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이형(異形) 연구

        양윤의 ( Yang Yun-eui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0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난 이형(異形)의 계보를 파악하고, 그를 통해 주체와 타자성의 문제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주체의 개념을 규정하고, 주체와 연동된 타자성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로써 타자성의 발현 양상으로서 이형이라는 주제를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위해 수행해야 할 논문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이론에서 ‘주체`의 개념과 쓰임을 재정의한다. 둘째, 주체와 연관된 타자의 위상을 검토한다. 이형(異形)이란 주체가 장악하거나 파악할 수 없는 비정상성의 양태와 모습을 가진 타자다. 셋째,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이형의 표상들을 공시적으로 유형화하고 통시적으로 계보화하여 한국 근대문학의 특징을 논구한다. 넷째, 이를 통해 한국 근대문학의 역사를 기술하는 새로운 문학사 기술 방법론을 확보하기 위한 시론을 제시한다. 논문의 분석 대상은 한국 근대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이형들이다. 이들의 특징을 짚어내고 이를 주체 및 타자의 위상학과 연관 지어 검토하여, 이형의 계보학을 작성하는 일이 최종적인 연구의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여섯 가지 이형을 우선적으로 선정했다. 추후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서 보다 완전한 이형의 목록을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① 이광수의 소설과 ‘관음증자` ② 김동인의 소설과 ‘광인` ③ 나도향, 계용묵의 소설과 ‘벙어리` ‘백치` ④ 이상의 소설과 ‘병자` ⑤ 손창섭의 소설과 ‘불구자` ⑥ 김승옥의 소설과 ‘어린이`. 이 논문을 통해 다음과 같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주체론과 타자론을 서사구조분석에 본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서사문학작품을 분석하는 유용한 도구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당대의 사회, 심리, 시대정신이 어떻게 소설에 내면화되었는지를 추적할 수 있다. 셋째, 소설의 주체가 어떻게 자신과 타자를 형상화하는지를 그 문학적 상관물을 통해서 검토할 수 있다. 이형은 주체의 장악력에서 벗어난, 주체가 상징화하는 데 실패한 표상, 즉 주체화된 표상의 잉여다. 이를 연구하여 근대문학의 표상체계와 그 바깥을 동시에 드러내 보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이형이란 내면의 억압된 욕망이 외면화된 것이기 때문에 이형에 대한 연구는 무의식을 연구하는 방법론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ssue of the subject and otherness based on the genealogy of deviation in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concept of the subject is defined, and otherness i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subject. The theme of deviation is studied as a manifestation of otherness. The paper focuses on characters deviating from the norm in Korean modern literature. Their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and reviewed in the context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so a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developing a genealogy of deviation. A total of seven deviant characters was selected for this study: ① Lee Kwang Su`s novels and the voyeur ② Kim Dong In`s novels and the madman ③ Na Do Hyang and Kye Yong Mook`s novels and the mute and the idiot ④ Lee Sang`s novels and the unwell ⑤ Son Chang Sob`s novels and the disabled ⑥ Kim Seung Ok`s novels and the child. This study is expected to achieve the following outcomes. First, by applying the theory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to narrative structures, this study presents a valuable tool for narrative literary analysis. Second, it tracks the internalization of the social dimension, psychological dimension and the Zeitgeist in novels. Third, the embodiment of self and the other by the subject is explored through literary correlatives. Deviation is the representation that the subject has failed to symbolize, that is, the surplus of subjectified representation. This study of deviation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representation system in Korean modern literature. Fourth, since deviation is the externalization of inner, suppressed desires, the analysis of deviation can also be considered an inquiry into the unconscious.

