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안지역주민의 위험 인식이 풍수해보험 가입 의사에 미치는 영향

        염재원,박형준,하동오,이달별,정주철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5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hazard adjustments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to cope with the risks and damages caused by natural hazards. As individual hazard adjustments such as flood insurance have been effective in reducing the risk, the importance of risk perception that affects flood insurance adoption intention is also increasing. In South Korea, flood insurance is being operated as a tool for pooling risk by imposing insurance premiums on the insured. In addition to flood insurance, the government offers a disaster assistance policy that provides free grants to residents who suffer damage by natural hazards. Thus, there is a criticism that the disaster assistance policy's coexistence with flood insurance gives rise to a moral hazard and a distorted intention to adopt flood insuran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risk perception on flood insurance adoption inten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is impact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coastal area residents. 자연재해로 인한 위험 및 피해에 대응하기 위한 개인 단위의 자연재해 저감대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홍수 보험 등 개인적 저감대책이 위험을 저감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개인적 저감대책의 채택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식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정책보험으로 풍수해보험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재난지원금 제도와의 병존문제로 인해 개인의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여 제도의 활성화가 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험인식이 풍수해보험 가입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자연재해의 위험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연안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위험 인식이 풍수해보험 가입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 KCI우수등재

        지진 발생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2016년 9월 12일 경주 지진 사례를 중심으로 -

        염재원,정주철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9 國土計劃 Vol.54 No.1

        경주지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증대되었고 지진이라는 자연재해가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었다. 실제로 지진발생 직후 2주간 언론에서 보도한 전체 기사의 약 50%가 지진과 관련된 보도였고, 지진으로 인한 피해와 지진단층 등의 키워드를바탕으로 언론보도가 이루어졌다(이수상, 2017). 즉 경주지진 발생 이후 국민들이 지진재해와 관련된 위험정보에 자연스럽게 노출되었다. 재해위험 정보에 대한 노출은 주거용 부동산 수요자의재해 위험 회피 경향으로 이어져 부동산 가격에 내재되어 나타난다(Nakagawa, et al., 2007; Brookshire, et al., 1985). 본 연구는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지진 발생이 아파트 가격에 미친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진 발생 가능성이 낮은 지역에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을 때 재해 위험정보 노출이 아파트 가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광역 단위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의 공간적 범위에 관한 연구

        염재원(Yeom, Jaeweon),강승원(Kang, Seungwon),정필성(Jung, Pilsung),정주철(Jung, Juchul)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1

        This study suggests the spatial scope of the regional hazard mitigation plan, reflecting the feature of natural hazards occurring beyond the administrative zone boundary.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hazards is not randomly distributed across a space but has interdependent characteristics with the nearby area; therefore, the spatial influence of an adjacent area should be considered. In particular, as damage due to natural disasters is increasing in Kore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gional hazard mitigation plan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hazards. However, the current hazard mitigation plan sets the scope of the plan based on administrative boundarie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vulnerability index of each area using data spanning 10 years from 2008 to 2017 and verified spatial correlations through LISA (Local Indicator of Spatial Autocorrelation). According to LISA analysis, we found that a link exists between si/gun/gu and we identifi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disaster damage. The results confirmed that natural hazard characteristics occur beyond the boundaries of administrative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구역 경계를 넘어서 발생하는 자연재해의 특성을 반영하여 광역 단위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의 공간적범위를 제시하는 것이다.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는 공간에 무작위로 분포하지 않고 인근 지역과 서로 상호의존적인 특징이내재되어 있어, 인접 지역의 공간적 영향력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은 자연재해피해의 공간적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행정적 경계에 근거하여 계획의 수립 범위를 설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10년간 자료를 활용하여 자연재해 취약성 지수를 산출하였으며,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utocorrelation) 분석을 통해자연재해 취약성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ISA 분석을 통해 자연재해취약성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을탐색하고, 자연재해취약성이 비슷한 지역끼리 행정구역 경계를 넘어 유형화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즉 광역 단위의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은 행정적 경계가 아닌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재해권역별로 수립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도시계획과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시민 참여 확대 방안: 케냐 ODA 사업 사례를 바탕으로

        염재원 ( Jaeweon Yeom ),하동오 ( Dongoh Ha ),정주철 ( Juchul Ju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0 환경영향평가 Vol.29 No.5

