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똥과 한국시의 상상력 : 정호승과 최승호의 시를 중심으로

        오성호 ( Oh¸ Seong-ho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1 한국문학연구 Vol.- No.66

        이 논문은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시에서 똥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 근대시에서는 똥이 거의 등장하지 않거나 똥의 부정성을 풍자의 도구로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의 시에서는 이전과는 달리 똥을 적극적으로 시적 표현의 대상을 삼을 뿐 아니라 똥의 긍정적인 가치와 의미를 제시하는 작품들이 다수 발견된다. 근대 이후 혐오와 폐기의 대상으로 간주되어 생활 밖으로 밀려났던 똥이 다시금 우리 삶과 상상 속으로 되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물론 똥을 이해하고 형상화하는 방식은 개별 시인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정호승은 자연과 문명의 경계에서 이루어지는 똥 누기에 주목했다. 여기서 경계란 인간과 자연 사이의 물질대사가 단절 없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뜻한다. 이 경계 지대를 대표하는 장소로는 절간의 해우소를 꼽을 수 있다. 해우소는 자연과 문명의 경계이자, 더러움과 깨끗함이 교차하는 경계이며, 성과 속의 경계이기도 하다. 이에 비해 최승호는 문명의 세련성과 위생의 청결을 상징하는 수세식 화장실의 하얀색 도기 변기를 통해 문명의 매혹과 공포를 동시에 환기시킨다. 모든 것을 빨아들여 파괴시키는 블랙홀을 연상시키는 이 변기는 욕망과 허무, 소용돌이치는 물살 속에 산산히 해체되는 욕망을 보여주는 알레고리적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이 정호승과 최승호의 시가 그려낸 똥, 혹은 변기의 모습이다. 그러나 넘쳐나는 똥이 인간과 환경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사이언스 월든> 기획과 관련해서 보자면 똥 그 자체에만 집중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하기는 어렵다. 생태적으로 건강한 미래를 위해서는 똥을 처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똥의 배출 자체를 줄이는 것이 더 생산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먹는 것과 싸는 것을 둘이면서 둘이 아닌 것으로 보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런 발상의 전환이 전제되어야 똥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에 가까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끊임없이 인간의 식욕을 자극해서 필요 이상으로 많은 것을 먹도록 만드는 자본주의 문화와 욕망의 정치와 맞서 싸워야 함을 의미한다. <사이언스 월든> 기획과 관련하여 인문학과 문학(시)이 기여할 부분이 있다면 바로 이 점에서일 것이다. 이런 싸움을 통해 먹는 것에 대한 욕망이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수준을 넘어서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면 똥 문제 해결은 물론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달성하는 데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단지 덜 먹는 것만으로도 제 수명의 반도 누리지 못한 채 도살되어 식탁에 오르는 수많은 동물들에게 제 몫의 삶을 되돌려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시적 상상력이 단지 똥과 똥을 처리하는 문제를 넘어서 식욕과 먹는 것을 줄이는 문제에까지 확장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In this article, I analyze how human waste is portrayed in modern Korean poetry since the 1980s. Contrary to the tendencies of the previous decades that drew upon negative imagery of feces for purposes of satire, works produced after the 1980s actively embrace feces as a legitimate object of poetic exploration, many of which offer positive insights about human waste. In this regard, the new trend shows how human waste, which the modern world had relegated to an object of disgust that should be eliminated from our everyday activities, is reentering our lives and imagination. The way each poet regards and portrays human waste varies widely. I categorize various works that treat feces as their poetic subject matter into two strands, depending on how the act of defecating is portrayed: “defecating on the border,” and “defecating in closed space.” First I analyze the works that portray defecating on the border, which is rooted in understanding defectating as an act of cleansing the body and mind. In the poems, Hae-woo-so, the toilets in Korean Buddhist temples, represents boundary between wilderness and civilization; filth and cleanliness; the sacred and the secular. In this section I additionally examine several works that employ the imagery of defecating in an open space, which are grounded in understanding defecation as the very act of returning what the soil has given humanity to its origins and thereby enriching the soil. Defecation is therefore an act of communicating with nature. Yet imagining defecation as an act of deviance simply underscores the positive aspects of human waste, while disregarding its ambivalent nature. Then I analyze how defecating in a closed space is portrayed, in particular the depiction of traditional Korean toilets and modern flush toilets. The traditional toilet may seem unsanitary from modern standards of hygiene, but it is portrayed as a communal space where people’s lives intersect, which is in contrast to the cold and impersonal rationality of modernized toilets. In the works I analyze, the white ceramic of the modern flush toilet, a symbol of modern refinement and sanitation, simultaneously represents the attraction and threats of civilization. Thus, the toilet, evoking a black hole that devours and destroys everything, is portrayed as a symbol of desire disintegrating into nothingness. Above is a brief overview of how human waste has been represented in modern Korean poetry since the 1980s. In the context of Science Walden project that explores solutions for the growing environmental threats posed by human waste, my article is only part of a larger portrait. There is still much that literature has yet to address if we hope to build a future where we are safe from the environmental threats posed by human waste. One important contribution to this goal would be transforming the way we regard eating and defecating from separate activities into correlated ones. This transformation in perception would be the first step for actively seeking solutions; only when we are more attentive to what we eat can we solve the current waste crisis. Instead of trying to fix the overflow of human excretion, it is more rational to produce less waste in the first place. Ultimately, this work points to the urgent need to challenge the current capitalist culture and politics of desire that incessantly pique our appetite and force us to consume more food than we need. Changing the way we look at feces is the most meaningful intervention that studies of humanities and literature (and in particular, poetry) can make as part of the current Science Walden project. Challenging the way our desire and consumption are organized under the current capitalist system teaches us how to distinguish between fabricated desire and real need, allowing us to limit our consumption to fulfilling our bodily needs and ultimately helping solve the waste crisis by reimag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y and nature. The simple act of consuming less can significantly reduce environmental harm and save the lives of countless animals that are killed prematurely to feed humans. In this regard, I believe the poetic imagination will go beyond rethinking feces and the act of defecation to addres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our appetite and the act of consumption.