      • KCI등재

        한국 근대 소설의 신체 이미지 비교 연구 : 근육감각 이미지의 시대적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양윤의 ( Yang Yun-eui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7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5 No.1

        이 논문은 근대소설의 변천을 근육감각 이미지의 변화를 통해 연구한 논문이다. 최근 새롭게 조명되는 이미지의 역량을 수용, 인정하면서 이를 연구방법론으로 삼고자 한다. 먼저 한 시대를 대표하는 지배 이미지를 파악하고 다음으로 이 지배 이미지가 근육감각이라는 개별 이미지와 어떻게 교섭하는가를 살피는 방법으로, 이미지의 시대적·역사적 변천과정과 의미를 추적하고자 한다. 이광수, 이상, 손창섭, 김승옥의 소설을 통해서 밝혀낸 대표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1910년대 계몽주의 시대의 지배 이미지는 `빛(앎)/어둠(무지)`이며 1930년대의 지배 이미지는 `정신/육체`의 불화, 불균형을 표현하는 형상들(절름발이, 시체, 비뚤어진 얼굴, 원숭이)이다. 1950년대의 지배 이미지는 죽음을 현시하는 몸(동물과 병자)이고 1960년대의 지배 이미지는 `나란히 놓인 방`이다. 이 이미지들과의 교섭 양상에 따라서 근육감각 이미지는 `주체적인 흔듦/ 비주체적인 떪`(이광수의 경우), 환상적인 `푸드덕거림, 가려움`(이상의 경우), 벌레나 환자의 `꼬물거림, 허비적거림`(손창섭의 경우), 무의미한 아랫배의 `출렁거림`과 시체의 얼굴 `비빔`(김승옥의 경우) 등으로 변화되어 나타난다. 이 논문의 제안을 따를 때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를 통해서 당대의 의식적, 무의식적 지표들을 검토할 수 있다(지배 이미지). 또한 지배 이미지의 지반 위에서 개별적인 상상력이 어떻게 표현되는가를 살필 수 있다(개별 이미지). 둘째, 이를 통해서 작가나 사회사, 서사론과는 구별되는 새로운 문학사 서술 방법론을 제안할 수 있다. 셋째, 나아가 한 개인의 무의식에서 한 시대나 공동체의 집단 무의식을 연구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changes in muscle sensory images through their portrayal in modern Korean novels. The image, which is recognized for its capacity to hold meaning, is utilized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dominant image characterizing an era is first determined, and its interactions with individual muscle sensory images are examined. Using this process, this study traces changes in body images over time and their significance. The dominant images and their evolution over time in the novels of Lee Kwang-su, Lee Sang, Son Chang-sop and Kim Seungok are as follows. The leading image of the era of enlightenment in the 1910s was light (knowledge) versus darkness (ignorance), while that of the 1930s was the disharmony of mind/body and forms indicating imbalance (cripples, corpses, crooked faces, monkeys). Bodies associated with death (animals and the diseased) were employed as the dominant image during the 1950s, and “rows of rooms” were used in the 1960s. Examples of muscle sensory images include “independent shaking/dependent trembling” (Lee Kwang-su), “flapping, itching” (Lee Sang), the “wriggling” of worms or patients (Son Chang-sop), and the meaningless “sloshing” of the lower belly and the “rubbing” of a corpse`s face (Kim Seungok). The expected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cious and subconscious indicators of a certain era can be derived (dominant image), and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imaginative power within that period can be examined (individual images). Second, it will enable a new narrative of literary history. Third, individual subconscious minds or the collective subconscious of the community during different time periods can be studied.

      • KCI등재

        최인훈 소설의 정치적 상상력

        양윤의 ( Yang Yun-eui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0 국제어문 Vol.50 No.-

