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 환자의 경피적 척추성형술에서 Polymethylmethacrylate의 경막 외 유출

        오윤규,류경식,박춘근,강준기,Oh, Yoon-Kyu,Ryu, Kyeong-Sik,Park, Chun-Kun,Kang, Joon-Ki 대한신경외과학회 2001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0 No.3

        Objectives : The percutaneous vertebroplasty provides a good result in the treatment of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But, the epidural leakage of polymethylmetacrylate(PMMA) after vertebroplasty may decrease the therapeutic effects because of the compression of thecal sac and/or nerve roots. The authors carried out a prospective study to evaluate the causative factors of epidural leakage of PMMA and to assess the influence on the outcome. Methods : This study involved 347 vertebral levels of compression fractures in 159 patients. Among these, the epidural leakages were identified in 92 vertebral levels(26.5%) in 64 patients(40.3%) on post-operative CT scan. Results : The incidence of epidural leakage of PMM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evel above T7(p=0.001). The large amount of the injected PMMA and the use of an injector also increased the incidence(p=0.03 and p=0.045, respectively). The position of the needle tip in the vertebral body and the pattern of venous drainage did not influence. The immediate post-operative visual analogue scale(VAS) scores and facial scales(FS) were higher in the patients with epidural leakage(p=0.009).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ree months of operation(p=0.541). Conclusions : The incidence of epidural leakage of PMMA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ppears to have relationship with the amount of PMMA and the levels injected. The epidural leakage of PMMA reduced the immediate therapeutic effects of vertebroplasty, but did not influence the late outcome. However, the epidural leakage should be avoided because of its potential neurological complications.

      • SCOPUSKCI등재

        간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임상상과 예후

        오윤규(Yoon Kyu Oh),한진석(Jin Suk Han),안규리(Cu Rie Ahn),김연수(Yon Su Kim),김성권(Suhng Gwon Kim),이정상(Jung Sang Lee),김강석(Kang Seock Kim),이상구(Sang Goo Lee),김성균(Seong Gyun Kim),서경석(Kyung Suk Suh)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1

        배 경 : 간이식 후 급성 신부전은 빈도가 높고 수술 후 예후 변화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간이식 수술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빈도, 임상양상, 예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2년에서 2001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받은 만 15세 이상의 환자 중 후향적 연구가 가능한 35명(사체 간이식 19명, 생체 부분 간이식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환자군의 성별은 남자 22명, 여자 13명, 나이는 49세(median, range; 18- 65세)였다. 간질환의 원인은 간경변 18명, 간경변과 간암이 같이 있던 경우 10명, 간암 3명, 전격성 간염 3명 그리고 선천성 담도폐쇄증이 1명이었다. 전체 환자 35명 중 사망 환자는 10명이었다. 35명 중 간이식 후 급성 신부전은 25명(71%)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7명(28%)이 사망하였다. 중증(혈청 크레아티닌 ≥2 ㎎/ dL)의 급성 신부전 환자 9명이었고 이 중 7명(77.8%)이 사망하였으나 경증의 급성 신부전 16명에서 사망 환자는 없었다. 투석을 시행 받은 2명은 모두 사망하였다. 수술 후 급성 신부전의 발생 시기는 1일(0- 39일)이었다. 급성 신부전이 발생한 25명 중 수술 중 장시간 지속된 저혈압 21명,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의 병력 10명, 대량수혈 8명, 급성거부반응 6명이었다. 급성 신부전 병발 후 생존한 18명은 신기능이 완전히 회복되었거나 경한 정도의 신기능 감소만이 있었다. 결 론 : 급성 신부전은 간이식 후 흔한 합병증이며 심한 급성 신부전이 있는 경우 예후가 불량함을 알 수 있다. 간이식 후 병발하는 급성 신부전의 적절한 치료 및 예방이 필수적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One of the major complications of liver transplantation is acute renal failure(ARF ). The outcome in patients who develop postoperative renal failure has been dismal. But there are few reports on ARF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cid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ARF in patients undergoing liver transplantation. Methods : The records of 35 adult patients who received liver transplantation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october 1992 and June 2001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22 patients were male and 13 were female, with an age range of 15 years to 65 years (median, 49 years). The 35 recipients included 18 with liver cirrhosis, 10 with liver cirrhosis and hepatoma, 3 with hepatoma, 3 with fulminant hepatitis, and 1 with biliary atresia. Death occurred in 10 patients (29%) overall. ARF was developed in 25 cases (71%), and 8 cases (32%) expired. Among the 9 patients with peak serum creatinine level ≥ 2.0 ㎎/dL, 7 patients expired. 2 patients required hemodialysis following liver transplantation and all of them expired. ARF was developed within 1day (0-39 days ). Of 25 ARF cases, 21 cases of hypotension, 6 acute rejection, 10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SBP ), and 8 massive packed RBC transfusion were associated. Renal function at latest follow-up w as improved in patients who were suffered with ARF. Conclusion : ARF is a frequent complication of liver transplantation, and the strategy of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ARF needs to be developed.

