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문학 : 상인에 대한 반대 -현진건의 <빈처>에 나타난 인간상과 그 사회적 의미-

        오양진 ( Yang Jin O ) 반교어문학회 2010 泮橋語文硏究 Vol.0 No.28

        현진건의 <빈처>에서 비로소 건전성의 무게중심은 노동의 세계 안에서 바깥으로 옮겨간다. 사실 건전성을 그와 같이 노동의 세계 바깥과 일치하도록 한점은 <빈처>가 보여주는 가장 획기적인 사회학적 특징이다. 이로 인해 노동을 기초로 한 사회적 현실은 계몽의 대상이라는 사회적 정당성을 부여받지 못한 채 부당하고 정의롭지 못한 네트워크로 경멸된다. 그렇다면 <빈처>의 주인공은 어떻게 마음 깊은 곳에서 경멸하는 세상의 일부로 살아가게 되는 것일까? 이러한 근본적인 물음에 대해 현진건은 개인적 열정과 사회적 이해관계를 통합한다는 이광수식 관념을 포기하는 것으로 답변한다. 실제로 현진건은 개인과 사회의 균열을 봉합하고 불일치를 줄이는 대신, 오히려 그러한 모순과 더불어 사는 방식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상상 속의 삶을 고집하는 인간이 사회적 현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실과 갈등하는 내면에 대한 위장으로서의 일종의 거짓말을 필요로 할 수밖에 없는데, 이것이 자기기만이다. 결국 현진건의 <빈처>가 보여주는 자기기만의 태도가 명백하게 재현하고 있는 것은 예술적 자아가 교환의 세계와 결합되는 자본주의적 현실의 아이러니라고 할 수 있다. At last, the center of gravity of soundness in Hyeon, Jin-geon`s <Poor Wife> moves from inside the world of work to at the outside. In fact, so it agreed with outside the world of work is the social feature which is the most epoch-making in <Poor Wife>. And social reality based on work is despised by the network which is unjust and unfair with not being given the social justifiability which is the object of enlightenment. So then, how Hero in <Poor Wife> will live with part of the world which despises from the deep place in his mind? Hyeon, Jin-geon answers this basic question in the way which throws up Lee, Gwang-su`s conception that combines personal passion with social interests. As a matter of fact, he is taking notice of the way that lives together such contradiction rather than diminishes the crack of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Accordingly the man holding to his imagining life has need of a kind of lie as disguise of the inner which is in discord with reality to maintain a social existence. Rightly this is bad faith. After all, the attitude of bad faith in Hyeon, Jin-geon`s <Poor Wife> represents clearly the irony of capitalistic reality which combines artistic self with the world of exchange.

