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인훈 소설의 연장자 인물론―아버지 찾기를 중심으로-

        염인수 ( Yum In-su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5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7 No.-

        Choi In-Hoon's novels do not conform into an existing form. Novel is composed of free forms to him, and that means free from all laws and rules. He speaks in 'empty forms' and simultaneously presents scenes, and this is how I define is his narrative strategy. This is why many think his novels are difficult to understand. Confronting narratives or perspectives are presented together, and their syntheses seem impossible, but they all fall into and exist within 'the empty form'. Most studies of Choi In Hoon's novels have clear limitations by focusing only on the matter of Subject in order to solve the riddle of complicated author-narrator-main character relations. Howev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author's intention or catch the point through all discourses colliding with one another. In this article, I will explore the elder characters in Choi In Hoon's novels, who play essential parts in the plot, and discuss their roles and meanings. The stories actually begin to make progress when the elderly characters appear. Those characters lead the stories by forcing the author-narrator-main characters to make choices in their actions. In such situations, the elder characters play the Fathers, who are lost, found, or to-be-found. The main characters are Korean War refugees, who suffer from the status of their existence. To them, the Father is basically a lost figure. They long to find the Father, and sometimes they do find someone who plays the Father's role. But the found fathers are either too smart in adopting themselves to the rules of the new world or too helpless in adjusting to changes in the world. In Choi In Hoon's novels, the world of the author-narrator-main characters has already collapsed. Choi In Hoon gradually expands cognitions about the world -- the whole stories evolve from the tragedy of individuals by being war refugees to the tragedy of the nation by being a broken country, then to the tragedy of the Third World and imperialism. His view emerges through defining such tragedies, and in this cognition expansion process, the to-be-found father should stay outside of the orders run by the found fathers and the para-fathers. My conclusion is that Choi In Hoon places the elder characters as the lost father at the stage of the tragedy of individuals, the found father at the tragedy of the Cold War and ideology-torn country, and the to-be-found father at the world-historical tragedy. Further studies of Choi In Hoon's view need to take this observation into account.

      • KCI등재

        김사량 소설 연구: 「빛속으로」와 「칠현금」을 중심으로

        염인수 ( In Su Yum ) 민족어문학회 2007 어문논집 Vol.- No.56

        김사량에 대한 기존의 논의 가운데에는 월북 이후 발표한 소설들과 이전의 소설들 사이의 비교 연구가 드물다. 특히 태항산 산채로의 탈출을 기점으로 전시기와 후시기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빛속으로」와 「칠현금」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세밀하게 논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김사량의 소설세계를 전반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예비 단계로서, 본 논문은 「빛속으로」와 「칠현금」에 주목하고자 한다. 김사량 소설의 서술 방식에 있어서 드러나는 특징 중 하나는 인물의 독특한 성격을 묘사하는 것이다. 이 경우 서술자와 인물 사이의 동일성 확인의 과정은 그 자체로 이야기 형성의 바탕을 이룬다. 그리고 이처럼 개별적인 인물의 성격을 묘사하는 과정은 당대의 사회 구조 일반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확장된다. 후시기 대표작인 「칠현금」은 그 서술 방식에 있어서 「빛속으로」와 많은 유사성을 공유한다. 그것은 주로 서술자와 주인물 사이의 동일성에 의해 드러나는데, 이는 「칠현금?이 전시기 김사량 소설의 특징을 많은 부분 이어받고 있다는 판단의 근거가 된다. 동시에 「칠현금」과 「빛속으로」 사이에는 두드러지는 차이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 차이는 이야기가 진행되는 가운데 내적으로 변화하는 인물이 누구인가라는 질문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처럼 김사량 소설에서 수많은 ``나’로 등장했던 서술자는 변화하는 인물에서 변화시키는 인물로 그 위상이 달라졌으며, 이는 김사량의 작가의식의 변모를 의미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다. It is uusual to se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im Saryang`s novels of the latter period and that of preceding term. Particularly, there have been no comparative study on A Heptachord which is the most important work in his latter period with In The Light. Therefore a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close inspection to Kim Saryang``s novel, I shall look into the previous two works. One of the characteristics in the narrative forms of Kim Saryang``s novel is to portray the oddity of sub-character. In this case, the process in which the narrator(main-character) identifies a homogeneity with sub- characters becomes the construction of narrative as such, and the narrative process which portrays the odd characters extends to a problem of social-imperialist-structure in his days. A Heptachord not only shares a lot of common feature with In The Light in its narrative way, but also prominently is differ from the latter. This difference is resulted from the question ``who has to be changed`` in the stories.