      • KCI등재
      • KCI등재

        백석 시와 무속

        오성호 ( Oh Seong-ho )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4 No.-

        이 논문은 백석 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무속, 그리고 토속신앙에 관한 것이다. 백석이 그린 고향은 근대적 합리성이 아니라 주술적인 세계관에 기초한 다양한 토속신앙과 전래된 가치관, 윤리와 도덕, 관습 등에 의해서 지배되는 공간이다. 백석은 이 중에서도 특히 무속에 깊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무속은 백석 시의 중요 소재가 되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백석은 무속에 기대어 삶의 고통과 불행을 견뎌나가는 사람들의 모습에 관심을 더 가졌다고 할 수 있다. 그 뿐 아니라 무속 행사 등을 통해 경험한 무가나 무가 계열의 민요는 백석의 창작방법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백석 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열거 기법은 무가나 무가 계열의 민요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법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정주 지방에서 불려지던 「귀신쫓기」라는 민요, 그리고 무가의 일부인 「굿거리」 등은 백석의 대표작 중의 하나로 거론되는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시에서 다양한 귀신들의 이름을 그 거소와 함께 일일이 호명하는 방식은 무가의 표현 형식을 창조적으로 변용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 시의 내용은 주술적인 세계관에 긴박되어 있는 전근대적인 세계와 이성과 과학이 지배하는 근대 사이에 끼인 주체의 고민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이 시는 온통 귀신들에 의해 지배받고 있는 집과 마을을 떠나 ‘행길’로 상징되는 근대적인 세계로 나아가려는 주체의 욕망과 그 좌절을 그린 시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 시에서 호명되는 귀신들이 모두 생활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가신(家神)들로, 가정의 평안과 무사, 가족구성원의 건강과 안녕을 수호하는 존재들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이들의 존재를 믿는 것은 단순히 미개와 야만의 흔적으로 치부될 수 없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백석은 이런 귀신들이 지배하는 공간으로부터 벗어나 근대적 합리성이 지배하는 빛의 세계로 나아가려는 시적 주체의 열망이 끝내 좌절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이 좌절은 근대에 대한 불안과 공포, 그리고 전근대적인 세계에 대한 무의식적 이끌림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말하자면 이성의 빛 앞에 홀로 서는 근대의 경험이 주는 부담감과 피로감에 대한 반작용이 전근대적인 세계가 주는 심리적 안정감에 기울게 만든 요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점은 백석을 포함한 근대 지식인들의 근대 세계로 진입하는 과정이 결코 아무 갈등 없이 단선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님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근대성 내부에 근대성에 반하는 움직임이 존재하고 있음을 말하는 ‘근대성의 변증법’을 운위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This article aims to demonstrate that Baekseok’s constant interest in the traditional way of life in his hometown of Jung-ju derives from his search for identity. In the hometown that Baekseok portrays in his poems, traditional folk beliefs, values, morals, and ways of life are the standard rather than modern rationality. The local community passes on knowledge, belief systems, and customs through everyday life and oral traditions. Baekseok’s poems retain traces of rich oral traditions such as folklore, legends, local customs, and superstitions, and they reflect shamanistic themes taken from oral traditions instead of firsthand experience. The influence of oral tradition on Baekseok’s work is also evidenced by his colorful, rich phrases drawn extensively from vernacular speech and his descriptive and epic characterizations. Shamanistic experiences are an important part of Baekseok’s poems, and they directly influence The Village Full of Spirits. This poem provides clues to understanding the origins and hallmarks of Baekseok’s unique compositional style, known as “interweaving.” The poem’s content and structure are deeply rooted in Jung-ju’s regional folk song, “Shunning Spirits,” and a shamanistic song, “Gutguri.” In addition, the poem’s narrative also reveals the poetic narrator’s search for identity as he is caught between the premodern, shamanistic world and the modern world. On the surface, the poem recounts the narrator’s desire to leave his hometown, which is haunted by spirits, and his failure to do so. Escaping from these spirits could symbolize leaving behind a primitive, mythic world and moving into an enlightened world ruled by modern rationality. But the spirits named in this poem all abide in the everyday, domestic space and look after the family’s well-being, health, and prosperity. Therefore, the belief in these spirits’ existence cannot be reduced simply to savage and backward practices. Alternately, escaping from these spirits could signify relinquishing belief in the comfort and security provided by premodern life. From this perspective, the poem can be read in a new light: as a desire for modernity and the frustration of that desire. In other words, the narrator is inhibited not by spirits disempowered with the advent of the scientific age, but by unfulfilled desire or unconscious attraction to the comfort that premodern times offer. The themes reflected in The Village Full of Spirits suggest that the modernizing path that modern intellectuals-Baekseok included-took was not a smooth road but a bumpy one because modern and anti-modern forces exist simultaneously and in tension with each other.