      • KCI등재

        교환의 사회학 -김동인의 「감자」를 중심으로-

        오양진 ( O Yang-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6 No.-

        김동인의 「감자」에서 서사적 재현과 당대의 사회적 현실의 관련성을 해명하는 일종의 문학사회학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한마디로 「감자」의 사회학은 교환의 사회학이라고 할 수 있다. 소설의 주인공 복녀는 우선 근대적 이동성의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분별력 있는 기회주의자로서 왕서방과의 만남에서 교환가치를 창출하고, 이것을 벼락출세의 계기로 만든다. 그러나 그 이동성이 동반하는 불만의 내면성에 휘말리게 되면서 복녀의 마음에 드리워지기 시작한 열정의 그림자는 기회주의를 거부하고 교환을 중지하게 함으로써 그녀가 교환의 세계로부터 배척당하게 되는 결정적인 순간이 되고 만다. 다시 말해 냉정한 상인의 세계에서 준수되어야 하는 교환의 규칙은 분별력을 잃고 상혼을 상실한 복녀의 불만스럽고 불안한 내면성 속에서 망각되고, 결국 복녀는 세 남자의 교섭 과정을 통해 곧바로 교환의 세계로부터 추방되는 것이다. 이것이 소위 `교환의 사회학`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의 결과인데, 여기서 `개인의 형성과 사회화의 분열`은 자명해진다. 이때 문학사적으로 부각되는 것은, 교환의 사회학을 통해 이광수의 총체성은 하나의 환상임이 폭로된다는 점이다. 요컨대 이광수는 자신의 소설에서 자기존중의 낭만적 열정과 사회화의 요구라는 현실적 이해관계 사이에서 조화로운 해결책을 찾았다고 확신했지만, 마침내 김동인은 「감자」에서 개인을 지지하면서도 사회를 지탱할 수 있다는 근대적 사회화에 대한 계몽주의적 확신이 붕괴되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결국 김동인의 「감자」는 근대적 생활의 어떤 특별한 순간들이 `상인`이 지배하는 비속한 교환의 세계 속으로 빨려 들어가버리는 사회역사적 과정을 아주 상징적인 방식으로 재현하는 셈이다. The goal of this writing is a kind of literary sociology which makes clear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representation and social actuality of present generation in Kim, Dong-in`s < KamJa >. In a word, the sociology in < KamJa > is sociology of exchange. First of all, Heroine of the novel, Bok-nyeo is the sensitive opportunist who make the best use of the mobility which applies the modern network. Namely, she creates exchange value from meeting with Wang-seobang, which she makes with opportunity of sudden success. But as she is drifted into the internality of dissatisfaction where accompanies the mobility, her heart becomes involved with the shadow of passion. And when she refused an opportunism and discontinued the exchange, she was removed from the world of exchange. In other word, it is the rule of exchange which must be observed from the world of calm merchant that is forgotten in the insecure and dissatisfactory internality of Bok-nyeo who loses a sensitive power and a salesmanship. After all, Bok-nyeo is expelled at once from the world of exchange by a exchange process of three men. This is result of what is called as would-be `a sociology of exchange`. From here, the disruption between formation of individuals and socialization becomes self-evident. At this point, it is embossed with literary history that Lee, Gwang-su`s totality is exposed as a fantasy by a sociology of exchange.

      • KCI등재

        과도기 의식과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김승옥의 <강변부인>에 대하여

        오양진 ( Yang Jin O ) 반교어문학회 2012 泮橋語文硏究 Vol.0 No.33

        김승옥의 <강변부인>은 1970년대 한국 멜로드라마의 유행에 가담하는 만큼 혁명기의 과도기 의식에 적극적으로 순응한다. 즉 과거와 미래 사이에 있다는 그러한 이행의 감각은 경험의 지속적인 축적이 불가능해지고 미래에 대한 기대만이 증폭되는 과정을 통해 미지의 것을 향해 다급히 달려가고 있다는 시간 경험을 대중화하는데, 동시대의 멜로드라마들과 마찬가지로 김승옥 역시 경험을 통해 근거지어지지 않은 멜로드라마적인 기대들을 서사적 가속화의 형식을 통해 충족시킨다. 그런가 하면 <강변부인>의 내용 또한 기대로서 선취된 경험의 대중적 소비주의에 대한 영합을 통해 미래에 대한 상상적 기대로서 현재의 사실적 경험을 대체하는 과도기의 쇠퇴하는 경험의 문제를 공유한다. 김승옥의 멜로드라마에 나타난 자기위안적인 경험의 양상들은 초라한 현실의 느낌을 화려한시간에 대한 갈망으로 떨쳐버리려는 대중적인 욕구와 정확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강변부인>은 대중을 감상주의나 소비주의에 휩쓸리는 문화적퇴폐의 원류로만 간주하고 그것에 영합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김승옥의 멜로드라마가 선한 개인과 악한 개인의 대립이라는 멜로드라마 일반의 도덕적인 구조를 선한 개인 대 악한 사회의 대립이라는 낭만주의적인 형태로변형하는 데서 확인되는데, 여기에는 미래에 대한 기대와 쇄신에 대한 갈망을 가진 세력이라는 사실 또한 대중의 정체성을 이루는 것이라는 인식이 숨어 있다. 요컨대 <강변부인>의 멜로드라마적인 도덕성은 문제의 진정에만 관심이 있는 멜로드라마의 도덕성과 달리 문제의 해결을 상상하는 유토피아적 상상력이 충전되어 있는 것이어서 미진하고 잠재적인 것이나마 언제든 변혁의 힘으로작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Kim, Seung-ok`s <A Riverine Lady> participates in popularity of 1970`s Korean melodrama, and so adapts to the transitional consciousness in revolutionary age of Korean society actively. That is, the sense of transition which is between past and future is in sympathy with such a time experience that is hastily running toward the unknown, the process of which makes impossible the continuous accumulation of experience and amplifies only the expectation about future. Like contemporary melodramas, Kim, Seung-ok`s also satisfies the melodramatic expectation devoid of experiential basement by means of the form of narrative acceleration indigenous to it.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in <A Riverine Lady> also holds in common with the problem of declining experience in Korean transitional period when substitutes the real experience of present for the imaginary expectation about future by means of the accommodation to popular consumerism indigenous to the preoccupied experience as expectation. The aspects of self comforting experiences in Kim, Seung-ok`s melodrama are accurately combined with a popular desire that wants to replace the feeling of shabby reality with the craving for gorgeous time. However, Kim`s <A Riverine Lady> always don`t accommodate itself to the masses by regarding them as only a headstream of cultural corruption which is swept in sentimentalism or consumerism. This is above all confirmed in the point where Kim, Seung-ok`s melodrama converts the moral structure of general melodrama on basis of opposition between the good and the evil into the romantic formation on basis of opposition between the good individual and the evil society. So there, the recognition that the masses are a crowd with the expectation about future and an earnest desire for renovation also is hiding in <A Riverine Lady>. As a result, melodramatic morality in <A Riverine Lady> has a power always able to operate with a force of reform though unsatisfactory and latent, on the grounds that it`s different with morality of the melodrama that is only interested in the pacification of all problems and filling up as an utopian imagination that imagines the solution of them.