      • KCI등재

        지하련 소설의 서술화법 연구-「결별」, 「체향초」, 「도정」을 중심으로

        염인수 ( Yum In-su )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7 No.-

        얼핏 보기에 지하련 작품세계의 특이성은 「결별」과 「도정」이 담고 있는 이야기줄거리의 여러 대칭적 양상에서 비롯된 것 같다. 두 소설은 주(主)인물이 여성과 남성으로 대비되고, 배경은 해방 전의 지방 소도시와 해방 직후 서울 한복판으로 대비되며, 주된 정조 또한 연애감정과 정치의식으로 대비되기 때문이다. 「도정」의 명시적인 정치성이 이와 같은 대칭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기존의 연구에서는 「결별」과 「도정」을 시작과 끝 혹은 사적 세계와 공적 세계라는 식으로 서로 동떨어진 범주에 귀속시켜 해석해왔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첫째, 지하련 서사에 공통적인 서술화법을 규명함으로써, 둘째, 이제까지의 연구가 오독해왔다고 여겨지는 「도정」 속 부분 텍스트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서 지하련의 서사 전체를 관통하는 문제구성을 재발견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추적해나가는 논변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결별」, 「체향초」, 「도정」 세 작품에 공통적인 서술화법상의 특징을 찾아내려고 하였으며, 전체를 관통하는 문제구성이 각 작품에서 전개되는 양상을 재구성해 보았다. 우선 이 논문은 서술자의 말인지 인물의 말인지 판명하게 구별되지 않는 문장들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주요 대상 텍스트인 「결별」, 「체향초」, 「도정」 뿐만 아니라 지하련의 서사 전체에 나타나는 서술자를 <삼인칭 자기서술자>라고 규정하였다. <삼인칭 자기서술자>는 자기서술의 서술화법 속에서 서술자의 권한을 양도받은 `그/그녀`로서, 자기서술과 타자서술을 통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지하련의 서사 전체를 통해 볼 때에 <삼인칭 자기서술자> 역할은 각 서사의 주(主)인물에게만 부여된다. 첫 번째 작품인 「결별」에서부터 지하련의 서사는 이야기줄거리와 서술화법, 그리고 문제구성의 각 수준을 서로 결속하면서 이루어진다. 「결별」은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여기에는 이야기줄거리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와 타자 사이의 위치 교체가 있다. 현실 이야기의 주(主)인물은 허구 이야기의 제삼자이며, 허구 이야기의 주(主)인물은 현실 이야기의 제삼자였다. 이야기줄거리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이런 교차는, 서술화법 수준에서는 <삼인칭 자기서술자>의 기능을 생성하며, 문제구성의 수준에서는 개별적 인간의 감정이 여성 집단에 대한 성찰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논리를 형성한다. 「체향초」는 변증법의 논리 자체에 대해 검토한다. 사인(私人)의 감정이 여성의 집단의식으로 확장되는 반성의 전개 과정을 변증법으로 규정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지하련 서사의 문제구성은 이를 반성 없이 수용하지 않는다. 두 부류의 변증법 논리가 「체향초」에서는 두드러진다. 첫째는 남성들의 궤변에 담긴 논리다. 이 논문은 이를 `변증법적 자동장치`라고 명명하였다. 지하련의 서사에 등장하는 남성들의 궤변에는 물러남 중에도 어떤 거창함이 담겨 있으며 이미 앎이 항상 전제되어 있다. 이를 의심할 적에 두 번째 변증법 논리가 나타난다. `양심의 변증법`이라고 명명한 이 논리는 앎을 자동장치에 맡기지 않으려는 사유에서 비롯된다. 이것이 자동장치와 다르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말이 단일하고 개별적인 것 내부에서 처리되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서술화법 수준에서 <삼인칭 자기서술자>의 기능이 다시금 나타난다. 이 논문은 이렇게 해서 해방 이전에 지하련의 작품들이 벌써 관건으로 삼았던 것이 단일하고 개별적인 `나`로부터 벗어나는 문제였음을 밝혀내었다. 그리하여 지하련의 해방 이전 작품들에 깃들어 있던 것이 공산당이라는 유령임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도정」_______에서 공산당을 `괴물`로 지칭한 부분이 기왕의 해석을 함정에 빠뜨려왔으나, 이 논문에서는 당대 지식인들에게 `괴물`은 지금의 `유령`과 같은 맥락에 놓인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도정」의 주된 대립은 자유로운 개인의 양심과 조직된 공산당의 집단의식 사이의 대립이 아니다. 그래서는 「도정」의 결말이 주의주의적인 포기로 읽힐 수밖에 없다. 유령이 실체를 가지게 된 시공간이 해방 후의 시공간, 곧 「도정」의 시공간이다. 그러므로 실체화된 공산당 조직 내의 옳은 것과 그른 것 사이의 대립이야말로 「도정」의 주요 대립으로 보아야 한다. 이 논문은 「도정」의 <삼인칭 자기서술자>가 이런 대립을 의식한 채로 자기 자신을 자기가 속한 계급과 동일시함으로써 실행의 지평으로 나아갔던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Ji Ha-Lyon had left only a small number of works. However, her works configurate the singular place where the interest of women intellectuals, class politics, and Liberation history are crossed. For this reas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결별`(The Breakup) and `도정`(The Road). When the interest in women`s sexuality had emerged, `결별` was highlighted, and When the study of liberative space has become active, `도정` attracted attention. In addition, her story of life as “a wife of Im Hwa” was also a small reason to attract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At first glance, the singularity of Ji Ha-Lyon`s works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ymmetrical aspects of each plot of `결별` and `도정`. The two novellas are contrasted by the protagonists who are woman and man in each novellas. Their stages are contrasted with the local small towns before Liberation of Korea and the center of Seoul after Liberation, and their major affects are also contrasted with romantic sentiment and political consciousness. It seems that the explicit political quality of `도정` had created this symmetry. Thus, in the existing research, `결별` and `도정` are attributed to the distinctive category as the beginning and end or the private world and the public world. However, in this