험은 고온기 파프리카 재배에서 CaCl<sub>2</sub> 엽면 살포에 의한 배꼽썩음과 발생과 경감 효과를 알아보고자 과실 크기에 따른 살포 시기, 횟수 및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CaCl<sub>2</sub>(Ca 0.4%) 엽면 살포는 6월 3일 부터 7월 1일 까지 방아다리 위 4-9 마디의 착과 과실과 잎에 식물체 1주당 350mL/회를 처리하였다. CaCl<sub>2</sub>를 7일 간격으로 4주간 엽면 살포 후 수확한 파프리카의 Ca 함량은 배꼽썩음과 과실의 과폭 11-20mm 처리에서 가장 낮았고, pedicel > stem-end > middle, blossom-end 순으로 낮아졌다. 정상과 과실의 Ca 함량은 과폭 31-40mm 처리에서 뚜렷하게 증가하였고 배꼽썩음과와 비교할 때 78% 높았다. 과폭 21mm 이상의 과실 middle과 blossom-end 부위 Ca 함량은 정상과에서는 19.8%-28.8%였으며, 배꼽썩음과에서는 15.7%-18.5%였다. 과폭 31-40mm 처리에서 배꼽썩음과 발생율은 60%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과폭 크기별 엽면 살포 처리에 따른 파프리카 과중은 차이가 없었으며, 상품과율은 21-30mm 크기에서 가장 높았고, 당도는 과폭 11-30mm 처리에서 높았다. 과폭 21-30mm 파프리카에 7일 동안CaCl<sub>2</sub>를 3회 엽면 살포하였을 때 세포벽 결합(cell wall-bound, CWB) Ca 함량은 가장 높았고, 배꼽썩음과 발생율은 6.3%로 가장 낮았다. CaCl<sub>2</sub> 엽면 살포 처리 10일 후 파프리카의 CWB Ca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에서 2.9배-3.5배 증가하였다. 하루 중 1회 시간을 달리하여 CaCl<sub>2</sub> 엽면 살포하였을 때, 7일째 엽소현상이 오전 9시 30분 처리에서 부터 오후 17시 처리 까지 관찰되었고, proline 함량은 처리 시간이 늦어질수록 증가되었다. 따라서 파프리카 여름재배시 배꼽썩음과 발생 경감을 위한 CaCl<sub>2</sub> 엽면 살포 방법은 과폭 21-30mm인 시기에 3일 간격으로 2회-3회, 오전 8시 이전에 살포 하는 것이 적합하리라 본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Cl<sub>2</sub> foliar spraying on the inhibition of blossom-end rot (BER) in hot summer paprika (Capsicum annum L. 'Special') cultivation. The effect of CaCl<sub>2</sub> application was examined by the foliar application based on different fruit size, frequency, and spraying time. Also, it was investigated the occurrence and alleviation effect of BER symptom. Foliar application of CaCl<sub>2</sub> (Ca 0.4%) was conducted by treating a fruit and leaf at 4 to 9 nodes above the crown flowers of each plant with 350 mL per week from June 3 to July 1. When the CaCl<sub>2</sub> was sprayed at 7-day intervals for 4 weeks, the Ca content was the lowest in the fruit harvested with BER symptom in 11 to 20 mm of fruit width (FW). Four different regions in both BER symptom and normal frui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Ca content, the highest was in pedicel, followed by stem-end, middle, and blossom-end. The Ca content increased sharply in normal paprika with 31-40 mm FW, in which Ca content was 78% higher than that of BER. Ca content in the middle and blossom-end of paprika over 21 mm in FW ranged 19.8% to 28.8% in normal fruits and 15.7% to 18.5% in BER,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BER increased rapidly by more than 60% in fruits with 31-40 mm FW.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fruit weight among the FW treatment, marketable yield rate was highest in the 21-30 mm FW, and the sugar content was high in the 11-30mm FW. When CaCl<sub>2</sub> was applied three times for 7 days to a paprika having a 21- 30 mm FW, the cell wall-bound (CWB) Ca content was the highest and the rate of BER was lowest with 6.3%. After 10 days of CaCl<sub>2</sub> foliar spray treatment, the CWB Ca content of paprika increased by 2.9 to 3.5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in all treatments. At 7 days after the CaCl<sub>2</sub> foliar spraying once a day at varying spraying time, the leaf burn observed from 9:30 a.m. to 17:00 p.m. and the proline content increased as the spraying time was delayed. Therefore, the CaCl<sub>2</sub> foliar spraying method for reducing of BER occurrence during paprika summer cultivation seems to be appropriate to spray 2-3 times at intervals of 3 days and before 8 a.m. at the time when the FW is 21-30 mm.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 연구 흐름과 성과: 관련 국제저널 논문의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2002∼2020)

