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노년기 건강의 변화가 배우자의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염지혜,전미애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ange in health on marital satisfaction of the spouse among middle and old age persons. Also, the differences of these effects were analyzed based on gender.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1st wave (2006) to 4th wave (2012)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ere used, and responds provided by both husband and wife of ages 45 years or older at the time of compiling the 1st wave in 2006 were selected. The middle age group included 2431 respondents(male=1024, female=1407) of ages 45 to 58 years. The old age group included 1477 respondents(male=908, female=569) of ages 65 years and over. The growth latent model was used for this study. Analysis indicated that, in the middle age, the intercept of subjective health affected the intercept of marital satisfaction of spouse, and these effects differed by gender. In addition, the slope of subjective health significantly affected the slope of marital satisfaction of spouse in the middle age.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enders. In the old age, the intercept of subjective health affected the intercept of marital satisfaction of spouse, but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addition, the slope of subjective health did not affect the slope of marital satisfaction of spouse in the old age, and also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enders. Further discussions and suggestions, regar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노년기에 나타나는 본인의 건강변화가 배우자가 인지하는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러한영향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1차(2006년)부터 4차(2012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06년 1차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부부가 모두 45세 이상이면서 동시에 부부 모두 설문에 참여한 중․노년기 응답자들을 추출하였다. 분석에 45-58세의 중년집단 2,431명(남=1,024, 여=1,407), 65세 이상 노년집단1,477명(남=908, 여=569)이 포함되었고,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년집단과 노년집단에서 주관적 건강의 초기값이 배우자의 부부관계 만족도의 초기값에 유의한영향을 미쳤고, 이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과 노년 모두 본인의건강이 좋지 않은 것은 배우자의 부부관계 만족도를 낮추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아내의건강 상태가 남편의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남편의 건강 상태가 아내의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중년집단에서는 주관적 건강의 변화율이 배우자의 부부관계 만족도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에 대한 성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노년집단에서는 주관적 건강의 변화율이배우자의 부부관계 만족도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와 관련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노인일자리사업의 현재와 미래에 관한 연구

        염지혜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9 노동연구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determine who currently participate andwould in the future participate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among Korean older adult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used data colle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 in 2017(N=9.948). The two dependent variables are: ‘currently participating or not’, and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or not’. Since each of the dependent variables are composed of two categorie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by running logistic regressions. The first result is that those who are older aged, have higher depression scores, and have better self-rated health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Also, those who are females, live alone, have chronic disease(s), and participate in religious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Furthermore, those with lower education level participate more in the project compared to those with a college degree. Second, previous or current participants in the Project show more willingness in participating in the future Project.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regarding the future Senior Employment Project was suggested. 본 연구는 어떠한 변인들이 현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와 미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N=9,948). 현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와 미래 참여의향 두 종속변수 모두 각각 두 개의 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연령이 높을수록, 우울점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현재 노인일자리사업에 더 참여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성, 1인가구,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응답자, 종교활동, 여가활동을 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현재 노인일자리사업에 더 참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다른 모든 변수를 통제하고도 대학교졸업이상 보다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현재 일자리사업에 더 참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과거 혹은 현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경험은 참여경험이 없는 노인에 비해 미래 사업에 참여하려는 경향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종교활동, 여가활동과 같은 사회활동의 미래 일자리사업 참여의향에 대한 영향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경험 통제 후 통계적으로 무의미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향후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정책제언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노인의 삶의 질: 노년학 이론에 대한 도교적 이해를 중심으로