        이 논문은 최인훈의 소설 전반에서 드러나는 정치적 상상력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글이다. 먼저 최인훈의 초기 소설을 통해서 정치적 사건으로서의 혁명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제도적 정치나 현실 정치의 문제가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정치적인 것`의 개념에 접근할 수 있었다. 「라울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 혁명적인 사건은 타자의 영역과 충돌하는 지점에서 구체화된다. 그것은 종래의 가치와 위계화된 질서를 뒤흔드는 혼돈의 영역을 가시화한다. 요컨대 `정치적인 것`은 동일화나 구조화가 아니라 이질적인 감각을 환기하는 불일치의 작용이다. 예술이 `정치적인 것`의 영역과 교차하는 지점은 은폐되었던 감각을 일깨우는 혼란과 혼돈을 부른다. 최인훈은 예술의 정치적인 개입의 차원을 예술의 미학성의 문제와 함께 고민해 온 작가이다. 그 문제는 최인훈의 소설이 드러난 <예술론>에서 반복적으로 강조되어 온 점이다. 최인훈에게 예술은 단순히 내적, 외적 갈등을 해결해 주는 돌파구도 아니고 불일치의 지점들을 미적으로 승화(소거)하기 위한 도구도 아니다. 예술가는 타자와의 접촉을 통해 이질성을 감각적으로 경험하고, 일상 속의 `불화`를 극대화하여, 비가시적인 방식으로 은폐된 근본적인 `적대`를 환기하는 역할을 한다. 최인훈의 소설 속에서 예술가는 `난민` 표상을 통해 담론적 차원이 아니라 존재론적 차원의 정치적인 의미를 갖는다. 예술가의 상상력과 `정치적인 것`의 접점은 순수한 예술과 정치적인 실천을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과 정치를 함께 사유할 수 있는 새로운 지평을 제공한다. This paper researches the meaning of `the political`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structures in Choi In-hoon`s novels. As a writer, Choi constantly raised questions on Korean spiritual history cove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period after Korean liberation. The most haunting theme of his novels is that human beings should be free from every spiritual subordination or self-effacement and establish subjectivity through self awareness. And, as every subject existing through self reflective awareness is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 by way of memories, the self establishment of the subject is made not in private but in the public realm. This is also the way, in order to overcome political oppression. Based on this premise, this paper analyzes the value of the freedom of the individual and inevitable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s effort at self establishment and the other(s), and the structure of this process in Choi`s novels. In this respect, meaning of `the political`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y the mode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structural principle of discourse. `The political` in Choi`s novels are delivered, the fundamental reason of the failure of the 4 19 Revolution not in the particular of modern Korea but in the modernity situated the world history. And The ethics which make the subject responsible even for the unexpected result of his activity can be reached only after the subject has obtained its autonomy. For example the hero`s death in 『광장』 clarifies the possibility that the relation with others releases the subject from being a narcissistic subject and gives the chance to be reborn as an ethical subject. The action has `the political` meaning. In the process of self establishment, `destiny` should be discriminated from fatalism. Destiny is not opposed to `liberty,` or rather liberty can be found only by destiny. The subject can obtain meaning through relation with other(s) by the means of awareness, wordplay, and ethical autonomy. The force of the liberty comes from the relation of the subject and the other(s), not the political ideology.

      • KCI등재

        서울, 정념의 지도

        양윤의(Yun Eui Ya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현대소설연구 Vol.- No.52

        How is the Seoul city represented by the authors of the 21st century? The following explores the literary background and thoughts of 21st authors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s of their recognition of the Seoul city. The first is the object of the desire : Jung Yi-hyun`s novels. It`s the sense of insecurity and anxiety with which Korean city dwellers are held captive. However, that is why this short story allows candid and natural reflections, not unfamiliar criticism. Those reflections were probably possible because of Jung Yi-hyun`s natural sense. In general, two aspects of the city are equally treated in her novels, but in any case, she never maintains a negative view towards life in the Gangnam district where she was born and spent her youth. Women says “I`m an urbanite by nature”. in her novels. Or it can be said that though the metropolis of Seoul sometimes breeds solitude and sorrow, it is for her A Lovely Place. The second is the field of the inter-recognition: Kim Ae-ran`s novels. Kim Ae-ran selects run-down parts of Seoul in lieu of glittery skyscrapers for her stories. Kim persistently investigates the 20-year-olds cramped one-room accommodations such as a gosiwon, or study room, and basement rental rooms in Seoul. The generation does not have a private place. They are squeezed into a much smaller and restrictive space provided by a mere room in Kim`s second collection of stories. Kim, however, does not portray the dark and small rooms as depressing or suffocating. The 20-year-olds tried to get recognition in Seoul with humanity nevertheless they are not sure when a department store will collapse or when a room will turn into a strange space. The third is the friendship of social minorities : Hwang Jeong-eun`s novels. Hwang Jeong-eun`s first full-length novel, One Hundred Shadows is remarkable in that it reconstructs the voices of social minorities. Hwang`s One Hundred Shadows stems from this particular kind of sensitivity. The subject is the social issue of an old electronics market (in Seoul) being torn down for redevelopment. Hwang does not stop at giving a general commentary on the injustice of eviction or the rights of the tenants. The voices of social minorities remained in the heart of Seoul, and upset the metropolitan control system and authorities. The works of three Korean authors were a rediscovery of the Seoul city. They concerned aout the Seoul city and urban cultural politics more than anyone else.