        오정심 국립민속박물관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16 No.2

        Next year is the 20th anniversary of the preparation and adoption of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 for the future beyond basic protective activities. Concerning thi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higher education and academic systems in ICH. Although it has been almost 20 years since the Convention was prepared and adopted, the results addressing this issue are insufficient. This study collects previous ICH research results and accumulates and investigates the main research subjects, topics and the change and flow of research through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based on big data analysis. Through this research,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ic system and status of ICH.

      • KCI등재

        빅데이터 의미망 분석을 활용한 ‘문화경관 형용사 목록’ 개발

        오정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3 문화정책논총 Vol.37 No.2

        This study is the result of research on a “list of cultural landscape adjectives,”one of the landscape management methods using big data and semantic network analyses, pay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cultural landscapes in line with global trends. Specifically, after collecting 4,556 cultural landscape related articles from 4 Shinan-gun local newspapers and 3,993 articles from 3 Jindo-gun local newspapers,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his study extracted 18,224 noun morphemes and 512 adjective morphemes from Shinan-gun local newspapers and 16,643 noun morphemes and 565 adjective morphemes from Jindo-gun local newspapers. In addition, we formed a network of extracted morphemes according to the order of word appearance and analyzed the context of the extracted morphemes. Finally, this study presents a “list of cultural landscape adjectives,” summing up the research results. The factors that distinguish this study from previous works are as follows: First, instead of the sample survey method mainly used in prior research, the related data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using big data and semantic network analyses. Second, rel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local newspapers and analyzed to identify adjectives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landscapes in Korea. The list of cultural landscape adjective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landscape preferences and image evaluation.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landscapes of other regions. 본 논문은 세계적인 발전의 흐름에 발맞춰 문화경관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빅데이터 의미망 분석 방법을 통해 ‘문화경관 형용사 목록’을 연구한 결과물이다. 문화경관 형용사 목록은 문화경관의 특성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이며, 지역의 고유한 문화경관 특성을 밝히거나, 지역 이미지 등을 조사해 로컬마케팅 전략을 마련하는 일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문화경관 관련 신안군과 진도군 지역신문 기사 8,459건을 수집해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 방법으로 명사형 형태소와 형용사형 형태소를 추출하여 코퍼스를 구축했다. 단어 등장 순서에 따라 네트워크를 형성한 후에 주요 내용을 목록 파일과 그림으로 출력했다. 출력한 내용에서 명사와 형용사의 의미론적 관계를 분석하여 문화경관 형용사 260개를 뽑았다. 추려낸 형용사를 선행연구, 국어 형용사 분류 방법론, 세계유산협약 운영 지침의 문화경관 평가 항목 등을 참고하여 12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문화경관 형용사 목록’으로 제시했다. 본 논문이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기존에 주로 이용하던 표본 설문조사 대신에 빅데이터 의미망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관련 데이터를 총망라해서 분석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추출한 형용사가 경관 형용사로써 사용됐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단어 사용 맥락을 검토했다는 것이다. 이 방법은 감성 형용사를 다루는 실내 디자인, 도시 마케팅, 관광 마케팅 등 관련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의의는 경관 형용사 문제를 복잡계와 네트워크 과학 영역으로 가져와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영역을 여는 데 이바지했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무형문화유산 분야 연구동향 및 지식체계 분석