        염지혜 한국도교문화학회 2021 道敎文化硏究 Vol.54 No.-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코로나19가 창궐하는 시대에 노년학에서 추구하는 늙지 않음(ageless)과 동양의 지적 전통, 특히 도교사상에서 거론되는 불로장생, 장수가 지향하는 바가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보이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현대사회에서 ‘늙지 않음’의 실현 가능성의 한 형태인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 모델을 소개하고, 노인의 삶의 질과 정적인 관계로 밝혀진 활동이론(activity theory)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를 통해 가족, 친구, 이웃 등의 비공식적 조직망이 노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더 나아가,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노화현상을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도교사상과의 연관성을 논의하였다. 도교문화의 전통 속에서 논의되는 개념들(불로장생, 방술, 신선 등)이 비현실적인 것처럼 느껴지지만, 오늘날 성공적 노화와 활동이론의 맥락에서 충분히 재해석될 여지가 있다. 왜냐하면, 인간은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어 하고 이에 대한 욕구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인간이 추구하는 목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교문화에서 논의되는 개념들이 삶 속에서 실현 가능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적, 실증적 개념들과 소통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imarily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gelessness pursued in gerontology and the longevity mentioned in Taoism. To achieve the goal, the study introduces a model of successful aging, a form of the feasibility of 'not getting old' in modern society, and explore activity theory, which turns out to be a static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of life of the older adults. In addition, socio-emotional selection theory explains that informal organizational networks such as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older adults. Furthermore, the aging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older adults consist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and discuss their association with Taoist ideas. Though the concepts discussed in the tradition of Taoism (e.g., Bulojangsaeng(immortality), Arts of Medicine(Bangsul), Taoist Hermit(Shenxian), etc.) seem unrealistic, it is possible to reinterpretate them today in the context of successful aging and activity theory. This is because human beings want to live healthy for a long time, and the desire for this is the goal that all human beings seek all over the world. However in order for the concepts discussed in Taoism to be feasible in the real life, it is required of Taoism to communicate with social and empirical concepts.

      • KCI등재

        한국노인의 낙상 요인 연구

        염지혜,나항진 韓國老年學會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2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한국노인의 인구사회학적요인, 보조기구사용, 신체건강상태, 정신건강상태, 건강행태 중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제 1차와 제 2차 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6년 제 1차 조사시점에서 만 65세 이상의 참여자를 기준으로 제 1차 조사와 제 2차 조사에 모두 참여한 응답자만(N=3,311)을 선택했으며 2008년 제 2차 조사 자료에서 낙상경험을 종속변수로 추출했다. 인구사회학적 요인들, 신체기능 및 질병유무, 건강행태 등에 대한 변수들은 시간의 선행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므로 1차 조사로 부터 변수들을 추출했다. 분석방법으로는 변수에 따른 낙상경험 차이가 존재하는지 밝혀내기 위해 x² 혹은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수들이 낙상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 성, 동거인여부, 거주지역, 보조기구사용, 질병의 수, 우울, 운동 및 흡연 여부에 따라 낙상경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모든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여성, 청각보조기구사용자, 질병수가 2가지, 3가지 이상일 때, 우울이 있는 사람과 운동을 주 5회 이상 하는 응답자의 낙상경험 오즈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증가하였다. 반면 비만, 치매의심, 현재흡연자의 낙상경험 오즈는 준거카테고리에 비해 더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질병수 3가지 이상과 우울이 있는 사람의 낙상경험 오즈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2배 이상 높았기 때문에 낙상예방에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신체건강상태와 정신건강상태 모두 낙상과 관련이 있으므로 재가노인들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갖고 있는 노인들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determine fall experience among Korean elderly. To achieve this purpose, it uses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wave 1 and 2. Participants aged 65 from wave 1 were selected. From wave 2, a dependent variable was selected and it was fall experiences since the first interview in 2006. Other than this variable, all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from wave 1. In analyses, x² or t-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falls and no falls. Then, since a dependent variable consisted of two categories-falls or no fall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s were run. Female, using hearing aid, having two diseases, having three or more diseases, depression, and exercise 5 times/a week or more elevated the odds ratios of fall experience. compared to their reference categories. Particularly, if Korean elderly had three or more diseases or depression, their likelihood of fall experience would have about 2 times higher than their reference categories. In conclusion, health practitioners should make the elderly be recognized how much these risk factors are important to falls. Also, Korean government should support Korean elderly having these risk factors to prevent them from falling.

      • KCI등재

        농촌노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융합 연구 :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염지혜,민영실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는 농촌노인의 어떠한 특성들이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 고 주관적 건강상태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군에서 2015년 조사한 60세 이상 169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질병 수는 부(-)적으로, 주관적 경제상태와 운동시간은 정(+)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주관적 경 제상태, 운동시간, 규칙적인 식사, 하루 끼니 수가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 적 경제상태, 운동시간이 주관적 건강상태를 부분매개로, 질병 수는 완전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보건 및 식사지원을 기초로 융합된 정책지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variables that directly affect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ated health on life satisfaction. The study utilized multiple regression to analyze the data obtained from interviewing 169 older adults aged 60 and over in G-gun in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diseases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related health, whereas self-rated economic status and length of exercise time had a positive effect. Second, self-rated economic status, length of exercise time, regular meals, and the number of meals per day positively affect life satisfaction. Third, self-rated economic status and the length of exercise time affect life satisfaction by partially mediating self-rated health, whereas the number of diseases affected life satisfaction by totally mediating self-rated health. Based on the results, policies related to healthcare and provision of meals for older adults have been suggested.