      • SCOPUSKCI등재

        한국인 ADPKD 환자에서의 TGF-β1 Gene Leader Sequence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 및 임상경과와의 연관성

        오윤규(Yoon Kyu Oh),한진석(Jin Suk Han),이증건(Jung Geon Lee),안규리(Cu Rie Ahn),어현선(Hyun Seon Eo),노진주(Jin Ju No),김근화(Keun Hwa Kim),이은주(Eun Joo Lee),황영환(Yeong Hwan Hwang),황대연(Dae Yeon Hwang),이세한(Se Han Lee),이정은(J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1

        목 적 : 상염색체우성다낭신(ADPKD) 환자에서 가계간·가계내의 임상양상의 심한 차이는 원인유전자 돌연변이 외에 modifying gene의 존재를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한국인 ADPKD 환자에서 TGF-β1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와 고혈압, 신부전 등 임상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상 성인 47명과 ADPKD 환자 114명을 대상으로 TGF-β1 g ene leader sequence에 대한 PCR 시행한 후 제한효소 MspA 1I, Bg lI로 각각 처리하여 T 869C(Leu 10Pro)과 G915C(Arg25Pro)의 다형성을 보았다. 신부전, 고혈압 발생과의 연관성을 검정하였다. 결 과 : 각 유전자군의 비율은 Hardy -Weinberg 등식에 부합하였으며, TGF - β1의 BglI 처리결과는 125명 모두 GG형으로 서구인과 차이를 보였다(G : C=90 : 10). T GF - β1의 MspA1I 처리결과 정상인에서의 T : C allele의 빈도(56 : 44)는 서구인(65 : 35)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총 PKD 환자군의 빈도(52 : 48)와도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670). PKD 환자군을 말기신부전 및 조기 고혈압 발생에 따라 나누었을 때 T : C allele 빈도의 차이는 없었다(p=0.571, p=0.252). 결 론 : 한국인 ADPKD 환자에서 TGF - β1 leader sequence 유전자 다형성과 임상경과 간에 유의한 관련은 없었고, 이는 싸이토카인의 유전적 차이보다는 물리적 요인 등 이차적인 원인에 의해 신조직 섬유화가 진행하는 것을 시사한다. Background : Two genetic loci, PKD1 and PKD2, have been identified as being responsible for ADPKD, and PKD1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However, the presence of intrafamilial clinical diversity suggests the presence of disease-modifying loci. Because the mechanism of renal failure in ADPKD includes cystic growth and tubulointerstitial atrophy and fibrosis, we studied the associations between two cytokine gene polymorphisms in the TGF-β1 gene, which are known to be related with chronic tubulointerstitial inflammation, and ADPKD progression in Korean patients. Methods : 47 normal controls and 114 individuals with ADPKD were genotyped by PCR-RFLP, and the TGF-β1 gene leader sequence of T 869C(Leu10-Pro) variant was compared with M spA 1I and G915C (Arg25Pro) with B glI. Statistic significances were determined using the Chi-square test. Results : The distribution of alleles for the T GF-β1 Leu10Pro polymorphism in ADPKD was : T 52%, C 48%, which w as similar to the Korean (56 : 44, p=0.670) and Western controls (65 : 35), and in addition,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RF and the non-CRF groups (p=0.571) or the early hypertension and the normotension groups (p=0.252). T he distribution of alleles for the TGF-β1 Arg25Pro polymorphism was all GG type, which w as different from Western controls (90 : 10, p=0.000).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olymorphism at Arg25Pro of TGF-β1 in Korean population has different allele distribution from Western, and the polymorphism at Leu10Pro of TGF-β1 has no association with the renal progression of Korean ADPKD patients.