        도시계획 분야에서 시민 참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시민 참여는 이해관계자들에게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정치적 담론에 시민들을 참여시키고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영향력을 행사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거 도시계획 분야에서는 도시계획가들의 합리성에 의존하였던 합리적 계획모형을 고수하였으나 최근에는 시민 참여 확대를 통한 도시계획으로 전환기를 맞고 있다. 실제로 도시계획에 대한 비전 수립단계에서의 시민 참여는 일상화되어 서울, 부산, 대구 등 광역자치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도시계획과정 전반에서 시민 참여가 제한되고 있다는 비판들이 있으며 특히 계획 수립 이전 단계에서의 시민 참여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계획 과정 전반에 걸친 시민 참여를 보장하는 제도의 필요성이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해외에서는 도시계획과정에 환경영향평가를 통합하여 시민 참여를 제도화함으로써 도시계획 과정 전반에 대한 시민 참여 기회를 확대하여 계획의 지속가능성을 증진시키고 있다. 특히 환경영향평가는 사업의 대상지 지정 단계에서부터 시민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문제점들을 미리 파악하고 이에 대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다만 국내 환경영향평가는 개별 필지 단위로 수립되는 도시계획사업 단위 위주로 진행되고 있어 포괄적인 계획에서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환경영향평가를 활용한 통합적 접근법을 통해 시민 참여를 확대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인 도시계획 차원의 환경영향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계획사업 보다 포괄적인 범위 및 내용으로 실시된 영향평가 사례인 케냐 코춀리아다목적 댐 건설 공적개발원조 사례를 연구하여 도시계획 과정에 확대된 영향평가제도 도입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e importance of citizen participation, especially in urban planning, is increasing. Citizen participation is the sharing of control or influence on decisions and choices that affect stakeholders, and providing citizens with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paradigm of urban planning has also shifted from the rational planning model, which relied solely on the rationality of planners, to expand citizen participation. In fact,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vision for comprehensive plan is expanding, especially in metropolitan governments such as Seoul, Busan, and Daegu. However, there are criticisms that citizen cannot practically participate in urban planning due to limited participation methods and lack of participation in the pre-planning process.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iz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urban planning has been raised.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s, foreign countries have integrat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into the urban planning to institutionalize citizen participation and pursue sustainability of the plan. In particular, the EIA actively includes citizen participation from the scoping stage to identify the issues. Howe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guaranteeing sustainability of the plan since EIA is carried out only at the urban project level. In other words, in order to expand citizen participation and ensure sustainability through the integrated approach, analysis of EIA in urban planning level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a case study of EIA in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f the Kenya multi-purpose dam construction to analyze the impact assessment in a wider scope than the urban project-level.

      • KCI등재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n Livability: Focusing on Urban Regeneration Priority Areas in South Korea

        전선민,염재원,정주철 한국환경정책학회 2019 環境政策 Vol.27 No.1

        Livability is essential to sustainability of city lif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a national political priority in South Korea; the government plans to promote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n 500 cities over the next five years. However, we found the following limitations in policy and previous research. First, processes of selecting project areas and analyzing policy effects fail to consider livability. Second, policy effects have not been tested empirically; previous studies examined policy effects only during temporal ranges beginning after the policy had been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livability indicator and examine whethe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mproves site livability. The livability indicator is an objective index for judging ”good places to live”. Residents may use this livability indicator to evaluate their own communities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cluding appropriate business selection and monitoring. Finally, we present indicators for selection and subsequent evalu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KCI등재

        도시 경관관리를 위한 개발권양도제 정책도입에 관한 연구: 리츠 접목을 중심으로

        하동오,염재원,정주철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3 환경영향평가 Vol.32 No.4

        The continuity of urban space is being destroyed by disorderly high-rise development caused by reckless development, and the resulting deterioration of urban landscape is emerging as a major problem. Disordered high-rise development is adversely affecting the urban environment, such as depriving residents of the basic rights of view and sunlight and privatizing the scenery that urban residents should enjoy together. In order to create a continuous urban landscape, indiscriminate high-rise development is restricted and compensation for the affected areas is needed. Various regulations have been carried out to this end, but it is difficult to overcome the pressure and damage to high-rise development by regulations alone. Accordingly, discussions have been underway to introduce a compensation system. Among them, discussions on the introduction of a ‘Transfer of Development Right’ (TDR) in which land ownership and development rights are separated and compensated for development rights have been drawing attention. However, in Korea, it is difficult to introduce the system due to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separation of development right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introduction of TDR, this paper analyz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REITs) and presented a policy model for the development right transfer system incorporating REITs for effective landscape management. 무분별한 난개발이 가져오는 무질서한 고층 개발로 인하여 도시공간의 연속성이 파괴되고 있다. 이로 인한 도시경관 악화가 주요 도시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주민들의 기본적 권리인 조망권 및 일조권이 박탈되고 도시민들이 함께 누려야 할 경관이 사유화되는 등 무질서한 고층 개발은 도시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 연속성 있는 도시경관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무분별한 고층 개발을 제재하고 피해지역에 대한 보상이필요하다. 이를 위한 다양한 규제들이 진행됐지만, 규제만으로는 고층 개발에 대한 압력과 그로 인한 피해를 극복하기는 어렵다. 이에 보상제도를 도입하려는 논의가 진행되었고, 토지소유권과 개발권을 분리하여개발권에 대한 보상을 받는 방식의 개발권양도제(TDR)를 도입이 주목받아 왔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개발권 분리에 관한 다양한 문제로 제도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TDR 도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부동산투자신탁(REITs)의 개념과 특징을 분석하고 효과적 경관 관리를 위해 REITs를 접목한개발권양도제 정책모형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야간 위성영상 기반 도시단위 탄소배출량 추정과 영향 요인 분석

        문한솔,염재원,정주철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3 國土計劃 Vol.58 No.5

