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고장력 강을 적용한 자동차 도어 멤버의 경량 최적화 설계에 관한 연구

        오승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by applying SPCC and SABC 1470 which are the existing material of the side door member. The three-point bending test analysis confirmed the weight reduction tren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U, U-rib, c, c-rib) versus SPCC 2.0t standard.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mum thickness of each section shape using SABC 1470 was 0.8t to 1.5t, which is the most lightweight, when the SPCC is used as a reference for the conventional sectional shapes. In order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additional weight reduction by using the results of finite element analysis, a lightweight optimal design was performed through phase optimization which can derive the optimum shape for each cross section shape. 도어 멤버의 경량화를 위하여 사이드 도어 멤버의 기존 소재인 SPCC와 SABC 1470을 적용하여 유한 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3 점 굽힘 시험 분석으로 SPCC 2.0t 표준에 비해 단면 형상 (U, U- 리브, C, C- 리브)에 의한 중량 감소 경향을 확인하였다. SABC 1470을 이용한 각 단면 형상의 최적 두께는 SPCC를 기존 단면 형상의 기준으로 사용할 때 경량화된 것이 0.8t ~ 1.5t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한 요소 해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중량 감소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단면 형상에 대한 최적 형상을 도출 할 수 있는 위상최적화를 통해 경량 최적 설계가 수행되었다.

      • H.Eccles, Händel-Halvorsen, C.Reinecke, G.Enescu의 작품 연구 : 졸업 연주 곡목을 중심으로

        오승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작품의 시대적 배경과 그 작품이 지닌 형식의 변천 과정, 작품 분석을 통한 구조와 특징적인 기법들은 실제로 연주하는데 있어서 진정한 예술성을 재현하도록 도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중심으로 각각 다른 시대, 다른 형태의 네 작품을 연구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Eccles의 g minor sonata는 각각 Grave - Courrente - Adagio - Vivace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소나타는 실내 소나타의 윤곽을 가지고 작곡되었고, 바로크 모음곡의 특징적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Händel-Halvorsen “Passacaglia”는 Violin과 Viola를 위한 duo 작품으로 각 변주에 따라 기본 리듬의 시가를 다르게 사용함으로 긴장의 완급을 조절하고 있으며, 악기의 다양한 음색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곡을 이끌어 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Reinecke의 viola와 piano를 위한 Drei Fantasiestücke는 19세기 독일의 낭만적 정서가 가득한 비올라 작품 중 하나로서, 연인을 소재로 하는 3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름다운 선율, iamb 리듬, 중속화음, 동기의 배치 등 악장마다 특징적인 색채를 포함시킨 작곡가의 재기가 엿보인다. Enescu의 Concert-piece는 viola와 piano를 위한 작품으로 곡 전체에서 비올라를 위한 서사시적인 전개와 카덴차 풍의 작곡기법을 고루 사용하여 정열적이면서도 한층 더 어두워진 테마의 맛을 느낄 수 있다. The background of the piece,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through history, and its specific structures, techniques and distinctive features observed through musical analysis actually help the reemergence of the genuine art piece. Based on these aspects, this essay studies four different pieces that are from various generations and have each different structur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as follows. Eccles's g minor sonata is arranged in Grave - Courrente - Adagio - Vivace. This specific sonata is written in the format of the sonata's indoor contours and has the features of Baroque‘s suite. Handel-Halvorsen's "Passacaglia" is a duo piece written for violin. In the piece, different musical compositions are used differently in each of the musical variation. You can see that this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tensity and bringing out the colorful spectrum of the instrument. Reinecke's Drei Fantasiestucke, written for viola and piano, is one of piece that contemplates the romantic sentiments of the Germany's 19 century. Furthermore, it is composed of 3 movements which depicts the theme of lovers. The profound talent of the composer can be noticed through beautiful melody, iamb rhyme, middle speed chord, and the disposition of the motive and etc. introduced in each of the movements. Enescu's Concert-piece, written for viola and piano, accentuates the role of viola and displays development of the story through the narrative point of view. Moreover, it uses cadenza‘s style of composing techniques, which expresses not only the passion but also the dark mood throughout the piece.