      • KCI등재

        한국 미(美)의 술어들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

        오양진 ( O Yang-jin ) 국제어문학회 2006 국제어문 Vol.37 No.-

        이 논문은 한국 미(美)의 술어들을 기호학적 방법론을 통해 검토하고 종합하려는 시도이다. 그래서 한국예술이라는 텍스트,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 텍스트에 대한 메타-텍스트를 가지고 국내외의 학자 및 비평가들이 전개한 논의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거기서 <한국미>의 특성에 관련된 술어들을 수집하고, 기호학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한국미>의 핵심 가치들과 가치 체계를 도출하였다. 나아가 장 마리 플로슈의 <소비가치의 체계>를 활용하여, 한국예술이라는 텍스트가 보여주는 의미 체계와 가치 지형을 맵핑(mapping)하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결론적으로 메타-텍스트에서 수집된 어휘들이 보여주는 네 가지 가치들, 자연적 가치, 인공적 가치, 정적 가치, 동적 가치 등을 통해 <한국미의 가치 체계>를 정리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소박미>와 <화려미>, <풍아미>와 <풍류미>가 그 가치 체계의 의미 범주라고 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have a objective that it categorizes the quality of "Korean Beauty"(韓國美) by means of semiotics methodology. And then, we have inquired into empirical analyses which the scholars and critics home and abroad have unfolded with texts of a Korean Art, more exactly speaking meta-text of Korean Arts. And we have collected predicates on the quality of "Korean Beauty" in those texts, and derived from a set of core-values of "Korean Beauty" or its a value-system by means of semiotics methodology. Further more, we have mapped a system of significance and a topography of value which the text of a Korean Art shows by applying "a value-system in consumption" in Jean-Marie Floch` discourse.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have diagrammed a value-system of "Korean Beauty" through "four-values" that a Korean Art and its identity show, which referred to "the natural value", "the artificial value", "the static value", "and the dynamic value". These significance-categories of value-system are rightly "the simple-beauty"(素朴美), "the gorgeous-beauty`(華麗美), "the elegant beauty"(風雅美), "the wind-stream-beauty"(風流美).