      • SCOPUSKCI등재

        Uteroglobin Exon 1 의 5` Untranslated Region ( UTR ) 의 유전자 다형성이 IgA 신병증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

        오윤규(Yoon Kyu Oh),권도윤(Do Yoon Kwon),정수환(Shou Huan Zheng),오국환(Kook Hwan Oh),김현리(Hyun Lee Kim),김강석(Kang Seock Kim),김연수(Yon Su Kim),안규리(Cu Rie Ahn),한진석(Jin Suk Han),김성권(Suhng Gwon Kim),이정상(Jung Sang Lee) 대한신장학회 200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0 No.1

        Uteroglobin(UG)은 항염증작용과 면역조절작용을 갖는 단백질로써 인체의 여러 상피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이다. Zheng 등은 UG를 없엔 유전자 조작 생쥐에서 인체의 IgA 신병증과 유사한 사구체신염이 발생함을 보고하였다(Nature Med. 1999, 5:1018). UG 유전자의 exon 1의 5' untranslated region(UTR)은 다양한 전사인자(transcriptional factor)에 대한 결합부위를 가지고 있어 유전자 다형성이 UG의 발현에 이상을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연자들은 Ugexon 1의 5' UTR부위 중 38번째 핵산의 유전자 다형성(adenine(A) 또는 guanine(G))이 단백질 발현에 영향을 미쳐 IgA 신병증의 진행에 관여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IgA신병증으로 진단받고 5년 이상 경과된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말초혈액에서 DNA를 추출하여 single strand conformational polymorphism(SSCP), DNA sequencing, 중합연쇄반응(PCR)을 시행한 후 제한효소처리를 시행하여 유전자 다형성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를 신질환의 진행여부, 혈청내 IgA 신병증으로 진단받고 5년 이상 경과된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말초혈액에서 DNA를 추출하여 single strand conformational polymorphism(SSCP), DNA sequencing, 중합연쇄반응(PCR)을 시행한 후 제한효소처리를 시행하여 유전자 다형성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를 신질환의 진행여부, 혈청내 IgA-fibronectin(FN) 복합체의 양 등과 비교하였다. 60명의 대조군에서 일반인의 유전자 다형성 빈도를 조사하여 환자들의 빈도와 비교하였다. IgA 신병증 환자의 경우 5' UTR의 38번째 핵산이 AA인 경우가 17명 (28%), AG인 경우가 26명(43%)이었으며 GG인 경우가 17명(28%)으로 정상재조군의 13명(22%), 36명(60%), 11명(18%)과 비교하여 유전자 다형성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60명의 IgA 신병증 환자를 86.5개월(60-170; median, range)간 추적관찰 하였을 때 혈청 creatinine(Cr)이 2.0mg/ dL 이상으로 증가하거나 기저값의 2배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는 19명이었다. 이를 유전자 아형으로 구분하여 보면 AA형 17명 중 8명에서, AG형 26명 중 10명에서, GG형 17명 중 1명에서 신질환의 진행이 관찰되어 AA형일 경우 신질환의 진행 위험성이 GG형에 비하여 7.6배였으며(p=0.0307) AG형일경우 GG형에 비해 5.4배의(p=0.06) 위험성을 가지고 있었다. UG 유전자 아형에 따른 단백뇨 정도, 고혈압 여부, 혈청 IgA 농도, IgA-FN 복합체 농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조직 검사시 혈청 Cr값은 AA형 1.5mg/dL, AG형 1.3mg/dL, GG형 1.0mg/dL로 AA, AG형이 GG형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p=0.03). 신질환이 진행한 환자와 정상 신기능을 가진 환자 사이에 나이와 추적관찰기간은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연자들은 IgA 신병증의 진행에 UG exon 1 5' UTR의 유전자 다형성이 깊이 관계하며 이는 항염증 및 면역억제기능을 가진 UG의 단백질 발현 차이에서 기인하였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Uteroglobin(UG) is an anti-inflammatory/immunomodulatory protein secreted by the epithelial cells of vertebrates. Targeted disruption of UG rendered mouse glomerulonephritis resembling IgA nephro- pathy(IgAN). Sequence analysis on exon 1 of UG showed several putative binding sites for transcription factors, and genetic polymorphisms in this site might influence the expression level of UG as a competitive protein. We speculated that 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t the 38th nucleotide from the transcription initiation site of UG exon 1 would impact the progression of IgAN. PCR-RFLP was instituted to determine the genetic polymorphism in 60 patients with IgAN. Other measures like SSCP and direct sequencing were also adopted for the verification of polymorphic sites. Seventeen patients with IgAN(28%) were homozygous for adenine at position 38(38AA), 26 patients(43%) were heterozyg- ous(38AG), and 17 patients(28%) were homozygous for the polymorphism(38GG), which was similar to the pattern obtained from the 60 normal controls. The amount of daily proteinuria, presence of hyper- tension, the level of IgA, and the amount of IgA-fibronectin(FN) complexes was similar between the genotypes. Serum IgA-FN level did not influence the progression of disease. However, 8 out of 17 patients (47%) with the AA genotype had progressive disease(PD), 10 of 26 patients(38%) with the AG genotype had PD, and only 1 of 17 patients<6%) with GG homozygocity had PD after 94±30.1 months of follow-up(mean±S.D.). The odds ratio for the progression of renal disease in patients with the AA genotype was 14.93(p=0.0355) and in patients with AG genotype was 12.94(p=0.0496) compared with patients have the GG genotype. Moreover, serum creatinine at the time of kidney biopsy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A and AG genotypes than in patients with the GG genotype(1.5±0.69: 1.3±0.53: 1.0±0.3lmg/dL; AA: AG: GG; p=0.0137 AA vs. GG; p=0.0269 AG vs. GG). Our results suggest that polymorphism at the 5 UTR region of UG exon 1 is an important marker for the progression of IgAN