      • 통합교과에서의 질문형성기법 적용이 창의적 인재 역량에 미치는 효과

        오승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질문형성기법을 적용한 통합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통합교과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질문형성기법의 단계를 적용하기에 용이한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그에 따른 학습주제를 선정하여 11회기(20차시) 분량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2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질문형성기법을 적용한 통합교과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특성으로 문항이 구성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11회기(20차시) 분량의 질문형성기법을 적용한 통합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취기준과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11가지의 주제를 선정하고 질문형성기법의 6단계와 연계하여 교수·학습 내용을 구성하였다. 각 차시별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주제마다 질문의 초점과 우선순위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창의적 인재 역량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해보면 질문형성기법을 적용한 통합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t=6.663, p<0.001). 하위 영역별로도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특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진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질문형성기법을 적용한 통합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 신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통합교과의 다양한 주제와 접목시켜 저학년 학생들에게 질문형성기법(QFT)을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질문형성기법(QFT)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괴롭힘 상황에서 자기주장성과 주변인의 행동유형의 관계 : 또래관계와 학생-교사 관계의 매개효과

        오승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학교생활에의 적응은 중요하다. 이 때 또래관계와 교사와의 관계는 학교생활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반면, 학교폭력과 같이 크거나 작은 또래 괴롭힘 상황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괴롭힘 문제는 가해자와 피해자뿐만이 아니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괴롭힘 상황을 보거나 들은 다수의 청소년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괴롭힘 상황에서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은 다수의 사람들을 주변인이라고 하며, 주변인은 괴롭힘에 동조하거나, 방관하거나, 피해자를 도와 방어하는 등의 행동을 할 수 있다. 주변인들은 또래 괴롭힘 현상의 지속여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데 특히 피해자에 대한 주변인의 방어행동은 괴롭힘 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후에 피해자가 심리적으로 적응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중요하다. 따라서 괴롭힘 상황에서 청소년의 참여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간의 관계, 구체적으로 각 요인들이 어떠한 상호작용을 통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개인적 변인으로 자기주장성, 환경적 변인으로 또래 관계와 학생-교사 관계를 통해 괴롭힘 상황에서 중학생 주변인의 행동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장성, 주변인의 행동유형, 또래 관계, 학생-교사 관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자기주장성, 또래 관계, 학생-교사 관계는 주변인의 행동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기주장성과 주변인의 행동유형의 관계를 또래 관계와 학생-교사 관계가 매개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충청 지역의 4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중학생 총 4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자기주장성 척도, 주변인의 행동유형 척도, 또래 관계 척도, 학생-교사 관계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한 자기보고식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주변인으로 분류된 29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여 각 변인간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어자는 자기주장성, 또래관계, 학생-교사 관계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이때 방관자, 동조자 보다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는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의 방어자 행동유형에 자기주장성, 또래 관계, 학생-교사 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방관자는 동조자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방어자는 방관자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괴롭힘 상황에서 방관자가 잠재적인 동조자도 방어자도 될 수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둘째, 자기주장성, 또래관계, 학생-교사 관계 모두 주변인의 행동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방어자일수록 동조자나 방관자에 비해 자기주장성, 또래관계, 학생-교사 관계의 점수가 현저하게 높았다. 즉,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자를 방어하는 중학생들은 괴롭힘 상황을 방관하거나 가해자를 동조하는 중학생들에 비해 자기주장적이며 또래나 교사와의 관계가 좋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자기주장성과 주변인의 행동유형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와 학생-교사 관계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대방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쾌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자기의 의견이나 생각, 느낌을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나타내는 행동을 의미 하는 자기주장성이 직접적으로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의 방어자 행동유형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또래관계와 학생-교사와의 관계라는 매개를 거쳐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뜻한다. 