      • KCI등재

        6ㆍ25전쟁과 애도의 문제

        오양진(O, Yang-ji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2 No.-

        이 글은 나상 과 비바리 라는 전후 애도 서사에 대한 고찰이다.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촉발된 6ㆍ25전쟁은 거대한 상실감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생존자들은 어떻게든 살아야 했기에 전쟁의 상처로부터 오는 고통을 진정시키고자 하는 애도의 절차를 지체할 수 없다. 슬픔에 고착되어 무기력에 빠지면 새로운 행위의 가능성이 사라짐으로써 삶은 미래를 가질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문학은 개인의 부담으로 남겨진 애도 작업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특히 서사적 상상력은 전쟁과 같은 삶의 비극적인 상처가 우울증이라는 병리적 상태로 악화되는 것을 막는 데 커다란 도움을 준다. 실제로 전후에 쓰인 소설들은 한 개인의 슬픔과 좌절, 그리고 절망과 같은 상실의 경험을 다양하게 카타르시적 애도의 방식으로 처리한다. 그리고 이 가운데 나상 이나 비바리 는 애도를 돕는 그런 서사적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즉 두 소설이 보여주는 애도 작업은 그 서사적 애도에 참여하는 사람들 모두가 자신들<br/> 이 처한 심리적 난관에 대해 그 나름대로의 해결책을 찾도록 고무하는 것이 된다. 우선 나상 은 독자에게 대상의 부재를 받아들이고 형이 한 때 자신들과 더불어 살았음을 감사하게 기억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그런가 하면 비바리 는 독자에게 용서야말로 반복이 아닌 망각을 통해 과거에 미래를 제공하게 되는 애도 작업의 필수적인 절차라는 사실을 드러낸다. This article is an inquiry into Na-Sang and Bibary among narratives of mourning after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which is sparked by two ideologies can be a huge source of the feeling of loss, that is to say communal bereavement. As a result, the survivors from the Korean War can't delay the procedure of mourning to calm a pain that comes from the wound of the war, since they had to live somehow. For if they fall into helpless by adhering to the grief of loss, their life is not<br/> able to have a future by absence of the possibility of a new act. At this point, korean literature plays a crucial role in the mourning work left at the expense of the individual. Specially narrative imagination of the literature gives a big help in that prevents a tragic wound of life such as war from being worsened to a pathologic state such as depression. Actually korean novels after the war disposes of the experience of loss such as grief, frustration, and desperation in korean people by means of diverse ways of catharsis mourning. And among the novels, a few novel like Na-Sang and Bibary practice successfully in a narrative mission to help the mourning. Namely mourning work of the two novels encourage all korean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narrative mourning to look for each solution to their psychological fixes for themselves. First of all, Lee, Ho-cheol's novel Na-Sang shows method that mourner accepts the absence of mourning object and remembers brother lived with his own at a time out of gratitude. And Hwang, Sun-won's novel Bibary reveals to readers that only pardon is an ssential procedure of the mourning work, which provides future with the past through oblivion, not repetition.

      • KCI등재
      • KCI등재

        나도향의 <물레방아>와 최서해의 <홍염>에 나타난 인간상의 비교

        오양진(Yang Jin O)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현대소설연구 Vol.- No.44

        Will it be possible that we grasp a symbol and essence of an era with the people which appear in modern novel? This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writing. And actually Na, Do-Hyang and Choi, Seo-Hae, two superior novelists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show quite clearly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historical time by means of the creation of a narrative image of man which is intense and impressive in <Mule-banga> and <Hong-yeom>. Besides the image as the historical existence of characters who appear in the two novels shows the momentous aspect, for they disapproves the restraint of solid interests that causes pain to them on unjust and discriminational treatment and finally makes the appearance of the subversive revolutionist. If there is a difference, it is the point that Na, Do-Hyang sees the human being who opposes to a feudalism, and Choi, Seo-Hae sees the human being. Namely the former portray man as a bourgeois revolutionist who challenges in vertical interests of pre-modern time which is structurized with authority and hierarchy, the latter portray him as a proletarian revolutionist who resists in horizontal interests of the modern time which is structurized with money and unequality. After all, Two novelists really set up in opposition on the point that they draw the portrait of different revolutionists in each novels.

      • KCI등재
      •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정치학과 수사학의 거리

        오양진(Yang Jin O) 한국현대소설학회 2012 현대소설연구 Vol.- No.50

        This writing aims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rhetoric form of a novelist and the political content of a craftsman in Lee, Cheong-jun`s novels, and to discuss its result. First of all, the subject that is common to Lee, Cheong-jun`s craftsman novels is not an occupational value of a craftsman but a difficulty of life that the craftsman is placed in. This above all means a political critique about the a social change of industrialization. By the way, the obviousness in political meaning is weakened as being combined with silence motifs that comes from a collapse of public foundation leading a deterioration of public opinion. Also the silence as a factor stopping Lee, Cheong-jun`s novels works as a narrative obstacle to his novels. At this time, an interest in his novels moves from a craftsman novel to a frame novel. The frame form becomes just a narrative form that breaks through the narrative obstacle to Lee, Cheong-jun`s novels by structurizing the silence. But the breakthrough of the narrative obstacle does not solve even political obstacle. Of course, his frame novels succeeds in taking over by means of a different method the political assignment of his earlier craftsman novels through the idea of tolerance on the basis of a narrative silence. Namely, Lee, Cheong-jun`s novels are converted from politics of a craftsman that has a political meaning only by a truth to politics of form that narratives embracing various truths mean directly critique from the dimension of a restriction of dogmatism. However, there is a certain questionable point in that we understand the politics of form in Lee, Cheong-jun`s novels only as an effective resistance about a suppressive situation in the 1960`s. For this doubling a participation and an exclusion with readers, in fact, sweeps away grounds to make public opinion out of private opinions by substituting the form of secret for a public discussion.