      • SCOPUSKCI등재

        Furosemide에 의한 소디움 운반체 발현의 변화

        오윤규 ( Yoon Kyu Oh ),나기영 ( Ki Young Na ),이재욱 ( Jay Wook Lee ),장혜련 ( Hye Ryun Chang ),박영선 ( Young Sun Park ),박정환 ( Jung Hwan Park ),주권욱 ( Kwon Wook Joo ),김근호 ( Gheun Ho Kim ),이정상 ( Jung Sang Lee ),한진석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2

        배경 :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이뇨제 furosemide는 비후상행각에서 Na+-K+-2CI- cotranspoter (NKCC2)를 억제하여 NaCl 재흡수를 차단하여 이뇨작용을 나타낸다. Furosemide를 장기간 투여하면 내성과 대사성 알카리증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집합관에 도달하는 소디움 증가와 관련 있을 가능성이 있다. 방법 : 저자들은 furosemide의 내성이나 부작용이 집합관 상피 소디움 통로 (ENaC) 단백발현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Sprague-Dawley rat에서 farosemide (12 mg/day)을 7일간 지속적 피하 주입한 후 반정량적 immunoblotting과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NKCC2, Na +-CL- cotransporter (NCC), ENaC 단백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수분과 전해질 용액 (0.8% NaCl & 0.1% KCl)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여 체액 감소를 방지하였다. 결과 : 부형약 (vehicle)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furosemide를 투여한 군에서 각각 요량과 요 소디움 배설이 증가하였으나, 체중, 혈청 알도스테론치 및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차이가 없었다. Furosemid 투여 후 NKCC2 단백은 피질 (151±10 vs. 100±10%, p<0.05)과 외수질 (122±5 vs. 100±3%, p<0.01)에서 증가해 있었다. ENaC 단백은 세 가지 subunit 모두 furosemide 투여 후 대조군에 비하여 피질 (α:187±25 vs. 100±22%, p<0.05; β:155±8 vs. 100±15%, p<0.05; γ:168±16 vs. 100±9%, p<0.05)과 외수질 (α:171±27 vs. 100±17%, p<0.05; β :986±91 vs. 100±33%, p<0.01; γ :242±24 vs. 100±22%, p<0.01)에서 증 가하였다. 면역조직화학법에서도 furosemide를 투여한 군의 집합관 주세포에서 ENaC β-subunit가 더 강하게 염색되었다. 결론 : 이상에서 장기간 furosemide 투여시 집합관 ENaC 발현이 증가하며, 이러한 원위부네프론의 적응 반응이 이뇨제 내성을 유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 Furosemide inhibit NaCl absorption in the thick ascending limb and produce an increase in distal delivery of Na+. We carried out semiquantitative immunoblotting and immunohistochemistry of rat kidneys to investigate whether chronic furosemide infusion is associated with compensatory increases in the abundance of Na+ transporters in distal nephron. Methods : Osmotic minipumps were implanted into Sprague-Dawley rats to deliver 12 mg/day of furosemide(n=6) with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0.8% NaCl and 0.1% KCl in drinking water for 7days. Results : Compared with vehicle infused controls, urine volume and urine sodium amount were increased.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dy weight, serum aldosterone, and creatinine clearance. The abundance of Na+-K+-2CI - cotransporter after furosemide infusion was increased in cortex (151±10 vs. 100±10%, p<0.05) and outer medulla (122±5 vs. 100±3%, p<0.01). In furosemide infusion group, the abundance of all three subunits of epithelial sodium channel (ENaC) was increased both in cortex (α:187±25 vs. 100±17%, p<0.05; β:155±8 vs. 100±15%, p<0.05; γ :168±16 vs. 100±9%, p<0.05) and outer medulla (α:171±27 vs. 100±17%, p<0.05; β :986±91 vs. 100±33%, p<0.01; γ :242±24 vs. 100±22%, p<0.01). Consistent with these results, ENaC β-subunit immunohistochemistry showed a remarkable increase in immunoreactivity in the principal cells of collecting ducts with furosemide treatment. Conclusion : These increases in the abundance of ENaC protein may account for the generation of diuretic tolerance.

