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staglandin F2a의 양막외주입에 의한 중기임신중절

        정순오(SO Chung),홍영범(YJ Hong),곽현모(HM Kwa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10

        Prostagladin F2a was injected extra-amniotically through foley catheter in 26 patients between 15 and 31 weeks gestation in the dosage schedule. Mid-trimester abortion was successfully induced in 26 patients by administration of extra-amniotic PgF2a The mean abortion time for the successful induction was 19.65 hrs. Abortion was successfully induced in 77% of patients within 24 hrs and in 100% within 48 hrs. Multiparous patients aborted somewhat faster than nulliparous patient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hnificant . Among the 26 successful inductions 20 patients aborted in 24 hrs.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side effect of extra-amniotic PgF2a administration was a gastriontestinal disturbances-nausea, vomitting and diarrhea. A temperature elevation was also common, which returned to normal within a few hours of last dose of the drug. These side effects were in general well tolerated by the patients and never required therapy or termination. In a single patients surgical intervention was required to remove the placenta. In one patients the placenta was removed by sponge forceps and in one patients the placenta was removed mannually . There was an estimated blood loss exceeding 250ml in one patients but transfusion was not required. Indication of extraamniotic PgF2a administration was intrauterine fetal death in 8 patients and psychosocial problem in 8 patients. the mean pitocin augmentation time for the successful induction was 3.78hours. Multiparous patients aborted somewhat faster than nulliparous patients in pitocin augmentation tim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hnificantly. The mean total dosage of PgF2a was 5529ug. The mid-trimester abortion with extra-amniotic administration of PgF2a appears to offer a valid alternative to the presently available techniques, with a rapid abortion time high success rate, low incidence of side effects and complications.

      • KCI등재

        뇨실금의 치료

        정순오(SO Chu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4 No.4

        요실금의 치료성과에 관한 통계적 보고를 정확히 평가하기는 어렵다. In 1965 the collective review on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the female was prepared by Allery (1954) and Hodgkinson (1965). They summarized the current data on anatomy, physiology, and pathology, and commented upon the need for greater understanding of urethrovesical function upon which more rational therapy should be planned. During the past twenty years, many ingenious procedures have been devised to alleviate the distressing condition known as urinary stress incontinence in the female. These have ranged from non operative treatment (Kegel exercise) or the simple vaginal repair to the more complicated urethral sling and suspension operations all of which have their proponents. Most encouraging from review of the many publications have been a clearly recognized trend toward an awareness of basic problems which have beset the diagnosis, the reatment and the cure. To be presentation of the collective review on treatment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t the Twentysixth Convention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ists, the new and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treatment for the urinary stress incontinence has been reviewed and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임신 중 갑상선질환의 최신지견

        정순오(SO Chu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3 No.9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review the available evidence useful in determining the best course of therapy for patient with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The pregnancy is complicated occasionally by thyroid disease but the interest notes that the thyroid disorder is complicated by pregnancy. There is general agreement that normal pregnanc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meta- bolic rate, an increase in serum lipids, an increase in thyroid size, an increase in radiooidine uptake, an elevation in the citculating level of thyroxine, and an increase in the thyroxine-binding globulin(TBG)with a normal level of circulating free thyroxine. In normal pregnancy, an increase of binding globulin is relative to circulating thyroxin, and reciprocally T3 uptake by resin or red blood cells is low, this test will serve to differentiate normal pregnancy from pregnancy complicated by hyperthyroidism. However, it is not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possible hypothyroidism and pregnancy. The other thyroid conditions in pregnancy beside the hyperthyroidism and hypothyroidism are acute thyroiditis, thyroid carcinoma and nontoxic goiter. They are discussed in this review. Patient with hydatidiform mole may have an increase in thyroid function with radioiodine uptake of the thyroid, the studies of thyroid function in patient with hydatidiform mole and choriocarcinoma are interesting.