자기주장성은 개인의 대인관계나 문제해결방식 같은 사회성과 관련이 있으므로, 주변인의 행동유형을 예측할 때 사회적 관계인 또래관계와 학생-교사 관계를 매개하는 것이 설명력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괴롭힘 상황에서 중학생의 자기주장성, 또래관계, 학생-교사 관계는 주변인의 행동유형에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과, 자기주장성이 또래관계와 학생-교사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여 주변인의 행동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을 대상으로 빈번히 연구되어 왔던 또래관계, 학생-교사 관계의 영향력을 파악한 것과 함께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비하였던 자기주장성도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 행동유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의 행동유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경험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or young people,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becomes a foundation of healthy growth by giving posi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However, bullying situations in a variety of ranges, such as school violence negatively affect the adaption to school life of young people. Such bullying problems also affect the majority of people who directly and indirectly witness or hear bullying situations as well as their victims and perpetrators. In this regard, the majority of people with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from the bullying problems are called bystanders. Bystanders can take actions of participating in bullying situations, neglecting the scenes, or helping the victims. The behavioral types of bystanders, such as reinforcer, outsider, defenders are highly important since the associated behaviors can prevent or aggravate bullying situ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of bystanders’ behavioral types in bullying situa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self-assertiveness as a personal variable and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as environmental variabl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relations among self-assertiveness, bystander’s behavioral types, peer relationships,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econd, do self-assertiveness, peer relationships,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bystander’s behavioral types? Third, do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have mediating effects on self-assertiveness and bystanders’ behavioral typ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a survey was conducted for total 454 male and female students in 4 middle schools located in Chungcheong-do. The survey was comprised of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self-assertiveness scale, bystander’s behavioral type scal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and demographic questions. Afterwards, the research was performed for 293 students who were classified as bystanders. For th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mong each variab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stage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1986) were performed.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fenders showed higher correlations in self-assertiveness,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than outsiders and assistants, which implicated that the variables of self-assertiveness,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can play significant roles in bystanders’ defending actions in bullying situations. Outside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ssistants, and defende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outsiders. It can be interpreted that outsiders can be potential assistants and defenders as well.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assertiveness,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re all significant variables according to bystanders’ behavioral types. As the score as defenders was higher, the scores of self-assertiveness,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were noticeably higher compared to assistants or outsiders. In other words, it was assumed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defended the victims in bullying situations were more self-assertive and had good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compared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neglected or assisted the predators.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peer relationship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art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elf-assertiveness and bystanders’ behavioral types. It i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self-assertiveness, an action of expressing individual opinions, thoughts, feelings in hones and straight ways without violating or offending other’s rights does not only affect the defending behaviors of bystanders in direct bullying situations but also indirectly has influences through the mediation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ince self-assertiveness exerts in individual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problem-solving methods, it can be assumed that it has power of explanation by mediating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when predicting bystander’s actions. The research findings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n empirical material to comprehend bystanders’ actions in bullying situa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verifies that self-assertiveness,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has influences on bystanders’ behaviors in bullying situations, and self-assertiveness can affect bystanders’ behaviors by partly mediating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wo implications: it explored the influences of peer relationship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which have been frequently investigated in terms of bullying bystanders. It also confirmed the fact that self-assertiveness with relatively insufficient existing studies affects bystanders’ behaviors.