      • SCOPUSKCI등재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 1 ( MCP-1 ) 조절부위에 따른 유전자다형성이 MCP-1 발현 및 낭창성 신염에 미치는 영향

        오윤규(Yoon Kyu Oh),한진석(Jin Suk Han),안규리(Cu Rie Ahn),이정은(Joung Eun Lee),김연수(Yon Su Kim),김성권(Suhng Gwon Kim),이정상(Jung Sang Lee),김현리(Hyun Lee Kim),양승희(Seung Hee Yang),오지은(Ji Eun Oh),윤형진(Hyung Jin Yoon)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1

        목 적 : MCP - 1 조절부위에 대한 유전자다형성이 MCP - 1 발현과 낭창성 신염의 발병, 진행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전신성 홍반성 낭창(SLE) 환자 49명, 대조군 46명에서 유전자다형성을 결정 후, 각 유전자형에 따라 luciferase assay로 단백질 발현정도를 비교하였다. 정상 대조군 6명의 유전자형에 따라 말초혈액 단핵세포를 자극 후 배양 상청액의 MCP - 1 농도를 측정하였고 SLE 89명, 정상 대조군 21명의 혈중 MCP - 1 농도를 측정, 유전자형에 따라 신 침범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SLE 환자에서 MCP- 1 조절부위(-2518 position :A- >G) 유전자다형성은 환자군(n=49)에서 각각 AA 10명(20%), GA 21명(42%), GG 18명(38%)으로 정상대조군(n=46)의 9명(20%), 27명(58%), 46명(22%)과 차이가 없었다. 말초혈액 단핵세포를 자극 후 배양 상청액의 MCP- 1 농도는 AA군이 현저히 증가되었다(p=0.01). 293 T 세포에 AA와 GG 유전자 이입 후 luciferase assay 시행시 GG 유전자 단백발현이 AA의 39%로 단백발현 감소(p=0.014), TNF-α를 처리 후 AA 유전자와 GG군의 construct 모두에서 activity가 증가되었고 특히 AA 유전자 단백발현이 GG 보다 3배 이상 증가되었다. SLE 환자군의 혈중 MCP- 1 농도는 418.17±935.30 pg/mL로 정상 대조군(127.78±114.53 pg/mL)에 비해 높았으나(p=0.047), 환자군의 혈중 MCP- 1 농도와 요단백량의 연관성은 없었다. 낭창성 신염으로 진단된 환자와 다른 대조군들 사이의 혈중 MCP- 1 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AA homozygote군의 낭창성 신염 환자들에서 혈중 MCP- 1 농도가 신염이 없는 AA군에 비해 증가되었다(p=0.014). 결 론 : MCP - 1 유전자다형성이 단백발현의 차이를 낳고 낭창성 신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신질환 진행의 예측과 함께 적절한 치료방침을 세우는데 유전자다형성이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한다. Background :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MCP-1)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gression of lupus nephritis.(LN) The genetic polymorphism in the regulatory region would influence clinical manifestations by controlling serum levels of MCP-1. Methods : We determined the genotypes of the MCP-1 gene, the secretion of MCP-1 by pheripheral blood monocytes (PBMCs) and transcription activity according to polymorphism on ELISA and luciferase assay. We also correlated serum MCP-1 level with proteinuria according to the genotypes to evaluate the clinical implication of genetic polymorphism in LN. Results : 10 patients with SLE (20%) were AA homozygous, 21(42%) GA heterozygous, and 18(38%) GG homozygous, which w as similar with normal controls[AA 9(20%), GA 27(58%), GG 46(22%)](n=46). By in-vitro stimulation of PBMCs using Phytohemagglutinin, differential expression of MCP-1 appeared according to the genotypes at -2518 position; PBMCs from AA homozygotes 22.37±0.07 ng/ mL, GA 6.98±0.72 ng/ mL, GG 5.48±0.22 ng/ mL. In the luciferase assay, the gene construct with G at -2518 site showed decreased activity to 39% of that showed by A gene construct . In addition, After cells were treated with TNF-α (10 ng/mL), the transcription activity of A gene construct w as approximately 3 fold greater than that of G gene construct. Levels of serum MCP-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SLE (n=89) than normal controls (n=21)(418.17±935.30 pg/mL vs. 127.78±114.53 pg/mL, respectively; p<0.05). In contra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MCP-1 levels between patients with LN, patients without LN and normal controls. Also, correlation between serum MCP-1 levels and proteinuria was not found(r=0.191, p>0.05). But, in patients with LN, levels of serum MCP-1 were significant higher in patients with AA genotype than those of GA genotyes and GG genotypes (p<0.01). Conclusion : MCP-1 gene polymorphism at regulatory region may be a considerable marker for LN and may modulate the level of protein expression. Our study could make it possible to screen high risk individuals, thus help us to develop a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molecular findings in clinical practice.