      • KCI등재

        ( III ) 임신과 폐결핵

        정순오(SO Chung),유능화(NH Y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3

        임신중 폐결핵은 산과영역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는 질환중의 하나이다. 그 이유로서는 임신중에 폐결핵이 악화되거나 새로이 감염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페결핵은 태아발육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으며, 때로는 모성사망율에도 관계한다. 1970년도 대한결핵협회의 집계에 의하면 폐결핵의 유병율은 4.2%에 달하며 한국가임부의 4∼5%가 활동성 페결핵 환자라고 지적하였다. 이런점으로 보아도 한국에서의 임신중 폐결핵은 더욱 더 의의가 큰 것이다. 임간부 폐결환자의 발생빈도를 보면 Schaefer et al. (1957)의 1.5∼2.0% Mason과 Eisele(1958)의 1.6%, Lee(1960)의 1.6%였으며 1973년에 조사한 Whang(1973)의 발생빈도1.68%였고 변화가 없었다. 최근 본 저자들이 1970년부터 1974년 사이에 연세의대부속 세브란스병원에서 분만가료를 받은 임신부 11,957명의 흉부X선 촬영으로 조사한 결과 발생된 활동성폐결핵 환자수는 160명으로 그 발생빈도가 1.33%였다. 신환발견율에있어서는 Mason과 Eisele(1962)의 1.6%, Buhl et al. (1958)의 0.1%, Siegel(1962)의 0.15%, Lee(1960)의 1.0%, Whang(1973)의 0.70%이였으며 저자들(1975)의 조사한 11,957명의 임산부중 88명이 신환으로 발견의 신환발견율은 0.82% 이였다. Kaupas(1974)는 항결핵요법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는 1972년도 한 해만 해도 32,882명의 신환이 발생하였다고 하였다. 폐결핵의 확진은 객담이나 위액에서 결핵균을 검출하므로서 확진이 된다. 그러나 결핵균의 양성율은 전체 폐결핵 환자의 60∼70%, 경증환자에 있어서는 위액배양까지 해 보아도 40% 에 지나지 않으므로 실제, 임상에서는 폐결핵의 진단으로서 흉부X-선검사에 많이 의존 하 고 있다. 이외에도 병력 및 증상, 임상 소견, Tuberculin 피부반응검사, AFB test등이 폐결 핵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임신시는 X선검사를 발견하는데 중요한 검사라는데는 이의 가 없다. 그러나 임신시는 호흡수의 증가, 횡경막의 상승, 혈관의 비대 등으로 말마암아 흉부 X선의 판독을 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흉부X선 외에 폐결핵진단을 위한 간편하고 손쉬운 검사 로서 Tuberculin 피부반응이 있으나 이 검사는 검사후 48시간 내지 72시간내에 내원하여 판 독을 받아야 하는데 많은 임산부들이 이에 반응하는 경우가 많고 판독하는데 있어서도 정 확성을 기하기가 어려워 일반 검사로는 널리 시행되지 않고 있다. Wilson et al.(1973)은 산전관리검사로 흉부X선과 Tuberculin 피부반응을 병요함으로서 임신 초기에 X선을 촬영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태아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즉 피부반응은 모든 임신부에게 행하고 이 검사에서 양성이면 즉시 흉부X선을 찍어서 폐결 핵의 유무를 조사하며, 음성이면 태아에 대한 위험성을 고려하여 임신 4개월 이후에 흉부X 선을 찍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 KCI등재

        임신시 오는 철분결핍성 빈혈

        정순오(SO Chung),김진식(J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3

        지금까지 임신 동안 혹은 비임신 동안에 Imferon의 정맥투여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에 대한 여러 보고들을 종합하여 볼 때 부작용 발생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들을 이끌어 낼 수 있다. (1) 심한 부작용은 서양 국가들에서 보다 동양의 국가들에서 더 자주 발생하는것 같다. (2) 심한 부작용의 발생율은 매우 적으며 Imferon을 근육 투여 할 때나 정맥투여 할 때나 그 발생율은 동일한것 같다. (3) 심한 부작용의 발생율은 임신때나 비임신때나 동일한것 같다. (4) 심한 부작용의 대부분은 용이하게 치료될 수 있거나 자연회복된다. (5) 치명적인 부작용은 정맥투여할 때나 발생할 수 있지만 보고된 치명적인 경우들의 대부분은 근육 투여의 경우들이었다. 앞에서 본 바와 같이 Imferon의 정맥 투여가 더 안전하고 효과가 좋은것 같은데 그러나 다음과 같은 점들에 주의하는 것이 권장된다. (1) Imferon의 정맥투여를 임신부에게 상용하여서는 안 되며 (2) 환자가 심한 철분 결핍성 빈혈을 가진 경우 (3) 헤모글로빈의 신속한 재생이 필요한 경우등에서 정맥투여를 하도록 하고 (4) 투여는 병원이나 응급실에서 시행하도록 하며 (5) Resuscitation 기구와 약품들이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 등이다.