      • KCI등재

        한국 근대 소설에 나타난 시선의 문제 - 이광수, 이상, 김승옥의 소설을 중심으로 -

        양윤의 ( Yang Yun Eui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8

        한국 근대 소설에 나타난 주체와 시선의 문제를 이광수, 이상, 김승옥의 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시선은 이중적으로 주체를 규정한다. 먼저 장면이 주체를 응시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수동적인 주체), 그 다음으로는 그 장면을 바라보는 것으로, 자율화된 것으로(능동적인 주체) 다시 나타난다. 이광수 소설의 주체는 계몽적 주체라고 평가되는데 이 계몽에는 대부분 관음 증적 장면이 선(先)제공되어 있다. 이것은 계몽적 주체가 관음증적 장면에서 그 주체성의 동력을 얻어내고 있음을 암시한다. 주체는 부인이나 정인(情人)의 부정 (不貞)을 막는 데 실패하고 그 현장에 뒤늦게 도착한다. 이러한 후행성이야말로 관음증적 시선의 선행성(이 주체가 그러한 장면에 의해서만 계몽된다는 것)을 증 명하는 것이다. 여성의 자책은 이 주체의 매혹이 다른 모습으로 전이된 것이다. 이광수 소설에서는, 외설적 인물이 외설적 장면을 연출하는 게 아니라, 외설적 장 면을 목격하는 인물이 외설적인 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에 빛을 비추는 것 이 바로 계몽이다. 그렇게 본다면, 이광수에게는 매커니즘상, 관음증자만이 계몽 적 주체일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상 소설의 주체는 병적 주체다. 이 주체에게 병든 몸은 `장애물`(주체의 의미 부여를 가로막는 몸)이자 `신비`(주체에게 허락되지 않은 특별한 지식을 현시하는 몸)다. 몸이 의미화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기능하는 상태가 `병적 주체`의 상태이 다. 이상의 주체가 정인의 부정에 대해 아무런 매혹도 고통도 느끼지 않는 것은 그 장면의 응시가 주체의 분열을 수습하고 주체의 몸/정신을 통일시켜 주는 큰 타자의 응시이기 때문이다. 그는 그녀(큰 타자)가 자신을 보살피고 먹여주고 재워주는 한에서, 그 자신이 어린아이가 되는 한에서만 주체가 된다. 아내가 늘 남편을 책망하고 꾸짖은 것은 바로이 때문이다. 병적 주체는 이러한 큰 타자의 시선 아래서 자신의 병적 상태를 잊는 환상을 가동시킬 수 있다. 김승옥 소설의 주체 역시 어린아이와 같지만 그에게는 큰 타자의 시선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이 주체는 세계를 의미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데 이 것은 그에게 주어진 장면이 그에게는 트라우마로 체험되기 때문이다. 강간, 화간, 해부대 위에서의 해부 등과 같은 참혹하고 끔찍한 장면들은 주체에게 어떤 식으로든 의미화되지 않는다. 주체는 이 장면 앞에서 경련, 마비, 실어증, 판단 불능, 공포 등을 느낄 뿐이다. 그가 사소한 디테일에 탐닉하는 것도 고장난 의미화 기제의 폭주를 보여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사소하고 무의미한 디테일에서 의미의 고정점을 찾으려는 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of the subject and the perspective in modern Korean novels focusing on the works of Gwangsu Lee, Sang Lee, and Seungok Kim. The perspective of these novels is defined as a duality. Initially, the scene exposes the subject of the story to be observed by the world around him (passive subject), but later, the subject reappears as an autonomous entity (active subject). The subjects of Lee Gwang Su`s novels are viewed as those who need to realize the truth. Ingeneral, voyeuristic scenes are provided in advance for realization, implying that the subjects of these novels gain subjecthood from voyeuristic scenes. The subjects of Lee Gwang Su`s works fail to prevent the misconduct of their wife or lover and arrive late at the scene of infidelity (Mujeong, Heuk). These outcomes indicate that the voyeuristic perspective is a prerequisite of the realization process of the subjects of novels. The subjects of Lee Sang`s novels are unhealthy ones. The sick body of these subjects is an “obstacle” or a “mystery.” The reason why the subjects of Lee Sang`s works do not feel any fascination or pain for their lover`s infidelity is because the scene is seen by a larger third person, who unifies the body and spirit of the subject (Nalgae, Bongbyeolgi). He becomes the subject only when his lover takes care of him, that is, when he becomes a child. The subjects of Kim Seung Ok`s novels are also like children, but the perspective of a larger third person is not provided in these works. These subjects experience difficulties finding significance in the world because the given scenes are experienced as trauma. Dreadful incidents, such as rape or fornication, fail to be meaningful for the subjects (Life Practice, Winter 1964 in Seoul). The subjects cannot but tremble with fear and suffer from aphasia. Indulgence in trivial details also reveals the trial of finding significance from meaningless details.