      • 코로나19에 따른 학교도서관 운영 현황과 대응 방안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오승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andemic caused by the COVID-19 outbreak in 2020 threw the whole world into panic and in the education sector, brought a transition to a new education paradigm. Facing the pandemic that doesn’t seem to come to an end so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mandated online education as a new pedagogical way to reach students. Accordingly, school libraries began to implement non-contact management and restrictive management measures. However, the way a school library is managed under the pandemic situation differs from school to school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of the school the library is affiliated with.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each school library is currently being managed and what measures are needed in the future. The research questions that guide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changes have been made in school library manage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econd, what difficulties do librarians or teacher librarians face in the management of school libraries under the COVID-19 situation? Third, what continuing education do librarians or teacher librarians need to manage a school library online? To answer these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librarians or teacher librarians working in 293 school librar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rom them, 132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ommon manual for school library management should be set out to help librarians or teacher librarians deal with the pandemic situation consistently across schools. Second, continuing education for librarians and teacher librarians should be expanded regarding online management of a school library. Third, there is a need for increased electronic resources and continued support. Fourth, a reawareness should be built to understand the role of a school library as physical space and online space. Fifth, the budget for online management and preventive measures should be augmente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surveyed librarians and teacher librarians working in a specific city,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refore, the findings can not be generalized to to other areas. Nevertheless, the findings would serve as bas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a school library management policy in the future by looking into the operational status of school library management, including restrictive management actions, online services, and facility and budget under the COVID-19 situation, and librarians’ or teacher librarians’ needs for continuing education.

      • 한국 직업발레단의 공연 repertory와 외국발레단의 공연 repertory 비교분석

        오승연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직업발레단인 국립발레단과 유니버셜 발레단은 그 동안 발레관객들에게 클래식 발레작품의 진수 <지젤<Giselle)>, <백조위 호수(Swan Lake)>, <호도까기 인형(Nutcracker)> 등을 비롯해서 <Serenade>, <Allegro Brillante>와 같은 발란신의 신고전주의 작품들 그리고 보리스 에이프만 안무 <Requiem>, 페르난드 놀트 안무의 <Carmina Burana> 등과 같은 현대발레작품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연 repertory를 선보이고 있다. 21세기의 새로운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발레단의 공연 repertory를 살펴봄으로써 좀더 새롭고 다양한 repertory의 개발 및 정착을 이루어 국내 발레공연의 발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1973년 국립무용단에서 분리되어 독립적인 활동을 시작한 국내 최초의 직업발레단인 국립발레단과 최초 민간단체로서 1984년 두 번째 직업발레단 활동을 시작한 유니버셜 발레단의 공연활동을 중심으로 각 발레단史를 연구하고 외국발레단(미국 Atlanta Ballet, 영국 Royal Ballet)의 공연 repertory와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국내발레단의 공연 repertory에서 다음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고전주의 형식의 클래식 작품에 치우쳐 있으며 전막공연 위주의 공연 repertory로 형성되었다. 둘째, 국내발레단은 발레공연시 현장음악을 담당하는 교향악단이 편성되어있지 않다. 셋째, 국내발레단은 외국발레단에 비해서 무용수 인원이 현저하게 부족하다. 넷째, 고정 repertory의 부족과 새로운 형식과 내용의 창작 발레를 창조하는 작업을 회피하고 있다. 