      • KCI등재

        임신중 합병된 취장염 3례

        정순오(SO Chung),이후택(FT Lee),박봉구(BK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4 No.12

        임신중 합병된 취장염 3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3 cases of pancreatitis during pregnancy were presented at Severance hospital from 1963 to 1970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reported for the etiology, signs, symptoms and treatment of the pancreatitis during pregnancy.

      • KCI등재

        II. 임신중 매독감염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

        정순오(SO Chu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1

        매독은 Treponema Pallidum에 의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만성증상의 전염성 질환이다. 출생전 매독 즉, Prenatal Syphilis라 함은 모체의 자궁내에서 태아로 전염된 경우를 칭하여 말한다. 태아감염의 발병율은 임신중 산모가 앓고 있는 매독질환의 단계에 따라 다르게 된 다. 초기에 치료받지 않은 모체에서 출생한 아의 80%는 자궁내에서 감염되며 이중 25%의 태아는 분만전에 자궁사망이 되고 살아서 출산된 아이라 할지라도 이 중 25%내지 30%는 감염 그 자체나 조속성 혹은 타요인에 의하여 사망하며 유아기동안 살아남은 아가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 40%는 언젠가는 매독의 증상을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매독은 그 병원균도 잘 알려져있고 감염경로도 분명하여 철저한 예방과 조기에 치료 하면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매독의 병원론을 보면 우선 모체 혈액내에 Spirocheta가 존재하여야 하는데 모체의 감염이 최근에 이루어진 것일 수록 그 Spirocheta 가 태반을 통하여 태아의 혈액순환으로 들어가야 되는데 몇가지 타당한 설명이 있다. 그 중 가장 인정되고 흔히 있을 수 있는 방법으로는 Spirocheta가 감염성 혈전을 형성하여 태반 혈관내 미세관 경색을 일으켜 태관혈관벽을 Spirocheta가 통과한다는 것이며 또다른 방법으로는 태줄혈관(Umbilical Vessels)의 주위에 있는 임파선들을 통하여 간다는 것이다. 임신 4개월전의 태아는 거의 감염을 받지 않는데 이것은 융모막에 Langhan’s layer라고하 는 P이 잘 발달되어 있어 이 P이 Spirocheta에 대한 방어벽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임신 16주부터 이 P은 위축하기 시작하여 없어지게 되므로 그 후에 감염을 받게 되 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Fiumara(1970)에 의하면 Langhan’s layer는 16주에 소실되기 시작하지만 임신 6개월에야 완전히 소실되므로 매독 감염은 임신 16주부터 시작되나 대부 분은 임신 6개월 이후에 이루어진다고 지적하였다. 1962년부터 1975년 5월까지 연세의대병 원에서 조사결과로 나타난 매독의 수검시기는 매독혈청검사상 양성을 나타낸 502예에서 임 신 제 7개월 이전에 매독 혈청검사를 수검한 예는 20.3%에 불과하며 임신 8개월까지 수검 된 경우도 불과 30.1%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1971년 이후부터 수검시기가 조기임신에 되는 경향을 보여 임신 7개월에 27.3%, 8개 월에 46.1%로 나타났다.