      • 공무원의 개방형 임용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오성호 (Seong Ho Oh)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8 社會科學硏究 Vol.11 No.-

        Open recruitment system is one of the personnel management system which late entry is possible in every level of government. So, in every position, recruitment is implemented through open competetion, and it doesn't matter whether the candidate is in or o

      • KCI등재

        천리마대고조기(1958-1967)의 북한 시 연구

        오성호(Oh Seong-ho) 한국시학회 2007 한국시학연구 Vol.- No.20

        During the “Chollima movement” period, North Korean poems contributed to maintain and to reinforce overall social mobilization system, leading people toward the idea of future communists’ world with ‘mass-intoxication’ and overheated enthusiasm. Collima was a symbol of ‘change’ and ‘speed’, which were the most important values in this period, and, while describing the Chollima leaders, the poems asked North Korean people for unlimited sacrifice and devotion to build the communists’ world. North Korean poems sought the origin of Chollima leaders and of their virtue as communist from anti-Japan patriots during the colonial era. It meant that resistance to the imperialism had been formed as one of “national narratives.” It was unavoidable that anti-Japanese fights became praised most-highly, and that, thereafter, Kim Il-Sung worship was much more strengthened. As a result, Kim’s family was sanctified, and it was developed to the idea that the whole nation is Kim’s expanded family and that the communists’ utopia means a huge home headed by their great leader. In conclusion, what the poems of this period tried to say was that the Great Leader awakened his people, armed with communist’s moral, to lead them to build affluent country and finally to the Utopia. The utopia-building story could reinforce national narrative of all peoples’ resistance against the imperial invasion. On the other hand, it also had them create a closed and narcissistic self image ? “pure people leaving on a pure land.” Under the collective and intoxicative passion, North Korean poems made the people fell into group narcissism without giving them a chance to look back themselves at all.