        오정심 국립무형유산원 2020 무형유산 Vol.- No.8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cademic big data in the field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using text-mining and explore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ystem. To achieve concreteresul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following goals: First, “What is the important centraltheme in the research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cond, “What are the major topics inthe field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search?”; Third, “How the major topics and subjectshave changed in the field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what are their characteristics?”;and Fourth, “How is the result of analysis visualized into a network map and what are thecharacteristics in it?”With such goals, the research followed 4 steps, ‘Data Collection’, ‘Data Refinement’, ‘DataAnalysis’, and ‘Integrating and Interpretation’.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between 1965, when the very first paper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published in SouthKorea, and 2020 from 1,443 academic papers, 1,222 dissertations, and 2,665 abstracts andbibliographic data. The collected unstructured data was refined for computer-aided analysis. Firstly, nominal morphemes were extracted using Korean morpheme analyzer, and then variouscontrolling and TF-IDF analysis were applied. 14,403 words from academic papers and 14,296words from dissertations have undergone topic modeling and text network analysis withNetMiner program. Topic modeling is a probabilistic algorithm to find out subjects and topics hidden in a largeset of documents, and extract and classify documents according to the topic. Text networkanalysis applies the network theories and analysis methods that developed out of sociologyto literature analysis. This method analyzes the structure of connected words in the text andshows the result in the form of a network map. Recent big data analyses is evolving towardsutilizing various optimized analytical techniques in order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 This paper, thus, used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to draw a result thatis optimal for the purpose of our research. This paper find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ontributed to encouragement of relevant studiesas it used the text-mining technique to analyze the big data that has accumulated in the field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it has a substantial contribution as it provided avisualized knowledge map to reveal the relationship of keywords and main topics in the field of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led to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abstract contents. 본 논문의 목적은 무형문화유산 연구 분야에 축적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구동향과 지식체계를 파악하는 데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목표를 정해 연구를 하였다. 첫째, 무형문화유산 관련 논문이최초로 발표된 1965년부터 2020년 최근까지 관련 학술계와 고등교육 분야에서 발표된 논문 현황은 어떻게되는가? 둘째, 무형문화유산 관련 학술계와 고등교육 분야에서 논의의 중심이 되는 연구주제는 무엇인가? 셋째,무형문화유산 관련 논문 저자들 사이에서 오갔던 화젯거리(토픽)는 무엇인가? 넷째, 토픽, 연구영역, 연구주제등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다섯째, 분석결과는 어떻게 시각화되고 그 특징은 무엇인가?이러한 목표 아래 연구는 크게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정제’, ‘데이터 분석’, ‘분석결과 시각화 및 해석’ 4단계로진행하였다.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학술 데이터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수집하였다. 1965년부터 2020년최근까지 관련 학술논문 1,443편과 학위논문 1,222편의 초록 및 서지정보 등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비정형 데이터는 컴퓨터 분석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전처리 작업을 하였다. 전처리 작업을 통해 추출된학술논문 분야 14,403개 단어와 학위논문 분야 14,296개 단어를 넷마이너 프로그램을 이용해 토픽 모델링과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토픽 모델링이란 대규모 문서집합에서 숨어 있는 토픽을 발굴하고 토픽에 따라 문서를 추출, 분류하는 기계학습알고리즘이다. 토픽 모델링은 인간이 파악하기 어려운 규모의 문서집합에서 어떤 이야깃거리가 숨어 있는지알아보는 데 유용하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은 네트워크 이론과 분석기법을 바탕으로 발전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단어 사이의 연결 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시각화함으로써 추상적인 내용을 구체화하는 데 용이하다. 본 논문은 텍스트 마이닝을 기반으로 한 토픽 모델링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이용해 무형문화유산학술계 및 고등교육 분야의 연구동향과 지식체계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론을 통해 무형문화유산 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이 활성화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연구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무형문화유산 분야 주요 개념, 연구영역 등의 연결 구조를 시각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추상적인 내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의미가 있다.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문화경관’ 유형과 특성 연구: 전라남도 신안군 사례를 중심으로