      • SCOPUSKCI등재

        건강검진을 받은 대상에서 만성 신질환의 빈도와 관련 이상

        진호준 ( Ho Jun Chin ),오국환 ( Kook Hwan Oh ),오윤규 ( Yoon Kyu Oh ),나기영 ( Ki Young Na ),주권욱 ( Kwon Wook Joo ),임춘수 ( Chun Soo Lim ),김연수 ( Yon Su Kim ),채동완 ( Dong Wan Chae ),안규리 ( Cu Rie Ahn ),한진석 ( Jin Suk Ha 대한신장학회 2007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6 No.2

        목적: 말기 신부전을 포함한 만성 신질환은 세계적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적인 의료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만성 신질환에 대한 대규모 역학조사 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방법: 분당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최근 2년간 건강검진을 받은 18세 이상의 14,856명을 대상군으로 정하였다. 미국신장협회의 만성 신질환 진단기준을 이용하였으며 사구체 여과율은 수정된 MDRD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결과: 대상군의 평균 사구체 여과율은 83.3 mL/min/1.73 m2이었으며 연령이 10년 증가할 때마다 5.0 mL/min/1.73 m2씩 감소하였다. 만성 신질환 1기에 해당되는 대상군은 3.2% 이었고 2기와 3기 이상인 군은 각각 9.4%와 3.5%이었다. 만성 신질환의 빈도는 고혈압 혹은 당뇨가 있는 군에서 없는 군보다 많았다. 만성 신질환과 연관된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병력, 고요산혈증, 고칼륨혈증, 고인산혈증과 고중성지방혈증은 사구체 여과율이 정상인 만성 신질환인 경우에서도 그 빈도가 신질환이 없는 군에 비하여 높았다. 만성 신질환을 가진 대상군에서 만성 신질환을 인지하고 있었던 경우는 6.3%이었으며, 혈압과 혈당이 비신질환자에 비하여 적절하게 조절되는 비율이 낮았다. 결론: 건강검진을 받은 대상자들에서 만성 신질환과 유관 질환은 의미있게 높게 조사되었으나 신질환에 대한 인지도와 적절한 혈압과 혈당이 유지되는 비율이 비신질환자에 비하여 낮았다. Purpose: The prevalence of chronic kidney disease (CKD) is increasing in Korea. Considerable resources have been consumed for patients with CK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the associated disorders, and the awareness of CKD and the current status of appropriate control for blood pressure and blood sugar in subjects with CKD. Methods: We included 14,856 subjects who underwent a health check-up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during the last 2 years. We selected K/DOQI guideline of CKD. We used the modified MDRD equation to estimate the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Results: The mean eGFR was 83.3 mL/min/1.73m2 and it decreased with aging at the rate of 5 (mL/min/1.73m2)/10 years. The prevalences of CKD stage 1, stage 2, and stage more than 3 were 3.2%, 9.4%, and 3.5%,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CKD was higher in subject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mellitus than in subjects without it. The CKD was associated with disorders of hypertension, cardiovascular diseases, hyperuricemia, hyperphosphatenemia, hyperkalemia, and hypertriglyceridemia. The prevalence of reported kidney disease was only 6.5% in subjects with eGFR less than 60 mL/min/1.73m2. The frequency of adequate control of blood pressure and blood sugar in subjects with CKD was lower than in subjects without CKD. Conclusion: The subjects were rarely aware of CKD whereas the frequencies of CKD and the associated diseases were considerably high. We have to pay more attention to diagnose and treat the CKD.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원인과 급성 신부전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김세중(Se Joong Kim),김성균(Seong Gyun Kim),오윤규(Yoon Kyu Oh),김현리(Hyun Lee Kim),김연수(Yon Su Kim),안규리(Cu Rie Ahn),한진석(Jin Suk Han),박선양(Seon Yang Park),김성권(Shung Gwon Kim),김병국(Byoung Kook Kim),이정상(Jung Sang Lee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3