      • KCI등재

        이청준 소설의 낭만성 연구 -「병신과 머저리」, 「소문의 벽」, 「선학동 나그네」, 『축제』를 중심으로-

        양윤의 ( Yun-eui Ya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0

        이 논문에서는 이청준 소설이 가진 중층 구성적인 특질을 낭만성 개념과 연결 지어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기 독일낭만주의 개념에서 주요 요소를 적출하고, 이 요소들을 통해 이청준의 소설이 가진 특질을 밝혀보고자 했다. 초기 독일낭만주의가 발견한 것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문학 그 자체’였다. 이것은 하나의 작품 속에서 스스로를 포착하고 생산해내는 문학 다시 말해 자기 스스로를 생산하는 문학이다. 또한 그것은 이론과 생산이 결합한 문학이며 ‘문학적 절대’로 명명되는 문학이다. 이 글에서는 낭만성의 층위를 다음과 같이 구별한다. 첫 번째로는 자기 스스로를 생산하는 텍스트의 위상, 두 번째로는 낭만주의 세계관인낭만적 아이러니의 표현양상, 마지막으로는 낭만주의적인 주체의 개념. 첫 번째 층위에서는 이청준 소설의 중층구조와 ‘자기생산성’의 문제가 연동된다. 「병신과 머저리」, 「소문의 벽」, 「선학동 나그네」, 『축제』1)의 ‘내부-텍스트’와 ‘외부-텍스트’의 상호작용이 보여주는 바, 삶의 과정과 작품의 형성 과정이 일치되는 것, 이것이 자기생산성의 문제이다. 두 번째 층위에서는 낭만적 아이러니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청준 소설의 내부-텍스트가 외부-텍스트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형성, 수정, 파괴되는 것과 탐정담의 형식을 차용함으로써 시간적 격차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은 낭만적 아이러니의 세계관을 표현한다. 세 번째 층위에서는 낭만주의적 주체가 타자와 조우하는 순간에 초점을 맞춘다. 이청준 소설의 주체들은 분열되어 있으며, 그러한 모순적인 병존 상태를 스스로 수락하고 있다. 이러한 아이러니적 병존은 환상을 산출하는 토대가 된다. 저 환상의 장면은 「선학동 나그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환상이야말로 낭만주의의 절대적 자아가 타자와 만나는 순간이다. 이것은 낭만주의자들이 꿈꾸었던 자율적인 미의 영역에 대한 문제와도 연결된다. 미적 자율성의 영역은 진리나 윤리의 문제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영역들을 내부에서 재생산하고 재창출하는 영역이다. 타자의 이질성을 포함하는 그 경지가 환상적인 미의 경지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어머니의 죽음/삶을 모든 타자들이 참여하는 축제로 전환하는 『축제』가 보여주는 것이 바로 그러한 점이다. This paper explains the layered organization of Yi Chong-jun’s novels based on the concept of romanticity. The three levels of romanticity us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first level concerns the status of literature and its self-reproducing feature. The literary style pursued by early romanticism was not a certain genre, but literature itself. This refers to literary works that capture and reproduce themselves within a single narrative. Sub-texts can be found through the doctor’s novels and the p rotagonist’s drawings in The Idiot and the Fool, Park Jun’s novels in The Walls of Rumor, the woman’s songs in The Wanderer of Seonhak-dong, and the tributes written for the mother in The Festival. The transcendental sub-texts show that Yi Chong-jun’s works utilize the self-formative and the self-reproducing feature of literature. The second level is the expression of romantic irony as a worldview of romanticism. Investigation through inference is one of the many forms of irony. In The Walls of Rumor, the protagonist completes the narrative by filling the gaps between Park Jun’s novels and actions through in ference. The intertwining of narrative and commentary assigns irony to the characters. The third level is the concept of romantic agent, such as the doctor who quits his job after the death of a patient and becomes a writer (The Idiot and the Fool), Park Jun who loses his mind like the character in his novel (The Walls of Rumor), and the singer blinded by her father who wished to make her songs more sorrowful (The Southerner). In these works, the characters’ pursuit of their desired lives overlapped with the process of life itself, corresponding to the stage of fantastical beauty a s well as a platform for meeting with others.