study, firstly, by explaining the narrational mode which is common to the narratives of Ji Ha-Lyon, secondly, through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partial text in the `도정` which is supposed to be misread by the researches so far, I argue that I could rediscover the common problematics which penetrate the narratives of Ji Ha-Lyon. For this purpose, I searched for characteristics of narrational modes common to the three works of `결별` and `체향초(Days of Homecoming)` and `도정` reconstructing the procedure in which the problematics penetrating the entire works is developed. Above all, I focuses on sentences that are not distinguishable from the words of a narrator or a character. By analyzing this, I defined the narrators appearing in the entire narratives as the “third-personized-auto-narrators”. “third-personized-auto-narrator” is the he or she who is given the authority of the narrators in narratives of auto-narration, and is the agent who is responsible for integrating auto-narration and hetero-narration. Through the entire narratives of Ji Ha-Lyon, the function of the “third-personizedauto- narrator” is invested only to the protagonist of each narratives. Even in the first novella, `결별`, the narrative is composed by configurating each level of plot, narration, and problematics together. `결별` is known as a work containing an autobiographical story. Here, however, there is a position change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that takes place at the level of the plot. The protagonist of the actual story is the third person of the fictional story, and the protagonist of the fictional story is the third person of the actual story. Such interchange at the level of plot produces not only the function of “third-personized-auto-narrator” at the level of the narration but also the logic implying that the individual affects must develop into the reflection on the class of women at the level of problematics. `체향초` examines the logic of the dialectic as such. Even though the development of the reflection in which the personal emotions expand into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women could be defined as a dialectic, narratives of Ji Ha-lyon did not accept this definition without reflection. There are two kinds of dialectic being prominent in the `체향초`. The One is the logic of men`s sophistication. I conceptualized it “dialectical automatic device”. The men`s sophistication in the narratives of Ji Ha-Lyon within which knowledges are always already presupposed elaborates some grandeur during the retreat. When such sophistication have become suspected, there emerges the other, that could be named as “the dialectic of conscience”. This logic comes from the thought not to leave knowledges to automatic devices. In order for this logic to operate differently from automatic devices, the function of the “third-personized-auto-narrator” appears again at the level of narration, since even a word must not be processed within a single individual. In this way, this article has revealed that what had been the stake of Ji Ha-Lyon`s novellas before Liberation was the problem of deviating from the single and individual `I`. Therefore it must be emphasized that there had been a spectre of the Communism in Ji Ha-Lyon`s works before Liberation. The partial text of `도정` which described Communist Party as a “monster” has thrown researchers into confusion, but the “monster” to the intellectuals of those days should be understood as the “spectre” in context of today. The major confrontation of `도정` is not a conflict between free conscience of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organized Communist Party. If that is the case, then the ending of `도정` cannot but be read as the voluntarist abandonment. Liberation could be regarded as the time and space where the spectre comes to be actuality, and that is the time and space of `도정`. Thus The major confrontation of `도정` should be the conflict between the right and the wrong in an actualized Communist Party organization. Since being conscious of this confrontation, “Third-personized-auto-narrator” of `도정` went to the horizon of act by identifying himself with the class to which he belongs, petit bourgeois.