      • KCI등재

        부조리의 현실과 수수께끼의 서사─서정인의 「뒷개」에 나타난 서술과 독자에 대하여

        오양진 ( O Yang-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2 국제어문 Vol.56 No.-

        6 · 70년대에 본격적인 궤도에 진입한 한국의 산업화는 사람들에게 불확실한 세계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거대한 불안감을 불어넣는다. 이에 그 당시의 한국소설은 다양한 형태로 산업 사회적 부조리에 대응하는 미학적 전략들을 고안한다. 서정인의 경우는 그러한 부조리에 저항하기 위해 서술의 차원에서 자의적 견해를 축소함으로써 모순과 불합리에 대항하는 객관적 사실성의 서술 방식을 주된 전략으로 삼는다. 「뒷개」는 바로 그러한 전략을 첨예하게 구현한 대표적인 소설인데, 여기서 서정인의 독자는 사실의 서술로부터 오는 이방인 의식을 통해서 처음부터 그 영역의 속성이 아닌 중립적인 객관성을 그 영역 안으로 끌어들이고 사실상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탐색의 충동을 보여준다. 즉 소설을 읽는 독자는 마치 탐정과 같은 정체성을 갖게 된다. 이와 함께 「뒷개」라는 소설은 일종의 수수께끼와 같은 서사가 되는데, 결국 서정인의 독자는 해답을 감춘 그 비밀스러운 서사의 주제적 중심부에 도달한다. 말하자면 객관적 사실들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한 합리적 추론을 진행해가는 그 독자가 마침내 탐정으로서의 임무를 완수하는 순간, 수수께끼의 해답은 바로 산업 사회적 부조리 그 자체로 드러난다. 그러나 독자는 중심부에 대한 해답을 얻는 바로 그 순간 실존적 부조리로 그 중심부의 위치가 변경되는 불확실성에 직면하게 되는데, 여기서 마침내 「뒷개」는 해답으로서의 부조리를 넘어 이 부조리에 대한 해결책으로서의 탐색의 충동을 강조하는 기묘한 형태의 수수께끼의 서사가 된다. The industrialization of Korean society, which had entered to authentic tracks in 1960 · 70`s, inspires enormously its people to a feeling of anxiety that is living in the uncertain world. At that time, Korean novels devise aesthetic strategies in various forms, which deal with absurdity of a industrial society. Specially Seo, Jeong-in, a writer in 6 · 70`s, strategically commune with the narration method of objective reality that decreases contradiction and irrationality by way of curtailment of an arbitrary opinion from dimension of narration in order to resist such absurdity. Above all, 「A Local Harbor」 is a representative novel that embodies such strategy sharply. In that novel, Seo, Jeong-in`s readers draw the neutral objectivity-this was not attribute its territory in the beginning-inside its territory by means of a stranger`s consciousness that comes from narration of fact. In fact, they also show an active interest and impulse of search about that novel by such means. That is, they has the identity as a detective. And in addition Seo, Jeong-in`s 「A Local Harbor」 becomes a narrative such as a kind of riddle. After all Seo, Jeong-in`s readers reach the secret thematic heart of the narrative that hides its answer. In other word, when such readers, who proceed with a rational reasoning about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facts, accomplish their task as a detective finally, the answer of the riddle is social absurdity of industrialism. But as soon as readers get answers about the central, they face a moment of uncertainty that its location is changed from the social absurdity to the existential absurdity, you will have to face beyond the absurdity of the answer. And finally 「A Local Harbor」 becomes an enigmatic narrative with bizarre form that emphasize impulse of search as a solution for absurdity above absurdity as a s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