      • KCI등재

        두 개의 모닥불 -백석 시『모닥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

        오성호 ( Seong-ho Oh ) 배달말학회 2016 배달말 Vol.58 No.-

        백석의 시 모닥불은 흔히 화합과 합일의 공동체에 대한 꿈을 표현한 작품 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이런 통상적인 해석이 이 시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에서 비롯된 잘못된 것임을 강조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이 시에 대한 해석은 1연과 3연에 등장하는 모닥불의 차이와 관계, 그리고 양자를 연결하는 할아버지의 삶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이런 관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1, 2연의 모닥불이 3연에 제시된 모닥불의 연장선상에 놓인 것이며, 따라서 두 모닥불은 할아버지의 삶의 양 극단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았다. 3연의 모닥불은 역사(청일전쟁과 그것을 종결짓는 평양성 전투와 이후 양군의 군사 활동)에 의해 상처 입은 할아버지의 유년시절과 관련된 것이다. 그에 비해 1, 2연의 모닥불은 그역사의 상처를 극복하고 어엿한 일가를 이룬 할아버지의 삶과 관련된 것,다시 말하자면 할아버지 생애의 한 정점이라고 할 수 있을 손녀의 혼사와 관련된 것이다. 이렇게 보면 1연에서 열거된 다양한 사물을 모닥불 속에 던져 넣어 태우는 것은 혼례식 마당을 정화하기 위한 것인 동시에 할아버지의 고통스러운 삶과 기억을 정화하는 제의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1연에서 열거되는 다양한 사물 - 쓰레기들은 할아버지의 삶과 관련된 고통스러운 경험과 기억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2연에는 모든 사람에게 고르게 온기를 나누어주는 모닥불처럼 이 집안이 번창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이 시는 할아버지가 이룩한 인간 승리에 대한 외경의 감정, 그리고 할아버지가 일구어낸 집안이 더욱 번창하기를 바라는 손자의 마음을 모닥불과 그 주위에 모여 불을 쬐는 하객들의 모습을 빌어 표현한 시라고 할 수 있다. Baek-suk’s poem “Bonfire” is commonly read as an expression of the poet’s aspiration for a harmonious community. However, I would argue that this interpretation is derived from a superficial reading of the poem. In this article I suggest an alternative reading of the poem, with a particular focus on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meaning of a bonfire as presented in the first and third stanzas. I will also focus on how the figure of the grandfather bridges these two stanzas. The bonfire described in the first and the second stanza is an extension of the bonfire image in the third stanza, and these two images of a bonfire represent the two polarities in the grandfather’s life. The bonfire in the third stanza is closely related to historical events (i.e., the First Sino - Japanese War, the Battle of Pyongyang that concluded the war, and both the Chinese and Japanese military activities) and the grandfather’s childhood that was indelibly marked by this historical chaos. Conversely, the bonfire in the first two stanzas of the poem relates to the latter years of the grandfather’slife - the war - torn years when he persevered and built a family of his own - and culminates with the celebration of his granddaughter’s marriage. Therefore, the litter of objects identified in the first stanza attains a metaphorical layer of meaning - they embody the grandfather’s painful memories and experiences. In this sense, the act of sweeping these into the fire is not only a practical act of cleaning the yard for the upcoming marriage but experiences.In addition, the second stanza illustrates the narrator’s (the grandson’s) wish for the family to flourish in a way that a bonfire would evenly distribute warmth for everyone around it. In sum, the poem builds toward a feeling of awe with respect to the grandfather’s achievements as a survivor of history and expresses the grandson’s wish for the product of his grandfather’s life - the extended family - to thrive and prosper through the images of a bonfire and people warming themselves around it.

      • KCI등재

        「향수」와 「고향」, 그리고 향토의 발견

        오성호(Oh Seong-Ho) 한국시학회 2002 한국시학연구 Vol.- No.7

        I tried to compare two poems written by Jeong Ji-young; “Hyang-soo” and “Go-hyang” in this paper. The poet idealized his native land and rural life as a special place to cure the wound to be forced by colonialization in “Hyang-soo”. This poem creates ‘hybrid’ space which is deprived from the mixture of his remembrance and modern experience. Nevertheless many readers accepted the scenery which is depicted in this poem as his native land, irrelevant to his real experiences . As it were, it evokes to reader an special imagination of such a group which shares same remembrances with him and a community to which he belongs. Such reading is a product of atmosphere of Korean society which asks an imagination of nation through the mass consumption of nostalgia. In contrast, the landscape of native land is not depicted immediately in “Go-hyang”. This poem shows the irony that the poet cannot accept his native land as native land. It was common fate of the intelligence of colony who exists between modern and pre-modern. This poem clearly shows that native land which guaranteed to the poet (who experienced the modern life) happiness and peace does not exist any more. As a result, this poem shows the self-realization of poet who is forced to face to estrange and hostile world(modern world) after leaving native land. The image of ‘cloud’ shows the fate of modern individual who has not solid identity and has to wander to find his identity in the unceasing changes and flux. This differences relate to the inner life of intelligence of colony who cannot overcome the contradiction between modern and pre-modern. The idealized native land in “Hyang-soo” is the expression of unconsciousness of the intelligence to escape the fear and angst to be forced by colony system. And “Go-hyang” shows that he cannot escape from modernization in spite of the fear and angst to it. So understanding of “Go-hyang” is essential to the critical reading of “Hyang-soo” which may be used to evoke the ‘imagination of nation’. Because “Go-hyang” shows us the fate of modern individual who cannot but face to estrange and hostile world by him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