        배 경 : 조혈모세포 이식(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CT) 후 합병증으로 패혈증(sepsis), 이식편대숙주반응(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정맥폐색성 질환(venoocclusive disease; VOD), 약물에 의한 부작용(drug induced nephrotoxicity; DT), 급성 신부전(acute renal failure; ARF) 등이 있다. HCT 후 발생하는 ARF는 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서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HCT 후 ARF의 발생빈도, 위험인자를 살펴보고, ARF의 발생이 HCT 후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85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HCT를 받은 환자 163명 중 분석이 가능하였던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HCT 후 ARF는 총 107명의 환자 중 52명(48.6%)에서 발생하였다. VOD, sepsis, GVHD 중 VOD가 ARF의 위험도를 4.4(1.13-17.2)배 증가시켰다(p<0.05). ARF의 원인은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cyclosporin 신독성이 전 기간에 걸쳐 ARF의 주된 원인이었다. ARF 발생군에서 전체 생존율은 60%였으며, ARF 비발생군(NARF)에서는 73%로, ARF 발생군에서 생존율이 낮았다(p<0.05). ARF 발생군을 최고 혈청 크레아티닌 3.0 ㎎/dL을 기준으로 경증과 중증 ARF로 나누어, NARF 군, 경증 ARF 발생군, 중증 ARF 발생군을 비교하였을 때, 중증 ARF 발생군에서 생존율이 낮았다(p<0.01). 결 론 : HCT 후 VOD, sepsis, GVHD 등이 ARF의 위험도를 증가시켰으나, ARF의 주된 원인은 cyclosporin 신독성이었다. ARF는 중증인 경우 HCT를 받은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인자였다. Background : Common complications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HCT) include sepsis, graft versus host disease(GVHD), veno-occlusive disease(VOD), drug-induced nephrotoxicity, and acute renal failure(ARF). Prior studies report that the presence of ARF affects prognosis. However, we are unaware of such reports on the incidence of ARF after HCT in Koreans, and whether or not the development of ARF is related to prognosis.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ARF after HCT and its relation to prognosis. Methods : 163 patients received HC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ince 1985, of which, 107 were available for review. Results : ARF after HCT developed in 52 patients (48.6%). In the three clinical causes, VOD, sepsis, and GVHD, risk factor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RF was preexisting VOD. Logistic regression confirmed this association(odds ratio 4.4). The causes of ARF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iods it developed, and cyclosporin nephrotoxicity was the main cause through the whole period after HCT. The overall survival was worse in the ARF group(60 vs 73 %; p<0.05). ARF group was split into two groups : patients whose peak serum creatinine levels were below 3.0 ㎎/dL(mild ARF group) and those who were above 3.0 ㎎/dL(severe ARF group). Severe ARF group had worse survival than mild ARF group and patients without ARF(p<0.01). Conclusion : VOD, sepsis, GVHD after HCT increase the risk of the deveolopment of ARF, but cyclosprin nephrotoxicity is the main cause of ARF. Severe ARF is a factor influencing the prognosis of patients who received H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