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에 대한 북한의 대응: 『로동신문』 보도를 중심으로

        오승준 ( Seungjun Oh ),하승희 ( Seunghee Ha ) 북한연구학회 2020 北韓硏究學會報 Vol.24 No.2

        이 연구는 코로나19에 대한 북한의 대응을 살펴보기 위해 노동당 중앙위원회 기관지 『로동신문』에 보도된 ‘코로나19’ 관련 기사의 양적 특징과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북한은 첫째, 국제사회의 보건의료협력과 같은 보편적 대응과 달리 ‘봉쇄와 통제라는’ 고립된 방역체계를 고수하고 있지만, 둘째, 제한된 환경과 상황 속에서 필수적 방역물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력 생산을 통한 공급을 시행하고 있으며, 셋째, 국제사회 동향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정책 결정 등 코로나19 지속에 따른 일상의 변화에도 비교적 유연하고 안정된 상황관리를 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북한 당국의 방역 강화 기조에도 네 번째 특징인 기강 해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지도부의 관리·감독 등 통제에 대한 영향력이 일정 부분 감소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올 한해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19가 여전히 진행 중인 상황에서 이에 대한 북한의 대응과 그 특징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나아가 향후 잠재적 전염병 발발에 대한 방역대책 수립 및 남북보건의료 협력 방향성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and main content of articles related to COVID-19 appearing in the Rodong Sinmun, the official newspaper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Workers’ Party, in order to examine North Korea’s response to COVID-19. According to the analysis, North Korea has maintained an isolated quarantine system called “blockade and control,” which is unlike the universal response of health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state has 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ssential quarantine goods, which are in limited environments and conditions, and has supplied them by itself. Furthermore,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situation is being managed in a relatively flexible and stable manner even with the daily changes accompanying the continuation of COVID-19;such policy decisions have been based on an analysis of trend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inally,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anti-epidemic stance has also loosened. Considering these point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influence of the leadership on management, supervision, etc. has decreased to a certain extent, but there is a need to constantly analyze this. The study provides meaningful information in that it analyzes North Korea’s response to COVID-19, which has swept the world over the past yea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at response. Its importance lies in the fact that it can serve as a basis for establishing future quarantine measures and can point to the direction of inter-Korean health cooperation.

      • KCI등재

        한국 야외 조각공원 설치 작품의 보존을 위한 기초 연구 : 전북 지역 조각공원 설치 작품의 보존 현황 및 관리 방안을 중심으로

        오승준(Oh Seungjun),위광철(Wi Koangchul)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한국의 조각공원과 조각 작품은 공공미술을 통해 자연과 조각 작품이 어우러져 각각의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와 예술 전시 및 휴식 공간으로서 자리매김 했을 뿐 아니라 개발정책 이후 우리나라의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해주었다. 그러나 국가 정책과 대중의 요구에 의해 빠른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시민 의식의 미성숙, 제도적 장치의 부재, 예산과 전문 관리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조각공원과 공원 내에 설치된 조각 작품은 훼손되고 방치되어 본래의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에 조성된 6곳의 조각공원 및 작품의 보존현황을 실사를 통해 조사해보고 보존방안을 제시해 우리나라 조각공원에 설치된 작품의 보존을 위한 기초 연구자료를 축척하고자 한다. 조사 결과 관리 주체가 명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구속력이 없는 법적, 제도적 장치로 인해 공원 정비 및 관리는 부실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공원 내 설치된 조각 작품은 보수 및 보존처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공원의 보존, 관리와는 다르게 훼손, 방치되어지고 있었다. 이는 야외 조각 작품은 대형 작품이고 현대적 작품이라 내구성이 좋으며, 일회성이라는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보수 및 보존처리 등의 사후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조각공원의 조성 및 설립 의의를 되살리고 작가가 의도한 조각 작품 본래의 예술성, 독창성, 전달성 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제도의 개선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보존,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전문 인력과 예산 확보, 성숙된 시민 의식의 전환을 위한 교육, 전시, 홍보 등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조각공원이 관리되고 작품이 복원된다면 대중은 다시 돌아와 조각공원의 조성 의미에 맞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culpture parks and sculpture in Korea have been harmonized with nature and sculpture through public art, establishing themselves as cultural and artistic exhibitions and resting spaces representing each region, as well as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life in Korea after the development policy. The sculpture park played a role in the improvement. However, although rapid quantitative growth was achieved due to national policy and public deman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culpture park and the sculpture installed in the park was damaged and neglected due to the immaturity of citizens,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devices, and the lack of a budget and professional management personnel. Therefore, t his study aimed t o accumulate b asic r esearch data for t he preservation of works installed in Korean sculpture parks by investigating the preservation status of six sculpture parks and works created in the Jeonbuk region through due diligence and suggesting preservation plans. Despite the management body being clear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 park maintenance and management were inadequate due to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that were not binding. In addition, the sculpture installed in the park were not repaired or preserved. Therefore, unlike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park, they were damaged or neglected. It is judged that outdoor sculpture works are large-sized works and have good durability as they are modern works, and post-management such as repair and preservation has not been carried out due to the false recognition of one-off. To revive the significance of the creation and establishment of such a sculpture park and to restore the original artistry, originality, and transmission of the sculpture intended by the artist,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continuous and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budget are secured. Education, exhibitions, and publicity are needed to transform mature civic consciousness. Based on this, if the sculpture park is managed and the works are restored, the public will be able to come back and bring about an effect that fits the meaning of the sculpture park.

      • 원자력발전소 지진유발화재에 관한 문헌조사 연구

        오승준(Seungjun Oh),김주성(Joosung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지진재해는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의 안전관련 구조물, 계통 및 기기(Structures, Systems, Components, 이하 ‘SSCs’)와 화재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SSCs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동시다발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고, 원전 부지 내 여러 위치에서 화재사건을 동시에 유발할 수 있다. 원전 지진유발화재(seismically induced fire)는 지진재해와 화재사건 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 가능한 복합재해를 의미하며, 일반적인 원전 내부 화재사건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심각한 위협이 초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전 지진유발화재 관련 안전성 평가요소를 도출하고, 지진유발 화재안전성 평가 방법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주로 미국에서 발간된 지진유발화재 관련 문헌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NUREG/CR-5088(화재리스크 범위 연구, 1989.01)’, ‘NUREG-1407(중대사고 취약성에 대한 IPEEE 절차 및 제출 지침, 1991.06)’, ‘NUREG-1742(IPEEE 프로그램 수행으로부터 얻은 시각, 2002.04)’, ‘NUREG/CR-6850(원자력발전시설을 위한 화재PRA 방법론, 2005.09)’. 본 연구의 문헌조사 결과, 원전 안전등급 SSCs에 충분한 내진설계 및 안전 여유도가 고려되었더라도, 상대적으로 내진성능이 견고하지 못한 비안전등급 SSCs와 화재방호계통 및 기기들은 고장 및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지진으로 인한 비안전등급 SSCs의 고장 및 손상, 그리고 지진으로 인한 화재방호계통의 고장 및 손상은 추가적으로 다양한 고장유형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문헌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대표적인 원전 지진유발화재 관련 안전성 평가요소로는 지진 특성 점화원 및 비안전등급 SSCs를 고려한 다양한 화재시나리오, 지진으로 초래될 수 있는 열악한 환경 조건, 화재 진압 및 감지계통의 오동작, 화재진압계통 및 특성의 능력 감소, 수동 화재진압의 효율성 감소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원전 지진유발화재 관련 안전성 평가요소를 도출하고, 지진유발 화재안전성 평가 방법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생산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단계 연구인 지진유발 화재안전성 평가 방법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