넷째, 기획과 홍보 그리고 극장운영의 미흡함 등을 인지할 수 있었다. 또 그 해결책으로 첫째, 클래식 전막공연의 경우 의상, 무대장치 등의 경제적 부담감이 크게 작용하므로 경제적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현재발레작품과 단막발레작품들로 공연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둘째, 무용과 음악의 완벽한 조화를 이루어 완성도 높은 작품을 공연하기 위해서 극장자체 발레를 담당하는 교향악단의 편성과 전임 지휘자의 선정이 필요하며 셋쩨, 부족한 무용수 부족으로 인하겨 객원무용수와 함께 작업할 경우 야기될 수 있는 '꼬르 드 발레(Corps de ballet)'의 부조화를 막기위한 무용수의 충원과 객원무용수 공개 오디션 실행, 넷째, 창작 발레를 활성화하기 위한 상임안무가 제도 도입, 다섯째, 관객에게 친근감과 편안함을 줄 수 있는 극장시설의 운영 및 새롭고 다양한 기획공연과 홍보활동 등을 통해서 폭 넓은 관객층을 확보하여 다양한 공연 repertory를 개발하고 보다 활성화된 공연으로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In 1973, Korea's first Nationala Ballet company was established and to ork independently. In 1984, after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 Ballet Company, which was the first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korean Ballet Companies (K.B.C.: National Ballet Co. & Universal Ballet co.) formed repertories throught trials and errors. Also, K.B.C. planned and prepared their activation of performances. From <Giselle>, which represents the Romantic Ballet, to modern ballet performances, K.B.C. worked diligently and hard to bulid more various repertories. For the advancement of K.B.C. and to bulid more various repertories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activation of performences, I carefully studied many performed repertories, which were performed before Korean Ballet audiences. First, in chapter 2, I viewed the history of K.B.C. and the foreign ballet companies(Atlanta Ballet & Royal Ballet). In chapter 3, I compared and analyzed performed repertories(form 1989-1997) and found many problem areas of Korean Ballet Companies' performed repertories. The results are: first, the choices of K.B.C. were the traditional type of classial performance. Second, in the theater where the was ballet was performed, there was not an additional orchestra for the performance only. Third, in comparision to the foreign ballet companies, K.B.C. does not have sufficient dancers. Fourth, K.B.C. do not like to perform newer preductions and there are lack of fixed repertories for ballet company. Fifth, the works of efficient advertisements(introduction of ballet company & upcoming programs of performances) are weak. Therefore, for better activation of performances of K.B.C.: first, to reduce burden of finance and cost of prodution, K.B.C. should only perform a part of a complete performance at times. By doing this kind of performance, K.B.C. will set a precedent among the traditional ballet performances. Second, there should be an official conductor and an orchestra for the ballet performances. This should allow the performances to appear more perfect and more beautiful. Third, there should be an audition for the guest dancers and other dancers within a performance. Fourth, there should cast boldly to receive better response from the audiences. They should plan to perform and to produce a production according to a given season. Also, there should be an organization of theater facilities to provide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for the audiences. In conclusion, for the advancement of K.B.C. and the activation of performance, we should put our efforts and interests in creating more various repertories to obtain many levels of audiences.

      • 韓國 古代 山城 集水池 硏究

        오승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고대 산성에서 물과 관련된 시설은 지표수 저장을 위한 못(池)과 지 하 용출수를 이용하기 위한 우물, 샘으로 구분된다. 지금까지 산성의 못 은 저수지, 저수조, 집수정, 우물, 연못, 연지, 원지 등으로 다양하게 불 렸으나 ‘산성의 지표수를 모으기 위한 못’이란 뜻의 가장 적절한 용어 인 ‘산성 집수지’를 선택하였다. 지금까지 신라와 백제를 합쳐 대략 42개 성, 102기의 집수지가 발굴 되었다. 그 중 속성 추출이 용이한 36개 성 79기 집수지를 대상으로 소 개하고 일반적 축조 공정을 분석, 제시하였다. 이어서 집수지의 축조재 료, 평면형태, 단면형태, 면석의 축조상태, 규모 등을 기준으로 분류를 시도하였다. 분류 결과, 신라는 5형식, 백제는 3형식, 통일신라는 2형식으로 설정 가능하다. 요약하면 신라는 수직, 바른층쌓기, 중·대형이고 백제는 경 사, 허튼층쌓기, 중·소형이 특징이다. 신라는 5세기 후반부터 6세기 중반까지 목조집수지(Ⅰ형식)가 유행하 였다. 그리고 6세기 중반 경, 짧은 기간 동안 목재와 석재를 함께 사용 한 집수지(Ⅱ형식)를 사용하다가 곧이어 석축집수지로 완전히 전환된다. 