      • KCI등재후보

        문학비평에서 마르크스 변용의 한 양상

        염인수(In-Su Yum) 픽션과논픽션학회 2022 픽션과논픽션 Vol.4 No.1

        Kim In-hwan's criticism contains a great many references which are hidden under textur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ceptance and adaptation of Marxist theory in Kim In-hwan's critical writings. To this end, I try to find the Marxian thoughts included in Kim In-hwan's two axes of critical theory, one is his principles theory and the other is his stages theory, and try to explain the meaning and intention of strange formulas in his criticism. Capital is a massive book. If we want to look ou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reality, we cannot bypass Marx's thoughts contained in the book.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ormulas inserted in Kim In-hwan's critical writings are intended to summarize the entire contents of Capital Vol.Ⅰ, Vol.Ⅱ, and Vol.Ⅲ without citing Marx's lines directly. Insofar as literature is bound to social reality, the summingup of Marx’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enabled Kim In-hwan's critical writings to connect science as an objective recognition of reality with literature as a denial of fetishism in reality, and provide the criteria to judge literary works and authors. this study will consider what feeble hope the speculativity that literary criticism inevitably possesses can convey to us. 김인환의 비평 텍스트에는 수없이 많은 전거들이 압축되어 있다. 이 글은 김인환의 비평 텍스트에서 마르크스가 수용되고 변용되는 양상을 살피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김인환의 문학비평이론의 두 축인 원리론과 단계론에 내포된 마르크스적 사유를 찾아보고, 또 김인환 비평 텍스트에서 가장 낯선 모양이라 할 수식 표현의 의미와 의도를 해명하고자 한다. 『자본』은 큰 책이다. 문학과 현실의 관계 맺음을 조명하기 위해서는 이 큰 책에 담긴 마르크스의 사유를 우회할 수 없다. 김인환의 비평 텍스트에 삽입된 수식들은 마르크스의 사유를 인용하지 않고 『자본』 제Ⅰ권, 제Ⅱ권, 제Ⅲ권의 내용을 요약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읽어낼 수 있다. 이럼으로써 김인환의 비평 텍스트들은 현실의 객관적 인식으로서의 과학을 현실의 물신에 대한 부정으로서의 문학과 연결 짓고, 문학이 사회 현실과 연결된 한에서 작품 또는 작가를 판단할 나름의 기준을 마련했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문학비평이 벗어날 수 없는 사변적 성격이 현재 미약하게나마 어떤 희망을 전할 수 있는지 생각해볼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