      • KCI등재후보

        일하는 한국노인에 대한 탐색과 일의 경제상태 만족도에 대한 영향

        염지혜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8 노동연구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determine who is working and factors that affect economic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used data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 in 2014. It selected participants aged 65 and over who answered all questions. The total number of cases are 10,276 and dependent variables are ‘working or not’ and ‘economic life satisfaction.’ The study analyzed data by running logistic and multiple regressions. Those who are male, 65-74 age group, living in a rural area, having a spouse, lower level of education, not living with married children, higher level of self-rated health were currently working. In addition, self-rated health and working positively affected economic life satisfaction. However, working did not have a huge impact on economic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self-rated health. In order to improve the economic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not only is increasing the number of jobs important, but the quality of jobs should be guaranteed in the future. 현재 한국은 인구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 노인들의 삶의 질이 화두로 대두되었다. 동시에 노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 문제는 이들의 경제적 빈곤과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은퇴 이후에도 일하지 않을 수 없는 현실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일하는 노인들과 관련된 요인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현재 일하고 있는 여부가 한국노인의 경제상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투입된 변인에 모두 응답한 총 10,276명을 연구대상자로 기술통계, 로지스틱 회귀분석, 그리고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두 연구문제에 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남성, 65∼74세 연령집단, 읍면부거주자,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 기혼자녀와 비동거자,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현재 일하는 여부의 오즈비가 높았다. 둘째, 일을 하고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경제상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그 영향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65세 이상의 노인들의 경제상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이 제언되었다.

      • KCI등재

        한국노인의 우울증상에 관한 연구 : 거주지역 차이를 중심으로

        염지혜 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학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variables affect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differences in residential a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data from the 2020 The Korean Elderly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analyzed (N=9930). The dat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o were living in urban area and rural area.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because the dependent variable, depression,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no depressio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depression score. As a result, among residents of urban areas, women were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men and those who were educated in junior college or higher than the uneducated. On the other hand, those who were living with children or others in rural areas were about 2.4 times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those who were living with spouse. In both areas, those who were working were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those who were not working. Among health-related variables, in both areas, the more negative self-rated health and the higher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having experiences with hospitalization in the past year,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depression is. Currently, in the case of drinking and not exercising, the possibility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areas. However, smoking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ly in urban areas. People who thought of suicide after the age of 60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 in the two areas than those who did not.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reas caused depression due to dissatisfaction with their health condition and the friends or community, and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caused depression due to dissatisfaction with their leisure life. According to the result, I suggest regional customized policy to protect depression of the elderly. 이 연구는 노인의 거주지역에 따라 우울증상이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더 나아가 거주지역별로 어떤 변인들이 우울증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N=9930). 연구방법으로는 종속변수인 우울증상을 우울점수에 따라 우울증상 ‘없음’과 ‘있음’ 두 범주로 나누었으므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동부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전문대학이상이 무학보다 우울증상이 더 높았다. 한편, 읍면부에서는 자녀 혹은 기타 동거자가 있는 경우 부부가구보다 우울증상이 약 2.4배 높게 나타났다. 두 지역 모두 경제활동참여자가 비참여자보다 우울증상 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건강관련 변인들 중에서는 두 지역 모두 주관적 건강이 부정적일수록, 만성질환 수가 많을수록, 지난 1년간 병원 입원 유경험이 우울증상을 유의미하게 높였다. 현재 음주가 비음주보다, 운동을 안하는 경우가 하는 경우보다 두 지역 모두 우울증상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한편 현재 흡연은 동부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만 60세 이후 자살생각을 해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두 지역에서 우울증상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동부에서는 건강상태와 친구지역사회에 대한 불만족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고, 읍면부에서는 사회여가문화의 불만족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지역 맞춤형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