이후 삼국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던 6세기 중반에서 7세기 중반까지는 앞선 목조집수지의 기본 구조(장방형, 수직)에 재료만 석재로 바뀐 집수 지(Ⅲ형식)와 재료와 평면플랜 모두 새로 채택(원형, 계단)된 집수지(Ⅳ 형식), 전혀 이질적(부정형, 허튼층)인 집수지(Ⅴ형식)가 함께 사용된다. 신라가 통일을 이룩한 직후에는 앞선 시기의 영향(원형·방형, 수직·계 단)이 남아 있는 집수지(통·신Ⅰ형식)가 축조되다가 9세기 중반 이후 후삼국 시대에 이르면 이전 시기에 보이지 않던 경사형 단면을 가진 집 수지(통·신Ⅱ형식)가 주류를 이루게 되면서 신라 산성 집수지의 전개는 막을 내리게 된다. 백제 산성 집수지는 큰 흐름에서는 목재에서 석재로 변화했다고 추정할 수는 있겠으나 공산성과 마로산성, 고락산성에서 백 제 Ⅰ형식(목조-목곽고+점토집수정)과 Ⅲ형식(석축) 집수지가 공존하 는 것으로 보아 시간적 선후 관계는 신라만큼 뚜렷하지 않다. 그리고 신라와 백제는 집수지의 규모와 배치 관계가 다르다. 신라는 중·대형의 집수지를 집중시키는 배치 경향이고 백제는 중·소형 집수지 를 분산시키는 경향이다. 집수지의 규모와 분산과 집중이라는 배치 방법 의 차이를 통해 신라와 백제의 산성 운영 시스템 자체가 달랐음을 짐작 할 수 있다. 고대 산성 집수지의 수원은 강우에 의한 우수를 원천으로 하되, 상시 사용 가능한 수원은 계곡의 지표수이다. 곡부 입지 집수지는 성내 지표 수를 수원으로 하고, 성 내부에 계곡이 없다면 부득이하게 성 바깥 계곡 에서 물을 길어 날랐을 것이다. 어떤 이유에서건 산성 집수지에는 반드 시 물을 채워야 했기 때문이다. 백제 목곽고는 계곡에 입지한 경우 집수지로, 구릉에 입지한 경우는 창고로 사용되었음을 규명하였다. 집수지는 수질 확보와 규모 문제를 고려하면 식수로 사용하기에 부적 합하다. 집수지의 주요 기능은 성내 유수 조절, 방화수, 정원으로서의 원 지, 제장 등으로 볼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기능은 성내 유 수 조절과 방화수 기능이다. 정원의 원지나 제장으로서의 기능은 특정 유적에만 국한된 현상으로서 기본적 기능에 더해진 부가적 기능이다. Within the ancient mountain fortresses of Korea, There existed two distinct types of water-related facilities : ponds for storing surface water and springs or wells for utilizing underground spring water. Historically, these ponds were referred to by various terms such as 'reservoir,' 'water storage tank,' 'water collection pond,' 'well,' and 'pond.' To establish uniformity from now on, I will use the term 'mountain fortress water collection pond'. So far, 102 mountain fortress water collection ponds across 42 fortresses built by Silla or Baekje have been excavated. In this study, 79 mountain fortress water collection ponds out of 36 fortresses , which conveniently classified by attribute. The study delved into the excavation of these ponds, analyzing their construction processes and general attributes. Classification efforts were made based on materials, bottom and wall shapes, stone and rock construction conditions, and sizes. Results indicated that Silla and Unified Silla featured vertically and orderly constructed water collection ponds, generally of larger scales. In contrast, Baekje's ponds were somewhat disorderly and smaller to medium-sized. Evolutionary patterns emerged, with Type 1 ponds (surrounded by wooden walls) prevalent in late 5th to mid-6th century Silla. Type 2 ponds, featuring walls of wood and stone, emerged briefly around the mid-6th century. Subsequently, wooden walls disappeared, leaving only stone walls. Three new types (Types 3, 4, and 5) were introduced from the mid-6th to mid-7th century, coinciding with the peak of conflicts among the three kingdoms. Post-unification, Unified Silla Type 1 ponds retained previous influences, while Unified Silla Type 2 ponds with inclined cross-sections emerged in the 9th century, marking the end of Silla Mountain water collection pond development. Baekje exhibited shifts from wood to stone in water collection ponds, with coexisting Types 1 and 3 in certain fortresses, complicating chronological determination. Silla concentrated medium to large ponds, whereas Baekje dispersed medium to small ponds, hinting at distinct fortress operating systems. Water sources varied, with rainwater for Godae Mountain Fortress and groundwater for year-round accessibility. Valleys within fortresses sourced surface water, while those lacking valleys drew water from outside. Regardless, ponds needed constant water supply. Baekje's Mokgwakgo used valleys as water collection ponds, contrasting hill-based locations used for warehousing. Despite unsuitability for drinking due to water quality and size, water collection ponds served essential roles in fortress water flow control and fire prevention, with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landscaping and religious services appearing in just a few historic sites.