      • KCI등재

        I. 임신중 Virus감염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

        정순오(SO Chu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1

        여러 종류의 Virus가 태아 및 신생아에 손상을 주어 선천성 기형을 일으킬 수 있음은 잘 알려져있다. Virus감염이 성인에서와는 달리 태아에서는 더 많은 조직의 손상을 입힌다는 것이다. 몇 종류의 Virus는 태아시기에 감염되면 출생 후에도 만성감염상태를 보이는 수가 있는데, 이는 아마도 Virus에 대한 태아조직의 예민한 감수성에 의한 것 같다. 특히 초기 임신시 Virus감염이 되면 선천성 기형을 더욱 많이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를 들어보면, 첫째, 임신시는 비임신시보다 Virus감염에 더 친화성이 있으며, 둘째, 젊고 빨리 대사가 되는 태조직은 성인의 조직에 비하여 Virus감염에 더 친화성이 있다. 세째, Virus는 미세하여 태반조직을 쉽게 통과하여 기생 할 수 있고, 넷째, Virus는 Endemic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들 수 있다. Virus가 감염되었을 경우 임신초기에는 태아에서 Virus항체반응을 측정할 수 없으나 임신 6개월 이후에는 어떤 선천적 감염에 대한 수동항체와 초기 능동항체를 발견하여 볼 수 있다. 그리고 생후 6∼12개월에는 항체형성능력이 완전히 발달하게 된다. 1)Rubella(홍진)감염 1941년에 Gree에 의해서 임신 첫 3개월에 Rubella에 감염되면 백내장, 귀머거리, 심판결손 등의 기형이 야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그 이후 많은 학자들의 연구와 조사에 의해서 확신되어졌다. 즉, 1964년 미국에서 Epidemic으로 Rubella가 유행하여 180만 명이 감 염되어 1∼2만 명의 기형아를 보고할 만큼 많은 학자들이 연구보고 하였다. 결국 1965년 미 국소아과학회에서 Rubella감염에 의해 생긴 신생아기형을 선천성 Rubella증후(Congenital Rubella Syndrome)라고 명명하였다. 1941년 Gregg의 임신중 Rubella감염에 대한 보고에는 선천성 Rubella syndrome을 가진 신생아를 조사하면 산모에서 Rubella감염이 있었던 경우 가 100%였으며, Rubella감염된 산모에서 태어난 아의 Rubella Syndrome은 10∼20%에서 있 었다고 보고하였다. 1964년에 있었던 Rubella감염 중 Cerebral palsy가 있는 6161명의 임산 부를 조사하여보니 615명은 초기임신 3개월에 Rubella 감염이 있었던 환자였으며, 56명은 임신중기 혹은 말기 3개월에 감염되었던 환자였다. 최근 약 10년 동안에 Virus의 분리 및 항체분석 평가에 대한 실험방법의 발달로 산모가 Rubella감염 시 직접태아에 전파될 수 있 음을 알게되었다. 태아시기의 감염은 생후까지 계속될 수 있는데 이때는 신생아에서 출혈성 경향, 간장비대, 간장간염, 심근염 또는 뇌염등을 일으켜 치명적일 수도 있다. 산모가 Rubella에 감염되어 올 수 있는 것은 기형사산, 조산 및 정신박약 등을 들 을 수 있는데, 1941년 Gregg보고후 관찰된 많은 문헌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임신1개월에서 홍진감염 에 의한 기형빈도는 47%, 2개월엔 22%, 3개월엔 7%로 나타났다. 결론 여러종류의 Virus가 태아발육에 손상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선천성기형을 유발하는 것은 Rubella Virus와 Cytomegalic Virus등 이다. 기형 및 조직손상의 병원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부의 경우에서 보면 조직내에서 직접 감염이 번져서 조직손상으로 온다. Virus 의 태아에 대한 손상효과는 예방할 수 있는데 중요한 것은 산모감염의 방지 내지는 태아 전이방지이다.

      • KCI등재

        A New Knowledge of the Mammalian Egg Culture

        정순오(SO Chu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3 No.8

        The earliest reported a tempts to do in vitro cultivation of mammalian embryos was made 85 years ago by Schenk(1880)and Onanoff(1893) who both claimed to have observed limited cleavage of the early rabbit egg and guinea pig egg in vitro. In fact, the interest in in vitro cultivation of fertilized mammalian ova has parallelly the increase in tissue culture technique; the beginning of tissue culture dates back to Ross Harrison in 1907, and that of mammalian embryo culture to Brachet in 1912. Among the entherian mammals that have recieved attention are the rabbit, mouse, rat, guinea pig, hamster, sheep, goat, cow, monkey, and man. The success which has been obstained with the other species; only a few cleavage division occur. Mack and Long(1912) first reported studying the mouse ova in vitro; however, they did not see cleavage division. Lewis and Wright(1935) employed drops of plasm in embryo extract to observe and photograph early stages of the mouse embryo but they did not also observe any cleavage divisions. Hammond(1945)was the first to cultivate 8-cell mouse ova through to the blastocyst stage. As a medium he employed a salt solution containing sodium choride, potas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and magnesium chloride, with a glucose concentration of 1mg/ml. To this he added about 5% egg white. Hammond put one to six embroys in small vessels in 2 to 3ml of medium under 1 to 2ml of air. The vessel were sealed and incubated at 37℃. After 48 hours in culture, the embryos were examined. No two cell embryos developed beyond the four cell stage, but most 8-cell embryos and some late four cell embryos developed into blastocysts. He also observed the escape of the blastocyst from the zoom pellucid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