      • KCI등재

        협력 학습을 통한 과정 중심 글쓰기 수업 방안과 사례

        양윤의(Yang, Yun-eui),박진(Park, Jin)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lesson plan for process-based academic writing based on the writing courses in liberal education courses in Korea University and Kookmin University. Writing is not a product of concluded thinking but a series of actions in which the writer formulates, actualizes, and develops thoughts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ons and revisions. Writing, which helps to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ies, not only requires sophisticated thinking but also enables systematic and critical reasoning. Process-oriented writing focuses on the series of process leading to the end product instead of the complete piece of writing. In order to apply a process-oriented approach to various social phenomena, this paper presents a collaborative model that links the discourse community, classroom and local community. This plan of instruction emphasizes group collaboration at the stages of generating and organizing ideas, or more specifically, 1) selecting topics 2) developing topic sentences, 3) collecting data, and 4) developing the outline. The significance of the collaboration model for process-oriented writing extends beyond the use of writing as an assignment or a means of evaluation, or as a basis upon which instructors provide revision and feedback. For writing to contribute to ac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the writing curriculum must take into account the planning process and content organization. It is also through writing that students learn how to engage in discussions within the discourse community. By challenging the conventional view of writing as an instrumental technique or the product of concluded thinking, this collaboration model proposed here introduces innovation to traditional models of writing in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

        최인훈의 예술론에 드러난 비극적 인식 연구 - ‘예술가 소설’을 중심으로

        양윤의 ( Yang Yun-eui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0 No.-

        This paper analyzes the artistic viewpoints of Choi In-Hoon's novel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fine the tragic thought of Choi In-Hoon's novels, to renew the characteristic of artist in his novels. The artist novels in Choi In-hoon's novels has been appreciated significantly, and the existing study has been indicated that dualism of the main character is a fatal limit. But I can find that the narrative method of dualism of 'sublime' is used to show the artistic viewpoints and involves the point of ‘freedom' of the subject. In this, ‘necessity' and ‘freedom' are based on the life(art) of subjects. Just two aspects of the fundamental conditions indicate that the antagonism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That situation makes inner splits of subject having a connection with the other(s) causes anguish to each other. The subject has reached an impasse and I explained how to link subject's conduct with ‘freedom'. As a result of analysis, I expect to reveal the tragic thought of Choi In-Hoon's novels. Such the tragic thought deserves consider seriously. The subject having it ways could affirm extremes of the antinomy. The ethical responsibility does not exist without freedom of subjects in their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