      • COVID-19 전후 일중 코스피200 현물시장에서의 거래량 효율성에 관한 연구

        오승연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eks to analyze how the COVID-19 pandemic, which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global economy and financial markets, has affected Korea's securities spot market. To this end, we empirically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pot market returns and transaction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nd used the KOSPI200 index to use it as a preemptive study for future futures market analysis. Due to COVID-19, which occurred in 2019, 690 million people were confirmed worldwide and 6.9 million people died. In addition, the COVID-19 pandemic has become one of the international events that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global health and the economy, including a major stock market crash in 2020. Therefore, we would like to empirically analyze what changes the Korean stock market has experienced as a result of this and further suggest implications for responding to future financial crises and establishing investment strategies. The KOSPI200's 5-minute intraday return and transaction change index were used as samples for this study, and the data was obtained through the Korea Exchange. The entire analysis period is from January 1, 2019 to February 10, 2021, and the outbreak of COVID-19 began on January 20, 2020, when the first COVID-19 patient occurred in Korea.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Prior to this study, a unit root 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stability of the KOSPI200 stock price and trading volume variables, and it was found to be stable time series data. Additionally, through cointegration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 long-term st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vector autoregressive model and Granger causality analysis. First,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lag of the vector autoregressive model, a lag of 30 including a constant term was applied as the appropriate lag based on the AIC and BIC values, an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ector autoregressive model [VAR(30)],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short-term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KOSPI200 previous year's return and the current period's return, and that the previous period's return affects the current period's return for about 35 minutes. It was analyzed that it affects the amount of change for about 5 minutes. In addition, KOSPI200's previous trading volume has an effect on the current term's rate of return for approximately 20 to 35 minutes, and has been shown to have a strong impact on the current transaction's volume. Second, as a result of Granger causalit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KOSPI200 transaction change and rate of return during the entire analysis period, both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ransaction change was related to rate of return. Although it has no effect, the rate of return appears to have an effect on the amount of transaction change.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a stronger positive relationship appeared after the COVID-19 outbreak than before. In other words, it is analyzed that as trading volume and price have increased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a stronger positive relationship has emerged between transaction change and rate of return. This is due to the economic stimulus measures in many countries due to COVID-19. Efforts were made to support the economy through measures such as introducing and lowering interest rates, and it can be inferred that these policies provided stability to the stock market and had a positive impact on some markets. In addi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rading volume in the stock market has increased as more attention is focused on investment, reflecting remote work, the acceleration of digitalization, and the psychological state of investors.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existing previous studies, most studies showed that stock prices and trading volume influence each other, but in this study, the rate of return affects the amount of transaction change, but the amount of transaction change does not affect the rate of return. As a result, result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existing literature were obtained.