        오정심 국립문화재연구원 202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6 No.1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decided to make “cultural landscapes” a world heritage category in the 16th Session of the UNESCO General Conference. The decision was made from a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s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or between cultural heritage and natural heritage. Many countries have created policies and institutions to protect their own cultural landscapes along with the changing times. Korea, however, has not obviously defined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its cultural landscapes, but manages policies and institutions based on the concept of a scenic spot, which has some similar meanings. In addition, it even borrows the “list of landscape adjectives,” one of the representative methods for managing landscapes, from foreign countries. With this background, this paper suggested how to define cultural landscapes according to the global development flow. It created a list of cultural landscape adjectives by gathering the adjectives that can properly express local cultural landscapes in Korea. In particular, it collected 4,556 articles from a local newspaper by focusing on the case of Shinan-gun, Jeollanam-do, and analyzed key words and adjectives included in them by using big data analysis. The results suggested by this paper, such as the “classification table of cultural landscape types,” “list of cultural landscape adjectives” and “network map of nouns/adjectives” can be applied to research on other localities, and furthermore, used as basic data for finding and prot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al landscapes in Korea. 세계유산위원회는 제16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문화경관을 세계유산의 범주에 넣기로 정했다. 인간과 자연환경 또는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한 데서 나온 결정이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따라 세 계 여러 나라들은 자국의 문화경관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과 제도를 마련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세계 발전 흐름과 다르 게 문화경관의 개념과 범주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은 채 비슷한 뜻을 가진 명승 개념으로 관련 정책과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그리고 경관을 관리하는 대표적 방법의 하나인 ‘경관 형용사 목록’마저 외국에서 개발한 내용을 가져와 번역해서 쓰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에서는 세계 발전의 흐름을 담아 문화경관의 개념 및 범주를 정의했다. 그리고 우리나라 지역 의 문화경관 특성을 나타내기에 알맞은 형용사를 모아서 문화경관 형용사 목록을 만들었다. 구체적으로 전라남도 신안 군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신문에서 문화경관 관련 기사 4,556건을 수집해 빅데이터 분석 방법으로 핵심 표현 등을 분석 했다. 본 논문에서 연구 결과로 제시한 ‘문화경관 구성 요소 분류표’, ‘문화경관 형용사 목록’, ‘명사·형용사 네트워크 맵’ 은 다른 지역 연구에 적용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지역의 문화경관 특성을 밝히고 보호하는 일에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생태계적 방식에 의한 무형문화유산 체계 연구 : 자생력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오정심 국립문화재연구원 2015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transmissions of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may be cut off because it is separated from human and social environment and protected and managed under the national system. In addition, another purpose is to criticize concept and method dichotomy in the current institution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and consider the problem tha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re transmitted mainly by holders having skills and accomplishments by distinguishing them from others. Furthermore, the last purpose is to suggest a direction of policy emphasizing an importance of establishment of environment which allows nurture, change and development of local people, which may ensure continuous transmiss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nd a transmission system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using a principle in which the system is operated by self-recovery and natural rule of the ecolog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seven problems can be analyzed by reviewing concept establishment and protection and transmission measur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ccording to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based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The protection and transmission method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cultural heritage ecology are suggested by applying ecological theory to i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cology defined in this paper means ‘a sustainable community consist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bject of activity and physical environment.’ Since 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reflecting the rules and features of natural ecology, it can keep system through self-recovery without an external intervention, as the case of natural ecology. 본 글의 목적은 사회적 수요의 부족 등으로 인한 국내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단절 위기 현상을 주목하고, 문제의 해결방안 중 하 나로 자생력 측면에서 무형문화유산 체계를 검토하여 그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논문의 제2장에서는 연 구방법론으로써 생태계적 방식을 고찰하고 생태계적 방식을 통해 무형문화유산 체계를 분석하였다. 생태계적 방식은 시스템의 운영 에 생태계의 특징 및 원리를 적용하여 외부의 개입을 전제하거나 동원하지 않고서도 내부의 자생력만으로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을 말 한다. 그리고 무형문화유산 체계는 무형문화유산을 보호·전승·활용하기 위해 구성된 제도적 시스템을 말하며 크게 문화재보호법 에 의한 기본원칙, 활동주체 그리고 절차 및 방법으로 나눠 살펴볼 수 있다. 생태계적 관점에서 검토한 결과 상호관계성, 순환성, 개방 성, 다양성, 균형성 등과 관련한 문제점이 지적되며 정부의 개입을 전제하지 않으면 무형문화유산 체계가 제대로 운영될 수 없는 구조 적 문제가 고착화되어 있다. 이에 제3장에서 생태계 원리를 적용해 무형문화유산의 체계의 개선 및 자생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을 기초로 하여 상호관계성, 다양성, 균형성 등 생태계적 관점에 입각해 관련 규정의 기본원칙을 제시하였고, 전체론적 관점에서 제도의 구성요소 및 활동주체의 범위를 확대하여 제안하였다. 그리고 기존 활동주체의 역할 및 관계 가 기·예능의 원형 보전에 치중했던 점을 개선하여 무형문화유산의 생산·소비·재생산·소멸 등 선순환적 발전의 흐름이 일어나 도록 자연생태계의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개념에 따라 그 역할과 관계를 재편성하여 제안하였다. 기존의 체계와 비교하여 활동주체 로 창작자, 프로슈머, 창업자, 시민 예술가 등을 제시하였는데 이들의 활동은 공급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장기적으로 생태 계가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활동주체들 간의 자유로운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의 수요와 공급 의 조화, 순환적 발전의 흐름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제도의 구성 및 운영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무형문화유산 공동체 지식연결망 연구 – 정선아리랑을 중심으로