        지역에 따라 도시 형태, 산업구조, 에너지 사용량, 사회경제적활동 특성 등이 달라지는 만큼 탄소배출의 구조와 강도는 공간적으로 달라질 수밖에 없다(Wang et al., 2022). 지역의 탄소배출량 추정을 위해서는 기존 추정법의 한계를 극복한 상세 단위 분석이 필요하고, 소비 기반의 탄소배출량도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야간 위성영상을 활용한 탄소배출량 추정법은 픽셀 단위의 상세분석을 가능하게 해주며, 소비 기반의 추정에 한층 가까워질 수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단위의 탄소배출량을 추정하기 위해야간 위성영상을 활용하였고, 데이터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한 뒤탄소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요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As recent climate problems continue, global carbon neutrality has been advanced to reduce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causing abnormal climate. By 2050, all cities must achieve carbon neutrality, but to move toward a carbon neutral city, it is essential to estimate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s per city and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However, current methods of estimating carbon emissions encounter difficulties in city-level analyses. This study estimated carbon emissions using nighttime satellite images to address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current greenhouse gas emission calculation methods, and analyzed urban factors affecting carbon emissions using a spatial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carbon emissions of Korean cities are increasing over time, and their spatial distribution varies greatly by region. A spatial regression model of the influencing factors identified significant impact of energy consumption, industrial structure, land use, and transportation on carbon emissions. As a result of analysis, carbon emissions increase as energy consumption, productivity of the secondary industry, and the number of automobiles increase. In addition, the higher the compression of land use, the stronger the reduction of carbon emissions, and the higher the diversity of land use, the higher the carbon emis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a new method for sub-space unit estimates to remedy limitations of current carbon emission calculation methods. This carbon emission estimation method sing night satellite images is expected to effectively provide basic data for land use planning and policy research to attain carbon-neutral cities.

      • KCI등재

        연안지역 취약성을 고려한 리버빌리티(Livability) 분석

        전선민,박형준,염재원,김지현,정주철 한국환경정책학회 2020 環境政策 Vol.28 No.2

        This study derives livability indicators and evaluates coastal areas through exploratory spatial analysis. The coastal area has been severely damaged and vulnerable due to indiscriminate landfill and massive development. The natural disasters caused by climate change are threaten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Therefore, livability indicators are needed to assess the quality of life in coastal areas. Firstly, the indicators related to livability were reviewed and derived based on data that were easy to obtain. Secondly, we examined whether indicators derived from literature studies can measure the livability in the coastal area and constructed additional vulnerability indicators.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regions was assessed by a livability index and exploratory spatial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analysis, especially the coastal areas were found to be clusters with low livability. On the other hand, areas with high livability showed clustering in some areas such as the metropolitan cities. 본 연구는 연안지역 리버빌리티 지표를 도출하고 탐색적인 공간분석을 하였다. 연안지역은 무분별한매립과 난개발로 환경과 생태계가 심각하게 훼손되었고, 대규모 연안재해에 의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까지위협받고 있다. 따라서 연안지역의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리버빌리티 지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첫째, 리버빌리티관련 지표들을 검토하고 구득이 용이한 자료를 중심으로 지표를 도출하였다. 둘째,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지표가 연안지역의 리버빌리티를 측정할 수 있는지 검토를 하고 추가적으로 취약성 지표를 구축하였다. 셋째, 도출된 리버빌리티 지표로 지역 간의 차이를 평가하고 탐색적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연안지역에서 리버빌리티가 낮은 지역의 군집이 나타났다. 반면 리버빌리티가 높게 나타난지역은 수도권 및 울산광역시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군집을 보였다.

      • KCI등재

        재난위험도평가를 위한 리스크 매트릭스의 적용: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김기욱,황영우,염재원,박현정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3

        The frequency and impact of disasters have increased recently because of various reasons, including climate change, an increase in social complexity, and so on. Limited financial and manpower resources for disaster management impede ample countermeasures to mitigate various risks that trigger disasters, and this requires the identification of disasters with relatively high priority for effective and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This study performs hazard risk assessment using a risk matrix for Busan Metropolitan City, indicating disasters with relatively high priority. The results suggest that infectious diseases, fine and yellow dust, storms and floods, atomic accidents, and earthquakes have relatively high priority. The results may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establishing a disaster preparedness strategy and for developing future research. Standardization of the methodology for hazard risk assessment is also required to secure the efficiency of the data collecti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최근 기후변화, 사회복잡성 증가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재난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재난관리를 위한 인적·물적 자원의 제한에 따라 재난 위험 경감을 위한 충분한 조치를 취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재난관리의 효율성 확보를 위해 지역별로 재난의 상대적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이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에서 발생 가능한 재난의 상대적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해 리스크 매트릭스를 이용한 재난위험도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감염병, 미세먼지 및 황사, 풍수해, 원자력사고, 지진의 상대적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난대비전략 구축 및 향후 연구과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평가의 신뢰도 향상 및 평가를 위한 자료 수집의 효율성 확보를 위한 재난위험도평가 방법의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