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rate of return and trading volume is the same as the previous study. Additionally, among existing studies related to COVID-19, there is information that if the number of new patients increases rapidly, the domestic stock index will show a downward trend for the next three months and then continue to rise. In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is study, as the number of new confirmed cases increased from January 20, when a corona patient was discovered in Korea, the domestic stock index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after hitting the lowest point of the year in March 2020, a similar trend to existing previous studies. is showing. However,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it is limited to the KOSPI200 spot market, so analysis of changes in the rate of return and trading volume of the KOSPI200 spot and futures market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s well as the degree of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rkets, is left as a future research subject. 동 연구는 세계 경제와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친 코로나19(COVID-19) 팬데믹이 우리나라 유가증권 현물시장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코로나19(COVID-19) 발생 전과 후의 현물시장 수익률과 거래변화량 사이의 인과관계를 실증 분석하였으며, 추후 선물시장 분석의 선제 연구로 활용하기 위해 KOSPI200 지수를 활용하였다. 2019년 발생한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전 세계에서 6억 9천만 명이 확진되었으며, 6백 9십만 명이 사망하였다. 또한, 2020년 주가 대폭락 사태가 발생하는 등 코로나19 팬데믹은 세계 보건과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 국제적 사건 중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이로 인해 우리나라 증권시장은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향후 금융위기 대응 및 투자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표본으로 KOSPI200의 일중 5분별 수익률과 거래변화량 지수를 활용하였으며, 해당 자료는 한국거래소를 통해 구하였다. 전체 분석 기간은 2019년 1월 1일부터 2021년 2월 10일까지이며, 우리나라에 처음 코로나19(COVID-19) 환자가 발생한 2020년 1월 20일을 기점으로 코로나19 (COVID-19) 발생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앞서 KOSPI200 주가와 거래량 변수의 안정성 검정을 위해 단위근 검정을 시행한 결과 안정적인 시계열 데이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로 공적분 분석을 통해 두 변수 간에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벡터자기회귀모형과 그랜저(Granger) 인과관계 분석을 이용하였다. 먼저, 벡터자기회귀모형의 적정 시차를 결정하기 위해 AIC, BIC 값에 기초하여 상수항을 포함하는 시차 30을 적정 시차로 적용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벡터자기회귀모형[VAR(30)]을 분석한 결과, KOSPI200 전기 수익률과 당기 수익률 간에는 단기적인 인과관계가 존재하며 전기 수익률이 당기 수익률에 약 35분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당기 거래변화량에는 약 5분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KOSPI200 전기 거래변화량은 당기 수익률에 약 20분에서 35분 정도 영향을 미치며, 당기 거래변화량에는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랜저(Granger) 인과관계 분석 결과 전체 분석기간, 코로나19(COVID-19) 발생 이전과 이후 모두 KOSPI200 거래변화량과 수익률은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래변화량은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수익률은 거래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발생 이전보다 이후에 더 강한 정(+)의 관계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코로나19(COVID-19)의 발생 이후부터 거래량과 가격이 증가함에 따라 거래변화량과 수익률 사이에 더욱 강한 정(+)의 관계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경기 부양책을 도입하고 금리를 낮추는 등의 조치를 통해 경제 지원을 위해 노력하였고 이러한 정책이 주식시장에 안정성을 제공하고 일부 시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또한, 원격 작업과 디지털의 가속화, 투자자의 심리 상태 등이 반영되어 투자에 더 많은 관심이 쏠리게 되면서 주식시장에 거래량이 증가하였을 것으로 추론해볼 수 있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와 비교·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에서 주가와 거래량은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익률은 거래변화량에 영향을 미치지만, 거래변화량은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문헌과는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하지만 수익률과 거래량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결론은 기존 연구와 동일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코로나19와 관련된 기존 연구 중 신규환자가 급증하면 국내 주가지수는 향후 3개월간 하락세를 보이다 지속적으로는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는 내용이 존재한다. 본 연구와 비교 분석해보았을 때 우리나라에서 코로나 환자 발생한 시점인 1월 20일부터 신규 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 주가지수는 2020년 3월 연중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선행연구와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동 연구의 한계점으로 KOSPI200 현물시장에 국한되어 있어 코로나19 (COVID-19) 발생 전과 후에 KOSPI200 현물 및 선물시장의 수익률과 거래량 변화, 두 시장 간 관계의 변화 정도 등에 대한 분석은 추후 연구과제로 남기기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