        오정심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2 No.3

        Knowledg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usually disseminated through word-of-mouth and actions rather than written records. Thus, people assemble to teach others about it and form communities. Accordingly, to understand and spread information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per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not only their attributes but also a community’s relational characteristics. Community members include specialized transmitters who work under the auspices of institutions, and general transmitters who enjo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ir daily lives. They converse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close relationships. However, to date, research has focused only on professionals.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s of general transmitt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by investiga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mmunities centering around Jeongseon Arirang; a social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Regarding the research objectives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197 links between 74 members of the Jeongseon Arirang Transmission Community. One individual had connections with 2.7 persons on average, and all were connected through two steps in the community. However, the density and the clustering coefficient were low, 0.036 and 0.32, respectively; therefore, the cohesiveness of this community was low,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embers were not strong. Second, ‘Young-ran Yu’, ‘Nam-gi Kim’ and ‘Gil-ja Kim’ were found to be the prominent figures of the Jeongseon Arirang Transmission Community, and the central structure of the network was concentrated around these three individuals. Being located in the central structure of the network indicates that a person is popular and ranked high. Also, it means that a person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the speed and quantity of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resources, and is in a relatively superior position in terms of bargaining power. Third, to understand the replaceability of the roles of Young-ran Yu, Nam-gi Kim, and Gil-ja Kim, who were found to be the major figure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entral structure, structural equivalence was profil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sitions and roles of Young-ran Yu, Nam-gi Kim, and Gil-ja Kim were unrivaled and irreplaceable in the Jeongseon Arirang Transmission Community. However, considering that these three members were in their 60s and 70s, it seem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for the smooth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Fourth, to examine the subgroup hidden in the network of the Jeongseon Arirang Transmission Community, an analysis of communities was conducted. A community refers to a subgroup clearly differentiated based on modular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dentified the existence of four communities. Furthermore,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central structure showed that the communities were formed and centered around Young-ran Yu, Hyung-jo Kim, Nam-gi Kim, and Gil-ja Kim. Most of the transmission TAs recommended by those members, students who completed a course, transmission scholarship holders, and the general members taught in the transmission classes of the Jeongseon Arirang Preservation Society were included as members of the communities. Through these findings, it was discovered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ransmission genealogy, making an exchange with the general members by employing the present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Jeongseon Arirang, the joint transmission method.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joint transmission method as it overcomes the demerits of the existing closed one-on-one apprentice method and provides members with an opportunity to learn their masters’ various singing styles.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by collecting and examining data using a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this study analyzed phenomena that had been difficult to investigate using existing statistical analyses. Second, by adopting a different approach to the previous method in which the genealogy was understood, looking at oral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s of the transmitters’ relationships with objective and quantitative data. Third, this study visualized and presented the abstract structure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ransmitt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on a 2D spring ma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eline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centered policies for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pecified in the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achieve this, it would be necessary to supplement this study through case studies and follow-up studies on more aspects in the future. 본 논문의 목적은 무형문화유산 일반전승자의 역할을 주목하면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무형문화유산 전승공동체의 연결망과 전승활동에서 발생하는 지식 흐름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연구 대상을 국가무형문화재 종목들 중에서 일반인의 전승활동이 활발한 ‘아리랑’으로 선정하였다. 아리랑은 오랜 기간 제도권 밖에서 일반대중 활동을 중심으로 자생적으로 전승되었으며, 2015년에 전문전승자 지정 없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최초의 사례이다. 현재 아리랑은 약 60여 종, 3,600여 곡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에서 전문전승자와 일반전승자의 상호교류가 활발한 향토민요 ‘정선아리랑'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노드(Node)와 링크(Link)로 모델링하여 수치화·통계화·시각화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전통적으로 사회학에서 사회조직 및 취약계층을 연구하는 데 꾸준히 활용되었다. 최근에는 문헌정보학, 문화콘텐츠학, 경영학 등과 같은 분야에서 연구경향, 시장동향, 조직관리 등을 연구하는 데 이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학문 분야에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지만 문화재 분야에서는 관련 연구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크게 3단계, ‘연결망 모델링’,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로 진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첫 번째, 2017년 기준으로 정선아리랑보존회 회원 전체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완전한 연결망으로 모델링하였다. 두 번째, 데이터 수집은 보존회 회원 명부를 확보해 2017년 10월 17일 면대면 조사와 2017년 12월 15일 전화 설문조사를 통해 하였다. 세 번째, 데이터 분석은 Netminer 4.0 프로그램을 이용해 중심성 분석, 구조적 등위성 분석, 커뮤니티 분석 등을 주요 지표로 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에 무형문화유산 계보조사에서 소수 사람들의 구술자료에 의존해 파악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으로 조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그리고 무형문화유산 전승공동체 구성원들의 관계 및 지식 흐름의 구조를 지식지도(2D Spring Map) 형태로 시각화함으로써 추상적인 내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빅데이터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문화콘텐츠학 지식구조 연구

        오정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 문화정책논총 Vol.34 No.2

        This paper aims to analyze academic big data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using topic modeling and text network analysis and explore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ystem. To achieve concrete resul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following goals: first, to determine the important central theme in the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second, to outline the major topics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third, to explain how major topics and subjects have changed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what their characteristics are; and fourth, how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visualized on a network map and what its characteristics are. The research followed four steps—data collection, data refinement, data analysis, and integrating and interpret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2000, when the very first paper on cultural contents was published in South Korea, and 2020 from 3,685 academic papers. The collected unstructured data were refined for computer-aided analysis. First, nominal morphemes were extracted using a Korean morpheme analyzer; then, various controlling and TF-IDF analyses were applied. 18,027 words from academic papers have undergone topic modeling and text network analysis with a NetMiner program. Topic modeling is a probabilistic algorithm discovering subjects and topics hidden in a large set of documents, which extracts and classifies documents according to the topic. Text network analysis applies the network theories and analysis methods that developed out of sociology to literature analysis, analyzing the structure of connected words in the text and showing the result in the form of a network map. Recent big data analyses are evolving toward utilizing various optimized analytical techniques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 Thus, this paper used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to draw a result that is optimal for the purpose of our research. This paper contributes to relevant studies as it uses topic modeling and text network analysis to analyze the big data that have accumulated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In addition, it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as it provides a visualized knowledge map to reveal the relationship of keywords and main topics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which leads to the intuitive understanding of abstract contents. 문화콘텐츠학은 2000년대 초반에 등장한 신생학문임에도 빠르게 성장해 왔다. 문화콘텐츠 관련 학술논문 수가 2000년에 100편에 불과했지만, 2020년에 누적 논문 수가 24,935편을 넘어섰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문화콘텐츠를 독자적인 학문으로 인정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에 대해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논란에 대해 선행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학의 고유한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을 확립하지 못했기 때문에 계속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이용해 문화콘텐츠학의 연구대상 및 지식구조, 연구동향 등을 연구하였다. 2000년부터 2020년 최근까지 약 20년 동안 발간된 KCI학술지 논문 중에서 “문화콘텐츠”로 검색되는 논문 3,685편의 초록 및 서지정보 등을 텍스트네트워크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이용해 분석했다. 텍스트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문화콘텐츠학의 주요 연구대상, 연구분야, 연구체계 등을 도출했으며, 토픽모델링을 통해 3,685편의 논문내용을 40개 토픽으로 요약, 분류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종합해 문화콘텐츠학의 주요 연구분야와 주제 분류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크게 ‘문화콘텐츠 활용’, ‘문화콘텐츠 산업’, ‘한국사회와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 장르’, ‘문화콘텐츠 기술’, ‘문화콘텐츠 이론 및 체계’ 등 6개로 구분하였고, 40개 토픽을 각 분야에 맞게 분류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활용방법’을 문화콘텐츠학의 주요 연구방법론으로 제시하였다. 문화콘텐츠 활용방법에는 스토리텔링, 문학작품의 창작 소재화, 지역문화관광자원 활용, 정보콘텐츠 활용, 교육과 콘텐츠 활용 등이 있다. 이밖에도 문화콘텐츠 연구동향, 연구자 공동연구협력체계 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약 20년 동안 문화콘텐츠 분야에 축적되어 있었던 학술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문화콘텐츠학의 주요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지식구조 등을 도출함으로써 문화콘텐츠의 학문적 체계와 위상을 정립하는 일의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